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코스타리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 풋살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코스타리카 풋살 국가대표팀
문서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 bordercolor=#000> |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가이아나 |
과들루프 |
과테말라 |
그레나다 | |
|
|
|
||
니카라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마르티니크 | |
|
|
|
||
멕시코 |
몬트세랫 |
미국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
|
|
|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버뮤다 |
벨리즈 | |
|
|
|
||
보네르 |
생마르탱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
|
|
|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신트마르턴 |
아루바 | |
|
|
|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앵귈라 |
엘살바도르 | |
|
|
|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온두라스 |
자메이카 |
캐나다 | |
|
|
|
||
케이맨 제도 |
코스타리카 |
쿠바 |
퀴라소 | |
|
|
|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푸에르토리코 | |
|
프랑스령 기아나 |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
||||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112185> |
중앙아메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112185;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
|
|
벨리즈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코스타리카 |
온두라스 |
파나마 |
엘살바도르 | }}}}}}}}} |
|
|||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
|||
Selección de fútbol de Costa Rica | |||
<colbgcolor=#ff0000> FIFA 코드 | CRC | ||
축구 협회 | 코스타리카 축구 연맹 (FCRF) | ||
대륙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 ||
홈 경기장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코스타리카 (Estadio Nacional de Costa Rica / 35,175석) |
||
별명 |
La Sele (선택받은 자) Los Ticos (작은 거인) Tricolor (삼색) |
||
감독 |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미겔 에레라 (Miguel Herrera) |
||
주장단 |
C
프란시스코 칼보 (Francisco Calvo)
|
||
VC
요엘 캄벨 (Joel CAMPBEL)
|
|||
라이벌 |
[[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 |
||
FIFA 랭킹 | 54위 (2024년 12월 19일 기준 / #) | ||
Elo 랭킹 | 53위 (2024년 11월 21일 기준[1] / #) | ||
공식 웹사이트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0000> A매치 최다 출전 |
셀소 보르헤스 (Celso BORGEZ) - 163경기 / 27골 |
|
A매치 최다 득점 |
롤란도 폰세카 (Rolando FONSECA) - 113경기 / 47골 |
||
월드컵 최다 득점 |
로날드 고메스 (Rónald GÓMEZ) - 3골 (2002, 2006) 파울로 완초페 (Paulo WANCHOPE) - 3골 (2002, 2006) |
||
첫 국제경기 출전 |
[[코스타리카| ( 과테말라 과테말라시티 / 1921년 9월 14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바랑키야 / 1946년 12월 10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코스타리카| ( 멕시코 멕시코시티 / 1975년 8월 17일) |
||
[[코스타리카| ( 카타르 도하 / 2022년 11월 23일)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0000> 세계대회 | ||
월드컵 |
[진출] 6회 [최고] 8위/8강 ( 2014) |
||
올림픽 |
[진출] 3회 [최고] 13위/조별리그[2] ( 1984) |
||
대륙대회 | |||
골드컵 |
[진출] 18회 [최고] (1963, 1969, 1989) |
||
코파 아메리카 |
[진출] 5회 [최고] 5위/8강 ( 2001)[3]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상의 | ||
하의 | 12 | 15 |
양말 |
[clearfix]
1. 개요
코스타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13위(2015년 2월 12일 ~ 4월 8일), 최저 순위는 93위(1996년 7월 3일)이다.
2. 상세
삼색(Tricolor)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북중미에서 제법 축구 잘하는 나라이자 중미 지역으로 한정하면 중미의 절대 강자로 알려진 편인다. 1930월드컵 3위 미국, 1970월드컵 6위(8강) & 86월드컵 6위(8강) 멕시코와 1938월드컵 8위(8강) 쿠바 다음으로 2014월드컵 8위(8강) 기록한 북중미 나라다.[4] 또한 미국과 멕시코 다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많이 진출한 CONCACAF 소속 국가기도 하다.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아디다스이다.
2023년 기준 주요 선수로는 셀소 보르헤스, 케일러 나바스, 브라이언 오비에도, 요엘 캄벨, 크리스티안 감보아 등이 있다. 다만 최근 세대교체를 표방하면서 이 선수들 대부분이 대표팀에서 멀어졌고, 중미 지역 최강자 자리를 파나마에게 위협받고 있다.
