舊 옛 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臼, 1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8획
|
||||
중학교
|
|||||||
旧
|
|||||||
일본어 음독
|
キュウ
|
||||||
일본어 훈독
|
ふ-る, ふる-い, ふる-びる, もと
|
||||||
旧
|
|||||||
표준 중국어
|
ji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획순
|
[clearfix]
1. 개요
舊는 '예 구'라는 한자로, '옛날', '오래되다' 등을 뜻한다.2. 설명
유니코드에는 U+820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廿人土難(TOGX)으로 입력한다.음을 나타내는 臼(절구 구)와 훈을 나타내는 萑(풀 많을 추)가 합쳐진 한자로 원래는 부엉이의 일종을 가리키는 글자였으나, 이후 가차되어 "오래되다"의 의미를 나타내게 되었다. 갑골문에서는 밑부분이 절구 구(臼)가 아니라 움푹 파인 구덩이 모양(凵)이어서 둥지가 아니라 구덩이에 사는 새가 원 뜻이었다고 하기도 한다.[1]
어떠한 변화에 대해서, 변하기 전에 대해 설명할 때 이 한자를 붙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구 막사 등. 반대는 새 신자를 붙여서 신 막사 등으로 부른다. 또한 사전적으로는 딱히 부정적인 의미가 없지만 구습, 구식 등과 같이 낡아서 쓸모없단 뜻이라는 인식이 있다.
신자체 및 간체자로는 旧라고 쓴다.신,간의 목적이 그렇듯이 현재 한자를 실문자로 사용하는 문화권에서는 舊를 손으로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획이 너무나 많아서 실용성이 없기 때문이다.[2]
3. 용례
3.1. 단어
- 구(舊)
- 구교(舊 敎)
- 구권(舊 券)
- 구당서(舊 唐 書)
- 구면(舊 面)
- 구석기(舊 石 器)
- 구성(舊 姓)
- 구세대(舊 世 代)
- 구속(舊 俗)
- 구습(舊 習)
- 구시대(舊 時 代)
- 구식(舊 式)
- 구약(舊 約)
- 구오대사(舊 五 代 史)
- 구정(舊 正)
- 구판(舊 版)
- 구한말(舊 韓 末)
- 구형(舊 形/舊 型)
- 구형법(舊 刑 法)
- 복구( 復舊)
- 수구( 守舊)
- 의구( 依舊)
- 친구( 親舊)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 한국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주문진읍 구보건소뒤길(舊 保 健 所뒤길)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구로( 新舊 路)
-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구조라로(舊 助 羅 路)
- 울산광역시 북구 구유동(舊 柳 洞)
- 울산광역시 중구 구역전길(舊 驛 前길)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구시장로(舊 市 場 路)
- 충청남도 보령시 구상가길(舊 商 街길)
- 충청남도 보령시 구시청길(舊 市 廳길)
- 일본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 新(새 신)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蒦(자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