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7:36:56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

청와대 상공 UFO 사건에서 넘어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colbgcolor=#bc002d><colcolor=#fff>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
1976년 서울 미확인 비행체 사건
1976 Seoul UFO incident
파일:1976_ufo_seoul_korea.jpg
▲ 목격자들의 묘사를 바탕으로 그려진 상상도.
발생 일시 1976년 10월 14일
발생 장소

서울특별시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P-73 인근 상공)
유형 경계 및 격추 실패 또는 오인 사격
관할 수도경비사령부
영향 민간인 1명 사망, 31명 부상
김포공항 관제사 1명 해임

1. 개요2. 전개
2.1. 사건 경과2.2. 원인 및 분석2.3. 시간대별 대응상황표2.4. 사건 이후
3. 여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76년 10월 14일 오후 6시에서 8시 사이 서울특별시 강북 일대에서 있었던 미확인비행물체(UFO) 근접 조우 사건.

해당 비행물체가 청와대 상공에 진입했기 때문에 청와대 UFO 사건으로도 불린다. 특이한 것은 대한민국 국군이 비행물체 격추를 시도했다는 점으로, 비록 미수에 그쳤지만 로스앤젤레스 전투와 같이 UFO 근접 조우에 무력을 사용한 사례로 남아 있다.

2. 전개

2.1. 사건 경과

10월 14일 저녁 어스름이 질 무렵, 시민들은 서울 상공을 수놓은 십여 개의 괴비행체를 발견했다. 해당 물체는 조명처럼 밝은 빛을 내고 있었으며, 일정한 속도로 반원형의 대열을 맞추어 천천히 남하하고 있었다. 거대한 한 개의 비행물체의 발 같기도 했고, 누구는 북한에서 내려보낸 전투기 편대라고 생각했다. 당시 MBC 라디오 <젊음을 가득히>를 진행하던 이수만이 실시간으로 제보를 받고 라디오 대사로 이 사실을 알렸다는 증언이 있으나, 자료 손실로 정확한 사실 확인이 어려운 상태이다.[1] 해당 비행물체는 약 1~2시간 서울 상공에 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7시 30분 경[2] 서울 상공 P-73C[3] 진입한 미확인 비행물체들에 대한민국 국군은 즉각 121.5MHz와 125.3MHz를 통해[4][5] 2차례 경고 방송을 실시하는 등 비상 대응 태세에 들어갔다.

당시에는 서울시 P-73 구역을 비행하려면 대단히 까다로운 단계들을 거쳐야 했다. 우선 민항기의 경우 비행계획을 김포공항에 제출하여, 김포공항에서는 관제당국과 공군 방공통제소(이후 개편되어 현재 MCRC라고 불리는 해당 기관이다.), 수도경비사령부 방공작전통제소에(현재 AOC라고 부른다.) 이 사항을 전달한다. 그러나 당시 상황은 허가되지 않은 비행체들이 P-73C에 예고도 없이 등장한 비상 상황이었던 것.

이어 해당 비행체들이 P-73B 2NM(3.704km) 앞까지 접근하자, 수도경비사령부 소속 제1방공여단에서 항로 변경을 요구하는 최초 경고 사격을 실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비행체들은 P-73B 구역을 침범했고, 진행 방향이 P-73A 구역 방향, 즉 청와대 인접 구역으로 향하자 공군 제15특수임무비행단에서는 F-5A, F-5E 전투기를 비상 출격시켰다. 같은 시각 수도경비사령부 산하 제1방공여단에서도 해당 비행물체들을 육안 식별 후, 격추 태세에 들어갔다.

18시 15분 즈음 KM167A3 20mm 발칸포로 추정되는 대공포가 최초로 불을 뿜었고, 곧 시민들은 주황색 예광탄이 하늘을 가르고 UFO에 십자포화를 퍼붓는 광경을 목격하게 된다.

