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군부대 막사 매몰사고 | ||
<colbgcolor=#bc002d><colcolor=#fff> 발생일 | 1996년 7월 26일~ 7월 27일 (2일간) | |
발생 위치 |
경기도
연천군 강원도 철원군(現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강원도 화천군(現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
|
사고 부대 |
대한민국 육군 제3보병사단 / 제5보병사단 / 제6보병사단 / 제7보병사단 / 제15보병사단 / 제25보병사단 대한민국 공군 대성산 레이더기지 |
|
유형 | 자연재해, 산사태 | |
원인 | 산사태로 인한 막사 매몰 | |
인명 피해 |
사망 | 60명 |
[clearfix]
1. 개요
1996년 7월 26일부터 7월 27일까지 강원도 철원 지역에 492.8mm, 인제 지역에 284mm 전국적인 집중호우가 내렸다. 그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하였고 군부대 막사를 덮치면서 군 병력이 매몰된 사고.산사태가 발생한 시간은 군 장병들이 자고 있을 시간인 새벽부터 아침 사이에 일어나 희생자가 많았다.
2. 사고 발생 부대
2.1. 육군 제3보병사단
2.2. 육군 제5보병사단
- 7월 26일 오전 4시 25분경,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대마리 5사단 29연대 2대대에서 발생하였다. 부대 뒤에 있는 토사 약 1100톤이 무너져내려 막사 2개동을 덮쳤다. 당시 제1내무반에 27명이 취침 중이었으며, 제2내무반에는 20명이 취침 중이였다. 사고가 난 막사는 가건물 조립식 건물이었고 야산은 경사가 40도가 넘었다. 막사는 산을 깎아내려서 만들었는데 옹벽이나 산사태를 막을 수 있는 구조물이 없어 피해가 더 컸다고 볼 수 있다.
2.3. 육군 제6보병사단
2.4. 육군 제15보병사단
2.5. 공군 대성산 레이더기지
3. 순직자 명단
<rowcolor=#fff> 부대 | 순직자 |
육군 제3보병사단 (3명) |
하사 허정, 일병 윤진섭, 일병 최영규 |
육군 제5보병사단 (24명) |
중사 오명신, 병장 권수한, 병장 이완희, 병장 김철우, 일병 김준모, 일병 엄상용, 일병 배무열, 일병 이종호, 일병 김만기, 일병 오왈선, 일병 김현철, 일병 변진환, 일병 이승준, 일병 김유정, 일병 이면우, 일병 이관준, 일병 윤덕한, 일병 신동재, 일병 최용혁, 일병 이상필, 일병 정명진, 일병 이상복, 일병 권기봉 |
육군 제6보병사단 (4명) |
중위 임상효, 소위 이종우, 상병 오찬동, 상병 김덕만 |
육군 제7보병사단 (1명) |
이병 권정태 |
육군 제15보병사단 (23명) |
소위 김상훈, 소위 임항식, 상사 이강옥, 병장 김경곤, 병장 이승엽, 병장 채익순, 상병 신현창, 상병 김상철, 상병 이승희, 상병 이효승, 상병 한동훈, 일병 김종구, 일병 김기원, 일병 김훈희, 일병 김홍석, 일병 강제성, 이병 정용섭, 이병 박욱진, 이병 권성호, 이병 박일동, 이병 김기동 |
육군 제25보병사단 (1명) |
일병 신유현 |
공군 대성산 레이더기지 (3명) |
상병 권영걸, 병장 박한성, 병장 엄현상 |
4. 원인
- 7월 27일, 군 당국은 사고를 당한 군부대들이 대부분 산악지형으로 된 전방지역에 위치한데다 전술적으로 적의 관측과 곡사화기 사격을 고려해 산의 후사면 능선에 막사를 배치하였기에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에 쉽게 노출 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
- 추가적으로 폭우와 낙뢰로 인하여 도로가 끊기고, 군 통신이 마비되면서 구조작업이 지연되어 사상자가 더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 그러나 25일 밤부터 강원 영서지역에 호우주의보가 발효되었기에 자연재해가 발생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던 상황이므로 군 당국의 사전대비 및 사후대책이 미비했다는 여론이 있었으며, 군 통신망이 일정 깊이 이하로 매설돼야 함에도 부실공사로 얕게 가설되었다가 통신이 두절되어 상황파악이 어려워지는 등의 인재라는 여론도 있었다. #
5. 사고 이후
- 사고 직후, 국방부는 시신을 인근 국군병원 등으로 분산하여 안치하였다. #
- 국방부는 사고 이후 급경사, 절개지 등 산사태 위험 예상 지역에 있는 140여 곳의 소부대 단위 막사를 이전하는 막사 재선정 작업을 추진하였다. 또한, 산사태가 예상되는 270곳의 내무반 막사와 방호벽 축대가 부실한 653곳 등 모두 923곳의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했다. #
- 국방부와 육군은 수해를 입은 탄약이 864톤이며, 이 중 860톤은 군부대 지역에 매몰 및 침수되어 있고, 4톤 가량의 탄약이 민간지역에 유실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실된 탄약은 155㎜, 105㎜ 포탄과 60㎜ 박격포탄, 수류탄과 M18A1(크레모어), 조명탄 및 소.대구경 자동화기탄약들 등 총 1200여발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에 군은 폭발물처리반을 포함한 군 병력을 투입하여 유실된 탄약을 수거하기 위한 수색작업에 들어갔다. #