3. 역사
1990 이탈리아 월드컵 24개국 본선에 첫 진출하여 13위(16강) 기록했다. 코스타리카는 원래 지역예선 2라운드에서 멕시코와 한 조에 속해 탈락이 유력했다. 그러나 멕시코가 FIFA U-20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일부 선수의 나이를 속인 것이 드러나면서 2년 간 국제대회 출전금지 크리티컬을 먹는 바람에 어부지리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그리고 본선에서는 브라질, 스웨덴, 스코틀랜드와 한 조에 속해 3전 전패가 예상되었지만, 예상을 깨고 스코틀랜드를 1:0, 스웨덴을 2:1로 꺾으며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당시 코스타리카에 패했던 스웨덴이 이후 유로 1992와 1994 미국 월드컵에서 연거푸 4강에 올라갔던 점을 생각하면 2014년 못지 않은 돌풍이었던 셈이다.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보다 비슷하거나 좀더 앞서는 실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1990년 월드컵 이후로는 국제적으로 좀 밀리는 모습을 보이는데 1996년 친선경기에선 일본에게 2:6으로 대패당하기도 했고 1998년 월드컵은 예선에서 탈락했다. 2002년 한일 월드컵에 12년만에 진출해 중국을 2:0으로 이기고 튀르키예와 1:1로 비기기도 했지만 브라질에 2:5로 대패당한 탓에 골득실로 밀려 조 3위 탈락(월드컵 19위)했다.[5]
2006년 독일 월드컵 32개국 본선에도 진출했는데 1차전 독일과의 경기에선 파울로 완초페가 멀티골을 터뜨리는 맹활약에도 불구하고 수비 불안으로 2:4로 대패했다. 2차전 에콰도르와의 경기에서도 공수 양면으로 허접한 모습만 보이며 0:3으로 대패해 일찌감치 탈락이 확정됐다. 그리고 3차전 폴란드와의 경기에서는 이전 2경기보다 나은 모습을 보였지만 그래도 1:2로 패하며 3전 전패를 기록해 조 꼴찌로 탈락(월드컵 31위)했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예선 당시 북중미와 남미 전체의 마지막 1장을 놓고 우루과이와 플레이오프를 거쳤으나 우루과이에 밀려 본선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그리고 2014 월드컵에선 3차 예선에 자동진출했는데 멕시코와 엘살바도르, 가이아나와 같은 조가 이뤄졌는데 멕시코에 2전 전패를 당했지만 그래도 3승 1무 2패로 조 2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하지만 멕시코와 미국을 넘긴 어려워 보이긴 해도 3위까지 월드컵 진출권이 걸려있는(4위는 플레이오프) 터라 월드컵 진출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그리고 예상 외로 멕시코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북중미 예선 2위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이 최종 예선에서는 멕시코에게 1승 1무로 복수를 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축구 스타플레이어로는 케일러 나바스와 파울로 완초페가 있는데, 그 중 나바스는 브라질 월드컵 8강(8등)과 레알 마드리드의 챔피언스 리그 3 연 패를 이끌면서 UEFA 올해의 골키퍼를 수상했다. 덕분에 코스타리카 역사상 최고의 축구 선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완초페는 한국 언론에서 워낙 띄워주는 바람에 호나우두급 선수로 아는 사람들도 있다. 물론 코스타리카 역대 득점 2위(73경기 45골)에 올라있기도 하니 좋은 선수인 건 틀림없다. 1위는 롤란도 폰세카로 주로 코스타리카 국내리그에서 뛰었으며 113경기 47골을 기록한 코스타리카 축구 영웅이다. 왈테르 센테노는 무려 A매치 137경기를 뛰며 코스타리카에서 가장 많이 뛴 선수다. 그 외 풀럼의 브라이언 루이즈, 아스날의 유망주 조엘 캠벨, 에버튼의 브라이언 오비에도 등이 축구팬들에게 알려져 있다. 케일러 나바스가 지금은 가장 유명하다.
미국과 같이 2014 브라질 월드컵에 진출했다. 그런데 하필 들어간 조가 우루과이, 잉글랜드, 이탈리아가 포진한 죽음의 조 32강 D조. 덕택에 조 추첨이 끝난 뒤 여기저기서 위로받았다. 그러나 축구공은 둥글다고 했던가. 코스타리카는 나머지 팀들의 승점자판기가 될 것이란 예상을 안드로메다로 날리고 우루과이와의 D조 첫 경기에서 3:1로 이기고, 2차전 이탈리아전 1:0으로 이기면서 죽음의 조에서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 이는 24년만에 거두는 16강 진출 성적이자 죽음의 조에서 거둔 대성과. 잉글랜드에게는 득점없이 비기면서 조 1위를 확정, 16강전에서 사상 처음으로 16강에 오른 그리스랑 맞붙게 되어서 어느 쪽이든 이기면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8강에 오르게 되었다.
16강전에선 선제골을 넣었지만 1명이 퇴장당해 불리한 상황에서 그리스에게 고전하다가 결국 후반 막판에 동점골을 허용..연장전에서 수차례 위협을 받으며 고비를 맞았지만, 승부차기까지 가는 혈전 끝에 아슬아슬하게 이겨 사상 첫 8강에 진출했다. 이로서 북중미 나라 역사상 쿠바[6] , 멕시코[7], 미국[8] 다음으로 8강 이상 진출한 나라가 된 셈.
8강에서 강호 네덜란드에 고전할 것이란 예상과 달리 네덜란드 공격을 상당히 잘 막았다. 결국 득점없이 승부차기까지 가지만 3:4로 아쉽게 패하며 84년만의 북중미 4강 진출이자 코스타리카 역사상 첫 4강 도전은 실패했다. 그러나 32강 죽음의 조에서 1위로 16강에 진출한데다가 대표팀 첫 8강 진출(월드컵 8위)이라는 엄청난 성과를 올리고 네덜란드에도 선전하는 모습을 보이며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최대 화제의 팀으로 남게 되었다. 또한 2승 3무로 전적상 무패탈락을 이뤘다.