다만 해당 물체는 낮은 속도로 저고도 비행중이었음에도 이상하리만치 격추되지 않았고, 회피기동하기는커녕 대열을 유지하며 계속해서 밝은 조명을 비추고 있었다는 것이 미스터리다. 해당 UFO는 국군의 공격에 딱히 반격도 하지 않았지만 P-73A 구역으로 향하던 방향을 틀어 18시 20분 경 첫번째 격추 시도가 끝나게 되었다. 이후 18시 37분 경 이후 방향을 선회하며 다시 P-73A 방향으로 이동하자 다시 두번째 격추 시도가 이어졌지만, 몇 분간의 격추 시도 후 해당 물체가 북서쪽으로 물러남으로써 막을 내렸다. 그 과정에서 마구잡이로 발포한 대공포의 도비탄에 시민 1명이 사망하고 31명이 다치는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2.2. 원인 및 분석

당시 박정희 정부는 북한과 강경한 적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는데 불과 2개월 전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이 일어난 준전시상태인데다가 불과 한달 전에 소련 조종사가 일본 홋카이도 방공망을 뚫고 하코다테 공항에 착륙한 하코다테 공항 MiG-25 망명 사건 사례가 있었으며, 그 3일 뒤에는 중국에서 마오쩌둥이 사망하는 등 동북아의 긴장이 고조된 상태였다.

해당 미확인 비행체가 진짜 UFO인지 노스웨스트항공 민항기인지는 알 수 없으나, UFO와는 관계없이 노스웨스트 항공이 P-73B를 침범할 한 건 사실로 보인다. 미 의회 기밀해제 자료에서는 당시 서울 출항관제(125.15MHz) 감청 기록을 작성한 자료가 발견되었는데, 이에 따르면 서울 출항관제는 P-73C를 비행중이던[6] 노스웨스트 항공기의 방위를 P-73B 방향으로 잘못 유도시켰고, 18시 08분에[7] 서울 출항관제는 이 사실을 깨닫고 정상 항로로 다시 선회할 것을 지시했고, 항공기는 정상 항로로 다시 복귀하여 국외로 비행했다. 침범은 없었지만 하마터면 해당 항공기가 비행 제한구역에 들어갈 뻔 했던 실수는 실제로 있었던 것.

그러나 국방부의 대응 자료 및 서울 출항관제와 노스웨스트 항공의 교신 기록, 미 의회 기밀해제 자료를 종합적으로 비교할 때 대응 시간에 차이가 나타난다.

노스웨스트 항공기의 방향 전환 이전부터 국방부가 미식별 비행물체에 대해 대응하고 있었으며, 노스웨스트 항공기가 이미 서울 성공을 벗어나 서울 출항관제의 관제구역까지도 벗어났을 때에도 2차 사격을 가한 점 등으로 인해 군에서 대응한 UFO와 노스웨스트 항공기는 다른 기체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시간대별 대응상황표를 비교하면 더욱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2.3. 시간대별 대응상황표

<colcolor=#000> 시간대 대한민국 국군의 대응
17시 30분 <colcolor=#000> P-73C 구역 내 미식별 비행물체 최초 발견 후 수십분간 2차례 경고방송 시행
18시 00분 공군 방공통제소 확인 후 제15비행단 전투기 스크램블
18시 15분 P-73B 침범에 따른 KM167A3 20mm 발칸포 대응사격 실시
18시 20분 미확인 비행불체 선회 후 철수로 인한 사격 중지
18시 37분 P-73A 방향 재선회 후 접근으로 인한 KM167A3 20mm 발칸포 2차 대응사격 실시
18시 45분 미확인 비행물체 북서쪽으로 철수
노스웨스트 902편 서울 출항관제
시간대 관제 교신 내용
18시 05분 서울 출항관제, NW902입니다. 현재 1700피트를 벗어나는 중입니다.
18시 05분 알겠습니다. NW902, 2500피트 벗어날 때 보고하세요.
18시 05분 NW902, 현재 지나는 고도 보고하세요.
18시 06분 현재 2500피트 벗어나는 중입니다.
18시 06분 알겠습니다. NW902, 140도 방향으로 좌선회하세요.
18시 06분 140도 좌선회가 맞습니까?
18시 06분 정확합니다.
18시 06분 NW902, 100도로 좌선회하세요.
18시 06분 알겠습니다. 100도.
18시 07분 서울 출항관제, NW902입니다. 70도 좌선회 요청합니다.
18시 07분 허가합니다. 70도로 좌선회하세요.
18시 07분 NW902, 즉시 170도로 우선회하세요. 현재 P-73B 경계선 2마일 앞에 있습니다.
18시 08분 알겠습니다. 170도로 우선회.
18시 09분 NW902, 4500피트 벗어날 때 보고하세요.
18시 09분 불가능합니다. 현재 13000피트를 지나는 중입니다.
18시 09분 NW902, 현재 안양 VORTAC 1마일 북쪽에 있습니다. G-97 정상 항로로 복귀하세요. 2만 9천피트까지 지속 상승하시고 COW 상공에서 보고하세요.

