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19:38:47

전라남도청

전라광역남도청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청 부산광역시청 대구광역시청 인천광역시청 광주광역시청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청 울산광역시청 세종특별자치시청 경기도청
북부청사
강원특별자치도청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청 충청남도청 전북특별자치도청 전라남도청 경상북도청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 하양.svg 파일: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청 제주특별자치도청 이북5도청 }}}}}}}}}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청
全羅南道廳 | Jeollanam-do Provincial Government
파일:jeonnam-2010-5-1.jpg
<colbgcolor=#ffcd00><colcolor=#000> 슬로건 세계로 웅비하는 대도약! 전남 행복시대
주소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오룡길 1 (남악리)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관할 구역 전라남도
직원 수 1,261명[1]
예산 11조 8,098억 원 ( 2023년)
도지사
김영록 (재선)[2]
부지사 명창환 (행정)
박창환 (정무)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3. 청사4. 조직
4.1. 휘하 시/군청4.2. 역대 도지사4.3. 산하기관
4.3.1. 지방공기업4.3.2. 지방출연기관
5. 대중교통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이자 그 기관이 입주한 건물.

2005년 10월 17일 목포시 무안군에 걸쳐 개발된 남악신도시[3]로 이전과 동시에 업무가 시작되었다. 위의 사진에서 우측에 있는 둥근 건물은 전남도청을 견제하는 전라남도의회 건물이며, 전라남도의회뿐 아니라 전남재난안전대책본부도 도청과 함께 있다.[4] 그야말로 전라남도 행정의 중심. 도청 청사 앞쪽으로는 만남의 광장이 자리잡고 있다.

2. 연혁

파일:전남도청 1896.jpg 파일:전남도청1910.jpg
1910년대, 선화당 삼문 1910년대, 바로 맞은편의 전남도청
1895년 23부제가 폐지되고, 1896년 13도제가 시행되자 전라도가 남·북으로 나뉘어 전라남도가 탄생하게 되었다. 23부제 때 관찰부는 나주에 있었다. 그러나 도제로 원복할 때 광주로 이전하게 되었고 이때부터 도청을 품게 된 광주가 호남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게 된다.[5] 청사는 현 아시아문화전당 맞은편에 있던 선화당을 비롯한 관아 건물군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전남관찰부가 전남도청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맞은편 광산동의 구 재무감독국 건물로 이전한다.
파일:13_1_96161.jpg 파일:전남도청_1946.jpg
1930년대 1940년대
1930년대가 되면서 전남도청 역시 이 당시 경성부청, 부산부청, 인천부청 등이 겪던 청사 협소 문제를 겪게 되었고, 이에 1910년대부터 사용하던 구 재무감독국 건물을 헐고 그 자리에 새로운 청사를 짓게 되었는데, 2층짜리 본관과 회의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청사가 바로 광주시민 및 전남도민들에게 구 도청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를 아시아문화전당 건물이다.

신축 당시에는 적벽돌과 화강암이 조화를 이루는 외관이였으며, 지금처럼 하얀색이 된 것은 해방 후 미군정 때이다. 여담으로 미군정 시기 흰색 페인트칠을 한 것이 일각에서는 백악관을 흉내내려 한 것이란 소문이 돌기도 한데, 그것보다는 지어진지 20년이 다 되어가며 건물 노화로 곳곳에서 벽돌가루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는 쪽이 더 설득력이 있다.

1940년대 당시에는 전남도청 앞 도로가 지금과는 달랐는데, 아직 금남로[6] 확장공사가 이루어지기 전이라 도청 앞 분수대와 로터리가 아직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청 바로 앞의 고풍스러운 건물은 일본식 체육관인 무덕전으로, 한때 전라남도지사의 관사로 쓰이기도 했다(현 상무관 서쪽, 민주의 종각 남쪽).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710878_STD.jpg
2000년대
1968년 금남로가 현재 모습처럼 확장되었다. 1975년도에 실시된 증축공사로 본관만 있던 전남도청에 별관이 새로 생겼다. 위 사진의 좌측이 본관, 우측이 1975년에 지은 별관이다. 별관 우측의 건물은 전라남도의회 청사로 현재는 철거되었다. 이 당시 금남로 확장공사와 도청 증축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자축하는 행사가 1975년에 열리기도 했다.

도청 증축 5년 후인 1980년, 전라남도 뿐 아니라 대한민국 역사에 중요한 장소로 떠오르게 되는데, 바로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비무장 시민을 향해 집단발포를 하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로 말미암아 광주 전역이 시민군과 계엄군의 치열한 전투의 현장이 되었고, 그 중에서도 바로 이 도청이 5월 27일 계엄군에게 최종적으로 진압 될 당시까지 시민군이 마지막 거점으로 삼아 최후의 저항을 펼치던 곳이다. 현재도 곳곳에 탄흔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external/i.huffpost.com/n-FIRE-large570.jpg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당시[7]
구 도청 앞 분수대도 도청 건물 못지않게 상징적인 공간이다. 도청 앞 광장은 서울특별시의 광화문광장이나 시청앞 광장과 비슷하게 대규모 집회·축제·행사가 자주 열리는 중요한 장소가 되었다.

