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야구 중계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F78B4> |
<colbgcolor=#DDEEFF,#001933>
|
<colbgcolor=#fff,#222222><colcolor=#000,#fff> 김진웅 |
권성욱 | 이동근 | 이호근 | |||
|
박용택 | 류지현 | ||
전준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준호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2 | 1998 | 2000 | 2003 | 2004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골든글러브 외야수 부문 수상자 (1982~1999)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득점 1위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55득점 백인천 MBC 청룡 / 55득점 |
이해창 MBC 청룡 / 65득점 |
이해창 MBC 청룡 / 62득점 홍문종 해태 타이거즈 / 62득점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67득점 |
김재박 MBC 청룡 / 67득점 |
|
<rowcolor=#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이광은 MBC 청룡 / 67득점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81득점 |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93득점 |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91득점 |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91득점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106득점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85개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113득점 |
전준호 롯데 자이언츠 / 93득점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94득점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112득점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00타점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28타점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09타점 |
이병규 LG 트윈스 / 107타점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23타점 |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15타점 |
이종범 KIA 타이거즈 / 100득점 |
박용택 LG 트윈스 / 90득점 데이비스 한화 이글스 / 90득점 |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89득점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고영민 두산 베어스 / 89득점 |
이종욱 두산 베어스 / 89득점 |
정근우 SK 와이번스 / 98득점 최희섭 KIA 타이거즈 / 98득점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99득점 |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97득점 |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이용규 KIA 타이거즈 / 86득점 |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91득점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135득점 |
테임즈 NC 다이노스 / 130득점 |
정근우 한화 이글스 / 121득점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버나디나 KIA 타이거즈 / 118득점 |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118득점 |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 112득점 |
로하스 kt wiz / 116득점 |
구자욱 삼성 라이온즈 / 107득점 |
|
<rowcolor=#fff> 2022 | 2023 | 2024 | |||
피렐라 삼성 라이온즈 / 102득점 |
홍창기 LG 트윈스 / 109득점 |
김도영 KIA 타이거즈 / 143득점 |
|||
* 득점왕은 2000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도루 1위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김일권 해태 타이거즈 / 53도루 |
김일권 해태 타이거즈 / 48도루 |
김일권 해태 타이거즈 / 41도루 |
김재박 MBC 청룡 / 50도루 |
서정환 해태 타이거즈 / 43도루 |
|
<rowcolor=#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이해창 청보 핀토스 / 54도루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58도루 |
김일권 태평양 돌핀스 / 62도루 |
김일권 태평양 돌핀스 / 48도루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56도루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44도루 |
전준호 롯데 자이언츠 / 75도루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84도루 |