2.4. 사건 이후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204564.jpg
제9대 국회 상임위 국방위원회에서는 보잉 707의 항로 이탈이라 보고되었다.
사진은 구 벨기에 트랜스유러피안 항공의 보잉 707기.

곧바로 국회에서는 국방위원회가 소집되었으며, 여기에서 국방부와 교통부는 노스웨스트 항공 보잉 707(902호편) 화물 전세기 1대가 청와대 상공의 비행금지구역으로 잘못 들어와 위협 사격을 가한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참조[8] 이튿날 다수의 일간지 역시 해당 소식을 보도했다.
파일:1976년 10월 15일 동아일보.jpg
1976년 10월 15일 동아일보에 실린 기사 ( 내용)

반면 시민들의 목격담을 보면 절대 보잉 707은 아니었다고 한다. 외국 국적의 민항 화물기가 비행제한구역[9] 내에서 장시간 비행을 한다는 상황 자체가 있기 힘든 상황이고, 스텔스기도 아니고 요란한 회피기동 없이 한국군의 대공사격을 받고도 피해가 없었다는 것은 더더욱 미스터리. 보잉 707의 경우 최대 속도가 마하 0.8을 넘지 못하고, 일반적인 순항 속도는 그보다도 더 낮다.[10] 만일 정말로 위 국방위 발표가 사실이라면 표적 오인이라는 면에서는 (민항기가 격추되지 않아서) 다행이고, 군사 작전이라는 면에서는 엄청나게 실패한 것[11]이다. 또한 더 심각한 것은 유탄에 민간인이 맞아 인명 피해가 났다는 것과, 관련 사실이 의외로 민간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가 된다.

2020년 10월에 그것이 알고싶다가 이 사건에 대한 제보를 받고 2020년 11월 7일 창사특집으로 방영했다. 사건 해석은 UFO의 정체나 당시 상황의 진위여부보다는 사건에 대한 정부의 은폐 등 태도에 초점이 맞춰졌다. 수도 한복판에서 벌어진 군사작전이었던데다, 그것도 청와대와 직접 관련이 있었고 민간인 피해까지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관련 정부 기록이 남은 것이 전무하며, 보도자료도 오락가락할 뿐 아니라 목격자 증언과 정부 발표(및 정부 통제를 거친 언론 기사)가 다르며, 피해자 집계조차 정확하지 않은 점 등이 지적되었다. 또한 매우 공교롭게도 UFO 사건을 많은 언론들이 대서특필한 다음 날 미국발 유신정권의 재미교포 시찰 폭로, 일명 코리아게이트가 터진 점도 조명되었다.
그런데 방송에서는 정부의 정보 공개 문제를 지적하면서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을 예로 들며 당시 문재인 정부를 지적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기는 바람에 시청자 게시판은 문재인 정부를 옹호하는 측과 비판하는 측으로 나뉘어서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 다만 방송 내용 자체는 문재인 정부의 정보 공개 수준에 대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를 다루면서 중립적인 시각을 보였다.

