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4 16:10:02

주령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10%, #fff 10%, #fff 12%, #000 12%, #000 17%, #fff 17%, #fff 19%, #000 19%, #000 24%, #fff 24%, #fff 76%, #cd313a 76%, #cd313a 87%, #0047a0 87%)"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강강술래 · 거북놀이 · 격구 · 고누 · 고싸움 · 골패 · 공기놀이 · 관등놀이 · 군사놀이 · 그네 · 까막잡기
낙화놀이 · 남생이놀이 · 남승도 · 낫치기 · 널뛰기 · 놋다리밟기
다리밟기 · 단풍놀이 · 달집태우기 · 대문놀이 · 딱지치기 · 뚜럼놀이
ㅁ~ㅂ 문지기 · 바둑 · 방실놀이 · 뱃놀이 · 비석치기
사방치기 · 산가지 · 상여놀이 · 석전 · 설경놀이 · 성불도 · 소싸움 · 소먹이놀이 · 수건돌리기 · 술래잡기 · 숨바꼭질 · 승경도 · 쌍륙 · 씨름
얼음땡 · 여행도 · 연날리기 · 용마놀이 · 용호놀이 · 육박 · 윷놀이
자치기 · 장기 · 전쟁놀이 · 제기차기 · 조조잡기놀이 · 주령구 · 줄다리기 · 줄타기 · 쥐불놀이 · 진놀이
차전놀이 · 초중종놀이 · 축국 · 춘향이놀이 · 칠교놀이
탁족놀이 · 탈놀이 · 탑돌이 · 투전 · 투호
ㅍ~ㅎ 팽이치기 · 풍등놀이 · 화류놀이 · 화전놀이 · 활쏘기 · 횃불싸움 }}}}}}}}}


1. 개요2. 내용3. 소실4. 형태5. 면에 새겨진 내용6. 기타
6.1. 주령구 빵
7. 외부 링크

1. 개요

파일:목제 주령구2.jpg
파일:목제 주령구1.jpg
출토 당시의 모습. 사진 출처 : 조선일보 와이드뉴스 "여기 유물 있어, 막걸리 값 안 줄거야?" 눈앞에서 1500년 土器가 내던져졌다
파일:목제 주령구3.jpg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복원본
8세기 이전 통일신라에서 만든 술 게임 주사위. 현재 복원본이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다.

2. 내용

과거 안압지라고 불렸던 월지(月池)에서 발견된 8세기 이전 통일신라시대 주사위로, 당시 신라인들이 술 게임에서 사용한 놀이용 도구이다.

1974년 11월, ' 기러기 오리가 노는 연못'이라는 뜻에서 안압지라 불렀던 경주 월지에서 고인 물을 모두 빼내고 바닥에 수북이 고인 뻘을 들어내는 준설작업이 시행되었다. 이 작업은 경주의 관광명소를 재정비하여 한국 관광사업을 활성화하라는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에 의하여 시행된 경주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일이었다. 원래 안압지는 신라 왕자가 살았던 동궁 옆에 놀이터로 조성된 연못으로 고려 때까지는 지속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졌으나, 조선이 들어선 후 관리에 손을 놓게 되어 수백 년간 연못에 뻘이 쌓여 있었으며 주변의 환경도 극히 퇴락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러다 뻘 바닥에서 무려 1만 5천 점이 넘는 신라시대의 여러가지 생활 유물들이 쏟아져 나왔다. 불상, 숟가락, 청동거울, 벼루, 송곳, 가위, 건물의 목재 조각, 심지어 유람용 배까지 다양한 유물들이 산재해 있었다. 그중 유난히 쓰임새가 독특한 유물 중 하나가 바로 이 놀이기구였다.

주사위는 1975년 6월 안압지의 서쪽 호안 석축의 바닥에서 출토가 되었는데 처음에는 14면체로 독특하게 생긴 이 기구의 용도가 무엇이었는지 알 수 없었으나, 나중에 면에 새겨진 글자를 판독한 결과 신라인들이 술자리 연회에서 노는 데 사용한 주사위였음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술과 관련된 명령을 내리는 도구'라는 뜻에서 '주령구(酒令具)'라고 이름지었다.[1]

이 주령구는 신라 경덕왕 6년(747)~ 혜공왕 9년(774)에 작성된 목간(木簡)이 나온 토층보다 훨씬 더 아래에서 발견되었으므로 최소한 8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신라 유물임을 알 수 있다.

