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tablebgcolor=#fff,#1f2023> |
이달의 문화인물 (1998-2005)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8년 | |||||
1월 신윤복 |
2월 안향 |
3월 이상화 |
4월 석주명 |
5월 이익 |
6월 송흥록 |
|
7월 조철호 |
8월 윤봉춘 |
9월 한성준 |
10월 정태진 |
11월 최제우 |
12월 이순신 |
|
1999년 | ||||||
1월 이중섭 |
2월 혜초 |
3월 유형원 |
4월 최한기 |
5월 김창숙 |
6월 권율 |
|
7월 맹사성 |
8월 황현 |
9월 김시습 |
10월 최세진 |
11월 정부인 안동 장씨 |
12월 이승훈 |
|
2000년 | ||||||
1월 남궁억 |
2월 나혜석 |
3월 김육 |
4월 서경덕 |
5월 진감국사(혜소) |
6월 하규일 |
|
7월 정인보 |
8월 김좌진 |
9월 김수영 |
10월 류희 |
11월 김창하 |
12월 장승업 |
|
2001년 | ||||||
1월 김부식 |
2월 최용신 |
3월 강항 |
4월 함석헌 |
5월 지눌 |
6월 이병기 |
|
7월 이현보 |
8월 오세창 |
9월 허균 · 허난설헌 |
10월 설총 |
11월 의천 |
12월 송만갑 |
|
2002년 | ||||||
1월 정약종 |
2월 김환기 |
3월 이상재 |
4월 박두성 |
5월 박수근 |
6월 조지훈 |
|
7월 성삼문 |
8월 박효관 |
9월 김병연 |
10월 신숙주 |
11월 김승호 |
12월 손진태 |
|
2003년 | ||||||
1월 안확 |
2월 양주동 |
3월 이동백 |
4월 양팽손 |
5월 정지용 |
6월 정몽주 |
|
7월 김장생 |
8월 박세당 |
9월 유정 |
10월 월명 |
11월 이인성 |
12월 유길준 |
|
2004년 | ||||||
1월 조희룡 |
2월 신흠 |
3월 이항로 |
4월 이경석 |
5월 의상 |
6월 백광홍 |
|
7월 이첨 |
8월 김창조 |
9월 조헌 |
10월 최항 |
11월 장욱진 |
12월 박두진 |
|
2005년 | ||||||
1월 정정열 |
2월 이예 |
3월 강경애 |
4월 신동엽 |
5월 임윤지당 |
6월 김종직 |
|
7월 강정일당 |
8월 이규보 |
9월 나철 |
10월 이승휴 |
11월 효명세자 |
12월 최북 |
|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 ||||||
이달의 문화인물(1990-1997)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직접적으로 언급된 인물/단체 | |||
단군 | ||||
동명성왕 | 온조왕 | |||
이사부 | 백결선생 | 의자왕 | 계백 | |
김관창 | 김유신 | 문무왕 | 원효 | |
혜초 | 장보고 | 고왕 | 강감찬 | |
서희 | 정중부 | 최무선 | 죽림고회 | |
김부식 | 지눌 | 의천 | 이종무 | |
정몽주 | 문익점 | 최충 | 일연 | |
최영 | 황희 | 맹사성 | 장영실 | |
신숙주 | 한명회 | 이이 | 이황 | |
신사임당 | 곽재우 | 조헌 | 김시민 | |
이순신 | 태조 | 정종 | 태종 |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
사육신 | 생육신 | 논개 | 권율 | |
홍길동 | 임꺽정 | 삼학사 | 박문수 | |
한석봉 | 김홍도 | 김병연 | 김정호 | |
영조 | 정조 | 정약용 | 전봉준 | |
황진이 | 홍경래 | 김옥균 | ||
안중근 | 이완용 | 윤동주 | 지석영 | |
손병희 | 유관순 | 안창호 | 방정환 | |
김두한 | 이상 | 이중섭 | ||
간접적으로 언급된 인물/단체 | ||||
민족대표 33인 | 김좌진 | |||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1] | ||||
기울임체 는 부정적으로 언급된 인물이다. [1] 실제 홍길동을 언급한 건지 후대 인물 허균이 창작한 의적 홍길동을 언급한 건지 논란이 있지만 간접적인 언급으로 소설 홍길동전에서 대중화된 의적 이미지를 노래 가사로 사용했으므로 저자 허균을 생각하고 언급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
}}}}}}}}} |
<colbgcolor=#000080><colcolor=#fff> 혜초 慧超[1] |
|
출생 | 704년 |
서라벌 (現 경주시) |
|
사망 | 787년 (향년 83세) |
국적 | 신라 |
종교 | 불교 |
[clearfix]
1. 개요
혜초(慧超, 704~787)는 통일신라 시대의 승려이다. 천축국(오늘날 인도)을 갔다와 여행기 《 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2. 생애
혜초의 구체적인 생애는 오랫동안 미궁 속에 빠졌으나 오늘날에 와서야 비로소 대략적인 면모가 밝혀지기 시작하였다.신라 성덕왕 22년(723) 당나라 광저우에 가서 인도[2]의 승려 금강지의 제자가 되었는데 금강지의 권유로 인도 순례를 결심해 당나라 남쪽 바닷길을 통해 동남아시아를 항해해서, 각멸(閣蔑), 나신국(裸身國)을 경유하여 인도 동해안에 도착했다. 이후 인도에서 육로로 불교 성지를 순례하였는데 돌아오는 길에는 올 때와 달리 육로 루트를 선택해서 중앙아시아 지역을 비롯해 보통 중동 지역으로 보는 페르시아 일부 지역까지 여행했다.