- 순직한 군인들은 1996년 7월 30일부터 8월까지 순차적으로 국립대전현충원 장병 1-119묘역과 장병 1-205 묘역에 안장되었다. 그리고 육사 출신 소대장으로 부임한 지 2개월 밖에 되지 않았던 임항식 소위는 실종되었다가 이듬해 1997년 5월 27일에 뒤늦게 안장되었다. 이로써 국립서울현충원에 위패가 봉안된 5보병사단 소속 김준모 일병 등 4명을 제외한 총 56명이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
- 또한, 7월 30일과 31일 이틀간 전군의 군부대에서 조기를 게양하였다. #
6. 반응
- 국민회의 정동영 대변인은 "이번 참사로 사망한 군인들의 유가족, 부상군인의 가족들에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 모든 국민들에게 커다란 충격을 가져온 이 사건은 단순한 천재지변이라고 넘길 수 없다. 군인들의 내무반 막사가 안전한 병영이 될 수 없다면 자식과 형제를 군에 보내야 하는 모든 가족들을 불안케 하는 일이라면서 정부와 군 당국은 이번 참사를 계기로 각종 안전사고에 대비한 병영환경을 만드는데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논평했다. #
- 신한국당 김철 대변인은 "아무리 자연재해라 하지만 국토방위를 하던 장병들이 전투외의 사태로 희생된 것은 너무나 아깝고 희생자의 부모와 유족에게 송구한 마음 금할 수 없다"고 말하며, "구출작업이 시간을 다투어 신속하게 이뤄지고 희생자들에 대한 사후대우에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며 유사한 사태에 대비해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자민련 안택수 대변인은 "십수명 이상의 군인들이 아까운 목숨을 잃은데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사고전날부터 집중호우가 쏟아졌는데도 사고대비를 위한 조치가 없었다면 한마디로 군의 안전의식과 군기강이 무너져내린 때문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밝혔다. 또, "국방부를 비롯한 정부당국은 우선 매몰 장병구조와 유사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하는 동시에 이번 사고의 진상을 철저히 조사, 책임이 드러나는 대로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중조치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
7. 언론 보도
- 철원군 육군 부대 내무반 막사 산사태 덮쳐 군인 20명사망, 1996-07-26, MBC
- 전방 인근 군부대 매몰-붕괴사고로 24명 숨져, 1996-07-27, KBS
- 긴박했던 [장병매몰]/ "모든게 엉망…상황 알수없다", 1996-07-27, 조선일보
- 이슈 돋보기 - 강원 집중호우 군부대 산사태, 연합뉴스
- 전쟁도 아니고 폭우에... 대한민국 군인 60명이 죽었다, 2022-07-26, 오마이뉴스
8. 둘러보기
<rowcolor=#fff> 대한민국의 군 관련 사건 사고 | ||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정부수립 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width=100%><rowcolor=#000,#fff> 고조선~대한제국 위만의 정변(B.C. 194)C 강조의 정변(1009)C 김훈·최질의 난(1014)C 무신정변(1170)C 위화도 회군(1388)C 이괄의 난(1624)C 임오군란(1882)C 대한제국군 해산(1907.8.)I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광복~195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제주 4.3 사건(1948)A P 여수·순천 10.19 사건A C P 1946-1950년 한국군의 숙군Na 해상의용군 사건(1948)Na 국민방위군 사건(1950~1951)Na 불륜처 타살사건(1954)P 하늘집 유아 학대 사건(1955)A P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1959)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6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5.16 군사정변(1961)C 최영오 일병 살인 사건(1962)A Na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1964)A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1966)F N 안학수 하사 월북 조작 사건(1966)A Na Nk 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1967)F 1.21 사태(1968)Nk P 국방부 초병 강간치상 사건(1968)F P 육군 하사 수류탄 투척 사건(1968)A P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7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유네스코 지하다방 인질사건(1974)A P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1976)A ? 