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2 09:39:07

제국의회(신성 로마 제국)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e5e5e5><colbgcolor=#FAED7D,#514f36> 하위 문서 <colcolor=#000,#fff> 역사 · 역대 황제 · 오해와 반박
역사 프랑크 왕국( 중프랑크 · 동프랑크) · 부르군트 왕국 · 랑고바르드 왕국 · 독일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합스부르크 제국 · 오스트리아 제국
현대 국가 독일 · 이탈리아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벨기에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리히텐슈타인 · 이탈리아 · 모나코 · 산마리노 · 바티칸 · 체코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프랑스 · 폴란드
주요 가문 카롤루스 가문 · 오토 가문 · 잘리어 가문 · 호엔슈타우펜 가문 · 벨프 가문 · 룩셈부르크 가문 · 비텔스바흐 가문 · 합스부르크 가문 (합스부르크- 로트링겐 가문)
왕국 독일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부르군트 왕국 · 보헤미아 왕국
선제후국 <colcolor=#000,#e5e5e5><colbgcolor=#fff8b4,#514f36> 초기 부족 공국 프랑켄 공국 · 슈바벤 공국 · 바이에른 공국 · 로렌 공국 · 초기 작센 공국
1356년 ~ 1623년 마인츠 선제후국 · 쾰른 선제후국 · 트리어 선제후국 · 작센 선제후국 · 팔츠 선제후국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 보헤미아 왕국
16세기에 추가 바이에른 선제후국 · 하노버 선제후국
1803년 이후 추가 레겐스부르크 선제후국 · 잘츠부르크 선제후국 · 뷔르츠부르크 선제후국 · 뷔르템베르크 선제후국 · 바덴 선제후국 · 헤센 선제후국
관련 용어 로마왕( 독일왕) · 황제선거 · 선제후 · 금인 칙서( 1356년판) · 제국의회 · 제국대법원 · 제국추밀원 · 저지대 국가 · 변경백 · 방백 · 팔츠 · 궁정백 · 주교후 · 제국백 · 자유도시 · 부족 공국 · 영방국가
주요 종교 가톨릭( 국교) · 발도파 · 후스파 · 개신교
관련 유물 레갈리아/신성 로마 제국 · 롬바르디아 철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금인 칙서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군사 제국군 · 황제군 · 란츠크네히트 · 도펠죌트너 · 슈바르체라이터
주요 사건 카노사의 굴욕 · 십자군 전쟁 · 대공위시대 · 이탈리아 전쟁 · 후스 전쟁 · 종교 개혁 · 독일 농민전쟁 · 슈말칼덴 전쟁 · 30년 전쟁( 베스트팔렌 조약) · 7년 전쟁 · 나폴레옹 전쟁(제국의 해체) }}}}}}}}}
파일:신성로마제국 제국의회.jpg

1. 개요2. 9세기부터 15세기 말까지3. 15세기 말부터4. 조직의 구성5. 주요 제국의회 연대기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신성 로마 제국의 제국의회는 제국의 종합적인 국무를 감독, 제국의 영방국가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분쟁을 해소를 위해 창설된 기관이다. 그 외에, 제국의회는 그 이름에서 추측할 수 있듯이, 신성 로마 제국 입법을 담당했다.

2. 9세기부터 15세기 말까지

프랑크 왕국 귀족들의 모임에서 발단했던 제국의회는 초기에는 중대 결정들을 내리기 위한 비정기적 모임에 불과했다. 기록에 따르면 카롤루스 대제 802년- 803년, 작센 전쟁 도중에 아헨 지방에서 공표했던 "작센 법"에 기반하고 있을 것이라 추정할 뿐이다. 1158년의 제국의회는 제국의 헌법을 지방귀족들에게 유리하게 바뀌는 데 일조했다. 황제의 권력은 이때부터 크게 약화되었다. 1356년 금인칙서 (Bulla aurea)[1]가 제국의회를 통해 발표되면서 제국의회는 신성 로마 제국의 정치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았다. 15세기 말까지, 제국의회는 비공식적인 성격을 띄었고, 선제후 공작들의 궁중회의(Hoftag)에 불과했다.

