{{{#!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4000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시 | ||||
도인민위
평성시 |
개천시 | 덕천시 | 순천시 | 안주시 | |
군 | |||||
녕원군 | 대동군 | 대흥군 | 맹산군 | 문덕군 | |
북창군 | 성천군 | 숙천군 | 신양군 | 양덕군 | |
은산군 | 증산군 | 청남군 | 평원군 | 회창군 | |
지구 | |||||
운곡지구 | |||||
}}}}}}}}} |
平原郡 / Phyŏngwŏn County
평원군 平原郡 / Phyŏngwŏn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복 당시 면적 | 985.05㎢ | |
광역시도 | 평안남도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16면 | |
시간대 | UTC+9 | |
[clearfix]
1. 개요
평안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이다. 서쪽은 황해에 접하며 서북쪽으로 갈수록 이름 그대로 평원이 넓어지는 지형이다.대한민국 행정구역상 16개 면으로 구성된다. 면적 985㎢.
2. 역사
한사군 시대에는 낙랑군(樂浪郡) 혼미현(渾彌縣)이었다.이후 조선시대에는 왕이 머무는 영유행궁이 지어졌다.
본래 영유군, 숙천군, 순안군이라는 세 군으로 나뉜 지역이었다. 그러다가 1914년 시행된 부군면 통폐합으로 평원군으로 통합되었다.
광복 당시 중심지는 평원면이었으며 1947년 4월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순안면, 양화면, 동암면을 대동군으로 이관하였다.
이후 1952년 북한이 숙천군을 부활시키면서 현재 북한 행정 구역상 평원군은 영유군 지역만 남은 상황이다.
김일성, 김정일이 명예 농장원인 원화협동농장이 있어 '원화리'에 있는 이 농장은 북한 당국의 집중적인 관리를 받는다. 여기서 첫 모내기를 시작하면 다른 협동농장들도 뒤따라 모내기를 시작하곤 한다.
3. 북한 기준 행정구역
량교리, 신성리, 룡상리, 원압리, 송림리, 월일리, 대정리, 운흥리, 운봉리, 덕제리, 덕포리, 심원리, 송화리, 화진리, 신송리, 청보리, 남산리, 청룡리, 운룡리, 배전리, 석교리, 송석리, 대암리, 삼봉리, 룡이리, 원화리, 삼송리, 석암리, 대풍리로 구성되어 있다.4.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d914b>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
시 |
평양시 |
진남포시 |
|||||||
군 |
대동군 |
순천군 |
맹산군 |
양덕군 |
덕천군 |
|||||
파일:성천군 상징.png
성천군 |
강동군 |
중화군 |
용강군 |
영원군 | ||||||
강서군 |
평원군 |
안주군 |
개천군 |
|||||||
명목상 도청소재지 : 평양시 | }}}}}}}}} |
해방 당시 16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4.1. 구 영유군 지역
- 평원면(平原面)
- 관할 리 : 이화(梨花), 괴천(槐泉), 대부(大夫), 부용(芙蓉), 송석(松石), 어은(漁隱), 어파(漁坡), 영덕(永德), 원류(元柳), 월정(月晶), 월평(月坪), 자일(紫逸), 장림(長林), 화림(華林)
- 면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이화리. 본래 영유군 동부면(東部面), 중부면(中部面), 서부면(西部面)으로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영유면(永柔面)이 통합되었고, 1929년 평원면으로 개칭되었다. 부군면 통폐합 이전 영유군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일명 '영유(永柔)'라고 불렸다. 이화리에 조선 선조가 임진왜란 때 100일간 머물렀던 영유행궁이 있었고, 조선시대의 사열대인 훈련정(訓鍊亭)이 아직 남아 있다. 영덕리에 있던 삼충사는 제갈량(諸葛亮)· 악비(岳飛)· 문천상(文天祥)을 모신 사당이었다.
- 철도 교통은 산 넘어 이웃 공덕면에 있는 경의선 어파역을 이용해야 한다.
- 노지면(鷺池面)
- 관할 리 : 용정(龍井), 대송(大松), 대주(大洲), 문명(文明), 석소(石蘇), 쌍암(雙巖), 용당(龍堂), 용암(龍巖), 정림(旌林), 추흥(楸興)
- 1914년 덕지면(德池面), 백로면(白鷺面), 상계면(上界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동암면(東巖面)
- 관할 리 : 산음(山陰), 도전(都田), 동석암(東石巖), 둔전(屯田), 문암(門巖), 반송(盤松), 부백(孚白), 산양(山陽), 상탄(上灘), 서문(西門), 서석암(西石巖), 송석(松石), 신평(新坪), 신흥(新興), 암적(巖赤), 어중(御重), 용산(龍山), 용우(龍隅), 용이(龍二), 원화(元和), 율일(栗一), 율화(栗花), 조산(造山)
- 1917년 용흥면(龍興面)이 석암면(石巖面)으로 개칭되었고, 1929년 구 순안군 지역이었던 동두면(東頭面)과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좌우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면소재지 부근에 경의선 석암역이 있다.
- 용호면(龍湖面)
- 관할 리 : 연교(蓮橋), 관성(館城), 남양(南陽), 뇌송(雷松), 당우(堂隅), 매전(梅田), 안연(安淵), 약전(藥田), 어당(魚塘), 용강(龍岡), 운봉(雲鳳), 응오(鷹烏), 장평(獐坪), 중항(中巷), 청운(靑雲), 판교(板橋)
- 1914년 용흥면(龍興面), 갈하면(葛下面), 연하면(蓮下面), 통호면(通湖面)의 4개 면을 통합해 신설한 면이다. 서해와 면하는 지역으로 남양리에는 남양 염전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북한에서는 이 염전에서 평남 소금의 1/3이 생산된다고 한다. 아울러 염전 부근 와룡산(73m)의 봉수대 터도 있다.