전준호 롯데 자이언츠 / 69도루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57도루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64도루 |
정수근 OB 베어스 / 44도루 |
정수근 두산 베어스 / 57도루 |
정수근 두산 베어스 / 47도루 |
정수근 두산 베어스 / 52도루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김종국 KIA 타이거즈 / 50도루 |
이종범 KIA 타이거즈 / 50도루 |
전준호 현대 유니콘스 / 53도루 |
박용택 LG 트윈스 / 43도루 |
이종욱 두산 베어스 / 51도루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이대형 LG 트윈스 / 53도루 |
이대형 LG 트윈스 / 63도루 |
이대형 LG 트윈스 / 64도루 |
이대형 LG 트윈스 / 66도루 |
오재원 두산 베어스 / 46도루 |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이용규 KIA 타이거즈 / 44도루 |
김종호 NC 다이노스 / 50도루 |
김상수 삼성 라이온즈 / 53도루 |
박해민 삼성 라이온즈 / 60도루 |
박해민 삼성 라이온즈 / 52도루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박해민 삼성 라이온즈 / 40도루 |
박해민 삼성 라이온즈 / 36도루 |
박찬호 KIA 타이거즈 / 39도루 |
심우준 kt wiz / 35도루 |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 46도루 |
|
<rowcolor=#fff> 2022 | 2023 | 2024 | |||
박찬호 KIA 타이거즈 / 42도루 |
정수빈 두산 베어스 / 39도루 |
조수행 두산 베어스 / 64도루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61731> |
KBO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최다 득표자 TOP 4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
<tablebgcolor=#061731><tablewidth=100%> |
|
|
|
1위 | 2위 | 3위 | 4위 | ||
선동열 | 최동원 | 이종범 | 이승엽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원년의 스타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11위 | 12위 | 24위 | 25위 | |
박철순 | 이만수 | 백인천 | 김성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불굴의 의지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27위 | 32위 | 33위 | 35위 | |
이상훈 | 박정태 | 니퍼트 | 배영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82 세계선수권 주역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6위 | 20위 | 28위 | 31위 | |
장효조 | 김시진 | 한대화 | 김재박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최강 선발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9위 | 13위 | 18위 | 26위 | |
이강철 | 정민철 | 정민태 | 조계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성실함의 대명사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14위 | 17위 | 23위 | 36위 | |
김태균 | 박재홍 | 박경완 | 홍성흔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근성의 야수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34위 | 37위 | 38위 | 39위 | |
전준호 | 이순철 | 정근우 | 박진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최강 좌타자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7위 | 15위 | 19위 | 22위 | |
양준혁 | 박용택 | 이병규 | 김기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우타 거포 계보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10위 | 29위 | 30위 | 40위 | |
장종훈 | 김동주 | 심정수 | 우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전천후 투수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
|
|
|
|
5위 | 8위 | 16위 | 21위 | |
송진우 | 구대성 | 김용수 | 임창용 |
득표 순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0px" | <tablewidth=100%> 2000안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양준혁 (1993~2010) 2007년 / 2318안타 |
전준호 (1991~2009) 2008년 / 2018안타 |
장성호 (1996~2015) 2012년 / 2100안타 |
이병규 (1997~2016) 2014년 / 2043안타 |
홍성흔 (1999~2016) 2015년 / 2046안타 |
박용택 (2002~2020) 2016년 / 2504안타 |
정성훈 (1999~2018) 2016년 / 2159안타 |
이승엽 (1995~2017) 2016년 / 2156안타 |
박한이 (2001~2019) 2016년 / 2174안타 |
이진영 (1999~2018) 2017년 / 2125안타 |
|
김태균 (2001~2020) 2018년 / 2209안타 |
최형우 (2002~) 2021년 / 2323안타 |
손아섭 (2007~) 2021년 / 2416안타 |
이대호 (2001~2022) 2021년 / 2199안타 |
이용규 (2004~) 2022년 / 2076안타 |