그러나 사상 첫 8강을 이룬 호르헤 루이스 핀투 감독은 사퇴했다. 코스타리카 국대 선수들에게 장난아닌 증오를 받고 있기에 더 이상 그가 감독을 하면 다시는 국대 선수로 안 뛰겠다고 나바스를 비롯한 1진 16명이 단체 행동에 나섰기 때문. 언론보도에 의하면 코스타리카 축구코치진을 비웃으며 감독과 같은 콜롬비아 코치진으로 모두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선수 하나하나 사생활까지 깊이 간섭했다는 것. 그래도 성과는 성과인지라 월드컵 직후 코스타리카 축구협회에서 국대 감독 계약 연장 요청을 했으나 핀투 감독이 거절하고 사퇴했다. 그리고 코스타리카 여론에서는 이젠 월드컵 영웅이 아니라 선수들을 쥐어짜내서 성과를 이룬 독재자로서 비난도 많이 듣고 있다. 덕분에 핀투 감독을 새롭게 국대감독으로 영입하려던 나라들도 고민 중이라고 한다. 그 중 한국도 핀투를 대표팀 감독 후보로 올려둔 상태였지만 한국은 다른 감독을 택함으로서 제외가 되었다. 이후 호르헤 루이스 핀투는 온두라스 대표팀 감독에 선임된다.
참고로 2014 브라질 월드컵 경기에서 홈 유니폼은 잉글랜드전에서만 입었다.
핀투 감독이 떠난 이후 파울로 완초페 수석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아 2014 코파 센트로 아메리카나 우승을 이끌었고, 오만·대한민국·우루과이와 치른 평가전에서 2승 1무를 거두는 등 호성적을 기록했다. 그 후 2015년 2월 2일 완초페 대행을 정식 감독으로 선임했다. 그러나 겨우 6달만인 8월 12일에 열린 코스타리카와 파나마의 U-23 대표팀 경기를 관전하다가 경기장 보안요원과 싸움을 벌였다. 당시 완초페 감독은 경기가 0:0 무승부로 끝나자 화가 치밀었고, 그대로 그라운드에 난입했다. 이에 경기장 보안요원이 제지하자 완초페 감독은 주먹을 휘둘렀고 두 사람의 주먹다짐이 시작됐다. 결국 경찰이 출동한 뒤에야 쌍방 폭행이 중단됐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완초페 감독은 경기 후 “이 경기는 승부조작”이라 외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그 다음날인 8월 13일 완초페는 감독을 사퇴하여 오스카르 라미레스가 새로운 감독이 되었다.
2016 코파 아메리카에서 미국에 0:4로 대패를 당했다. 북중미 3강으로 평가받은 코스타리카가 미국 원정이라고 해도 이렇게 대패할지 몰랐다는 반응. 그러나 이후 오스카 라미레즈 감독은 팀의 혼란을 잘 수습하고 월드컵 최종예선 출발을 승리로 산뜻하게 출발했다. 이후 5개월전 코파 아메리카에서 패한 미국에 그 스코어 그대로 홈에서 똑같이 대파했다. 미국에는 충격파가 큰 것이, 이 패배로 인해 5년간 팀을 이끈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경질되었기 때문. 3차전 멕시코전에서 패배하지만, 이후 무패행진으로 최종예선 한 경기를 남겨두고 멕시코에 이어 2위를 확정, 월드컵 본선에 2회 연속 진출한다. 최종예선 중간에 열린 2017 골드컵에서 4강에 그친 것이 아쉬움이라면 아쉽다.
2018 러시아 월드컵부터는 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4년 전의 영광을 잊은 듯이 초장부터 세르비아에 0:1로 패했다. 그 다음 브라질과 0:0으로 팽팽하게 맞서더니 종료 몇 분 전 2골이나 먹히고 허무하게 탈락이 확정되었다. 그나마 스위스와의 최종전에서 2:2 무승부 승점 1점을 기록하면서 유종의 미를 거둔 것이 위안거리.(월드컵 28위) 2022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에서도 파나마를 제치고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따냈고, 플레이오프에서 뉴질랜드를 제치고 본선에 진출했다. 그러나 스페인, 독일, 일본의 32강 죽음의 조에 걸려들게 되어 꽤 암울한 상황이다. 첫 경기인 스페인전에서 슈팅을 한 번도 못하고 0:7로 대패하는 바람에 상당한 망신살을 제대로 당했다. 그러나 심기일전한 2차전에서 일본을 1:0으로 제압하고 3차전 독일을 상대로 2:4로 패배 탈락(월드컵 27위)하긴 했지만 잠깐이나마 2:1로 역전하는[9] 쾌거를 달성하여 16강 진출 경우의 수를 다시 혼란으로 밀어넣는 말 그대로 완전 2014년과 같이 완전 빡센 조에 걸려야 그 존재감을 발휘했다.
다만 현재 다시 좋은 젊은 선수들이 나오고 있다. 트벤테의 마누엘 우갈데, 선덜랜드의 제위슨 베네트 등 2선에 주로 있다.
