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0,#e5e5e5><colbgcolor=#FAED7D,#514f36> 역사 | <colcolor=#000,#fff> 역사 · 프랑크 왕국( 중프랑크 · 동프랑크) · 부르군트 왕국 · 랑고바르드 왕국 · 독일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합스부르크 제국 · 오스트리아 제국 | |
현대 국가 | 독일 · 이탈리아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벨기에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리히텐슈타인 · 이탈리아 · 모나코 · 산마리노 · 바티칸 · 체코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프랑스 · 폴란드 | ||
주요 가문 | 카롤루스 가문 · 오토 가문 · 잘리어 가문 · 호엔슈타우펜 가문 · 벨프 가문 · 룩셈부르크 가문 · 비텔스바흐 가문 · 합스부르크 가문 (합스부르크- 로트링겐 가문) | ||
왕국 | 독일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부르군트 왕국 · 보헤미아 왕국 | ||
선제후국 | <colcolor=#000,#e5e5e5><colbgcolor=#fff8b4,#514f36> 초기 부족 공국 | 프랑켄 공국 · 슈바벤 공국 · 바이에른 공국 · 로렌 공국 · 초기 작센 공국 | |
1356년~1623년 | 마인츠 선제후국 · 쾰른 선제후국 · 트리어 선제후국 · 작센 선제후국 · 팔츠 선제후국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 보헤미아 왕국 | ||
16세기 추가 | 바이에른 선제후국 · 하노버 선제후국 | ||
1803년 이후 추가 | 레겐스부르크 선제후국 · 잘츠부르크 선제후국 · 뷔르츠부르크 선제후국 · 뷔르템베르크 선제후국 · 바덴 선제후국 · 헤센 선제후국 | ||
정치 | 역대 황제 · 로마왕( 독일왕) · 황제선거 · 선제후 · 금인 칙서( 1356년판) · 제국의회 · 제국대법원 · 제국추밀원 · 제국추방령 · 저지대 국가 · 변경백 · 방백 · 팔츠 · 궁정백 · 주교후 · 제국백 · 자유도시 · 부족 공국 · 영방국가 | ||
주요 종교 | 가톨릭( 국교) · 발도파 · 후스파 · 개신교( 루터교회 · 개혁교회) | ||
관련 유물 | 레갈리아/신성 로마 제국 · 롬바르디아 철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금인 칙서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
군사 | 제국군 · 황제군 · 란츠크네히트 · 도펠죌트너 · 슈바르체라이터 | ||
주요 사건 | 카노사의 굴욕 · 십자군 전쟁 · 대공위시대 · 이탈리아 전쟁 · 후스 전쟁 · 종교 개혁 · 독일 농민전쟁 · 슈말칼덴 전쟁 · 30년 전쟁( 베스트팔렌 조약) · 7년 전쟁 · 나폴레옹 전쟁(제국의 해체) | ||
오해 | 오해와 반박 | }}}}}}}}} |
Die Staufer / Hohenstaufen
1. 개요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문장 |
중세 독일과 신성 로마 제국의 유력 가문으로 슈바벤 공작,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시칠리아 왕국 왕위, 예루살렘 왕국 왕위를 세습하였다.
줄여서 슈타우펜 가문, 슈바벤 왕조라 부르기도 한다. 독일에서는 편의상 '슈타우퍼'(Staufer)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신성 로마 제국 역대 왕조 중에서도 특히 강력한 황권을 추구한 가문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맞는 측면도 있고 틀린 측면도 있다.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와 프리드리히 2세는 중세의 저명한 황제로 유명하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호엔슈타우펜 가문은 제국 초기 오토 왕조에 비하면 황권이 그리 강한 것도 아니었다. 그 배경에는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는 벨프 가문이라는 강력한 경쟁자와 제국 밖에서는 위세가 정점에 있던 교황권이 있었다. 호엔슈타우펜 가문이 그토록 강력한 황권을 추구한 것은 벨프 가문에게 제위를 빼앗길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이었는지도 모른다. 뿐만 아니라 당시 권세가 절정에 이르렀던 교황의 권력 역시 호엔슈타우펜 가문에게는 큰 부담과 위협으로 다가왔다. 실제로 당시 교황은 적극적으로 황제 선거에 관여했는데, 특히 역대 최고의 교황권을 행사했던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실제로 호엔슈타우펜 가문과 벨프 가문을 교대로 황제로 올려놓으면서 황권을 견제해 절정의 위상을 과시하기도 했다. 호엔슈타우펜 왕조는 신성 로마 제국과 이탈리아, 가톨릭 세계의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하여 교황과 치열하게 대립하였으나 결국 그 과정에서 몰락하고, 독일은 대공위시대로 진입했다.