|
김현수 (2006~) 2022년 / 2236안타 |
최정 (2005~) 2023년 / 2133안타 |
황재균 (2006~) 2023년 / 2040안타 |
강민호 (2004~) 2024년 / 2000안타 |
}}}}}}}}} |
300홈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장종훈 (1986~2005) 2000년 / 340홈런 |
이승엽 (1995~2017) 2003년 / 467홈런 |
양준혁 (1993~2010) 2006년 / 351홈런 |
심정수 (1994~2008) 2007년 / 328홈런 |
박경완 (1991~2013) 2010년 / 314홈런 |
송지만 (1996~2014) 2010년 / 311홈런 |
박재홍 (1996~2012) 2012년 / 300홈런 |
이호준 (1994~2017) 2015년 / 337홈런 |
이범호 (2000~2019) 2017년 / 329홈런 |
김태균 (2001~2020) 2018년 / 311홈런 |
|
최정 (2005~) 2018년 / 495홈런 |
이대호 (2001~2022) 2019년 / 374홈런 |
최형우 (2002~) 2019년 / 373홈런 |
박병호 (2005~) 2020년 / 380홈런 |
강민호 (2004~) 2022년 / 319홈런 |
500도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준호 (1991~2009) 2005년 / 549도루 |
이종범 (1993~2011) 2009년 / 510도루 |
이대형 (2003~2019) 2017년 / 505도루 |
}}}}}}}}} | }}} | ||
같이 보기: KBO 리그 투수 마일스톤 기록 | }}}}}}}}} |
2006 제일화재 프로야구대상 재기상 |
1998, 1999, 2001 프로야구 올해의 상 올해의 매직글러브 |
2006 프로야구 스포츠토토 올해의 상 올해의 재기상 |
2008 프로야구 스포츠토토 올해의 상 올해의 기록상 |
보유 기록 | |
최다 연속 시즌 두자릿수 도루 | 18시즌[1] |
통산 최다 도루 | 549개 |
통산 최다 도루실패 | 217개 |
통산 최다 3루타 | 100개 |
전준호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번 | ||||||||||||||||||||||||||||||||||||||||||||
이동채 (1990) |
→ |
<colcolor=#fff> 전준호 (1991~1996) |
→ |
김대익 (1998~2004.7.12.) |
|||||||||||||||||||||||||||||||||||||||||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1번 | |||||||||||||||||||||||||||||||||||||||||||||
이종호 (1996) |
→ |
전준호 (1997~2007) |
→ | 팀 해체 | |||||||||||||||||||||||||||||||||||||||||
{{{#fff [[우리 히어로즈|우리]] / [[서울 히어로즈|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1번}}} | |||||||||||||||||||||||||||||||||||||||||||||
팀 창단 | → |
전준호 (2008~2009) |
→ |
손승락 (2010~2015) |
|||||||||||||||||||||||||||||||||||||||||
SK 와이번스 등번호 81번 | |||||||||||||||||||||||||||||||||||||||||||||
박철영 (2005~2009) |
→ |
전준호 (2010) |
→ |
고바야시 (2011) |
|||||||||||||||||||||||||||||||||||||||||
NC 다이노스 등번호 72번 | |||||||||||||||||||||||||||||||||||||||||||||
팀 창단 | → |
전준호 (2012~2021) |
→ |
이주형 (2023~) |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2번 | |||||||||||||||||||||||||||||||||||||||||||||
허문회 (2020~2021) |
→ |
전준호 (2022~2023) |
→ |
김민호 (2024~) |
}}} ||
|
|||
<colbgcolor=#0066b3><colcolor=#ffffff> KBS N SPORTS 해설위원 | |||
전준호 田埈昊 | Jeon Jun-ho |
|||
출생 | 1969년 2월 15일 ([age(1969-02-15)]세) | ||
경상남도
마산시 (現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상남초 - 마산동중 - 마산고 - 영남대 | ||
신체 | 180cm, 67kg | ||
포지션 | 중견수[2], 좌익수[3], 지명타자[4] | ||
투타 | 좌투좌타 | ||
프로 입단 | 1991년 2차 2라운드 (전체 11번, 롯데) | ||
소속팀 |
롯데 자이언츠 (1991~1996) 현대 유니콘스 (1997~2007) 우리-서울 히어로즈 (2008~2009) |
||
지도자 |
SK 와이번스 1군 작전·주루코치 (2010) SK 와이번스 2군 작전·주루코치 (2010) 투산 파드리스[5] 타격 인스트럭터 (2011) NC 다이노스 주루코치 (2011~2012) NC 다이노스 1군 작전·주루코치 (2013~2018)[6] 고양 다이노스 작전·주루코치 (2018)[7] NC 다이노스 1군 작전·주루코치 (2019) NC 다이노스 2군 작전·주루코치 (2020~2021) 롯데 자이언츠 2군 주루·외야코치 (2022) 롯데 자이언츠 1군 작전·주루·외야수비코치 (2023) 동의과학대학교 야구부 코치 (2024~) |
||
해설위원 | KBS N SPORTS 야구 해설위원 (2024~)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66b3><colcolor=#ffffff> 본관 | <colcolor=#373a3c> 담양 전씨[8] | |
응원가 | 현대 유니콘스 시절: 뽀뽀뽀 주제곡[가사] | ||
종교 | 개신교 | ||
별명 | 대도(大盜) |
[clearfix]
1. 개요
위대한 도루왕이 있었다.
도루는 발로 하는 게 아니라 눈으로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 前 롯데 자이언츠 1군 주루·외야코치. 現 KBS N SPORTS 야구 해설위원.
