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12:59:04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오세아니아의 민족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호주인 뉴질랜드인 폴리네시아인 미크로네시아인 멜라네시아인
파푸아인 통가인 하와이 원주민 사모아인 마오리족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인도계 피지인 유로네시아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4002b> 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캥거루 · 에뮤
역사 역사 전반 · 호주 자치령 · 백호주의
정치 정치 전반 · 호주 헌법 · 호주 국왕 · 호주 총독 · 호주 의회 · 호주 총리 · 호주 연합( 호주 자유당 · 호주 국민당 · 자유국민당 · 지역자유당) · 호주 노동당 · 호주 녹색당
외교 외교 전반 · 호주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왕국 · 영미권 · Quad · AUKUS · G20 · APEC · 영국-호주 관계 · 호주-뉴질랜드 관계 · 캐나다-호주 관계 · 남아프리카 공화국-호주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독일-호주 관계 · 프랑스-호주 관계 · 이탈리아-호주 관계 · 한호관계 · 일본-호주 관계 · 대만-호주 관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경제 경제 전반 · 호주 달러 · 교통
사회 교육( 대학 틀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복지 · 마일 트레인
국방 호주군 · 호주 육군 · 호주 해군 · 호주 공군 · 호주 경찰 · 호주군 특수작전사령부( SASR, 제2코만도연대) · 파인 갭
사법·치안 호주 경찰 · ABF · ASIS · ASIO · 파인 갭
관광 관광 · 워킹홀리데이 · 호주 비자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완지나 ·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AFL · NRL · 수퍼 럭비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호주 영어 · 호주빠 · 공휴일
지리 오스트랄라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 태즈메이니아 섬
민족 호주인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 호주계 미국인 · 호주/인종차별 · 호주 시민권 · 그리스계 호주인 · 네덜란드계 호주인 · 독일계 호주인 · 레바논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영국계 호주인 · 이탈리아계 호주인 · 중국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폴란드계 호주인 · 프랑스계 호주인 · 한국계 호주인 · 러시아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덴마크계 호주인 · 인도계 호주인 · 헝가리계 호주인 · 핀란드계 호주인 · 스페인계 호주인
}}}}}}}}} ||

파일:220px-Last_of_the_Tasmanians_Woodcut_6_-_Wooreddy.jpg
The Last of the Tasmanians라는 책의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삽화 ( 1870년)[1]
1. 개요2. 역사
2.1. 사라진 민족?
3. 창작물에서4. 해당 인물5. 관련 문서

1. 개요

태즈메이니아 원주민은 유럽인이 도래하기 전 부터 태즈메이니아 섬에서 거주하고 있었던 민족이다. 영어로 애버리지니 태즈메이니아(Aboriginal Tasmanians) 또는 원주민 말로 팔라와(Palawa)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역사

35,000년 전 호주 대륙 본토와 태즈메이니아 섬이 빙하로 연결되어 있었던 시절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한 분파인 팔라와(Palawa)인이 정착했다. 원주민들은 빙하기가 끝나고 배스 해협이 생기며 고립되었다. 그 이후 원주민들은 화전 수렵 채집 생활을 하며 살았고 해안의 주민들은 해산물을 주식으로 삼았다. 섬에는 9개의 부족 사회가 있었다.

그러던 중 1642년 네덜란드인 탐험가 아벨 타스만(Abel Tasman)이 항해 중 이 섬을 발견했고, 1772년 프랑스인 탐험가 마리온 뒤 프레스네가 유럽인으로는 최초로 섬에 상륙했다. 1803년 영국이 리스턴 코브라는 최초의 정착지를 지었다. 원주민들은 정착지를 건설할 때만 해도 약 5,000~15,000명이었으나 섬지형을 이용한 조직적인 인간사냥으로 인해 겨우 30년만에 원주민 인구는 300명으로 급감했다. 1850년에 이르러서는 태즈메이니아인들의 문화와 언어는 사라지고 말았다. 이들의 인골과 유해들은 19세기에 호주와 유럽에서 대량으로 수집되다가 20세기 후반되어서야 조금씩 반환되고 있는 중이다. 현재까지도 대략 3천여 구의 인골이 전 세계에 퍼져있고, 이들 중 대부분은 영국에 있다.

2.1. 사라진 민족?

1833년 원주민들을 백인사회에 동화시키려는 쟁책에 의해 154명의 순혈 원주민들은 플린더스 섬으로 이주했다. 플린더스 섬에 있었던 원주민 시설에는 주택, 의복, 식량 배급, 그외 생필품이 제공되었고. 의료 교육, 그외에도 건설, 농사등은 영국인 죄수들에게 담당되되었다. 도착 후 6~15세 사이의 원주민 어린이는 가족과 분리되어 영국인 평신도들에 의해 양육되었다. 정착지는 의외로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었고, 공급되는 식량은 꽤 부족했기에 원주민들이 사냥을 목적으로 장기간 시설을 떠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1835년 생활 조건이 악화되었으며, 1833년 시설에 도착한 원주민 중 대부분이 유럽인들이 옮겨온 질병으로 인해 사망했고[2], 출산율은 급감했으며 아이가 태어난다 해도 대부분 병에 걸려 죽었기에, 영아사망률이 매우 높아졌다. 그렇게 순혈 원주민의 수는 갈수록 감소하여 1859년에는 인구가 12명으로, 1869년에는 단 한명만이, 1876년에는 마지막 순혈 원주민인 트루가니니(Truganini)가 사망했다.
파일:Oyster_cove_mob.jpg
1860년대 순혈 원주민 4명의 사진(마지막 순혈 원주민인 트루가니니(Truganini)는 맨 오른쪽에 앉아있다.)

그래서 이들이 사라진 민족이라 착각하기 쉬운데, 현재 혼혈 원주민은 꽤 많이 남아있으며 그 수는 6,000~23,572명 정도로 꽤 많고 팔라와 카니(palaw kani)라는 원주민의 언어가 복원되고 있으며,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공동체에서는 지역에 따라 복원된 팔라와 카니(palaw kani)어에서 일부 단어를 실생활에 사용하기도 하니 이들이 사라진 민족이라 하긴 어렵다.

3. 창작물에서

4. 해당 인물

5. 관련 문서


[1] 저 그림속 사람은 마지막 순혈 원주민 트루가니니(Truganini)의 남편으로 이름은 Wooreddy이다. [2] 많은 수의 가축을 길러 가축의 분뇨에 노출되고 사람이 바글바글한 곳에 살아 질병에대해 면역력이 높은 유럽인들이 가볍게 앓는 감기에도 면연력이 없는 현지 원주민이 죽는 일은 꽤 흔하다. 자세한 내용은 총균쇠 문서에서 알수있다. [3] 마지막 순혈 태즈메이니아 원주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