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소송 | |
|
|
1심 판결 후 소회를 밝히는 원고 응우옌티탄 | |
<colbgcolor=#bc002d><colcolor=#fff> 발생일자 | 1968년 2월[1] |
발생장소 | |
유형 | 전쟁범죄, 불법행위 |
원고 | 응우옌티탄 |
피고 | 대한민국 |
청구취지 | 미상 |
청구원인 | 불법행위 ( 민법 제750조) |
관할 | 서울중앙지방법원 |
재판선고 |
제1심 원고 청구 일부 인용[2]항소심 -
|
[clearfix]
1. 개요
베트남 전쟁/한국군/논란과 관련하여 2020년 베트남인 ' 응우옌티탄'이 대한민국에 대해[3]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사건.2. 배경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 전쟁/한국군/논란 문서의
퐁니-퐁녓 학살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968년 2월 베트남 꽝남성 퐁니 마을에서 한국군이 70여명의 민간인을 학살한 사건으로 가족을 잃고 자신도 중상을 당했다는 내용이다. 원고 응우옌티탄은 사건 당시 8세 아동이었다.
3. 재판
3.1. 제1심
- 사건번호: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가단5110659
2023년 2월 7일 재판부는 "피고 대한민국은 원고 응우옌티탄에게 3000만 100원을 지급하라"며 [4]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쟁점 및 판단은 다음과 같다. # 판결문 전문이 나와야 세부적인 내용이 판단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중앙지방법원 홈페이지에 판결문 전문이 공개되었다. #
-
본안전 항변
피고 대한민국은 한국과 월남, 미국 사이에 체결한 군사실무약정에 따라 베트남인이 한국 법원에 소를 제기하는 것이 부적법하다고 주장하였다. 민사소송법에 따르면 소가 부적법한 경우, 각하된다. 하지만 재판부는 '베트남인들이 그 실무협약의 적용을 받는 주체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
준거법
원고는 대한민국 국군이 주체가 된 행위이므로 대한민국 국가배상법과 대한민국 민법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피고 대한민국은 반면, 피고 대한민국은 사건이 발생된 지역은 (적어도 명목상) 남베트남 통치 지역이었으므로 남베트남법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한민국 법원은 구 국제사법에 따라, 불법행위와 가장 관련성이 있는 대한민국의 법을 적용하였다.
-
손해배상채권의
소멸시효
피고 대한민국은 원고 응우옌티탄의 손해배상채권이 소멸시효가 도과하여 소멸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재판부는 피고 대한민국이 소멸시효 항변을 하는 것은 권리남용이라고 하여 그 주장을 배척하였다. 1969년 중앙정보부를 통해서 수사를 했는데도 은폐를 했다는 것이 그 이유다.
3.2. 제2심(항소심)
- 사건번호: 서울중앙지방법원 2023나14901
4. 반응
4.1. 대한민국
- 반면 참여연대 등의 시민단체는 환영의 뜻을 밝혔다.