2023년, 뜬금 없이 이 사건이 해외에서 다시 조명되었는데, 데이비드 그러쉬 UFO 내부 고발 이후로 미국의 정부와 군대, NASA 등에서 UFO를 은폐했다고 폭로 해왔던 디스클로저의 스티븐 그리어의 증언 때문이었다. 그는 VLAD TV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서울 외곽에는 산을 깎아 만든 부지에 거대한 크기의 비행접시를 숨기기 위한 비밀시설이 있으며, 이는 모종의 군사적인 행동에 의해서 비행접시가 그 부지에 추락했고, 옮기기에 크기가 너무 커서 해당 비밀시설을 증축했다고 주장했다. 레딧 등지에서는 그 군사적인 행동이 바로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이라고 추측하고 있으며, UFO가 숨겨져 있다는 유력한 후보 장소로 안양항공무선표지소를 의심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인과관계가 맞지 않는 있을 수 없는 주장이다. 그도 그럴것이, 당장 2.3 문단의 노스웨스트항공 902편과 서울출항관제소의 교신내역을 보면 다음과 같은 교신이 있다.
NW902, 현재 안양 VORTAC 1마일 북쪽에 있습니다.
영어로 되어있어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갈 수 있는데, 안양 VORTAC이 바로 안양항공무선표지소다. 당장 교신기록에서 NW902편이 안양항공무선표지소 1마일 북쪽을 날아갔다고 교신되었다는 건, 사건 당일 안양 VORTAC이 멀쩡히 지어져 존재하고있었음은 물론이고, 안양 VORTAC이 해당일 무선표지 업무를 정상적으로 수행하며 항공기의 위치를 비교하고 있었다는 의미이다. 즉, UFO가 떨어져서 안양 VORTAC을 지어 증축한다는 건 당초 불가능한 것이다. 그랬으면 안양 VORTAC이 파괴되었을테니..

하지만 김포공항과 서울출항관제소는 해당일 이전에도, 해당일에도, 해당일 이후에도, 그리고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 이전에 의한 비행금지구역 조정 직전까지도 동일한 출항절차를 가지고 있었다. 세부적인 사항은 바뀌었지만 출항 항공기를 가지고 안양 VOR를 기준으로 유도하는 절차가 멈춘 적은 없다. UFO가 추락하여 안양 VOR이 파괴되었다면 불가능한 일.

