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15:31:28

팽이치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10%, #fff 10%, #fff 12%, #000 12%, #000 17%, #fff 17%, #fff 19%, #000 19%, #000 24%, #fff 24%, #fff 76%, #cd313a 76%, #cd313a 87%, #0047a0 87%)"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강강술래 · 거북놀이 · 격구 · 고누 · 고싸움 · 골패 · 공기놀이 · 관등놀이 · 군사놀이 · 그네 · 까막잡기
낙화놀이 · 남생이놀이 · 남승도 · 낫치기 · 널뛰기 · 놋다리밟기
다리밟기 · 단풍놀이 · 달집태우기 · 대문놀이 · 딱지치기 · 뚜럼놀이
ㅁ~ㅂ 문지기 · 바둑 · 방실놀이 · 뱃놀이 · 비석치기
사방치기 · 산가지 · 상여놀이 · 석전 · 설경놀이 · 성불도 · 소싸움 · 소먹이놀이 · 수건돌리기 · 술래잡기 · 숨바꼭질 · 승경도 · 쌍륙 · 씨름
얼음땡 · 여행도 · 연날리기 · 용마놀이 · 용호놀이 · 육박 · 윷놀이
자치기 · 장기 · 전쟁놀이 · 제기차기 · 조조잡기놀이 · 주령구 · 줄다리기 · 줄타기 · 쥐불놀이 · 진놀이
차전놀이 · 초중종놀이 · 축국 · 춘향이놀이 · 칠교놀이
탁족놀이 · 탈놀이 · 탑돌이 · 투전 · 투호
ㅍ~ㅎ 팽이치기 · 풍등놀이 · 화류놀이 · 화전놀이 · 활쏘기 · 횃불싸움 }}}}}}}}}


1. 전통 놀이2. 줄팽이 놀이(88팽이)
2.1. 게임 방식
2.1.1. 찍기의 종류2.1.2. 필살기2.1.3. 찍기 방어
2.2. 근황
3. 동요
3.1. 박인영 작사/작곡의 동요3.2. 윤이현 작사/이경숙 작곡의 동요
4. 관련 문서

1. 전통 놀이

파일:external/www.chosun.com/200401150120_01.jpg
빙판 위에서 팽이치기를 하는 사진.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링크.

팽이를 돌려서 누구의 팽이가 더 오래 돌아가나를 겨루는 한국 전통놀이. 꼭 누군가와 경쟁할 필요는 없고 그냥 재밌어서 하거나 기록용으로 혼자서 하는 경우도 있다.

팽이와 끈 달린 막대기를 사용하는 놀이로, 막대기에 달린 끈으로 돌아가는 팽이에 계속 스핀을 먹여줘야 한다. 단, 끈의 길이가 짦으면 치기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끈의 길이는 긴 편이 좋다.

못치는 사람은 평생을 가도 팽이를 못 친다. 이는 굴렁쇠나 연날리기, 제기차기 같은 다른 놀이들도 마찬가지이다.

팽이를 잘 치는 방법으로는 손목에 스냅을 주어 채찍으로 팽이의 몸통 부분을 휘감았다가 풀리면서 돌게 해준다는 느낌으로 쳐주면 좋다.

2. 줄팽이 놀이(88팽이)

파일:external/scontent-ams3-1.cdninstagram.com/11359002_1448811472090581_32294451_n.jpg

1980, 90년대 초등학생 사이에서 유행하던 팽이 놀이다. 역삼각형 모양의 팽이 끝엔 뾰족한 철심이 박혀 있다. 신발끈 같이 생긴 팽이끈으로 팽이 몸체를 둘둘 감아서 던질 때 끈이 풀어지면서 회전력을 얻는다.

재질을 구분하자면 몸통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팽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팽이, 플라스틱 몸통을 금속링으로 둘러싸는 팽이 등이 있다. 다른 분류로는 팽이 바깥쪽만 둘러싸는 팽이가 있고, 윗부분도 둘러싸는 팽이가 있다. 윗부분도 둘러싸는 팽이를 '깡통 팽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드물지만 몸통전체가 검정고무로된 고무팽이도 있었다.