4.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0%, #E10000 20%, #E10000 80%, #FF0000)"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10000><tablebgcolor=#E10000> |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1921년 ~ 현재
|
||||
1대
로사발 | 2대
로드리게스 | 3대
사프리사 | 4대
모레라 | 5대
로하스
|
|||||
6대
볼라뇨스 &
갤러웨이 | 7대
보니야 | 8대
붐베우 | 9대
타사라 | 10대
토바
|
|||||
11대
피에드라 | 12대
코르데로 | 13대
비소 | 14대
마스키오 | 15대
에체고옌
|
|||||
16대
가메스 | 17대
모야노 | 18대
므라즈 | 19대
그란트 | 20대
자크스
|
|||||
21대
데 시모네 | 22대
로드리게스 | 23대
밀루티노비치 | 24대
비야로보스 | 25대
H. 누녜스
|
|||||
26대
가메스 | 27대
그란트 | 28대
로하스 | 29대
비에이라 | 30대
코르데로
|
|||||
31대
후아르테 | 32대
비야로보스 | 33대
마투라나 | 34대
로드리게스 | 35대
G. 누네스
|
|||||
36대
기마랑이스 | 37대
켄톤 | 38대
샘슨 | 39대
핀투 | 40대
G. 누네스
|
|||||
41대
기마랑이스 | 42대
메드포드 | 43대
켄톤 | 44대
시모이스 | 45대
곤살레스
|
|||||
46대
라 볼페 | 47대
곤살레스 | 48대
핀투 | 49대
완초페 | 50대
라미레스
|
|||||
51대(대행)
곤살레스 | 52대
마토사스 | 53대(대행)
세퀘이라 | 54대
곤살레스 | 55대
수아레스
|
|||||
56대(대행)
비바스 | 57대
알파로 | 58대(대행)
비바스
|
|||||
현직 | |||||
59대
에레라
|
|||||
5. 선수 명단
{{{#!wiki style="color:#1A1B1C;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
<rowcolor=#ffffff>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GK | - |
에스테반 알바라도 (Esteban Alvarado) |
1989년 4월 28일 ([age(1989-04-28)]세) | 22 | 0 | CS 에레디아노 | |
- |
레오넬 모레이라 (Leonel Moreira) |
1990년 4월 2일 ([age(1990-04-02)]세) | 22 | 0 | LD 알라후엘렌세 | ||
- |
아론 크루스 (Aarón Cruz) |
1991년 5월 25일 ([age(1991-05-25)]세) | 1 | 0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
DF | - |
프란시스코 칼보 (Francisco Calvo) |
1992년 7월 8일 ([age(1992-07-08)]세) | 67 | 7 | 콘야스포르 | |
- |
브라이언 오비에도 (Bryan Oviedo) |
1990년 2월 18일 ([age(1990-02-18)]세) | 67 | 2 | 레알 솔트레이크 | ||
- |
오스카르 두아르테 (Óscar Duarte) |
1989년 6월 3일 ([age(1989-06-03)]세) | 66 | 3 | 알 웨흐다 FC | ||
- |
켄달 와스톤 (Kendall Waston) |
1988년 1월 1일 ([age(1988-01-01)]세) | 52 | 6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
- |
리카르도 블랑코 (Ricardo Blanco) |
1989년 5월 12일 ([age(1989-05-12)]세) | 14 | 0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
- |
후안 파블로 바르가스 (Juan Pablo Vargas) |
1995년 6월 6일 ([age(1995-06-06)]세) | 4 | 0 | 미요나리오스 FC | ||
- |
다니엘 차콘 (Daniel Chacón) |
2001년 4월 11일 ([age(2001-04-11)]세) | 0 | 0 | CS 카르타히네스 | ||
- |
이안 라우렌세 (Ian Lawrence) |
2002년 5월 28일 ([age(2002-05-28)]세) | 0 | 0 | LD 알라후엘렌세 | ||
- |
카를로스 마르티네스 (Carlos Martínez) |
1999년 3월 30일 ([age(1999-03-30)]세) | 0 | 0 | AD 산 카를로스 | ||
- |
후안 루이스 페레스 (Juan Luis Pérez) |
1999년 6월 29일 ([age(1999-06-29)]세) | 0 | 0 | AD 산 카를로스 | ||
MF | - |
셀소 보르헤스
(Celso Borges) |
1988년 5월 27일 ([age(1988-05-27)]세) | 145 | 24 | LD 알라후엘렌세 | |
- |
옐친 테헤다 (Yeltsin Tejeda) |
1992년 3월 17일 ([age(1992-03-17)]세) | 64 | 0 | CS 에레디아노 | ||
- |
케이셰르 풀레르 (Keysher Fuller) |
1994년 7월 12일 ([age(1994-07-12)]세) | 33 | 3 | CS 에레디아노 | ||
- |
알렌 게바라 (Allen Guevara) |
1989년 4월 16일 ([age(1989-04-16)]세) | 8 | 0 | CS 카르타히네스 | ||
- |
헤르손 토레스 (Gerson Torres) |
1997년 8월 28일 ([age(1997-08-28)]세) | 12 | 1 | CS 에레디아노 | ||
- |
올랜도 갈로 (Orlando Galo) |
2000년 8월 11일 ([age(2000-08-11)]세) | 9 | 0 | CS 에레디아노 | ||
- |
주이슨 베넷 (Jewison Bennette) |
2004년 6월 15일 ([age(2004-06-15)]세) | 12 | 2 | 선덜랜드 AFC | ||
- |
브란돈 아길레라 (Brandon Aguilera) |
2003년 6월 28일 ([age(2003-06-28)]세) | 10 | 0 | 히우 아브 FC | ||
- |
카를로스 모라 (Carlos Mora) |
2001년 3월 18일 ([age(2001-03-18)]세) | 3 | 0 | LD 알라후엘렌세 | ||
- |
로안 윌슨 (Roan Wilson) |