3. 15세기 말부터

1495년 막시밀리안 1세의 제국개혁(Reichreform)으로 제국의회는 정기적으로 열리기 시작했다. 1495년부터 1663년까지 각 의회 끝에 내용을 총정리한 문서(Reichsabschield, 폐회 선언)를 발행했다. 초기에는 아우크스부르크, 보름스, 슈파이어 등 황제가 단기로 머무르는 제국령 도시에서 열렸다. 그러나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황권이 크게 약해지면서, 권력 우위의 항구화를 꿈꾼 귀족 들의 결정으로, 제국의회는 1663년부터 레겐스부르크에 소재했다. 제국의회의 제도는 논란을 일으켰는데, 영방국가들의 제후들은 제국의 사안을 논하는데 평등한 지위를 요구했던 반면, 황제 선제후가 암묵적으로 더 강한 발언권이 있었기 때문이다.

4. 조직의 구성

의회는 세 개의 선거인단으로 나뉘었다. 일곱 선제후[2]들의 선제후 인단 (Kurfürstenrat), 각 영방국가의 300명의 제후들로 이루어진 제후인단 (Fürstenrat)과 제국령 도시들의 도시 인단(Reichstädte).

이 중 제후인단의 경우, 제후인단 내에서 3가지 계층으로 소분류된다. 일류로 각자 하나의 투표권을 갖는 성직자 ( 대주교, 주교, 큰 규모의 수도원의 수도원장 등), 이류로 고위 귀족과 지방 영주 (후일 선제후가 될 바이에른 공작, 뷔르템베르크의 공작 등), 마지막으로 제국에 직속된 중소 귀족들 ( 백작, 성백, 남작 등). 티롤 같은 지역에서는 부르주아 혹은 농민 출신의 대표자를 선출해 내세우기도 했다.

50개 정도 되었던 제국령 도시 영주에 직속된 도시(Landstädte)들과 달리 독립적으로 행동할 수 있었다. 대부분 지방 유력자들로 구성된 독자적인 의회를 꾸리고 한자 동맹(Deutsche Hanse)[3]에 가입하는 등 자주권을 가지고 행동했다.

황제를 비롯한 모든 의회의 대표자들은 법안을 발의할 수 있었다. 그럼 각 선거인단은 따로 해당 법안에 대해 논의했고, 각 선거인단은 법안의 개정판을 발표할 수 있었다. 세 선건인단이 만장일치로 동의해야만 의회는 개정안 중 하나를 최종적으로 비준할 수 있었다. 이렇게 비준한 법안을 의사록(Reichsabschield)이라 불렀다.

5. 주요 제국의회 연대기

754년 키에르지 피피누스 3세 최초의 Hoftag
803년 아헨 카롤루스 대제 최초의 형식적인 Hoftag
806년 티옹빌 카롤루스 대제 프랑크 왕국의 분열
1356년 뉘른베르크 카를 4세 금인칙서 공표
1495년 보름스 막시밀리안 1세 제국 개혁
1521년 보름스 카를 5세 마르틴 루터 소환
1529년 보름스 페르디난트 1세 프로테스탄트 첫 사용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카를 5세[4]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1613년 레겐스부르크 마티아스 개신교 제후 동맹

6. 관련 문서



[1] 카를 4세 뉘른베르크 메츠에서 공표한 신성 로마 제국의 기반이 되는 헌법. [2] 마인츠 대주교, 쾰른 대주교, 트리어 대주교, 팔츠 선제후, 작센 선제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보헤미아 왕. 다만 보헤미아 왕국은 후스 전쟁 같은 내부 분란으로 제 코가 석자라 제국의회에 참석하지 않았다. 나중에 보헤미아 왕국이 합스부르크 가문으로 넘어간 이후에도 합스부르크 가문 군주들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자격으로 참석했지 보헤미아 왕으로서는 선제후 투표권만 행사했고 이조차도 17세기 이후에는 동수를 막겠다고 투표를 자진포기하기도 했다. [3] 1358년 발트 해 독일 북쪽의 자유도시들의 정치적/경제적 동맹. 15세기부터 쇠퇴하기 시작해 17세기 말에 소멸했다. [4] 카를 5세의 이름으로 열렸으나 실제 회의는 동생 페르디난트 1세가 주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