2010년에 SK 와이번스의 주루코치로 지내다 미국으로 건너가 연수를 받았으며, 귀국 후 2011년 10월 10일 자로 코치 연수를 마치고 NC 다이노스의 작전 및 주루 코치로 합류하였다. 그리고 2022시즌을 앞두고 24년 만에 롯데 자이언츠에 복귀했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전준호(1969)/선수 경력 | |||
1991년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현대 시절 | 히어로즈 시절 |
3. 지도자 경력
자세한 내용은 전준호(1969)/지도자 경력 문서 참고하십시오.4. 해설자 경력
2024년 2월 1일, KBS N SPORTS의 새로운 해설위원으로 영입되었다. 기존의 동의과학대 코치도 병행하는 것으로 보인다.다만 해설에 대한 평가는 영 좋지 않다. 너무 해설에서 주루 얘기만 하고, 목소리 톤도 영 너무 잠잠하다는 것이 비판 요인.
다소 올드한 톤에 방언까지 섞이니 너무 올드하고 지방 라디오 중계같다는 평이 있는 반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해설로 경기에 몰입감을 입히고, 홈런이나 역전 적시타가 나올때마다 감탄사를 들려주며 경기에 생동감을 불어넣어주는 해설을 한다는 평도 있어서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2024년 7월 20일 롯데와 삼성과의 경기에서는 김지찬이 정보근이 공을 못 찾고 헤맬 당시 김지찬이 3루도 밟기 전에 '홈인이다'라고 얘기하는 등 주루센스를 보여주긴 했으나 이후 이닝 안타에 2루에 있던 김현준이 홈으로 들어오자 지금은 점수차가 많이 나니 들어오면 안된다는 등 쓸데없이 야구의 불문율을 언급하는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5. 여담
- 난감하게도 은퇴 한참 후인 2020년, 통산 도루가 1개 줄어버렸다! (550개 → 549개) KBO가 예전 기록을 제대로 데이터화하는 과정에서 롯데 소속이던 1996년 9월 20일, 무등 야구장에서 열린 해태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기록된 도루가 전준호가 아닌 교체 출장한 박종일[10]의 기록으로 확인됐고, 이에 1996 시즌 도루는 23개에서 22개로 정정되고 통산 도루도 하나 줄어들었다. 하필 550개 이쁘게 딱 맞춰놓은 게 망가졌기 때문에 영화 미스터 3000처럼 도루 1개를 위해 현역 복귀 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우스갯소리가 나온다. # 전준호가 550 도루 기록을 세울 때 기록을 의식하고 손가락이 부러지며 달성한 것이라 아쉬움이 더 컸다.
- 현대 시절에는 연봉협상에 별 잡음 없이 계약을 했는데 항간에 떠도는 '롯데는 연봉 때문에 선수 버린다' 라던 말을 일깨워준 적이 있다. 예를 들면 역대 최초 7관왕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돈 몇푼 못주겠다고 내친 어느 프랜차이즈 선수였던 이대호. 여튼 FA계약도 현대가 별 싸움 없이 고려하면서 잡았는데 전준호 역시 현대에 감사한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 친정 팀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사직구장에서 상당히 강한 것으로 유명하다. 개인통산 2,000안타를 쳤을 때 역시 원정 팀 선수로서 친정 팀인 롯데를 상대로 한 것이었다.[11] 오죽하면 백인천 항목에도 있는 꼴데 시절 롯팬들의 푸념거리를 모아둔 짤방에도 현대와 경기할때 전준호가 도루하고 안타치면 좋아해야하는지 말아야하는지 헷갈린다고 쓰여있다.
- 정수근이 박명환야구TV에서 한 이야기에 따르면, 2루 도루를 노릴 때 1루 베이스에서 다섯 발까지 나와서 크게 리드를 했다고 한다. 본인도 전준호를 따라하려고 했으나 리드가 너무 길다보니 1루로 다시 돌아와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2루로 스타트를 끊을 수 없었다고 한다.