4.2. 원고 측
- 원고 '응우옌티탄'은 제1심 판결후 '사과를 달라'며 소회를 밝혔다. #
4.3. 베트남
- 베트남 정부는 대한민국이 항소했다는 것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
5. 기타
- 원고는 1명 뿐인데 그 이외의 피해자(혹은 피해자라고 주장하는 자들)은 증거가 없어서 소 제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한다. #
6. 둘러보기
<rowcolor=#fff> 대한민국의 군 관련 사건 사고 | ||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정부수립 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width=100%><rowcolor=#000,#fff> 고조선~대한제국 위만의 정변(B.C. 194)C 강조의 정변(1009)C 김훈·최질의 난(1014)C 무신정변(1170)C 위화도 회군(1388)C 이괄의 난(1624)C 임오군란(1882)C 대한제국군 해산(1907.8.)I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광복~195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제주 4.3 사건(1948)A P 여수·순천 10.19 사건A C P 1946-1950년 한국군의 숙군Na 해상의용군 사건(1948)Na 국민방위군 사건(1950~1951)Na 불륜처 타살사건(1954)P 하늘집 유아 학대 사건(1955)A P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1959)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6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5.16 군사정변(1961)C 최영오 일병 살인 사건(1962)A Na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1964)A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1966)F N 안학수 하사 월북 조작 사건(1966)A Na Nk 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1967)F 1.21 사태(1968)Nk P 국방부 초병 강간치상 사건(1968)F P 육군 하사 수류탄 투척 사건(1968)A P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7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유네스코 지하다방 인질사건(1974)A P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1976)A ? 12.12 군사반란(1979)C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8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5.17 내란(1980)C 5.18 민주화운동/학살A Na P 제주 C-123 추락사고(1982)A F 청계산 C-123 추락사고(1982)A F 최승균 소위 사망사건(1984)A 제28보병사단 화학지원대 총기난사 사건(1985)A 여우고개 사건(1985)A 정연관 상병 구타 사망사건(1987)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9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폭로 사건(1990)A Na 공군 구조헬기 서해상 추락 사고(1990)F P 밀양 C-123 추락사고(1991)F 군 부재자투표 부정 폭로 사건(1992)A Na 17사단 종교시설 무단폐쇄 사건(1992)A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1993)A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1993)A P 53사단 장교 무장탈영 사건(1994)A 1996년 군부대 막사 매몰사고(1996)A F 화성 해안초소 K2 소총 사취 사건(1997)A ? 김훈 중위 사건(1998)A ? 제5공수특전여단 동사사고(1998)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00년 | <colcolor=#373a3c,#ddd> |
2001년 | 염순덕 상사 피살사건A ? 부천 탈영장교 살인사건A P | |
2002년 | 함광열 이병 의문사 사건A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I P | |
2003년 | 육군 21항공단 헬기추락 사건A | |
2004년 | ||
2005년 | 논산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A 해군 동검도 제초제 사건N 노충국 사건A | |
2006년 | 가평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 |
2007년 | 일산 육군 중사 애인 토막 살인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총기 탈취 사건N P | |
2008년 | ||
2009년 | 대청해전N Nk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10년 | <colcolor=#373a3c,#ddd> 천안함 피격 사건N Nk 연평도 포격전N Nk P |
2011년 | 양구 고등학생 군인 집단 폭행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동료 총격 사건N | |
2012년 | 특전사 중사의 이명박 상관모욕 사건A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A | |
2013년 | 임진강 월북 시도자 사살 사건A 국군춘천병원 도끼 살인사건A 김지훈 일병 자살 사건F | |
2014년 |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A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A 제1전투비행단 가혹행위 은폐 사건F 17사단장 성범죄 사건A | |
2015년 |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A 공릉동 살인사건A P DMZ 목함지뢰 매설 사건A Nk 서부전선 포격 사건A Nk 군 부상자 치료비 부담 논란A 영월 혹한기 훈련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 |
2016년 | 분당 예비군 사망사건? 진해 해군기지 잠수정 폭발사건N 울산 군부대 폭발 사고A 홍정기 일병 사망 사건A | |
2017년 | 성폭력 피해 해군 대위 사망사건N 박찬주 육군 대장 부부 갑질 사건A 제6보병사단 소속 일등병 유탄 사망사건A 제5포병여단 K-9 자주곡사포 폭발 사고A 2017년 판문점 귀순 북한군 총격 사건A Nk | |
2018년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D Na 제203특공여단 사격장 총기 사망사건A 문재인 정부 GP 파괴 부실검증 의혹Na Nk 육군 통신장교 석면 사망사고A 포항 해병대 헬기추락 사고N 양구 GP 일병 총기 사망 사건A ? | |
2019년 | 2019년 러시아 군용기 독도 영공 무단 침범 사건I 고양시 여자화장실 군인 묻지마 폭행 사건A P |
[1]
불법행위가 기초가 되는 사건이 발생한 일자
[2]
청구한 금액 중 300만 100원 부분만큼 인용
[3]
개인이 아닌 대한민국 자체에 소송을 건 것이다.
[4]
원고인 학살 피해자/유가족들이 금액을 3천만 100원으로 결정한 이유는 배상금액이 3천만원이 초과해야 판결문을 받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