3. 소실

애석한 사실은 이 주령구의 실물은 발굴 후 건조기에서 습기 제거작업을 하다가 레인지 오작동으로 그만 불타 소실되고 말았다는 점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말리기 작업 전에 주령구의 면의 모습을 사진으로 남겨둔 것과 각 면에 새겨진 글자 및 실측치수 등을 자세하게 기록해 둔 덕택에 그나마 다시 재현할 수 있었다. 그래서 지금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것은 사진자료와 실측기록 등을 바탕으로 재현한 복제품이다.

4. 형태

원래의 신라 주령구는 참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육각형면(角形面)이 8개, 사각형면(角形面)이 6개로 구성되었다. 직경은 4.7 cm였고 정육면체 모양인 일반적인 주사위와는 달리 긴 변이 2.5 cm, 짧은 변이 0.8 cm인 육각면 8개, 가로·세로 각각 2.5 cm인 정사각면 6개, 모두 14면이 서로 정교하게 맞물렸다.

연구 결과 주령구의 육각형의 면적은 6.265 ㎠, 사각형 면적이 6.25 ㎠이기 때문에 거의 비슷하므로 14면 각각의 면이 나올 확률이 1/14로 거의 같았다. 육각형면이 나올 확률은 육각형 개수(8개)만큼인 8/14, 사각형면이 나올 확률도 정사각형 개수(6개)만큼인 6/14이 되었던 것이다. 14면체 주사위 신라 주령구(木製酒令具)의 비밀
안압지 주령구는 정육면체의 3면과 3변이 한자리에 만나는 꼭지점을 일부러 변의 절반보다 6 mm가량 더 깊게 잘라서 만들었다. 만약에 변의 절반을 정확히 잡아 자른다면 사각면 6개와 삼각면 8개로 이루어진 14면체( 육팔면체)가 나온다. 하지만 사각면과 삼각면의 넓이가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이렇게 만들면 주령구를 던져서 나오는 경우의 수가 면적이 더 넓은 쪽으로 편중된다. 따라서 이 주령구는 정육면체의 꼭지점을 변의 절반보다 깊게 잘라서 사람이 던져서 얻는 경우의 수가 고르게 나오도록 철저히 계산하여 만든 것이다.

5. 면에 새겨진 내용

파일:목제 주령구4.jpg
출토 당시의 각 면 글씨. 각 면에는 다양한 벌칙을 새겨 두었다. 이게 이 유물의 마지막 사진이 될 줄 꿈에도 몰랐겠지..

※ 사각형인 여섯 면의 벌칙
1. 금성작무(禁聲作舞) - 음악없이 춤추기
2. 중인타비(衆人打鼻) - 여러사람 코 두드리기
3. 음진대소(飮盡大笑) - 술을 다 마시고 크게 웃기
4. 삼잔일거(三盞一去) - 한 번에 술 석 잔 마시기
5. 유범공과(有犯空過) - 덤벼드는 사람이 있어도 가만히 있기
6. 자창자음(自唱自飮) - 스스로 노래 부르고 마시기

※ 육각형인 여덟 면의 벌칙
7. 곡비즉진(曲臂則盡) - 팔뚝을 구부려 다 마시기[2]
8. 농면공과(弄面孔過) - 얼굴 간질여도 꼼짝 않기
9. 임의청가(任意請歌) - 누구에게나 마음대로 노래시키기
10. 월경일곡(月鏡一曲) - 월경 한 곡조 부르기
11. 공영시과(空詠詩過) - 시 한 수 읊기
12. 양잔즉방(兩盞則放) - 술 두 잔이면 쏟아버리기
13. 추물막방(醜物莫放) - 더러운 물건을 버리지 않기
14. 자창괴래만(自唱怪來晩) - 스스로 괴래만을 부르기[3]

6. 기타

파일:목제 주령구9.jpg

사진 출처1 : 동아일보 - 신라인들도 주사위 놀이 즐겼다 경주 임해전지서 국내 最古 1400년전 정육면체 주사위 발견, 사진 출처2 : 연합뉴스 : 경주 임해전터 대규모 신라왕경 유적 발굴

거의 알려져있지 않지만 본 항목의 목제 주령구가 출토된 월지(月池)에서는 이 외에도 코끼리 상아로 만들어진 주사위가 1점 더 발견되었다. 제작시기는 7세기로 목제 주령구보다 100여 년 더 옛날 물건인데, 현재까지 발견된 한국의 주사위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하지만 현대에도 자주 쓰이는 정육면체 주사위와 똑같은, 별로 특이한 구석이 없는 탓인지 관심이 적다. 원본이 실수로 인해 사라져버린 목제 주령구와는 달리 이 주사위는 7세기에 신라에서 제작한 원본 그대로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나무로 만들어진 주령구와는 달리 코끼리 상아로 만들어져 있어 파손은 거의 되지 않았다.

