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21:50:01

개천시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40001>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도인민위
평성시
개천시 덕천시 순천시 안주시
녕원군 대동군 대흥군 맹산군 문덕군
북창군 성천군 숙천군 신양군 양덕군
은산군 증산군 청남군 평원군 회창군
지구
운곡지구
}}}}}}}}}
파일:북한 국기.svg 평안남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개천시
价川市
Kaechŏn City
}}} ||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상위 평안남도
하위 26동 11리



대의원
[ 펼치기 · 접기 ]
파일:wpk.jpg 김금숙 (제96호 개천선거구)
파일:wpk.jpg 윤용남 (제97호 람전선거구)
파일:wpk.jpg 장정남 (제98호 삼봉선거구)
파일:wpk.jpg 김순화 (제99호 건지선거구)
파일:wpk.jpg 김창건 (제100호 강철선거구)
파일:wpk.jpg 김덕훈 (제101호 룡진선거구)
파일:wpk.jpg 장경철 (제102호 각암선거구)
파일:wpk.jpg 림동철 (제103호 알일선거구)
파일:wpk.jpg 리일환 (제104호 룡운선거구)
시당 파일:wpk.jpg 강호남[1]
(개천시당 책임비서)
인민위 파일:wpk.jpg 전광욱[2]
(개천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면적 738㎢
시간대 UTC+9
인구 319,554명 ( 2008년)
인구밀도 433명/km² ( 2008년)
관청
소재지

개천시 인민위원회
(위치 미상)
1. 개요2. 상세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4. 북한 기준 행정구역

[clearfix]

1. 개요

평안남도의 북부에 있는 도시.

2. 상세

2019년의 개천시내 풍경 ( 갈렙선교회 영상)
(해방 당시에는 개천군) 개천선 만포선이 지난다. 개천역은 교통의 요지이다. 인구 32만( 2008년)[3]으로 평성보다 인구가 많은 평안남도 제1의 도시(물론 평양, 남포, 평성을 포함하면 주요도에서는 제4의 도시)이자 북한 제9의 도시. 황해북도 소속이던 개성시보다 인구가 많았으나 2019년 개성시가 개풍군과 함께 개성시로 승격되면서 개성의 인구가 더 많아졌다.

극악한 인권탄압으로 악명높은 개천 제14호 관리소와 함께 개천 제18호 관리소도 있다.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과 UN군이 참패를 당한 군우리 전투의 군우리가 바로 이 곳의 군청 소재지다(이북5도위원회의 행정구역 기준).

내륙 분지 지역으로 묘향산맥이 지나며, 청천강, 대동강의 상류가 모두 흐른다. 북쪽은 평안북도 ( 녕변군 구장군, 동쪽은 덕천시· 북창군, 남쪽은 순천시, 서쪽은 안주시에 접한다. 크게는 평양의 위성도시권에 속하지만 제법 떨어진 지역.

개천의 '개'는 대동강 청천강 사이에 끼어있는 고장이라는 뜻에서 끼일 ‘개(介)’를 붙인 것이다. 고려 때 개주(介州)라 불리던 이름에서 조선 태종 때‘주(州)’를 ‘천(川)’이나 ‘산(山)’으로 바꾸던 관례에 따라 강을 끼고 있는 고을이라 하여 ‘천(川)’자를 붙였다. 후에 ‘개(介)’를 ‘개(价)’로 변경하였다. 본래는 고려의 안수진(安水鎭)이었고, 여요전쟁 등에서 연주 방어사(連州防禦使)라고 고쳤다가 이후 조양진(朝陽鎭), 익주(翼州)를 거쳐 고려말에야 개주라는 이름이 되었다.

수자원이 풍부하며, 노다골저수지·회골저수지·수동저수지·노전저수지·새골저수지·내동저수지 등의 물은 주로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로 이용된다. 동부와 남부, 북서부 지역에는 석회암동굴이 발달되어 있고, 서부 지역에는 개천평야 등 구릉성 평야가 분포한다. 시의 61~72%가 산림지다.

주요 산업은 기계공업과 철공업이며, 철광산인 개천광산도 있다. 북한에서 가장 큰 무연탄생산지역이다. 관광지로는 송암동굴, 영풍호 등이 유명하다.

개천역의 개천철도총국을 통해 평안북도, 자강도 전체와 주변 인근 철도를 거느리는 철도 도시이다[4]. 만포선( 각암역, 룡원리역, 천동역, 개천역, 원리역, 봉천역, 자작역, 람전역이 지난다.)과 신안주청년역을 통해 평의선으로 이어지는 개천선(신안주~개천, 29.5km) 등의 철도가 지나며, 평양·만포·안주·덕천·북창·구성 등지로 통하는 도로가 있다.

개천역에서 분강역, 팔원청년역을 거쳐 구성역으로 이어지는 구성선 철도가 존재하였다. 영변 핵시설 때문에 개천시 관내의 춘혁리역부터 분강역까지의 철도는 폐선되고, 분강역과 팔원청년역 사이는 녕변선으로 바뀌고, 팔원청년-구성 구간은 청년팔원선에 편입되었다.

원리역 근처에 개천비행장도 있다.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d914b>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파일:평안남도 평양시 휘장.svg
평양시
파일:진남포시 상징.png
진남포시
파일:평안남도 대동군 휘장.svg
대동군
파일:순천군 상징.png
순천군
파일:맹산군 상징.png
맹산군
파일:양덕군 상징.png
양덕군
파일:덕천군 상징.png
덕천군
파일:성천군 상징.png
성천군
강동군 파일:중화군 상징.png
중화군
파일:용강군 상징.png
용강군
영원군
파일:강서군 상징.png
강서군
파일:평원군 상징.png
평원군
파일:안주군 상징.png
안주군
파일:개천군 상징.png
개천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평양시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FFC83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FC83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개천읍
봉동면 북면 조양면 중남면 중서면
}}}}}}}}} ||

평안남도 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개천군 상징.png
개천군
介川郡
Geachun County
}}}
<colbgcolor=#FFC8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개천읍 군우리
상위 행정구역 평안남도
하위 행정구역 1 5
면적 679.19㎢
인구 67,000명[5]
인구밀도 98.65/㎢
명예군수 김인준
명예읍·면장 5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개천군 소개
파일:개천군 상징.png

파일:개천군.jpg
1읍 5면

4. 북한 기준 행정구역

총 26동 11리를 관할하고 있다.
[1] 2022년 [2] 2022년 [3] 1996년의 추정인구 36.2만보다는 적은 셈이다. [4] 도의 중심부와 가장 가까우면서도 분기선이 가장 많은 것이 평의선이 지나지 않으면서도 선정된 가장 큰 이유다. 개천역 항목참조. [5] 1944년 인구총조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