이 네가지의 기묘한 밸런스로 인해 네 종류 팽이 모두 수요가 있었다. 물론 굳이 따지자면 팽이는 원심력을 강화하기 위해 고질량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성능이 좋고, 또 금속이 멋있어 보이는 이상 금속이 조금이라도 포함된 팽이가 선호된다.

팽이끈을 이용해서 날려서 상대방 팽이를 날려버리고 끈을 튕겨서 점프를 하고 공격을 하고 적어도 1미터 크기의 장소가 필요하고 찍기를 할라면 적어도 3미터 크기의 장소가 필요하다. 어린아이들이 던진다지만 그 아이들이 팽이치기 할때 약하게 던지는 아이들이 얼마나 많았겠는가 밑에 항목에서 알수 있다시피 찍기 하다가 팽이를 부셔먹는 일은 그저 다반사이다. 과거 팽이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졌다지만 부셔먹는게 아이들한테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안다면 이해가 잘 된다.

이런 종류의 놀이듯이 언제나 그렇듯 강하게 던지겠다고 하다가 실수로 사람을 향해서 던지는 사고도 종종 일어났다.

2.1. 게임 방식

일반적으로 상대방 팽이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만들면 이긴다. 줄로 컨트롤 해서 상대방 팽이를 들이받아 넘어 트리거나 찍기 기술을 사용한다.

찍기 기술로는 상대방 팽이의 꼭지나 심지를 박살내면 승리. 부서진 팽이는 이긴 사람의 전리품이 된다. 찍기 기술을 연습하여 찍기 위주로 팽이 대결을 하는 곳도 있어 때문에 지역에 따라 전투 팽이라고도 한다.

바닥에 맞닿아 돌아가는 뾰족한 금속 부분이 너무 뾰족하면 쉽게 기울기 때문에 팽이를 사면 먼저 뾰족한 금속 부분을 조금 뭉툭해 지도록 보도블럭 등에 갈아내는 경우가 많았다. 균일하게 갈아내며 너무 많이 갈아내지 않는 게 중요하다.

마지막에 팽이가 두개 정도 남거나 할 때 지구전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먼저 쓰러지면 지는 방식. 이 때 팽이를 더 오래 가게 하겠다고 깔창, 슬리퍼 등으로 전통 팽이치기 하듯 돌리기도 한다. 단점은 너무 세게 치면 팽이가 날아가 쓰러져버린다는 것.

당연히 팽이가 잘 돌아갈 곳은 되도록 매끄러운 바닥이기 때문에 아스팔트 바닥이나 보도블럭보다 시멘트, 대리석 바닥이 주로 애용된다. 소위 도끼다시라고 불리는 바닥이 흔하면서 질도 좋아 인기가 있었고 역시 최상은 매끄러운 대리석 바닥. 팽이 놀이의 주요 무대도 대부분 아파트 입구나 다세대주택 입구의 대리석 바닥이다. 무거운 팽이가 대리석 바닥에 떨어질 때 나는 묵직한 소리 때문에 바닥 깨진다고 학을 떼는 어른들도 있었다. 특히 1층 주민 분들께는 큰 민폐다. 아이들은 노느라고 정신 없어서 모르지만 쿵 또그르르르르 하는 소리는 흡사 골프공을 던져서 굴리는 소리가 난다. 거기다가 이 소리는 건물을 타고 전달되기 때문에 조용한 집에서 더욱 신경 거슬리는 소리가 된다. 가능하면 다른 곳을 찾도록 하자.

2.1.1. 찍기의 종류

정의된 명칭이 없어 풀어서 기재한다.

도구를 사용하는 방식 (줄 또는 손)
던질 때 찍는 방식

2.1.2. 필살기

놀던 방식에 따라서 저 마다 찍기를 시전할 때 필살기를 외치는 풍경도 볼 수 있었다. 지금 들으면 병맛 넘치는 네이밍 센스. 놀던 아이들이 90년대 국/초딩이었으며, 촌스러운 필살기 이름을 가졌던 탑블레이드마저 이 시대 이후에 유행을 탔다는 것을 감안하자.

