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10:24:56

아프리카 축구 연맹

파일:FIFA 로고.svg
대륙별 축구 연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명칭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영어)
Confédération Africaine de Football (프랑스어)
الإتحاد الأفريقي لكرة القدم (아랍어)
국문 명칭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설립 1957년 2월 10일([age(1957-02-10)]주년)
본부 이집트 기제 10월 6일시
가입국 56개국, 5개 지역연맹
회장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트리스 모체페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지역 연맹
3.1. 북부 아프리카 축구 연맹(UNAF) - CAF Zone 13.2. 서부 아프리카 축구 연맹(UFOA(프랑스어), WAFU(영어)) - CAF Zone 2, 3
3.2.1. CAF Zone 2 (UFOA 서부)3.2.2. CAF Zone 3 (UFOA 동부)
3.3. 중앙 아프리카 축구 연맹(UNIFFAC) - CAF Zone 43.4. 동부·중앙 아프리카 축구 협의회(CECAFA) - CAF Zone 53.5. 남부 아프리카 축구 연맹(COSAFA) - CAF Zone 63.6. 비지역 회원
4. 역대 회장5. 국제 대회 출전 횟수6. 시상
6.1.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상6.2. 아프리카 올해의 유스 선수상
7. 주관 대회8. 산하 협회의 축구 리그9. CAF 올해의 팀

[clearfix]

1. 개요

아프리카 대륙의 축구를 관장하는 FIFA 산하의 축구 연맹이다. 영문 및 프랑스어 약자는 CAF.

2. 상세

월드컵에서의 성적은 아시아 국가들보다 좋지만 경제력 등의 문제로 월드컵 개최는 적은 편이다. 아직까지 월드컵을 개최할 자본과 능력 및 치안을 제대로 갖춘 국가가 거의 없고 FIFA 또한 이것을 우려한 것일 수도 있다.

1957년 수단의 하르툼에서 설립되었다. 당시 멤버는 이집트, 에티오피아, 남아공, 그리고 수단. 1년전에 이미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이미 설립에 대한 합의가 있었다. 회원국은 2013년 현재 총 56개국으로 6개 대륙 연맹 중 가장 많다. 현 회장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파트리스 모체페이다.

다른 5개대륙 연맹에 비해 발전속도가 상당히 빠르다. 아프리카 대륙 사람들의 꿈을 상징하는 곳이기도. 왜냐하면 아프리카에서는 남미와 비슷하게 축구라는 스포츠가 인생의 성공으로 향하는 방법 중 하나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유럽 리그에는 아프리카 출신 선수들이 엄청 많다. FIFA가 근래 들어 가장 많이 밀어주는 곳이다. 남아공 월드컵 개최도 있지만 '골 프로젝트'의 상당한 자금이 아프리카에 쏟아지고 있다는 걸 생각하면 CAF에서는 경사. 그리고 월드컵 및 다른 국제대회 성적도 유럽과 남미 다음으로 좋다. 올림픽 금,은,동메달 및 U-17, U-20 월드컵 우승을 유럽과 남미 말고 모두 거둔 대륙이 아프리카 밖에 없으며 1986 월드컵 이후부터 월드컵에서 반드시 아프리카 소속 국가중 최소 하나씩(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는 알제리와 나이지리아가 올라가서 처음으로 아프리카 2나라 진출) 2라운드에 진출하고 있다.

월드컵에서 가나, 카메룬, 세네갈, 나이지리아, 알제리, 모로코 등의 팀들이 다크호스로 활약하며 토너먼트에 꾸준히 진출했지만 그동안 번번이 8강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좌절하는 징크스가 있었다. 그러다가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모로코가 벨기에, 스페인, 포르투갈을 연이어 격파하며 4강에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키면서 드디어 아프리카 대륙에서도 4강에 오르는 국가가 배출되게 되었다.