3. 여담

4. 둘러보기

<rowcolor=#fff> 대한민국의 군 관련 사건 사고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정부수립 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rowcolor=#000,#fff> 고조선~대한제국
위만의 정변(B.C. 194)C 강조의 정변(1009)C 김훈·최질의 난(1014)C 무신정변(1170)C 위화도 회군(1388)C 이괄의 난(1624)C 임오군란(1882)C 대한제국군 해산(1907.8.)I
}}}
||<tablewidth=100%><rowcolor=#000,#fff><tablebgcolor=#fff,#1c1d1f> 일제강점기
제암리 학살사건(1919)I P 일본군 위안부(1940년대)I P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광복~195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fff> 제주 4.3 사건(1948)A P 여수·순천 10.19 사건A C P 1946-1950년 한국군의 숙군Na 해상의용군 사건(1948)Na 국민방위군 사건(1950~1951)Na 불륜처 타살사건(1954)P 하늘집 유아 학대 사건(1955)A P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1959)A
}}}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6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fff> 5.16 군사정변(1961)C 최영오 일병 살인 사건(1962)A Na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1964)A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1966)F N 안학수 하사 월북 조작 사건(1966)A Na Nk 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1967)F 1.21 사태(1968)Nk P 국방부 초병 강간치상 사건(1968)F P 육군 하사 수류탄 투척 사건(1968)A P
}}}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7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fff> 유네스코 지하다방 인질사건(1974)A P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1976)A ? 12.12 군사반란(1979)C
}}}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8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fff> 5.17 내란(1980)C 5.18 민주화운동/학살A Na P 제주 C-123 추락사고(1982)A F 청계산 C-123 추락사고(1982)A F 최승균 소위 사망사건(1984)A 제28보병사단 화학지원대 총기난사 사건(1985)A 여우고개 사건(1985)A 정연관 상병 구타 사망사건(1987)A
}}}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9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fff>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폭로 사건(1990)A Na
공군 구조헬기 서해상 추락 사고(1990)F P 밀양 C-123 추락사고(1991)F 군 부재자투표 부정 폭로 사건(1992)A Na 17사단 종교시설 무단폐쇄 사건(1992)A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1993)A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1993)A P 53사단 장교 무장탈영 사건(1994)A 1996년 군부대 막사 매몰사고(1996)A F 화성 해안초소 K2 소총 사취 사건(1997)A ? 김훈 중위 사건(1998)A ? 제5공수특전여단 동사사고(1998)A
}}}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00년 <colcolor=#373a3c,#ddd>
2001년 염순덕 상사 피살사건A ? 부천 탈영장교 살인사건A P
2002년 함광열 이병 의문사 사건A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I P
2003년 육군 21항공단 헬기추락 사건A
2004년
2005년 논산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A 해군 동검도 제초제 사건N 노충국 사건A
2006년 가평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2007년 일산 육군 중사 애인 토막 살인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총기 탈취 사건N P
2008년
2009년 대청해전N Nk
}}}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10년 <colcolor=#373a3c,#ddd> 천안함 피격 사건N Nk 연평도 포격전N Nk P
2011년 양구 고등학생 군인 집단 폭행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동료 총격 사건N
2012년 특전사 중사의 이명박 상관모욕 사건A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A
2013년 임진강 월북 시도자 사살 사건A 국군춘천병원 도끼 살인사건A 김지훈 일병 자살 사건F
2014년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A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A 제1전투비행단 가혹행위 은폐 사건F 17사단장 성범죄 사건A
2015년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A 공릉동 살인사건A P DMZ 목함지뢰 매설 사건A Nk 서부전선 포격 사건A Nk 군 부상자 치료비 부담 논란A 영월 혹한기 훈련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2016년 분당 예비군 사망사건? 진해 해군기지 잠수정 폭발사건N 울산 군부대 폭발 사고A 홍정기 일병 사망 사건A
2017년 성폭력 피해 해군 대위 사망사건N 박찬주 육군 대장 부부 갑질 사건A 제6보병사단 소속 일등병 유탄 사망사건A 제5포병여단 K-9 자주곡사포 폭발 사고A 2017년 판문점 귀순 북한군 총격 사건A Nk
2018년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D Na 제203특공여단 사격장 총기 사망사건A 문재인 정부 GP 파괴 부실검증 의혹Na Nk 육군 통신장교 석면 사망사고A 포항 해병대 헬기추락 사고N 양구 GP 일병 총기 사망 사건A ?
2019년 2019년 러시아 군용기 독도 영공 무단 침범 사건I 고양시 여자화장실 군인 묻지마 폭행 사건A P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2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20년 <colcolor=#373a3c,#ddd> 태안 보트 밀입국 사건A 2020년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소송P N 부사관 성전환 사건A 공군 병사 황제 복무 논란F
2021년 성추행 피해 공군 부사관 사망 사건F 성추행 피해 해군 부사관 사망 사건N 육군 여성 장교 사조직 구성 논란A 조재윤 하사 사망사건A 공군 여군 성희롱 노트 사건(~2022)F
2022년 현역 해병대원 우크라이나 의용군 참전 미수 사건N 현역 대위 군사기밀 유출 사건A Nk 강릉시 현무-IIC 미사일 낙탄 사고A F 제21보병사단 안보전시관 폭발물 폭발사고A 해군 병장 이적표현물 제작 및 군사기밀 유출 사건N 제12보병사단 이병 총상 사건A
2023년 태백 혹한기 훈련 이병 사망사건A 대구 공군 정일병 자살 사건F 제9공수특전여단 상병 사망사건A 해병대 하사 부대원 개인정보 유출 사건N 육군 부사관 아내 교통사고 위장 살해 사건A 김해 예비군 훈련장 사망 사건A P 양주 육군부대 일병 총기 사망사고A ? 부승찬 군사기밀보호법위반 혐의 사건Na 부산 해군 중사 택시기사 폭행사건N P 고성 제진검문소 공포탄 발사 사건A P 해병대 제1사단 일병 사망 사고( 수사 외압 논란)N Na 제9보병사단 지휘부 복지회관 특혜 의혹A 육군사관학교 독립유공자 흉상 철거 논란A Na 전남 무안 육군부대 일병 사망 사건A 포천 주한 미8군 영평사격장 민간차량 피탄 사건I 파주 육군 상병 흉기난동 사건A 예비역 간부 휴가비 환불 통보 사건A 아내 성인방송 강요 사망사건A 제17보병사단 일병 자살시도 사건A
2024년 2024년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Nk 동해 훈련 해군 부사관 사망 사건N 제32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 수류탄 폭발 사고A 제12보병사단 훈련병 사망 사건A 제51보병사단 일병 사망 사건A 정보사령부 군무원 군사기밀 유출 사건D Nk 고양 현역 군인 불법촬영 사건A P 제25보병사단 이등병 사망 사건A 제1전투비행단 수송대대 음주운전 사건F 2024년 군부대 암구호 유출 사건P 홍천 신병교육대 대리입영 사건A 영월터널 역주행 참변N P 화천군 북한강 토막 살인 사건A P 제39보병사단 훈련병 사망 사건A 김도현 일병 사망 사건A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A C D Na P
2025년 대전 현역군인 강간미수 사건P }}} }}} }}}
A: 육군 관련 사건 | C: 쿠데타 | D: 국방부 및 직할부대 관련 사건 | F: 공군 관련 사건 | I: 외국군 관련 및 연루
N: 해군 및 해병대 관련 사건 | Na: 국가조직 연루 및 개입 | Nk: 북한군 관련 및 연루 | P: 민간인 피해 및 연루 | ?: 사건 경위 불명
관련 문서: 대한민국 국군/사건 사고 }}} }}} }}}