1993년 5월 13일 김영삼 대통령의 담화문인 " 5·18의 연장선에 선 문민정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담화문"에서 "광주 시민과 전남 도민의 의사에 따라 현재 광주 시내에 있는 전라남도청을 전남도 관내로 이전하고, 당시 민주화 운동의 현장이었던 현 도청 위치에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기념공원을 조성하고 기념탑을 세우는 방안을 적극 검토, 지원할 것입니다."라고 말을 해 본격적으로 이전 논의가 시작되었다. 담화 이후 국민의 정부와 참여 정부를 거치면서 전남도청은 전남 무안으로 이전했다. 이후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 공약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을 추진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남악신도시로 전남도청이 이전한 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구도청에 입주하는 과정에서 건물 일부를 헐겠다고 했을 때 관련 단체들의 반발이 매우 심했으나, 원만히 해결된 후 리모델링을 거쳐 도청 본관은 민주평화교류원이 됐다. 이후의 역사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서에서 확인 가능하다.

3. 청사

파일:jeonnam-2010-5-1.jpg
2010년대의 전남도청

이후 2005년 10월 11일, 1930년대부터 쓰인 현재 금남로4가역에 있는 전남도청을 보존하고, 지금 현재의 전남도청으로 청사를 이전하였다. 행정동은 23층으로 관할 22개의 시군과 전라남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비슷한 시기에 신청사로 이전한 도봉구청과 외형이 비슷하다.[8]

3.1. 전라남도 동부지역본부

도청 청사가 전라남도의 서쪽 끝에 위치한 무안군에 위치해 있어서 동쪽 끝인 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전라남도 동부권 주민들의 방문 불편에 대한 민원이 계속해서 나왔었다. 이를 반영해서 제2청사 기능을 하는 전라남도 동부지역본부 순천시에 건립하기로 하였다. 위치는 순천시 해룡면 신대지구이며, 2021년 10월 착공해서 2023년 9월 개관했다. #

4. 조직

4.1. 휘하 시/군청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광양시 CI_White.svg
광양시
파일:나주시 CI_White.svg
나주시
파일:목포시 CI_White.svg
목포시
파일:순천시 CI_밤색바탕용.svg
순천시
파일:여수시 CI_White.svg
여수시
광양시청 나주시청 목포시청 순천시청 여수시청
자치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고흥군 CI_White.svg
고흥군
파일:곡성군 CI_White.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_White.svg
구례군
파일:담양군 CI_White.svg
담양군
강진군청 고흥군청 곡성군청 구례군청 담양군청
파일:무안군 CI_White.svg
무안군
파일:보성군 CI_White.svg
보성군
파일:신안군 CI_White.svg
신안군
파일:영광군 CI_White.svg
영광군
파일:영암군 CI_White.svg
영암군
무안군청 보성군청 신안군청 영광군청 영암군청
파일:완도군 CI_White.svg
완도군
파일:장성군 CI_White.svg
장성군
파일:장흥군 CI_White.svg
장흥군
파일:진도군 CI_White.svg
진도군
파일:함평군 CI_White.svg
함평군
완도군청 장성군청 장흥군청 진도군청 함평군청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해남군 CI_White.svg
해남군
파일:화순군 CI_White.svg
화순군
해남군청 화순군청 }}}}}}}}}}}}

4.2. 역대 도지사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지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이남규
제2대
박철수
제3대
이을식
제4대
추규영
제5대
민병기
제6대
이기세
제7대
황성수
제8대
이하영
제9대
민영남
제10대
최의남
제11대
민영남
제12대
송호림
제13대
김용관
제14대
신용우
제15대
김보현
제16대
김재식
제17대
허련
제18대
고건
제19대
장형태
제20대
김종호
제21대
김창식
제22대
전석홍
제23대
문창수
제24대
송언종
제25대
최인기
제26대
백형조
제27대
이효계
제28대
이균범
제29대
구용상
제30대
조규하
제31·32대
허경만
제33대
박태영
제34-36대
박준영
제37대
이낙연
제38·39대
김영록
파일:전라남도 슬로건.svg }}}}}}}}}



전라남도지사 문서로.