주로 들어간 용어는 다크, 블랙, 파이어, 레드, 번개, 마하, 드래곤 등등 주로 색 관련이나 그 당시 유명한 만화의 필살기와 유사한 이름이 등장한다. 의외로 영어를 많이 썼다는 점은 시대를 앞서나간 요소라고 볼 수 있긴 하나, 다른 의미 관계를 크게 고려하지 않고서도 주로 연결성이 강한 단어끼리 짝지어 기술명을 만드는 경향이 강해서 그 당시에는 유치함, 현재 시점에서 보면 손발이 오그라드는 특성이 강화되었다.

예를 들면, 블랙홀 다크 썬더! 하고 던지는 것.

2.1.3. 찍기 방어

찍기에 팽이를 방어하기 위해서 팽이 윗부분에 양초의 촛농을 골고루 펴바르거나, 팽이 윗부분 면적과 비슷한 고무패드를 구해서 중앙에 구멍을 뚫어 끼우기도 한다. (사실 쇠팽이 쓰면 된다. 왜냐하면 쇠팽이가 스태미너는 적어도 공격력도 세고 여러모로 좋은 점이 많은 데다 웬만한 찍기는 가볍게 넘겨버리고 강한 찍기는 그래도 꽤 세서 약간 티리리리리링 하고 밀려날 정도밖에 안 되기 때문.)

2.2. 근황

2000년대까지 나름의 움직임이 있었다. 시골에서는 종종 돌리는 아이들도 있었고 도시에서도 종종 돌리는 아이들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최근에 아파트 현관에서 팽이 돌리기 때문에 주민들 출입이 불편하니 다른데 가서 할 수 있도록 아이들에게 알려주라고 공고문이 붙은 곳도 있었다.

2008년에 경기도 일부 지역 초딩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한 적이 있었다. 얼마나 유행했냐면 쉬는시간과 점심시간마다 전교생이 팽이를 돌릴정도였다. 가끔 나이 20 전후의 동네 형들이 나와서 같이 돌리는 경우도 있었다. 그 형들이 가지고 나온 팽이는 그 당시에는 구하기 힘들던 흰색 금속림의 88팽이였기 때문에 초등학생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베이블레이드, 탑블레이드 등의 팽이에게 밀려 거의 사라졌다.

3. 동요

미국 민요인 양키 두들 번안 동요. 종종 어린이들이  쎄쎄쎄 놀이 할 때 사용된다.

채를 감아 던지면
꼿꼿하게 서서
뱅글뱅글 뱅글뱅글
잘도도는 팽이

팽이하고 나하고
한나절을 놀고
팽이따라 뱅글뱅글
나도돌며 놀고

3.1. 박인영 작사/작곡의 동요

팽이치기
<colbgcolor=#f5f5f5,#1f2023><colcolor=#373a3c,#dddddd> 노래 <colbgcolor=#ffffff,#2d2f34>송기욱(당시 서울 상수국민학교)
발표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1989년 10월 8일[A]
러닝타임 ??:??
장르 동요
작사 박인영(당시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2학년)[2]
작곡
[clearfix]
1989년 제1회 KBS 창작동요대회 최우수상 수상곡.[3]

3.2. 윤이현 작사/이경숙 작곡의 동요

팽이치기
<colbgcolor=#f5f5f5,#1f2023><colcolor=#373a3c,#dddddd> 노래 <colbgcolor=#ffffff,#2d2f34>최효연(당시 서울 중평국민학교 6학년)
발표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1991년 10월 12일[A]
러닝타임 ??:??
장르 동요
작사 윤이현
작곡 이경숙(당시 서울 중평국민학교 교사)
[clearfix]
1991년 제3회 KBS 창작동요대회 최우수상 수상곡.

놀랍게도 제1회 수상곡과 동명이곡이다!

4. 관련 문서



[A] 녹화일은 10월 5일 [2] 이후 음악감독이 되었다. 오늘날 영화음악 연출을 맡으며, 서울시립교향악단 애국가 편곡으로 잘 알려져 있다. [3] 우수상은 기차를 타고. [A]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