혜초의 여정. 이 당시에는 인도의 불교가 점점 쇠퇴하고 힌두교가 떠올라서 혜초가 안타까워했다고 한다. |
이후 파미르 고원을 넘어, 727년 당나라 안서도호부가 있는 쿠차를 거쳐 733년 당나라에 돌아와 장안 천복사의 도량에서 인도 승려 금강지를 스승으로 모시며 함께 《대승유가금강성해만주실리천비천발대교왕경(大乘瑜伽金剛性海曼珠實利千臂千鉢大敎王經)》[3] 이라는 경전을 연구하였다. # 혜초의 여정 # 여정 지도2.
740년부터 경전의 한문 번역에 착수하였으나 741년 금강지가 죽자 중단하였다. 혜초는 금강지의 법통을 이은 불공삼장 6대 제자의 한 사람으로 당나라에서도 이름을 떨쳤다. 불공은 죽기 직전인 774년 5월 7일 자신의 사후 법을 이을 증득제자 6명에게 뒷일을 부탁했는데 신라승 혜초가 포함되었다. 780년 4월 우타이산 건원보리사에 들어가 여생을 보냈다고 전해지며 건원보리사에서 위에서 나온 《대승유가금강성해만수실리천비천발대교왕경서》를 필사하고 서문을 지었는데 이것이 현존한다. 그 후의 행적은 알 수 없지만 당시 이미 고령이라 신라로 돌아왔다고 보기는 무리이고 기록도 없어 아마 건원보리사에서 입적하지 않았는가 추측한다. 전해지는 부도가 있었지만 문화대혁명 당시 훼손되어서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다.
3. 신라의 구법승들
당시 신라 승려들의 인도 순례는 혜초 외에도 많이 있었는데 이름이 기록에 남은 사람들만 해도 당나라의 의정이 쓴 『대당서역구법고승전』에 남아있는 아리야발마(阿離那跋摩), 혜업(惠業), 현각(玄覺), 혜륜(惠輪), 오진 등이 있었으며, 삼국유사를 지은 일연도 권5에 귀축제사(歸竺諸師)인도로 들어간 승려들라는 제목으로 한 챕터를 할애해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혜초의 중앙아시아 루트와 달리 이 중에는 티베트와 네팔을 통과하는 히말라야산맥 루트나 스리비자야 왕국을 거치는 동남아시아 루트 등 다양한 방향으로 인도 구법 순례가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일부 신라 승려는 날란다 대승원에서 수학해, 그곳에서 입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인도까지 갔다오는 신라 승려 대부분은 인도 현지에서나 돌아오는 길에 죽었고, 당나라까지 돌아오는 데 성공한 이는 혜초를 비롯해 현태(玄泰), 원표(元表)[4] 정도가 있었다. 그리고 혜초는 비록 일부분이지만 그가 쓴 기행문까지 현대까지 남아있어 가장 유명한 것이다. 혜초의 인도 기행문인 《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이 1908년 프랑스의 동양 학자인 펠리오에 의해 중국 간쑤성의 둔황 막고굴에서 발견되어[5] 고대의 동서 교섭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4. 왕오천축국전
자세한 내용은 왕오천축국전 문서 참고하십시오.5. 기타
- 노래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에서도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