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 밀루티노비치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대표팀 | ||||
32대, 39대 |
22대 |
34대 |
28대 |
|
21대 |
24대 |
|||
클럽 | ||||
5대 |
세르비아의 축구인
|
||
|
||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
보라 밀루티노비치 Bora Milutinović |
|
본명 |
벨리보르 밀루티노비치 Велибор Милутиновић |
|
출생 | 1944년 9월 7일 ([age(1944-09-07)]세) | |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즐라티보르구역 바지나바스타 (現 세르비아) | ||
국적 |
[[세르비아|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77cm | |
직업 |
축구선수 (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
|
소속 |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
FK 파르티잔 (1956~1958 / 유스) OFK 베오그라드 (1958~1960) FK 파르티잔 (1960~1966) OFK 베오그라드 (1965~ 1966 / 임대) FC 빈터투어 (1966~1967) AS 모나코 FC (1967~1969) OGC 니스 (1969~1971) FC 루앙 (1971~1972) UNAM (1972~1976) |
감독 |
UNAM (1977~1983) 멕시코 대표팀 (1983~1986) CA 산 로렌소 (1987) 우디네세 칼초 (1987) CD 베라크루스 (1988) 테코스 UAG (1988~1989) 코스타리카 대표팀 (1990) 미국 대표팀 (1991~1995) 멕시코 대표팀 (1995~1997) 나이지리아 대표팀 (1997~1998) 뉴욕 메트로스타스 (1998~1999) 중국 대표팀 (2000~2002) 온두라스 대표팀 (2003~2004) 알 사드 SC (2004~2005) 자메이카 대표팀 (2006~2007) 이라크 대표팀 (2009) |
|
국가대표 | 없음 |
[clearfix]
1. 개요
세르비아(舊 유고슬라비아 SFR)의 축구인.현역 시절은 다소 별볼일 없었지만, 지도자로서는 '16강 제조기'라는 별명답게 1986 ~ 1998 월드컵에서 맡은 나라들(멕시코, 코스타리카, 미국, 나이지리아)을 모두 16강 이상 기록시키는 성과를 거뒀다.[1] 그리고 FIFA 월드컵 참가 횟수가 가장 많은(5회) 감독이기도 하다.
보라의 형들인 밀로시[2]와 밀로라드[3]도 축구선수 출신 감독이었다.
2. 선수 생활
1958년에 OFK 베오그라드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해 평범한 선수 생활을 보낸 뒤에 UNAM에서 1976년에 은퇴하였다.3. 지도자 생활
3.1. 클럽 경력
자신이 마지막으로 뛰었던 UNAM에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1986 FIFA 월드컵 이후에는 우디네세 칼초, 베라크루스, 테코스 UAG를 지휘했다. 이후 3번의 월드컵을 경험하면서 클럽 감독직을 하지 않았다. 1998 FIFA 월드컵이 끝난 뒤 뉴욕 메트로스타스의 감독을 지냈다. 그러다가 중국과 온두라스에 있다가 카타르 리그의 알 사드를 2년간 지휘했다.3.2. 국가대표 경력
3.2.1. 멕시코와 1986년 월드컵
1983년에 부임했다. 24강 본선 B조 첫번째 자리에 배정되어 파라과이, 벨기에, 이라크와 한 조가 되었다. 본선에서는 벨기에를 2:1로 이기고 파라과이와는 1:1로 비겼다. 마지막 이라크전은 1:0으로 이겨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16강 상대인 불가리아를 2:0으로 완파하고 8강에 진출하여 서독에 0:0 무승부 승점 1점을 거두었으나 승부차기에서 4:1로 패하여 월드컵 6위로 마쳤다.3.2.2. 코스타리카와 1990년 월드컵
24강 본선 C조에서 스코틀랜드를 1:0으로 깨고 브라질한테는 1:0으로 졌다. 그리고 스웨덴전은 2:1로 이겨 16강 진출해 성공했다. 16강에서 체코슬로바키아를 만나 4:1로 패배로 월드컵 13위로 마쳤다.3.2.3. 미국과 1994년 월드컵
