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 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非 |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華 · 臺 · 台 |
中 ·
漢 唐 |
日 和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 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 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 阿 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 西 | 土 | 墨 | 阿 根 廷 | 巴 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과거의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A] |
고구려 ·
고려 [A] |
백제 [A] |
신라[A] | 조선[A] | ||||
大 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B] | 프로이센[C] |
왜국 [D] |
류큐 왕국
/열도 [D] |
||||
지역 및 도시 | ||||||||
亞 太 | 滿 | 加 州 | 羅 城 | 桑 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지역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 盛 頓 | 莫 斯 科 | 伯 林 | 羅 馬 | 倫 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
羅 벌일 라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网, 1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9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ラ
|
||||||
일본어 훈독
|
あみ, うすぎぬ, つら-なる
|
||||||
罗
|
|||||||
표준 중국어
|
luó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羅는 '벌일 라'[1]라는 한자로, '벌이다', '나열(羅列)하다', ' 그물' 등을 뜻한다. 그래서 '그물 라'라고도 한다.다만 羅씨 집안(나씨)에선 비단 나를 쌓인 비단이 아름답다 하여, '아름다울 라'로도 실사에서 쓰기도 한다. 인명에는 아름답다는 의미로 쓰기도 한다.
2. 상세
罒(그물 망)과 維(벼리 유)가 합쳐진 한자이다.설문해자 | 以絲罟鳥也。从网从維。古者芒氏初作羅。 |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
㠯絲罟鳥也。 釋器。鳥罟謂之羅。王風傳曰。鳥網爲羅。 从网。从維。 會意。魯何切。十七部。或作罹。俗異用。 古者芒氏初作羅。 葢出世本作篇。 |
유니코드에는 7F57로 배당되어 있으며, 강희자전에는 950페이지 12번째 글자에 수록되어 있다.
소전체 | 대전체 |
3. 용례
주로 불교 용어에서 이두 등의 음역자로 쓰인다. 물론 나열(羅列), 망라(網羅) 등에서는 본래 뜻인 '그물' 내지는 '벌이다'란 뜻으로 쓰인다.3.1. 단어
- 건모라( 健 牟羅)
- 기라성( 綺羅 星)
- 나열(羅 列)
- 나침반(羅 針 盤)
- 덴뿌라( 天 麩羅)
- 망라( 網羅)
- 바라밀( 波羅 蜜)
- 신묘장구대다라니( 神 妙 章 句 大 陀羅 尼)
- 아라한( 阿羅 漢)
- 아뇩다라삼먁삼보리( 阿 耨 多羅 三 藐 三 菩 提)
- 아수라( 阿 修羅)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같은 한자를 쓰지만 두음법칙으로 인해 나씨와 라씨로 성이 나뉜다. 주요 본관으로는 나주(羅州), 금성(錦城)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나(성씨) 문서로.
청나라 황제의 성씨인 아이신기오로( 愛 新 覺羅)에 쓰이는 이름자이기도 하다.
- 가부라( 加 布羅)
- 가후인 가이라( 花 諷 院 骸羅)
- 김나이( 金羅 伊): 소설가 김유정의 가명
- 김보라( 金 寶羅)
- 나오키 엔엔라( 直 木 煙々羅)
- 담마가라( 曇 摩 迦羅)
- 라세츠마루(羅 刹 丸)
- 라쇼진 미즈키(羅 将 神 ミヅキ)
- 목라근자( 木羅 斤 資)
- 사사누마 아키라( 笹 沼 尭羅)
- 사쿠라바 세이라( 桜 庭 星羅)
- 슈타라 센쥬마루( 修 多羅 千 手 丸)
- 신라 쿠사카베( 森羅 日 下 部)
- 아이카와 라부( 愛 川 羅 武)
- 어구라( 魚 俱羅)
- 이대라( 李 大羅)
- 이사라( 李 莎羅): 더 글로리의 등장인물
- 이소라( 李 笑羅): 모델
- 일라( 日羅)
- 진보라( 陳 珤羅)
- 축담마라찰( 竺 曇 摩羅 刹)
- 케이카인 고우라( 花 開 院 豪羅)
- 콘가라( 矜 羯羅)
- 쿠비키리 바사라( 首 斬り 破 沙羅)
- 쿠죠 사라( 九 条 裟羅)
- 키요라 진( 清羅 刃)
- 하라이 쿠코( 波羅 夷 空 却)
- 호시 키라라( 星 綺羅羅)
3.4. 지명
- 경남 거제시 일운면 구조라로( 舊 助羅 路)
- 나성(羅 城)
- 나원역(羅 原 驛)
- 나주시(羅 州 市)
- 능라도( 綾羅 島)
- 도라산역( 都羅 山 驛)
- 마라도( 馬羅 島)
- 전라도( 全羅 道)
- 아라동( 我羅 洞)
- 오라동( 吾羅 洞)
- 청라동( 靑羅 洞)
- 라남구역(羅 南 區 域)
- 라선시(羅 先 市)
- 뤄후역, 로우역(羅 湖 站)
- 뤄둥역(羅 東 車 站)
- 뤄산루역(罗 山 路 站)
- 콘피라마에역( 金 比羅 前 駅)
- 쿠리카라역( 倶 利 伽羅 駅)
3.5. 기타
- 구라파( 歐羅 巴)
- 나선정벌(羅 禪 征 伐)
- 나한송(羅 漢 松)
- 라쇼몽(羅生門)
- 신라( 新羅)
- 안라( 安羅)
- 탐라( 耽羅)
- 신라 컴퍼니( 神羅カンパニー)
- 천정공라( 天 挺 空羅)
- 신라대학교( 新羅 大 學 校)
- 키라 킬러( 綺羅キラ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儸(간능있을 라)
- 𦣇(나귀엉덩살 라)
- 蘿(담쟁이 라)
- 纙(돈꿰미 라)
- 欏(돌배나무 라)
- 𥗴(돌쌓일 라)
- 饠/ 𪎆(떡 라)
- 𤄷(멱라수 라, 질펀히흐를 리)
- 㿚(병 라)
- 𩉙(부끄러울 라)
- 㦬(부끄러울/드물 라)
- 𨇽(비틀거릴 라)
- 𡿇/ 𡿏(산이름 라)
- 囉(소리얽힐 라)
- 邏(순라 라)
- 𣩿(여위는병 라)
- 𡤢(여자의자 라)
- 𧟌(여자저고리 라)
- 玀(오랑캐이름 라, 허리굽혀걸을 아)
- 㼈(음역자 라)
- 鑼(징 라)
- 𢅾(찢어진비단 라)
- 攞(찢을 라)
- 籮(키 라)
- 曪(햇빛없을 라)
- 𣱀(모직물 로)
- 𧹐(라)
- 𩎊(라)
- 𩵇(라)
- 𠚢
- 𤓓
- 𤴏
- 𦍉
- 𥽺
- 𩽰
- 𪈰
[1]
羅의 뜻은 '벌리다'가 아니라 '벌이다'이다. '벌리다'는 '입을 벌리다'와 같이 둘 사이를 넓힌다는 뜻이고, '벌이다'는 '일을 벌이다'와 같이 일을 시작한다는 뜻 또는 '물건을 벌여놓다'와 같이 늘어놓거나 나열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한국어문회에서 정한 '벌릴 라'라는 훈음은 어법상 옳지 않으며, '벌일 라'가 적합한 명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