파일:목제 주령구10.jpg
사진 출처1 : 노컷뉴스 - 경주동궁원 주차장에 '주령구' 화장실 설치, 사진 출처2 : 연합뉴스 - 경주 동궁원 이색 '주령구 화장실' 눈길

경주시는 2018년에 동궁원 일대에 주령구를 모티브로 디자인한 공용 화장실을 설치해놓았다.

파일:목제 주령구11.jpg
사진 출처1 : 동아사이언스 - 신라시대 놀이기구 주사위 닮은 약물 전달하는 '분자그릇' 개발, 사진 출처2 : 디엔피넷 - 거대 분자 그릇, ‘분자 주령구’ 탄생

2020년 11월에는 한국 기초과학연구원(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이 주령구의 디자인에서 착안하여 분자의 자기조립 특성을 활용한 속이 빈 육팔면체 모양의 거대분자를 합성, 세계 최대의 약물 운반용 분자그릇을 만든 후 이름을 '분자 주령구'로 명명했다. 기존 포피린 박스 직경은 약 3나노미터인데 비해 한국에서 처음 합성한 분자 주령구의 직경은 약 5.3나노미터로, 포피린 박스 직경의 약 1.8배이며, 지금까지 보고된 수많은 분자 다면체 중에서도 가장 크다.

당시 연구단은 한국의 전통 주령구가 두 개의 평면도형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으며, 주령구의 모양을 본떠 분자의 구조가 14면체가 되도록 분자의 길이와 각도를 정밀하게 설계했다. 이후 분자들이 스스로 형태를 갖추는 ‘자기조립 특성’을 활용해 사각형 포피린 분자 12개와 굽은 막대기 모양의 리간드 분자 24개로 이뤄진 ‘분자 주령구(P12L24)’를 합성했다. 속이 빈 분자 다면체이기에 내부에 약물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약물 운반체, 광촉매에 쓸 수 있어 앞으로 많은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예정이라고 한다.

6.1. 주령구 빵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과자빵류 맘모스빵 · 고구마빵 · 마약옥수수빵
조리빵류 튀김소보로 · 허니브레드 · 감자핫도그 · 식빵튀김 · 고로케빵 · 인기가요 샌드위치 · 마늘빵 · 생크림 꽈배기 · 사찰식 피자 · 피자빵 · 불고기버거 · 군대리아
도넛류 찹쌀도넛 · 꽈배기 · 꿀빵 · 치즈볼
찜류 찐빵 · 호빵 · 술빵 · 보리빵
생과자류 바나나빵 · 황남빵 · 찰보리빵 · 호떡 · 수제 초코파이 · 백설기빵
풀빵류 붕어빵 · 잉어빵 · 계란빵 · 땅콩과자 · 호두과자 · 델리만쥬 · 국화빵 · 오방떡 · 대게빵 · 닭빵 · 주령구 빵 · 십원빵
* 생과자류는 본래 과자에 속하지만 인식상 틀에 포함
* 풀빵류는 생과자류의 하위 분류에 속함
*한국에서 개발하거나 개량한 종류만 기재
}}}}}}}}} ||


파일:목제 주령구5.jpg
파일:목제 주령구8.jpg
파일:목제 주령구6.jpg
파일:목제 주령구7.jpg

현재 경주시에서는 지역특산물로 주령구 빵을 팔고 있다. 압도적인 존재감을 뽐내는 경주 황남빵이나 경주 찰보리빵보다는 인지도가 낮지만 꽤 유명한 편이다. 소가 밖에 없던 기존의 명물빵들과 달리 4가지 소[4]를 넣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7. 외부 링크


[1] 사실 예스럽게 말해서 연회용 놀이이지 주사위에 적힌 내용을 보면 사실상 술 게임 도구이다. 발굴지가 월지인 것으로 보아, 왕족이나 귀족 등 지배층들이 술자리를 가지면서 사용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때문에 이 유물이 신라 말기의 부패한 귀족상을 나타낸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2] 방송에서는 러브 샷이라고 소개 [3] 해석이 분분한데, 밤늦게 술 먹고 노래 부르면서 휘적휘적거리며 들어오는 품새를 재연하라는 뜻이거나, 아니면 도깨비를 부르라는 뜻 두 가지가 있다. [4] , 사과, 곤달비, 블루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