- 청산면(靑山面)
- 해소면(海蘇面)
- 관할 리 : 금학(金鶴), 난산(爛山), 내덕(內德), 송정(松井), 용교(龍橋), 용현(龍峴), 월현(月峴), 종률(種栗)
- 1914년 소호면(蘇湖面)과 해율면(海栗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바다 海가 들어가 있지만 서쪽 끄트머리를 제외하고는 바다에 접하고 있지 않다.
4.2. 구 숙천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숙천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검산면(檢山面)
- 관할 리 : 검흥(檢興), 검서(檢西), 검양(檢陽), 송양(松陽), 신성(新成), 신지(薪枝), 용포(龍浦), 터산(攄山), 학산(鶴山)
- 1914년 숙천군 상검면(上檢面), 하검면(下檢面), 법리면(法里面), 애산면(艾山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검산(194m) 부근 검흥리와 터산리 사이에 위치한 검산약수가 유명하다.
- 동송면(東松面)
- 서해면(西海面)
- 숙천면(肅川面)
- 관할 리 : 관전(官前), 관동(館東), 내동(內洞), 당하(堂下), 덕수(德水), 도덕(道德), 만흥(晩興), 미남(嵋南), 백로(白鷺), 사직(社稷), 성남(城南), 송저(松底), 신남(新南), 신흥(新興), 심정(深井), 통덕(通德)
- 1914년 숙천군 동부면(東部面), 서부면(西部面)과 영유군 우상면(右上面), 우하면(右下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구 숙천군의 중심지. 경의선 숙천역이 있다.
- 조운면(朝雲面)
- 관할 리 : 갈산(葛山), 성덕(聖德), 송천(松千), 순정(順井), 응암(鷹巖), 재정(財井), 조운(朝雲), 태평(太平)
- 1914년 숙천군 삼리면(三里面), 성상면(聖上面), 취리면(吹里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숙천면 바로 서쪽에 있던 면으로 화가 이중섭이 이곳 송천리 출신이다.
4.3. 구 순안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순안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동암면 둔전리·문암리·반송리·부백리·산음리·서문리·어중리·용우리·용이리·율일리·율화리(구 동두면)가 구 순안군 영역이었다.- 공덕면(公德面)
- 관할 리 : 흥운(興雲), 간(間), 괴전(槐田), 법흥(法興), 병상(竝上), 산송(傘松), 상이(上二), 성교(城橋), 송매(松梅), 신교(新郊), 신화(新和), 양수(兩水), 용암(龍巖), 용흥(龍興), 원(院), 장재(長財), 적암(積巖), 퇴남(退南), 퇴상(退上), 퇴현(退峴), 향암(香巖)
- 군의 동쪽에 있는 면. 1914년 순안군 공전면(公田面)과 평천면(平川面)을 통폐합해 공평면(公平面)이 신설되었고 1929년 자덕면(自德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1929년 축조된 평안저수지[1]가 있으며, 31본산 중 하나였던 법흥사가 남아있다.
- 관내에 경의선 어파역이 있다.
- 순안면(順安面)
- 관할 리 : 남창(南昌), 관북(館北), 구교(舊校), 구서(九瑞), 군상(郡上), 남산(南山), 담화(曇華), 사직(社稷), 상양(上陽), 성이(星二), 성일(星一), 수우(水隅), 신상(新上), 신안(新安), 안암(安庵), 안흥(安興), 양학(陽鶴), 연산(延山), 오산(梧山), 원일(元一), 포정(蒲井)
- 1914년 순안군 군내면(郡內面)과 송현면(松峴面), 정방면(定坊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구 순안군의 중심지로 평원군의 남동쪽 끝에 있으며 대동군과 접한다. 북한 치하에서는 순안구역으로 평양시에 편입되었으며 경의선 순안역과 함께 북한의 관문인 평양국제비행장이 있다. 그런데 북쪽 활주로는 동암면과 걸쳐 있고, 남쪽 활주로는 보통강 건너 양화면에 있다.
- 동쪽 담화산(431m)에는 동금강암(東金剛庵)이라고도 불리는 금강암(金剛庵)이 있다.
- 양화면(兩花面)
- 관할 리 : 요화(蓼花), 금강(金剛), 내송(內松), 상서(上西), 상송(上松), 신(新), 신성(新成), 신정(新井), 옥정(玉井), 용복(龍伏), 중흥(中興), 평(坪)
- 1914년 순안군 동화면(冬花面)과 연화면(蓮花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순안면 바로 서쪽 지역으로, 남쪽으로 대동군과 접한다.
4.4. 구 평양부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평양부의 영역에 해당하며 1914년 평원군 신설 당시 평원군으로 이관되었다.- 덕산면(德山面)
- 관할 리 : 삼정(三井), 검암(劒巖), 경하(坰下), 귤(橘), 대포(大浦), 덕수(德水), 봉도(蜂島), 원오(元五), 유촌(兪村), 제(齊), 주촌(朱村), 탑(榻), 호여(浩呂), 화산(華山)
4.5. 구 증산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증산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증산군은 1914년 한천면은 평원군에, 한천면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강서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한천면(漢川面)
- 관할 리 : 감팔(甘八), 감사(甘四), 감삼(甘三), 감오(甘五), 감육(甘六), 감이(甘二), 감일(甘一), 감칠(甘七), 신성(信成), 예지(禮智), 인의(仁義)
- 1914년 증산군 진방면(鎭坊面)과 초곡면(草谷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서쪽으로 황해와 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