24강 본선 A조에 콜롬비아, 스위스, 루마니아와 한 조가 되었다. 스위스전은 1:1로 비기고 콜롬비아전은 안드레스 에스코바르의 자책골까지 합해 2:1로 승리했다. 마지막 루마니아전은 0:1로 패했고 최종 결과 3위가 되었는데, 각 조 3위팀간 순위 경쟁에서 앞선 국가 중 하나가 되면서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16강에서 브라질을 만나 1:0으로 패배하며 월드컵 14위로 마쳤다.3.2.4. 나이지리아와 1998년 월드컵
32강 본선 D조에 배정되어 스페인, 파라과이, 불가리아와 한 조가 되었다. 본선에서 스페인을 3:2로 잡는 이변을 일으켰으며 불가리아를 1:0으로 잡고 파라과이에 1:3으로 졌지만 조 1위로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16강에서는 덴마크를 만나 1:4로 패배하며, 월드컵 12위로 마쳤다.3.2.5. 중국과 한일 월드컵
2000년에 부임했다. 부임 후 참가한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에서 4위에 오르는 성과를 거뒀다. 한일 월드컵 지역예선에서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해 지역예선에서 빠진 상황에서 최종 예선에서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를 피하는 행운[4]까지 겹쳐서 무난하게 통과하여 중국 대표팀 역사상 최초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시키게 된다. 이 덕택에 한동안 인민영웅 취급을 받았고, 광고 모델로도 인기가 많아서 출연료를 많이 벌었다. 32강 본선에서는 C조에 미리 배정 받는 것으로 사전에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 이유는 중국이 일본에서 경기를 하고 싶지 않아 했기 때문이다.문제는 월드컵에 첫 진출한 중국이 32강 C조에서 만난 팀들이 죽음의 조로 너무 강한 상대들이라는 것.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이 필요없는 브라질, 코스타리카는 파울로 완초페 - 고메스 - 폰세카라는 코스타리카 축구의 전설 3인방을 필두로 한 북중미의 강호였으며, 터키는 1999 - 2000 유로파 리그와 2000 UEFA 슈퍼컵을 제패한 갈라타사라이 소속 선수들 중심으로 그 이전 대회인 UEFA 유로 2000에서 8강 6위에 올랐을 정도로 터키 역사상 최고의 전력을 자랑했다. 중국도 하오하이둥이나 판쯔이, 순지하이, 리웨이펑을 비롯해 독일 분데스리가에서 뛴 양첸 등 지금보다 더 우수한 선수들이 즐비했지만, 다른 C조에 비빌 수준은 못 되었다. 결국 코스타리카, 브라질, 터키에게 각각 0:2, 0:4, 0:3으로 완패를 당하면서 "3전 전패 0득 9실"이라는 처참한 기록을 남겨 전체 순위 월드컵 31위로 뒤에서 2등을 하고 말았다.[5]
밀루티노비치가 그 전에 맡았던 팀들은 축구 강국이 아님에도 모두 16강 진출에 성공했기에 중국 또한 기대를 했지만, 밀루티노비치의 월드컵 커리어에서 유일하게 중국만 16강을 가보지 못하게 됐다. 그러나 아시안컵 4위와 중국 역사상 최초의 월드컵 첫 본선 진출(31위)만으로도 밀루티노비치는 충분히 훌륭한 성과를 거뒀다고 말할 수 있다. 이때 이후로 중국은 지금까지도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3.2.6. 이후의 국가대표 경력
이후로는 국대와 프로팀에서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했는데, 2003년 8월에 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에 임명됐지만, 성적 부진과 그로 인한 연봉 문제로 온두라스 축구 연맹과 사이가 틀어지면서 이듬해 6월에 자진사퇴했다. 이후 2006년 봄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영입한다는 떡밥이 돌았지만, 사우디 측에서는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밝히면서 말 그대로 떡밥으로 일단락됐고, 대신 그 해 가을에 자메이카 축구 국가대표팀과 4년 계약을 맺었으며, 2007년 2월에는 칼스버그컵에서 우승하는 등 성과도 냈지만, 같은 해 가을에 1년만에 경질당했다. 2009년에는 잠시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맡아서 그 해 2009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남아프리카공화국[6]에 진출하기도 하였다.이라크 대표팀을 끝으로 감독직에서는 사실상 은퇴하였다.