2002년 5월 1일 ([age(2002-05-01)]세) | 8 | 0 | 질 비센트 FC | ||
FW | - |
요엘 캄벨 (Joel Campbell) |
1992년 6월 26일 ([age(1992-06-26)]세) | 133 | 27 | 아틀레치쿠 고이아니엔시 | |
- |
요한 베네가스 (Johan Venegas) |
1988년 11월 27일 ([age(1988-11-27)]세) | 84 | 11 | LD 알라후엘렌세 | ||
- |
안토니 콘트레라스 (Anthony Contreras) |
2000년 1월 29일 ([age(2000-01-29)]세) | 19 | 4 | 리가 FC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05월 28일 |
6.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0%, #E10000 20%, #E10000 80%, #FF0000)"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10000> |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순서 | 선수 이름 | 출전 횟수 | 첫 경기 | 마지막 경기 |
1 | 셀소 보르헤스 | 159회 | 2008.6.21 | 2023.6.15 | |
2 | 요엘 캄벨 | 148회 | 2011.6.5 | 2024.11.19 | |
3 | 브라이언 루이스 | 145회 | 2005.6.19 | 2022.11.23 | |
4 | 왈테르 센테노 | 135회 | 1995.9.27 | 2009.11.18 | |
5 | 루이스 마린 | 126회 | 1993.6.23 | 2009.11.18 | |
6 | 케일러 나바스 | 113회 | 2008.10.11 | 2024.3.26 | |
7 | 롤란도 폰세카 | 111회 | 1992.5.27 | 2011.3.26 | |
8 | 알바로 사보리오 | 110회 | 2002.10.1 | 2021.10.13 | |
9 | 마우리시오 솔리스 | 109회 | 1993.9.23 | 2006.6.20 | |
10 | 마이클 우마냐 | 102회 | 2004.6.4 | 2017.10.10 |
7. 역대 전적
7.1. FIFA 월드컵
코스타리카의 역대 월드컵 성적에 대한 내용이다.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30위
⑧⑯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코스타리카 제1공화국 | |||||||||
1930 우루과이 |
불참 | ||||||||
1934 이탈리아 |
|||||||||
1938 프랑스 |
기권 | ||||||||
※ 코스타리카 제2공화국 | |||||||||
1950 브라질 |
불참 | ||||||||
1954 스위스 |
|||||||||
1958 스웨덴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62 칠레 |
|||||||||
1966 잉글랜드 |
|||||||||
1970 멕시코 |
|||||||||
1974 서독 |
|||||||||
1978 아르헨티나 |
|||||||||
1982 스페인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86 멕시코 |
|||||||||
1990 이탈리아 |
16강 | 13위 | 6 | 4 | 2 | 0 | 2 | 4 | 6 |
1994 미국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98 프랑스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02 한국/일본 |
조별리그[14] | 19위 | 4 | 3 | 1 | 1 | 1 | 5 | 6 |
2006 독일 |
조별리그[15] | 31위 | 0 | 3 | 0 | 0 | 3 | 3 | 9 |
2010 남아프리카공화국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14 브라질 |
8강 | 8위 | 9 | 5 | 2 | 3 | 0 | 5 | 2 |
2018 러시아 |
조별리그[17] | 공동 28위[18] | 1 | 3 | 0 | 1 | 2 | 2 | 5 |
2022 카타르 |
조별리그[19] | 27위 | 3 | 3 | 1 | 0 | 2 | 3 | 11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 | ? | ? | ? | ? | ? | ? | ? | ? |
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6회 / 8강 1회 | 23 | 21 | 6 | 5 | 10 | 22 | 39 |
총 성적 5승 5무 8패 승점 23점[20]으로 월드컵 랭킹 30위에 랭크되어 있다. 2014년까지는 스코틀랜드, 카메룬과 승점이 같았지만 2018년 대회에 이 세 팀 중 유일하게 본선에 올랐고, 32강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스위스와 비기고 1점을 추가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에 3점을 쌓은 나이지리아에게 승점이 밀려 오히려 순위는 한 계단 떨어졌다. 그러나 2022년 대회에서 일본이 대거 승점 7점을 추가하며 랭킹을 역전당해버렸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다. 우승 경력이 있는 팀과 1승이라도 있는 팀은 볼드체 표시.
브라질 : 3패(1990, 2002, 2018) 독일 : 2패(2006, 2022) 이탈리아 : 1승(2014) 우루과이 : 1승(2014) 잉글랜드 : 1무(2014) 스페인 : 1패(2022) 스웨덴 : 1승(1990) 체코 : 1패(1990) 스코틀랜드 : 1승(1990) 터키 : 1무(2002) 중국 : 1승(2002) 폴란드 : 1패(2006) 에콰도르 : 1패(2006) 네덜란드 : 1무(2014) 그리스 : 1무(2014) 세르비아 : 1패(2018) 스위스 : 1무(2018) 일본 : 1승(2022) |
대륙별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다.
유럽 : 3승 5무 6패 남미 : 1승 4패 아시아 : 2승 |
우승후보들이 대거 포진한 유럽팀을 상대로 크게 밀리지 않고 있는 저력의 팀이다. 북중미 강호들인 멕시코, 미국마저도 유럽 전적이 절대열세인 반면 코스타리카는 상당히 선전하고 있다.