축구 실력이 상당히 평준화가 된 편인데다 잠깐의 황금세대를 통해 치고 올라갔다가 급격히 쇠락하는 팀들도 많기 때문에 월드컵 예선/네이션스컵을 보면 정말 의외의 결과가 많이 나온다. 그야말로 헬게이트. 단적으로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진출국 다섯 나라 중 4개국이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탈락하고 죽음의 조에서 살아남은 나이지리아만 유일하게 연속 진출에 성공할 정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7회 우승으로 최다를 자랑하는 이집트는 반대로 FIFA 월드컵 진출 횟수는 겨우 3회에 불과하며, 성적도 영 좋지 않다. 그만큼 절대로 전력을 예상할 수 없는 대륙.[1]

여자 축구의 경우 2010년대 중반까지는 아시아보다도 좋지 않았으나 2010년대 후반 이후로는 확실히 강해진 편이다. 2019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여자 월드컵 역사상 처음으로 2개의 아프리카 팀(나이지리아, 카메룬)이 16강에 진출했다. 2023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처음으로 3팀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로코)이 16강에 진출했다.

3. 지역 연맹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BD600>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축구 연맹
산하 축구 협회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555"
파일: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bgcolor=#F0F0F0,#191919> 가나
(Ghana)
파일:가봉 축구 연맹 엠블럼.png <colbgcolor=#F0F0F0,#191919> 가봉
(Gabon)
파일:Gambia_Football_Federation_(associatio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colbgcolor=#F0F0F0,#191919> 감비아
(Gambi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uinea_FF_%28logo%29.png <colbgcolor=#F0F0F0,#191919> 기니
(Guine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uinea-Bissau_FF_%28logo%29.png 기니비사우
(Guinea-Bissau)
파일:SMH24HU5_400x400-removebg-preview.png 나미비아
(Namibia)
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나이지리아
(Nigeria)
파일:Sudán_del_Sur_-_SOUTH_SUDAN_FOOTBALL_ASSOCIATION.png 남수단
(South Sudan)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협회 로고.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South Afric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NIFOOT-Niger.png 니제르
(Niger)
파일:Liberia FA.png 라이베리아
(Liberi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esotho_FA.png 레소토
(Lesotho)
파일:4t5y6.png 레위니옹
(Réunion)
파일:르완다 축구 연맹 엠블럼.png 르완다
(Rwand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by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리비아
(Libya)
파일:madagascar-football-logo-2020 (1).png 마다가스카르
(Madagascar)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lawi_FA_%28logo%29.png 말라위
(Malawi)
파일:말리 축구 대표팀.png 말리
(Mali)
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모로코
(Morocco)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ius_FA.png 모리셔스
(Mauritius)
파일:Mauritania_FA.png 모리타니
(Mauritani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ozambiqueFootballLogo.png 모잠비크
(Mozambique)
파일:배냉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베냉
(Benin)
파일:보츠와나 축구 협회 엠블럼.png 보츠와나
(Botswana)
파일:burkina-faso.png 부르키나파소
(Burkina Faso)
파일:부룬디 새 로고.png 부룬디
(Burundi)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축구 연맹 엠블럼.png 상투메 프린시페
(São Tomé and Príncipe)
파일: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세네갈
(Senegal)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eychelles_Football_Federation.png 세이셸
(Seychelles)
파일:소말리아 축구.png 소말리아
(Somali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udan_FA_%28logo%29.png 수단
(Sudan)
파일:Sierra_Leone_Football_Association_logo_2018-removebg-preview.png 시에라리온
(Sierra Leone)
파일:Logo_Faf.png 알제리
(Algeri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cao_Angolana_de_Futebol.png 앙골라
(Angola)
파일:Eritrea_NFF_(logo).png 에리트레아
(Eritrea)
파일:에스와티니 축구 협회 엠블럼.png 에스와티니
(Eswatini)
파일:에티오피아 축구 연맹 엠블럼.png 에티오피아
(Ethiopia)
파일:New_Fufa_Logo.png 우간다
(Uganda)
파일:Egypt_FA.png 이집트
(Egypt)
파일:잔지바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잔지바르
(Zanzibar)
파일:잠비아 축구 협회 로고.png 잠비아
(Zambia)
파일:적도 기니 축구 연맹 엠블럼.png 적도 기니
(Equatorial Guine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83px-FA_Zentralafrika.svg.pn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Central African Republic)
파일:지부티 축구 연맹 엠블럼.png 지부티
(Djibouti)
파일:8nwWRQJV-removebg-preview.png 짐바브웨
(Zimbabwe)
파일:Chad_FFA_(logo).png 차드
(Chad)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카메룬
(Cameroon)
파일:Cape_Verde_FA_(2020).png 카보베르데
(Cape Verde)
파일:kenya football.png 케냐
(Kenya)
파일:FF_Comoros_(logo).png 코모로
(Comoros)
파일:코트디부아르 축구 연맹 엠블럼.png 코트디부아르
(Côte d'Ivoire)
파일: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콩고 공화국
(Congo)
파일:Congo_DR_FA.png 콩고민주공화국
(DR Congo)
파일:탄자니아 축협2.png 탄자니아
(Tanzania)
파일:토고 축구 연맹 엠블럼.png 토고
(Togo)
파일: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튀니지
(Tunisia)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 ||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남수단 국기.svg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수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파일:레위니옹 기(기학 협회 제안).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레위니옹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말라위
말리
모로코
모리셔스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모리타니
모잠비크
베냉
보츠와나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파일:세이셸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앙골라 국기.sv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알제리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잔지바르 기.svg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잔지바르
파일:잠비아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잠비아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케냐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콩고 민주 공화국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남수단 국기.svg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수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파일:레위니옹 기(기학 협회 제안).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레위니옹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말라위
말리
모로코
모리셔스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모리타니
모잠비크
베냉
보츠와나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파일:세이셸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앙골라 국기.sv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알제리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잔지바르 기.svg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잔지바르
파일:잠비아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잠비아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케냐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콩고 민주 공화국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참고: †표시는 FIFA 비회원국으로, CAF에서도 준회원국 자격이다. 또한, ㉵표시는 아랍 축구 연맹에도 소속된 나라를 의미한다.