4. 감독 은퇴 이후
2009년 12월에 세르비아 축구협회 정보분석관을 지냈다.2018년 1월 12일에 중국축구협회의 고문으로 영입되어 청소년 경기력 향상을 전담하였으며, 2022년 4월 2일[7] 열린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조 추첨식에 추첨자 중 한 명으로 나왔다.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경기를 직관했다. #
5. 둘러보기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bgcolor=#008c44> A조 |
엔초 베아르초트 |
카를로스 빌라르도 ★ |
이반 부초프 |
김정남 |
B조 |
보라 밀루티노비치 |
기 티 |
카예타노 레 |
에바리스투 데마세이두드 |
|
C조 |
앙리 미셸 |
토니 웨이터스 |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
메제이 기요르기 |
|
D조 |
텔레 산타나 |
미겔 무뇨스 |
라바 사단 |
빌리 빙엄 |
|
E조 |
프란츠 베켄바워 ☆ |
오마르 보라스 |
알렉스 퍼거슨 |
제프 피온테크 |
|
F조 |
안토니 피에흐니체크 |
호세 파리아 |
주제 A. 토헤스 |
바비 롭슨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 1934 | 1938 | 1950 | 1954 | 1958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2010 | 2014 | 2018 | 2022 |
}}}}}}}}} |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bgcolor=#fe3333> A조 |
아첼리오 비치니 |
요제프 히커스베르거 |
밥 갠슬러 |
요제프 벵글로시 |
B조 |
카를로스 빌라르도 ☆ |
발레리 니폼니시 |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
에메릭 제네이 |
|
C조 |
세바스치앙 라자로니 |
올레 노르딘 |
보라 밀루티노비치 |
앤디 록스버그 |
|
D조 |
프란츠 베켄바워 ★ |
이비차 오심 |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
프란시스코 마투라나 |
|
E조 |
기 티 |
이회택 |
오스카르 타바레스 |
루이스 수아레스 |
|
F조 |
바비 롭슨 |
레오 베인하커르 |
잭 찰튼 |
마흐무드 엘고하리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 1934 | 1938 | 1950 | 1954 | 1958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2010 | 2014 | 2018 | 2022 |
}}}}}}}}} |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bgcolor=#ee3324> A조 |
보라 밀루티노비치 |
로이 호지슨 |
프란시스코 마투라나 |
앙겔 요르더네스쿠 |
B조 |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 |
파벨 사디린 |
앙리 미셸 |
토미 스벤손 |
|
C조 |
베르티 포크츠 |
사비에르 아스카르고르타 |
하비에르 클레멘테 |
김호 |
|
D조 |
알피오 바실레 |
알케타스 파나굴리아스 |
클레멘스 베스터호프 |
디미타르 페네프 |
|
E조 |
아리고 사키 ☆ |
잭 찰튼 |
에질 올센 |
미구엘 메쟈 바론 |
|
F조 |
폴 반 힘스트 |
아브델라흐 블린다 |
딕 아드보카트 |
호르헤 솔라리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 1934 | 1938 | 1950 | 1954 | 1958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2010 | 2014 | 2018 | 2022 |
}}}}}}}}} |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bgcolor=#ff1100> A조 |
마리우 자갈루 ☆ |
크레이그 브라운 |
앙리 미셸 |
에질 올센 |
B조 |
체사레 말디니 |
넬손 아코스타 |
클로드 르로이 |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
|
C조 |
에메 자케 ★ |
필립 트루시에 |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
보 요한손 |
|
D조 |
하비에르 클레멘테 |
보라 밀루티노비치 |
파울루 세자르 카르페지아니 |
흐리스토 보네프 |
|
E조 |
거스 히딩크 |
조르주 레이컨스 |
차범근 |
마누엘 라푸엔테 |
|
F조 |
베르티 포크츠 |
스티브 샘슨 |
슬로보단 산트라치 |
잘랄 탈레비 |
|
G조 |
앙겔 요르더네스쿠 |
에르난 다리오 고메스 |
글렌 호들 |
헨리크 카스페르차크 |
|
H조 |
다니엘 파사레야 |
오카다 타케시 |
헤네 시몽이스 |
미로슬라프 블라제비치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 1934 | 1938 | 1950 | 1954 | 1958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2010 | 2014 | 2018 | 2022 |
}}}}}}}}}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참가 감독 |