코스타리카에 패배를 안겨준 팀은 브라질(3패), 독일(2패), 체코(1패), 에콰도르(1패), 폴란드(1패), 세르비아(1패), 스페인(1패)으로 총 7개팀이다. 브라질과 독일을 제외한 나머지 팀을 상대로는 한 경기씩만 패배했고, 이들을 상대로 모두 전패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코스타리카가 가장 많은 승점을 얻어간 팀들은 이탈리아, 우루과이, 스웨덴, 스코틀랜드, 중국, 일본으로 전부 한 경기씩 이겼으며, 이들 중에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나머지 네 팀[21]은 유럽과 남미에서 한가닥씩 하는 강팀들로, 여기서 스코틀랜드를 제외한 셋이 결승에 진출한 전력이 있는 나라들이다.
코스타리카가 월드컵에서 전적 우세를 기록하고 있는 팀은 이탈리아, 우루과이, 스웨덴, 스코틀랜드, 중국, 일본으로 여섯 팀이고 호각세를 기록하고 있는 팀은 잉글랜드, 네덜란드, 스위스, 터키[22], 그리스까지 총 다섯 팀이다. 그 밖에 브라질, 독일, 세르비아, 폴란드, 체코, 에콰도르, 스페인 등 총 일곱 팀을 상대로 전적 열세를 기록하고 있다.
한 경기 최다득점 기록은 2014년 32강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3:1 승으로 세 골이 최고 기록이고, 한 경기 최다실점 기록은 2022년 32강 조별리그 스페인전 0:7 패로 무려 무득점 7실점을 당했다. 그리고 이 패배로 코스타리카 대표팀의 최다실점 패배 기록이 경신되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이름없는 북중미 A팀이었으나 1990년에 멕시코의 청소년대회 부정선수 선발이 들통나 실격되면서 멕시코 없는 북중미에서 1위를 차지하고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을 밟게 되었다. 당시 24강 조별리그에서 브라질, 스웨덴, 스코틀랜드로 만만한 나라가 하나도 없는 치열한 조였지만 유럽의 두 나라를 누르고 2승 1패의 성적으로 16강에 올라가는 이변을 일으켰다. 아르헨티나와 콜롬비아를 누르고 8강에 올라간 카메룬에게 상대적으로 묻힌 감이 있지만 코스타리카도 시작 전에는 승점 자판기로 예측되던 팀이었기에 카메룬 못지않은 이변이었다. 다만 16강전에선 체코슬로바키아에 1:4로 대패를 당하며 돌풍을 일찍 마무리했다.(월드컵 13위)
이후 12년 동안 월드컵에 나오지 못하다가 2002 한일 월드컵에 출전해 또다시 브라질이 속한 조에 들어갔다. 게다가 이번에는 파울로 완초페라는 특급 선수도 있었으며 상대는 더 쉬운 터키와 중국이었다. 12년 전 자신들을 이끌고 16강으로 올렸던 보라 밀루티노비치 감독을 적장으로 만났지만 이들을 2:0으로 가볍게 누르고 터키와도 1:1로 비기며 16강 진출을 확신했으나 마지막 브라질전에서 크게 지는 바람에 아쉽게 다음 대회를 기약해야 했다. 그러나 다음 대회에선 개최국 독일, 에콰도르, 폴란드에 모조리 패배하면서 3전 3패로 광탈. 2010 남아공 월드컵은 골득실차로 플레이오프에 떨어져 우루과이를 만나고 아깝게 떨어져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14년에는 우왕좌왕했던 멕시코와 라이벌 온두라스를 누르고 미국에 이은 2위로 본선에 직행했으나 32강 조별리그에서 상대가 우루과이, 이탈리아, 잉글랜드였다. 세 팀 모두 역대 월드컵 우승국에 총합 일곱 번의 우승컵을 거머쥔 나라들. 루이스 수아레스가 있는 우루과이는 말할 것도 없으며 이탈리아 또한 지난 대회 흑역사가 있긴 했지만 명실상부 월드컵 깡패팀이고 잉글랜드 또한 꾸준히 성적을 내는 EPL의 나라 축구종가다. 코스타리카에겐 그야말로 사면초가인 조 편성에 3전 3패가 당연해보였고 브라질에 '놀러간 것'으로 의의를 둬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오히려 D조 1위로 16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보였다.
2승 3무로 죽음의 조 1위에 8강 8위까지 갔다. 이는 코스타리카 축구 역사상 최고의 성적이었고 코스타리카는 2002년의 대한민국 못지않은 축제 분위기였다. 더불어 케일러 나바스라는 걸출한 골키퍼를 발굴해낸 것도 엄청난 수확이었다. 이번 대회 북중미 선전의 선봉에 섰던 팀인 만큼 연속 진출에 성공한 러시아 월드컵 본선에서의 모습이 더욱 기다려지는 팀이 됐다. 작은 고추가 맵다라는 말을 실제로 해낸 국가대표팀이 됐다.
2018 월드컵에선 32강 E조에 속하면서 16년 만에 브라질과 다시 맞붙게 되었다. 그밖에 스위스와 세르비아와 맞붙는데 해외 축구 사이트 및 언론은 브라질이 1위, 2위를 3팀이 치열하게 맞붙지만 코스타리카가 아쉽게 탈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코스타리카가 최약체이기보단 스위스와 세르비아가 이기기 어려운 팀인 만큼, 전대회 8강에 오른 코스타리카가 2회 연속으로 8강 진출을 이뤄낼지가 관심사였다. 그래도 브라질 스위스 세르비아가 힘들다 해도, 전에 잉글랜드 우루과이 이탈리아를 완전 박살내고 왔기에 코스타리카의 반응은 이번엔 그나마 할 만한 정도. 그러나 이번엔 지난 대회의 영광을 재현하지 못하고 1무 2패 월드컵 28위로 허무하게 탈락했다.