2. 주요 연표
1079년 슈바벤 공작위에 올라 이를 세습함.1138년 신성 로마 제국의 독일왕과 황제위에 올라 이를 세습함.
1194년 시칠리아 왕위에 올라 이를 세습함.
1225년 결혼으로 예루살렘 왕위를 얻어 세습함.
1268년 콘라딘의 사망으로 가문이 단절됨.
3. 신성 로마 황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500, #ffcc20 20%, #ffcc20 80%, #f0b500); color: #1e1e1d;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1e1e1d> 카를 왕조 | ||||
카를 1세 | 루트비히 1세 | 로타르 1세 | 루트비히 2세 | 카를 2세 | |
<rowcolor=#1e1e1d> 카를 왕조 | 비도 왕조 | 카를 왕조 | 보조 왕조 | ||
카를 3세 | 비도 | 람베르트 | 아르눌프 | 루트비히 3세 | |
운루오히 왕조 | 오토 왕조 | ||||
베렝가르 | 오토 1세 | 오토 2세 | 오토 3세 | 하인리히 2세 | |
잘리어 왕조 | 주플린부르크 왕조 | ||||
콘라트 2세 | 하인리히 3세 | 하인리히 4세 | 하인리히 5세 | 로타르 3세 | |
호엔슈타우펜 왕조 | 벨프 왕조 | 호엔슈타우펜 왕조 | 룩셈부르크 왕조 | ||
프리드리히 1세 | 하인리히 6세 | 오토 4세 | 프리드리히 2세 | 하인리히 7세 | |
비텔스바흐 왕조 | 룩셈부르크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루트비히 4세 | 카를 4세 | 지기스문트 | 프리드리히 3세 | 막시밀리안 1세 | |
합스부르크 왕조 | |||||
카를 5세 | 페르디난트 1세 | 막시밀리안 2세 | 루돌프 2세 | 마티아스 | |
합스부르크 왕조 | |||||
페르디난트 2세 | 페르디난트 3세 | 레오폴트 1세 | 요제프 1세 | 카를 6세 | |
비텔스바흐 왕조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카를 7세 | 프란츠 1세 | 요제프 2세 | 레오폴트 2세 | 프란츠 2세 |
}}}}}} ||
이름 | 최종 지위 | 선출 | 대관식 | 퇴위년일 | 비고 |
콘라트 3세 | 독일왕 | 1138 | X | 1152 | [1] |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 | 황제 | 1152.03.04 | 1155.06.18 | 1190.06.10 | 콘라트 3세의 조카 |
하인리히 6세 | 황제 | 1169.04 | 1191.04.14 | 1197.12.28 | |
필리프 | 독일왕 | 1198 | X | 1208 | [2] |
프리드리히 2세 | 황제 | 1215 | 1220.11.22 | 1250.12.13 | 하인리히 6세의 아들 |
콘라트 4세 | 독일왕 | 1250 | X | 1254 |
4. 시칠리아 국왕
시칠리아 국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우타빌라 왕조 | ||||
루제루 2세 | 구기에르무 1세 | 구기에르무 2세 | 탕크레디 | 루제루 3세 | |
아우타빌라 왕조 | 호엔슈타우펜 왕조 | ||||
구기에르무 3세 | 쿠스탄차 1세 | 피디리쿠 1세 | 아리쿠 2세 | ||
호엔슈타우펜 왕조 | |||||
아리쿠 1세 | 피디리쿠 1세 | ||||
호엔슈타우펜 왕조 | 앙주 왕조 | 호엔슈타우펜 왕조 | |||
쿠라두 1세 | 쿠라두 2세 | 만프레디 | 카를루 1세 | 쿠스탄차 2세 | |
바르셀로나 왕조 | |||||
페트루 1세 | |||||