3.1. 북부 아프리카 축구 연맹(UNAF) - CAF Zone 1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be0e0b> 파일:북부아프리카축구연맹.png 북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알제리
이집트
리비아
모로코
튀니지 }}}}}}}}}


3.2. 서부 아프리카 축구 연맹(UFOA(프랑스어), WAFU(영어)) - CAF Zone 2,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서부아프리카축구연맹.png 서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1px"
Zone A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말리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모리타니
세네갈
시에라리온
카보베르데
Zone B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가나
나이지리아
니제르
베냉
부르키나파소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토고
}}}}}}}}}

3.2.1. CAF Zone 2 (UFOA 서부)

3.2.2. CAF Zone 3 (UFOA 동부)

3.3. 중앙 아프리카 축구 연맹(UNIFFAC) - CAF Zone 4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중앙아프리카축구연맹.png 중앙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가봉
상투메 프린시페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차드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차드
카메룬
콩고 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


3.4. 동부·중앙 아프리카 축구 협의회(CECAFA)[4] - CAF Zone 5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동부·중앙아프리카축구협의회.png 동부·중앙아프리카축구협의회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남수단 국기.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남수단
르완다
부룬디
소말리아
수단
에리트레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파일:잔지바르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우간다
잔지바르
지부티
케냐
탄자니아 }}}}}}}}}


3.5. 남부 아프리카 축구 연맹(COSAFA) - CAF Zone 6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남부아프리카축구연맹.png 남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파일:앙골라 국기.svg
파일:잠비아 국기.svg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보츠와나
세이셸
에스와티니
앙골라
잠비아
짐바브웨
코모로 }}}}}}}}}


3.6. 비지역 회원


그 외에 CAF 소속 10개국과 AFC 산하 서아시아 축구 연맹 회원국 전체 12개국이 가맹된 아랍 축구 연맹이 따로 존재한다.