2022 월드컵에서는 스페인, 독일, 일본과 한 조가 되면서 가시밭길이 예고되었다. 1차전에서 0:7이라는 대패를 당했으나, 2차전에서 일본을 1:0로 이기면서 16강 진출의 불씨를 살렸다. 그러나 3차전에서 독일에서 2:4로 패하면서 대회 27위로 다시 32강 조별리그에서 짐을 싸고 말았다.
7.2. CONCACAF 골드컵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엘 살바도르 1963 | 결승리그[23] | 우승 | 6 | 5 | 1 | 0 | 14 | 2 | |
과테말라 1965 | 결선리그[24] | 3위 | 5 | 2 | 2 | 1 | 11 | 4 | |
온두라스 1967 | 불참 | ||||||||
코스타리카 1969 | 결선리그[25] | 우승 | 5 | 4 | 1 | 0 | 13 | 2 | |
트리니다드 토바고 1971 | 결선리그[26] | 3위 | 5 | 2 | 1 | 2 | 6 | 5 | |
아이티 1973 | 예선 탈락 | ||||||||
멕시코 1977 | 예선 탈락 | ||||||||
온두라스 1981 | 예선 탈락 | ||||||||
개최국 없음 1985 | 결승리그[27] | 3위 | 8 | 2 | 5 | 1 | 10 | 8 | |
개최국 없음 1989 | 결승리그[28] | 우승 | 8 | 5 | 1 | 2 | 10 | 6 | |
미국 1991 | 4강 | 4위 | 5 | 1 | 0 | 4 | 5 | 9 | |
미국/멕시코 1993 | 4강 | 3위 | 5 | 1 | 3 | 1 | 6 | 5 | |
미국 1996 | 예선 탈락 | ||||||||
미국 1998 | 조별리그 | 5위 | 2 | 1 | 0 | 1 | 8 | 4 | |
미국 2000 | 8강 | 8위 | 3 | 0 | 2 | 1 | 5 | 6 | |
미국 2002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8 | 5 | |
미국/멕시코 2003 | 4강 | 4위 | 5 | 2 | 0 | 3 | 9 | 7 | |
미국 2005 | 8강 | 5위 | 4 | 2 | 1 | 1 | 6 | 4 | |
미국 2007 | 8강 | 7위 | 4 | 1 | 1 | 2 | 3 | 4 | |
미국 2009 | 4강 | 3위 | 5 | 2 | 2 | 1 | 10 | 6 | |
미국 2011 | 8강 | 6위 | 4 | 1 | 2 | 1 | 8 | 6 | |
미국 2013 | 8강 | 5위 | 4 | 2 | 0 | 2 | 4 | 2 | |
미국/캐나다 2015 | 8강 | 7위 | 4 | 0 | 3 | 1 | 3 | 4 | |
미국 2017 | 4강 | 4위 | 5 | 3 | 1 | 1 | 6 | 3 | |
미국/멕시코/코스타리카 2019 | 8강 | 5위 | 4 | 2 | 1 | 1 | 8 | 4 | |
미국 2021 | 8강 | 5위 | 4 | 3 | 0 | 1 | 6 | 4 | |
미국/캐나다 2023 | 8강 | 7위 | 4 | 1 | 1 | 2 | 7 | 8 | |
합계 | 본선진출 22회 / 우승 3회 | 104 | 45 | 29 | 30 | 167 | 109 |
- 1963, 1969년, 1989년[29] 3차례 우승했다.
7.3.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코스타리카의 코파 아메리카 성적에 대한 내용이다.CONMEBOL 코파 아메리카 역대 순위: 12위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볼리비아 1997 | 조별리그[30] | 10위 | 3 | 0 | 1 | 2 | 2 | 10 |
콜롬비아 2001 | 8강 | 5위 | 4 | 2 | 1 | 1 | 7 | 3 |
페루 2004 | 8강 | 7위 | 4 | 1 | 0 | 3 | 3 | 8 |
아르헨티나 2011 | 조별리그[31] | 9위 | 3 | 1 | 0 | 2 | 2 | 4 |
미국 2016 | 조별리그[32] | 10위 | 3 | 1 | 1 | 1 | 3 | 6 |
미국 2024 | 조별리그[33] | 10위 | 3 | 1 | 1 | 1 | 2 | 4 |
합계 | 본선진출 6회 / 8강 2회 | 20 | 6 | 4 | 10 | 19 | 35 |
- 1997년, 2001년[34], 2004년, 2011, 2016년 5차례 초청팀으로 참가해 2001년 8강 5위, 2004년에 8강 7위를 기록했다.