바르셀로나 왕조 | |||||
자쿠무 1세 | 피디리쿠 2세 | 페트루 2세 | 루이지 | 피디리쿠 3세 | |
바르셀로나 왕조 | 트라스타마라 왕조 | ||||
마리아 | 마르티누 1세 | 마르티누 2세 | 피르디난두 1세 | 알폰추 | |
마르티누 1세 | |||||
트라스타마라 왕조 | 압스부르구 왕조 | ||||
지우반니 | 피르디난두 2세 | 지우반나 | 필리푸 1세 | ||
압스부르구 왕조 | |||||
카를루 2세 | 필리푸 1세 | ||||
압스부르구 왕조 | 부르보나 왕조 | 사보이아 왕조 | |||
필리푸 2세 | 필리푸 3세 | 카를루 3세 | 필리푸 4세 | 비토리우 아메데우 | |
압스부르구 왕조 | 부르보나 왕조 | ||||
카를루 4세 | 카를루 5세 | 피르디난두 3세 | |||
<rowcolor=#fff> 나폴리 국왕 · 양시칠리아 국왕 | }}}}}}}}} |
- 엔리코 1세 ( 하인리히 6세) : 1194년~1197년
- 페데리코 2세 ( 프리드리히 2세) : 1198년~1250년
- 엔리코 2세 ( 하인리히 7세), 공동왕 : 1212년~1217년
- 코라도 1세 ( 콘라트 4세) : 1250년~1254년
- 코라디노 ( 콘라딘) : 1254년~1258년
- 만프레디 (만프레트) : 1258년~1266년
- 코라디노 ( 콘라딘) : 1266년~1268년[3]
- 쿠스탄차 2세
5. 예루살렘 국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F6F6F6 0%, #ffffff 20%, #ffffff 80%, #F6F6F6); color: #ffd7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플랑드르 왕조 | 레텔 왕조 | |||
고드프루아 | 보두앵 1세 | 보두앵 2세 | 멜리장드 | ||
앙주 왕조 | |||||
풀크 | 보두앵 3세 | ||||
앙주 왕조 | 알레라미치 왕조 | ||||
보두앵 3세 | 아모리 1세 | 보두앵 4세 | 보두앵 4세 | 보두앵 5세 | |
알레라미치 왕조 | |||||
보두앵 5세 | |||||
앙주 왕조 | 알레라미치 왕조 | ||||
시빌라 | 이사벨 1세 | 마리아 | |||
뤼지냥 왕조 | 블루아 왕조 | 뤼지냥 왕조 | |||
기 | 기 | 앙리 1세 | 아모리 2세 | ||
알레라미치 왕조 | |||||
콘라드 1세 | |||||
알레라미치 왕조 | 브리엔 왕조 | 호엔슈타우펜 왕조 | |||
마리아 | 이사벨 2세 | 콘라드 2세 | 콘라드 3세 | ||
브리엔 왕조 | 호엔슈타우펜 왕조 | ||||
장 1세 | 프리드리히 | ||||
뤼지냥 왕조 | |||||
위그 | 장 2세 | 앙리 2세 | |||
키프로스 국왕 | }}}}}}}}}}}} |
6. 기타
나치 독일의 '제9 SS 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은 이 가문의 이름에서 따온 것.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이름인 호엔슈타우펜은 슈바벤에 있는 산의 이름이며 그곳에 있는 호엔슈타우펜 성에서 호엔슈타우펜 가문이라는 이름이 나온 것이다.
[1]
잘리어 왕조의 모계 후손이다.
[2]
하인리히 6세의 동생, 바이에른 백작 오토 8세에게 암살당함.
[3]
앙주의 샤를과 대립하여 싸움. 1268년에 전사함으로써 시칠리아의 왕위는 앙주 왕조로 넘어감.
[4]
이사벨 2세와 결혼해 공동왕으로 즉위했으나 이사벨 2세가 사망한 이후 외아들
콘라트 4세에게 왕위가 넘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