4. 역대 회장

대수 이름 국적 임기
초대 압델 아지즈 압달라흐 살렘 (Abdel Aziz Abdallah Salem) 이집트 1957~1958
2대 압델 아지즈 무스타파 (Abdel Aziz Moustafa) 아랍 연합 공화국 1958~1968
3대 압델 할림 모하마드 (Abdel Halim Mohammad) 수단 1968~1972
4대 이드네카체우 테세마 (Ydnekatchew Tessema) 에티오피아 1972~1987
5대 압델 할림 모하마드 (Abdel Halim Mohammad) 수단 1987~1988
6대 이사 하야투 (Issa Hayatou) 카메룬 1988~2017
7대 아흐마드 아흐마드 (Ahmad Ahmad)[5] 마다가스카르 2017~2021
8대 파트리스 모체페 (Patrice Motsepe) 남아프리카 공화국 2021~

5. 국제 대회 출전 횟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국제대회 출전 횟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시상

6.1.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상

1970년부터 1994년까지 프랑스 풋볼에서 수여했으며 1990년부터는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서 공식적으로 수여하기 시작했다.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1970년대)
<rowcolor=#191919> 연도 수상자 국적 소속 클럽
1970 살리프 케이타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AS 생테티엔
1971 이브라힘 선데이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아산테 코토코 SC
1972 셰리프 술레이만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하피아 FC
1973 치멘 브왕가 파일:자이르 국기.svg 자이르 TP 마젬베
1974 폴 무킬라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CARA 브라자빌
1975 아흐메드 파라스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SCC 무함메디아
1976 로저 밀러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카농 야운데
1977 타라크 디아브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에스페랑스 스포르티브 드 튀니스
1978 카림 압둘 라자크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아산테 코토코 SC
1979 토마스 은코노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RCD 에스파뇰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1980년대) ▶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1980년대)
<rowcolor=#191919> 연도 수상자 국적 소속 클럽
1980 장 만가 온게네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카농 야운데
1981 라흐다르 벨루미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GC 마스카라
1982 토마스 은코노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RCD 에스파뇰
1983 마흐무드 엘 카티브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알 아흘리 SC
1984 테오필 아베가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툴루즈 FC
1985 모하메드 티무미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AS FAR
1986 에자키 바두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RCD 마요르카
1987 라바 마제르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FC 포르투
1988 칼루샤 브왈랴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세르클러 브뤼허 KSV
1989 조지 웨아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AS 모나코
◀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1970년대)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1990년대) ▶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1990년대)
<rowcolor=#191919> 연도 수상자 국적 소속 클럽
1990 로저 밀러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JS 생피에루아즈
1991 아베디 펠레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992 아베디 펠레[1]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993 라시디 예키니(CAF)
아베디 펠레(프랑스 풋볼)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비토리아 FC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994 엠마누엘 아무니케(CAF)
조지 웨아(프랑스 풋볼)[2]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스포르팅 CP
파리 생제르맹 FC
1995 조지 웨아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AC 밀란
1996 은완코 카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997 빅터 이크페바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AS 모나코
1998 무스타파 하지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999 은완코 카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아스날 FC
◀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1980년대)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2000년대) ▶

[1] CAF, 프랑스 풋볼 동시 선정. 이때부터 CAF 시상 시작. [2] 프랑스 풋볼 마지막 시상.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2000년대)
연도 수상자 국적 소속 클럽
2000 파트리크 음보마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르마 AC
2001 엘 하지 디우프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RC 랑스
2002 엘 하지 디우프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리버풀 FC
2003 사무엘 에투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RCD 마요르카
2004 사무엘 에투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FC 바르셀로나
2005 사무엘 에투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FC 바르셀로나
2006 디디에 드록바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첼시 FC
2007 프레데리크 카누테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세비야 FC
2008 엠마누엘 아데바요르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아스날 FC
2009 디디에 드록바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첼시 FC
◀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1990년대)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2010년대) ▶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2010년대)
연도 수상자 국적 소속 클럽
2010 사무엘 에투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11 야야 투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맨체스터 시티 FC
2012 야야 투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맨체스터 시티 FC
2013 야야 투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맨체스터 시티 FC
2014 야야 투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맨체스터 시티 FC
2015 피에르에메릭 오바메양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16 리야드 마레즈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레스터 시티 FC
2017 모하메드 살라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리버풀 FC
2018 모하메드 살라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리버풀 FC
2019 사디오 마네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리버풀 FC
◀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2000년대)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2020년대) ▶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2020년대)
연도 수상자 국적 소속 클럽
2022 사디오 마네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FC 바이에른 뮌헨
2023 빅터 오시멘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SSC 나폴리
◀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2010년대) 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2030년대) ▶


사무엘 에투 야야 투레가 4회 수상으로 최다 수상자이며 국적으로는 카메룬 국적의 축구선수가 가장 많이 수상하였다.