8. 국가별 전적
8.1. 대한민국과 전적
<rowcolor=#ffffff>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對 코스타리카전 역대 전적 | |||||||
<rowcolor=#ffffff>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최다 득점자 |
10 | 4 | 3 | 3 | 13 | 12 | +1 | 이동국(2) |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A매치 역대 경기 결과 | KOR | CRC | |||||
<rowcolor=#ffffff> 날짜 | 장소 | 대회 | 점수 | 결과 | 득점 | 득점 | 비고 |
2022년 9월 23일 |
대한민국,
고양, 고양종합운동장 |
친선경기 |
2:2 (1:1) |
무 |
황희찬, 손흥민 |
헤위손 베네테, 브라이언 오비에도 |
[H][38] |
2018년 9월 7일 |
대한민국,
고양, 고양종합운동장 |
친선경기 |
2:0 (1:0) |
승 |
이재성, 남태희 |
- | [H][40] |
2014년 10월 14일 |
대한민국,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
친선경기 |
1:3 (1:1) |
패 | 이동국 |
셀소 보르헤스(2), 오스카 두아르테 |
[F][42] |
2014년 1월 25일 |
미국,
LA,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
친선경기 |
1:0 (1:0) |
승 | 김신욱 | - | [F] |
2006년 2월 11일 |
미국,
오클랜드, 오클랜드 스타디움 |
친선경기 |
0:1 (0:1) |
패 | - | 알바로 사보리오 | [F] |
2002년 4월 20일 |
대한민국,
대구, 대구월드컵경기장 |
친선경기 |
2:0 (1:0) |
승 |
차두리, 최태욱 |
- | |
<rowcolor=#ffffff> 2002년 1월 30일 |
미국,
LA, 로즈볼 |
2002 미국 CONCACAF 골드컵 준결승전 |
1:3 (0:1) |
패 | 최진철(80‘) |
로날드 고메즈(43‘), 파울로 완초페(76‘, 81’) |
[H] |
<rowcolor=#ffffff> 2000년 2월 15일 |
미국,
LA,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
2000 미국 CONCACAF 골드컵 조별리그 D조 3경기 |
2:2 (1:0) |
무 |
이동국(14‘), 이민성(74’) |
파울로 완초페(66‘), 에르난 메드포드(85’) |
[F] |
1995년 6월 5일 |
대한민국,
수원, 수원종합경기장 |
1995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 조별리그 A조 2차전 |
1:0 (0:0) |
승 | 김도훈 | - | [F] |
1983년 8월 9일 |
코스타리카, 산호세[경기장불명] |
친선경기 |
1:1 (1:1) |
무 | 변병주 |
루이스 라켈 라데스마 (P) |
|
■: 월드컵 본선, 컨페드컵 | ■: 대륙컵 본선 ■: 올림픽 본선 | ■: 아시안 게임 본선 ■: 월드컵 예선(직행) | ■: 월드컵 예선 | ■: 기타 예선 |
[1]
Elo 레이팅스는 상시 나오는 것이므로, 가장 최근 A매치와 그 직전 A매치 사이의 순위변동을 기입함.
[2]
16강 조별리그
[3]
2004 코파 아메리카 7위/8강
[4]
단, 이 네 팀 중 쿠바는 1938년 대회가 유일한 월드컵 진출이었다.
[5]
터키는 브라질에게 논란이 된
히바우두의 연기(?)로 1:2로 아쉽게 패했기에 같이 1승 1무 1패를 거뒀어도 골득실에서 코스타리카를 밀어내고 조 2위로 진출했다.
[6]
1938월드컵 8위(8강)
[7]
1970월드컵 6위(8강), 1986월드컵 6위(8강)
[8]
1930월드컵 3위, 2002월드컵 8위(8강)
[9]
만약 이 스코어대로 경기가 끝났더라면 조 1위로 일본이, 조 2위로 코스타리카가 진출하고 무난히 토너먼트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스페인과 독일이 사이좋게 동반탈락하는 어마어마한 이변이 발생할 수 있었던 상황이었다.
[16개국]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4개국]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4개국]
[32개국]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14]
32강 조별리그
[15]
32강 조별리그
[32개국]
[17]
32강 조별리그
[18]
나머지 팀은
아이슬란드와
호주.
[19]
32강 조별리그
[20]
2022월드컵 본선까지 전승 우승 승점 21점을 넘었다.
[21]
이탈리아, 우루과이, 스웨덴, 스코틀랜드
[22]
현 튀르키예
[23]
이 대회는 4개국이 풀리그로 결승전을 치렀던 대회였다.
[24]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
[25]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
[26]
이 대회는 6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
[27]
이 대회는 3개국이 풀리그로 결승을 치른 대회였다.
[28]
이 대회는 5개국이 풀리그로 결승을 치른 대회였다.
[29]
이 때는
FIFA 월드컵 지역예선을 겸했다.
[30]
12강 조별리그
[31]
12강 조별리그
[32]
16강 조별리그
[33]
16강 조별리그
[34]
당시 개최지인 콜롬비아의 내전을 이유로 아르헨티나가 불참하는 바람에 대타로 초청을 받았다.
[35]
2018년
9월 7일 이후 4년만에 열렸으며, 당시 장소도 고양이었다.
[36]
4년 전에는
이재성과
남태희의 연속골에 0:2로 패배하였는데, 이 경기가
파울루 벤투의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 데뷔전이었다.
[H]
하이라이트
[38]
KFA TV
[H]
하이라이트
[40]
KFA TV
[F]
전체 경기 영상
[42]
KFA TV
[F]
전체 경기 영상
[F]
전체 경기 영상
[H]
하이라이트
[F]
전체 경기 영상
[F]
전체 경기 영상
[경기장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