4.3. 산하기관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cd00>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cd00><colcolor=#000> 지방공기업 전남개발공사
지방출연기관 광주전남연구원 | 한국학호남진흥원 | 전라남도순천의료원 | 전라남도강진의료원 | 전남신용보증재단 |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 전남테크노파크 | 전라남도중소기업진흥원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 명량대첩기념사업회 | 전남여성가족재단 | 전남인재평생교육진흥원 | 전라남도청소년미래재단 | 전라남도문화재단 | 녹색에너지연구원 | 포뮬러원국제자동차경주대회조직위원회 | 전라남도국제농업박람회 | 전라남도환경산업진흥원 | 전라남도사회서비스원 | 전라남도세계친환경디자인박람회조직위원회 | 남도음식문화큰잔치 | 남도장학회 | 전라남도관광재단
}}}}}}}}} ||

4.3.1. 지방공기업

4.3.2. 지방출연기관

5. 대중교통

청사를 이전한 지 20년 가까이 되었으나 대중교통이 상당히 불편하다. 남악신도시 내 시내버스 이용은 불편하지 않으나 목포시 시내버스 노선은 죄다 아파트 쪽으로만 운행하고, 무안군 관내 농어촌버스는 아예 도청 앞으로 오지 않는다. 외지에서 오는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올 수 있다.

1. 남악시외버스정류장 : 전남 13개 시/군에서 남악경유 목포/진도행 버스를 이용하면 도청 바로 앞에서 하차할 수 있다.
2.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목포 버스 3번을 이용하면 도청 맞은 편에서 하차할 수 있다.
3. 목포역 : 1번, 20번을 이용하여 홈플러스 정류장에서 3번으로 환승할 수 있다.

5.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전남도청(43030)
주공회룡마을 방면
||
목포시 시내버스
간선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전남도청(43056)
전남교육청 방면
||
목포시 시내버스
간선버스

5.2. 철도


청사에서 자동차로 약 10분 거리에 임성리역이 있으나 무궁화호 하루 왕복 1.5회에 그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목포역을 이용해야 한다. 임성리역에서는 전라남도청으로 바로 오는 대중교통편마저 없다.

5.3. 시외버스

행선지만 놓고 보면 전라남도 13개 시/군에서 남악까지 바로 오는 시외버스 편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하루 1~2회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자동차로 35분이면 도달하는 함평읍이나 영암읍의 경우 읍내에 위치한 터미널에는 직통편이 없고 함평 학교면 함사거리와 영암 학산면 독천터미널에서 시외버스 이용이 가능하나 이마저도 하루 3~4회에 불과해서 여러모로 이용이 불편하다. 광주, 순천, 여수, , 진도를 제외하면 목포종합버스터미널을 이용하는 게 훨씬 낫기에 아래 노선은 남악으로 바로 가는 버스도 있다 정도로 유의해 두면 좋다.
행선지 경유지 운수회사
서울 무안 금호고속
부산 삼호, 광양, 동광양 금호고속
광주 (직통) 광주송정역, 우산동 금호고속
광주 (직행) 청계, 무안, 함사거리, 다시, 나주, 나주혁신도시, 진월동 금호고속
진도 삼호, 우수영(해남), 녹진(진도) 금호고속
완도 삼호, 독천, 해남, 남창, 원동(완도) 금호고속
여수(직통) 삼호, 순천, 여천 광우고속
금호고속
여수(직행) 삼호, 독천, 강진, 장흥, 배산, 보성, 벌교, 순천, 여천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cd00>
전라남도
관련 문서
}}}
{{{#!wiki style="color:#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cd00><colcolor=#000> 기관 전라남도청 · 산하 기관
기초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장( 1기 · 2기 · 3기 · 4기 · 5기 · 6기 · 7기) · 시·군청 · 기초자치의회
도로 도로 · 대로 · 전라남도의 지방도
대중교통 버스
주거 공동주택
교육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거점고 · 과학중점고 · 예술고) · 각종학교 · 특수학교 · 대학교
시설 병원 }}}}}}}}}




[1] 국가직 공무원 제외. [2] 민선 7· 8기. [3] 서류상으로는 남악신도시 개발 부지에 속하지 않으나 전라남도청 배후지역 개발을 위해 남악신도시를 조성했기에 자연스럽게 남악신도시에 있는 것으로 본다, [4] 과거 전라남도청 내에 위치했던 전남소방본부는 2020년 10월에 장흥군 소재의 신청사로 이전했다. [5] 사실 광주도 이 이전부터 호남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전남도청이 광주로 옮겨온 후 나주의 도시규모까지 몰빵되어 전남 지역은 물론 전주마저 추월해 전라도 제1도시에 올라선 것이다. [6] 위 사진의 우측 하단에 위치한 하얀 도로가 바로 금남로이다. [7] 촛불은 바람 불면 꺼진다는 망언을 계기로 전국 곳곳에서 횃불 시위가 열릴 당시 찍힌 사진이다. 2016년 11월 19일 박근혜 대통령 하야 요구 집회 당시 광주에선 5.18 이후 처음으로 광주 시민들의 횃불성회가 등장하였다. [8] 무안군과 도봉구는 자매결연 관계. 참고로 도봉구청은 2003년 11월 17일에 이전과 동시에 업무가 시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