6.2. 아프리카 올해의 유스 선수상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올해의 유스 선수상
<rowcolor=#191919> 연도 수상자 국적 소속 클럽
2015 빅터 오시멘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얼티밋 스트라이커스 아카데미
2016 알렉스 이워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아스날 FC
2017 팻슨 다카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2018 아슈라프 하키미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19 아슈라프 하키미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0 시상식 미개최[6]
2021
2022 파페 마타르 사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토트넘 홋스퍼 FC
2023 라민 카마라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FC 메스

7. 주관 대회

8. 산하 협회의 축구 리그

9. CAF 올해의 팀

2005 CAF 올해의 팀
2006 CAF 올해의 팀
2008 CAF 올해의 팀
2009 CAF 올해의 팀
2010 CAF 올해의 팀
2011 CAF 올해의 팀
2012 CAF 올해의 팀
2013 CAF 올해의 팀
2014 CAF 올해의 팀
2015 CAF 올해의 팀
2016 CAF 올해의 팀
2017 CAF 올해의 팀
2018 CAF 올해의 팀
2019 CAF 올해의 팀


2023 CAF 올해의 팀(남자)

골키퍼: 안드레 오나나(카메룬)
수비수: 칼리두 쿨리발리(세네갈), 샹셀 음벰바(콩고 DR), 아슈라프 하키미(모로코)
미드필더: 소피앙 암라바트(모로코), 모하메드 쿠두스(가나), 앙귀사(카메룬), 토마스 파티(가나)
공격수: 빅토르 오시멘(나이지리아), 모하메드 살라(이집트), 사디오 마네(세네갈)

[1] 하지만 이것은 월드컵 예선방식이 한 몫을 하기도 한다. 각종 예선에서 1위로 뚫고 10팀이 최종예선으로 진출, 최종예선은 홈 앤드 어웨이로 2경기가 치러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야말로 어떤 팀이 진출을 할 지 아무도 장담할 수가 없다. 만약에 풀리그로 치러졌다면 변수는 더 없을 수도 있다. [2] 균형을 맞추기 위해 Zone 3에 포함하기도 한다. [3] 2018년 협회 비리로 인해 일시적으로 축구협회가 해체되었고, 2019년 재설립되었다. [4] 명칭상으로는 동부·중앙아프리카지만 실제로는 그냥 동부라고 봐도 무방하다. 아프리카 중앙 지역에는 CAF Zone 4로 할당된 UNIFFAC이 있기도 하고. [5] 2020년 직권남용 혐의로 직무정지. [6]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 [7] 원래 아프리칸 슈퍼 리그라는 명칭으로 2022년 발표되었으나, 이름과 포맷을 바꿔 2023년 첫 대회가 열렸다. [8] 1975년부터 2003년까지 열린 클럽 대회로 옛 아시안컵 위너스컵 대회처럼 각 리그 컵대회 우승팀이 참가하던 대회였다가 CAF 챔피언스 리그로 통합되면서 사라졌다. [9] 1992~2003년까지 열린 클럽 대회로 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과 아프리칸컵 위너스컵 우승팀끼리 홈, 원정 2경기로 우승을 다투던 대회였다. 하지만 슈퍼컵 대회가 따로 있었기에 결국 사라졌다. [10] 1986년부터 1998년까지 아시아 축구 연맹과 공동으로 주관한 대회로 아시안 클럽컵 우승팀과 아프리칸 챔피언스리그 우승팀이 서로 홈, 원정으로 경기를 치르던 대회. 1999년 대회는 여러 사정상 열리지 못했고 2006 독일 월드컵을 아시아에서 지지한 통에 아프리카 축구연맹에서 2000년부터 아예 대회 자체를 없애버려 사라진다. 현재는 FIFA 클럽 월드컵이 이 역할을 대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