12.12 군사반란(1979)C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8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5.17 내란(1980)C 5.18 민주화운동/학살A Na P 제주 C-123 추락사고(1982)A F 청계산 C-123 추락사고(1982)A F 최승균 소위 사망사건(1984)A 여우고개 사건(1985)A 정연관 상병 구타 사망사건(1987)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9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폭로 사건(1990)A Na 공군 구조헬기 서해상 추락 사고(1990)F P 밀양 C-123 추락사고(1991)F 군 부재자투표 부정 폭로 사건(1992)A Na 17사단 종교시설 무단폐쇄 사건(1992)A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1993)A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1993)A P 53사단 장교 무장탈영 사건(1994)A 1996년 군부대 막사 매몰사고(1996)A F 화성 해안초소 K2 소총 사취 사건(1997)A ? 김훈 중위 사건(1998)A ? 제5공수특전여단 동사사고(1998)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00년 | <colcolor=#373a3c,#ddd> |
2001년 | 염순덕 상사 피살사건A ? 부천 탈영장교 살인사건A P | |
2002년 | 함광열 이병 의문사 사건A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I P | |
2003년 | 육군 21항공단 헬기추락 사건A | |
2004년 | ||
2005년 | 논산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A 해군 동검도 제초제 사건N 노충국 사건A | |
2006년 | 가평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 |
2007년 | 일산 육군 중사 애인 토막 살인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총기 탈취 사건N P | |
2008년 | ||
2009년 | 대청해전N Nk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10년 | <colcolor=#373a3c,#ddd> 천안함 피격 사건N Nk 연평도 포격전N Nk P |
2011년 | 양구 고등학생 군인 집단 폭행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동료 총격 사건N | |
2012년 | 특전사 중사의 이명박 상관모욕 사건A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A | |
2013년 | 임진강 월북 시도자 사살 사건A 국군춘천병원 도끼 살인사건A 김지훈 일병 자살 사건F | |
2014년 |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A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A 제1전투비행단 가혹행위 은폐 사건F 17사단장 성범죄 사건A | |
2015년 |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A 공릉동 살인사건A P DMZ 목함지뢰 매설 사건A Nk 서부전선 포격 사건A Nk 군 부상자 치료비 부담 논란A 영월 혹한기 훈련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 |
2016년 | 분당 예비군 사망사건? 진해 해군기지 잠수정 폭발사건N 울산 군부대 폭발 사고A 홍정기 일병 사망 사건A | |
2017년 | 성폭력 피해 해군 대위 사망사건N 박찬주 육군 대장 부부 갑질 사건A 제6보병사단 소속 일등병 유탄 사망사건A 제5포병여단 K-9 자주곡사포 폭발 사고A 2017년 판문점 귀순 북한군 총격 사건A Nk | |
2018년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D Na 제203특공여단 사격장 총기 사망사건A 문재인 정부 GP 파괴 부실검증 의혹Na Nk 육군 통신장교 석면 사망사고A 포항 해병대 헬기추락 사고N 양구 GP 일병 총기 사망 사건A ? | |
2019년 | 2019년 러시아 군용기 독도 영공 무단 침범 사건I 고양시 여자화장실 군인 묻지마 폭행 사건A 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