- 참고로 마구마구에서는 현대가 아닌 넥센 히어로즈의 레전드 카드로 나왔는데, 이는 마구마구 레전드 카드 생성 초기에 레전드 카드에 대한 개념이 부족했을 당시 애니파크 측의 실수로 애니파크 측도 이를 인정했다. 듀얼 레전드 시스템이 도입된 지금은 롯데, 현대, 히어로즈 이 3가지의 레전드가 모두 업데이트된 상황.[12][13] 04년도 레어 카드와 같이 외야 송구 시 딜레이를 줄여주는 퀵스로잉이라는 사기급 잠재력이 띄우기 쉬운 1슬롯에 위치하고 있는 데다가 좌익수/중견수 듀얼포지션이 가능해 모두의 준호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여러 세트덱의 타자용병으로 애용되고 있다.
- 2022년 롯데 코치로 귀환한 이후 가진 인터뷰에 따르면 2008년 롯데로 복귀할 수도 있었다고 한다. 제리 로이스터 감독이 "네가 필요하다"고 먼저 제의를 했고 실제로 박영태 코치를 통해 롯데과 연결되었지만 잘 되지 못했다고 한다. 만약 복귀했다면 그 때 팀으로 돌아온 마해영과 함께 큰 화제를 몰고 일으키는 동시에 2008년 낸 성적을 생각해보면 당시 정수근이 이탈해도 큰 손해도 없었을 따름이니 아쉬울 뿐.[14]
- 선수 시절에는 통산 100개의 3루타를 기록하여 KBO에서 가장 많은 3루타를 기록한 선수이기도 하다. 또한 2001년 7월 6일에 현대 유니콘스 소속이었을 때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 KBS 스포츠가 운영하는 야구의 참견 채널에서 대도의 식당이라는 컨텐츠를 촬영하고 있다. 오랜 선수 생활과 코치 생활을 통해 알게된 전국 팔도의 맛집을 찾아다니는 컨셉이다. 맛집에서 식사만 하는 것이 아니라, 게스트로 출연하는 선수들과 인터뷰도 한다. 촬영하는 맛집은 게스트로 출연하는 선수들이 추천해주는 점포이다. 현재까지 2편을 촬영하였고, 1편과 2편의 게스트는 엔씨 코치 시절 지도한 박민우와 나성범. 3편의 게스트는 역시 전준호가 코치 시절 지도한 윤동희.[15]
6. 관련 문서
[1]
1991~2008
[2]
롯데 자이언츠 시절 주 포지션.
[3]
현대 유니콘스 시절 주 포지션. 알려진 바와 달리
현대 유니콘스 시절엔
중견수로 거의 출전하지 않았다.
[4]
2003시즌부터
지명타자 출전 빈도가 높아졌으며 2000시즌과 2005시즌에는
지명타자로 출전한 경기가
외야수로 출전한 경기보다 더 많기도 했다. 은근히
지명타자로 많이 출전한 편이다.
[5]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산하 트리플A
[6]
~7월 12일
[7]
7월 13일~
[8]
경은파 28세. 아버지 전재수(田再壽, 족보명 田再秀)는 27세 수(秀) 휘(煇) 항렬.
[가사]
안타치고 도루하는 전준호~ x4
[10]
공교롭게도 박종일은 전준호가 NC 코치로 일하던 때에도 NC 프런트로 재직하고 있었다.
[11]
이날이 2008년 추석이었다.
[12]
그러나 마구마구2014에서는 2014년 4월 10일 업데이트 후 롯데 레전드카드와 현대 레전드카드가 모두 업데이트되었다!
[13]
2014년 4월 10일, 마구마구2014 1주년 기념방송 예고대로 95 전준호(가명:박현석)의 엘리트 카드가 업데이트되었다. (다른 신규 엘리트는 06
권오준, 02
송진우(가명:박흥진), 89
박정현(가명:김석연).)
[14]
전준호는 2008년 풀타임을 뛰며 3할을 쳤다.
[15]
1편은 마산 三代 초밥, 2편은 광주 정남진 장흥한우에서 촬영하였다. 3편은 부산 수야막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