|||||
{{{#!wiki style="color:white; margin:-5px -10px;padding: 5px 0px 5px; min-height:3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3E90 0%, #EC272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A조 |
로저 르메르 |
브루노 메추 |
빅토르 푸아 |
모르텐 올센 |
B조 |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 |
스레츠코 카타네츠 |
체사레 말디니 |
조모 소노 |
|
C조 |
루이스 펠리페 스콜라리 ★ |
셰놀 귀네슈 |
보라 밀루티노비치 |
알렉산드레 기마라예스 |
|
D조 |
거스 히딩크 |
예지 엥겔 |
브루스 아레나 |
안토니우 루이스 알베스 히베이루 올리베이라 |
|
E조 |
루디 푈러 ☆ |
나세르 알 조하르 |
믹 매카시 |
빈프리트 셰퍼 |
|
F조 |
마르셀로 비엘사 |
페스투스 오니그빈데 |
스벤예란 에릭손 |
라르스 라예르베크 토미 쇠데르베리 |
|
G조 |
조반니 트라파토니 |
에르난 다리오 고메스 |
미르코 요지치 |
하비에르 아기레 |
|
H조 |
필립 트루시에 |
로베르 와세주 |
올레크 로만체프 |
아마르 수아야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 1934 | 1938 | 1950 | 1954 | 1958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2010 | 2014 | 2018 | 2022 |
}}}}}}}}} |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참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
<colbgcolor=#028C42> A조 |
요시프 스코블라르 |
잘랄 탈레비 |
밀란 지바디노비치 |
피터 위드 |
B조 |
보라 밀루티노비치 |
난다르 이스칸다르 |
두샨 우린 |
허정무 |
|
C조 |
필립 트루시에 ★ |
제말 하지압디치 |
밀란 마찰라 나세르 알 조하르 ☆ |
유리 사르키샨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2004 | 2007 | 2011 | 2015 | 2019 | 2023 2027 |
}}}}}}}}}}}} |
[1]
멕시코 6위(8강), 코스타리카 13위(16강), 미국 14위(16강), 나이지리아 12위(16강)
[2]
1933 ~ 2003.
[3]
1935 ~ 2015.
[4]
중동에서는
FIFA가 중국 돈줄을 노리고 조편성을
조작했다고 믿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우즈벡, 카타르, 오만을 만났던 것. 우습게도 이 월드컵 이후에 이 팀들이랑 월드컵 지역 예선이나 아시안컵에서 만나 중국이 연이어 지고 있다.2010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카타르가 중국을 뭉개버렸고 2022 월드컵 최종예선에선 그동안 약체 소리 듣던 오만이 중국을 1승 1무로 앞서버리며 중국의 탈락에 기여했다.
[5]
게다가 C조의 순위도 "중국을 상대로 기록한 득점 수"대로 줄서기가 되면서 중국에 2골밖에 넣지 못한
코스타리카는 조 3위 월드컵 19위로 마쳐야 했다.
[6]
월드컵 우승국, 각 대륙 우승국, 개최국이 진출한 8개국 대회
[7]
한국시간.
분류
- 1944년 출생
- 유고슬라비아의 축구선수
- 유고슬라비아의 축구감독
- 세르비아의 축구감독
- OFK 베오그라드/은퇴, 이적
- FK 파르티잔/은퇴, 이적
- FC 빈터투어/은퇴, 이적
- AS 모나코/은퇴, 이적
- OGC 니스/은퇴, 이적
- FC 루앙/은퇴, 이적
-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은퇴, 이적
-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역대 감독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CA 산 로렌소/역대 감독
- CD 베라크루스/역대 감독
-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뉴욕 레드불스/역대 감독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알 사드 SC/역대 감독
- 자메이카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참가 감독
-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감독
- 1994 FIFA 월드컵 미국 참가 감독
-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감독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참가 감독
- 1992 킹 파드컵 참가 감독
- 2009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참가 감독
-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참가 감독
- 1958년 데뷔
- 미드필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