[1] 그것이 알고싶다 2020년 11월 7일 방영분에서 이수만은 SM 엔터테인먼트 관계자를 통해 해당 일이 워낙 옛날 일이라 기억에 없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게다가 MBC 내부에서도 해당 라디오 프로그램의 방송자료분이 하나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사실 확인이 힘들게 되었다. [2] 정확한 시기는 불명확하나 최초 P-73C 진입 시간은 17시 30분에서 18시 정각 사이임이 분명하다. 이후 전투기의 비상 출격 및 대규모 사격이 발생한 것은 18시 이후이다. [3] 그것이 알고싶다 내용으로는 P-73C 구역이라고 보도하였는데, 이 안에서 처음 목격된 건지 아니면 외부에서 P-73C로 진입한 건지는 불명이다. [4] 121.5MHz는 민항기 공용 비상주파수(Guard망)이며, 125.3MHz는 서울시 비행제한구역 관제주파수(수도경비사령부 방공통제주파수)이다. [5] 군이 아닌 민간 공항에서 경고한 주파수는 125.15MHz, 서울 출항관제(Seoul Departure)이다. 정부는 민간 항공기(Northwest Airlines의 화물기)가 영공을 침범해 서울 출항관제에서 경고하였다고 해명하였다. 시기적으로 맞지 않고, 노스웨스트기는 경고 직후 선회해 P-73B를 침범하지 않았다는 특징이 있으나 아무쪼록 정부 해명은 그렇다. [6] 비정상 비행 루트가 아니다. 당시 비행차트 계획에서는 P-73C를 통과하여 운항하는 계획을 김포공항에 제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7] 서울 출항관제에서 이 사실을 깨달은 것은 18시 07분 후반이다. 이후 07분 53초경 서울 출항관제는 선회를 지시, 노스웨스트기가 리드백을 한 것은 08분 00초이다. [8] 해당 블로그는 회의주의적 입장으로 UFO 목격담을 신뢰하지 않으며, 정부측 해명을 수긍하고 있다. [9] 서울 시내, 특히 중구를 중심으로 북부 서울은 거의 대부분이 비행제한구역이다. [10] 다만 일반적인 대형 항공기는 6~10km의 고도에서 비행하기 때문에 소구경 기관포인 KM163의 20mm 발칸포탄으론 격추가 힘들다. 저정도 고도에서 날고있는 적을 잡으려면 76mm 이상의 대구경 대공포나 대공미사일은 돼야 한다. [11] 민항기를 탐지, 식별하지 못하고 사격했다는 점에서 이미 대참사이며, 적기라고 판명하고 격추를 시도했으나 격추를 실패 한 것 또한 전투수행능력 상 대참사이다. 물론 민항기를 격추하지 못 한게 천만 다행이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