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23:20:20

목포 버스 3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4년 개편 전 3번에 대한 내용은 목포 버스 3(폐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4cbb1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wiki style="color:#4cbb17;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좌석
간선
지선
순환
낭만
섬지역 마을버스
폐지된 노선은 목포시 시내버스/폐선 문서 참조.
}}}}}}}}} ||
파일:태원여객 신3번.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목포시 CI_White.svg 목포시 간선버스 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2024목포3.jpg
기점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동(삼학도차고지) 종점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오룡리(오룡주차장)
종점행 첫차 05:50 기점행 첫차 06:00
막차 22:30 막차 22:30
배차간격 8~13분
운수사명 태원여객, 유진운수 인가대수 18대
노선 삼학도차고지 - 동명동사거리 - 목포역 - 목포여고 - 산정동주민센터 - 목포시청 - 홈플러스 - 목포과학대학교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포르모 - 목포소방서육교 - 시민문화체육센터 - (← 법원. 검찰청 ←) - 주공회룡마을 - 전남도청 - 남악성당 - 오룡호반써밋2차 - 오룡행복초등학교 - 오룡주차장

===# 조정 예정 #===
파일:목포시 CI_White.svg 목포시 간선버스 3번
기점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동(삼학도차고지) 종점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오룡리(오룡주차장)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06:00
막차 22:30 막차 22:30
배차간격 12~13분
운수사명 태원여객, 유진운수 인가대수 14대
노선 삼학도차고지 - 자유시장 - 목포복음교회 - 동명농협 - 목포역 - 목포여고 - 산정동주민센터 - 목포시청 - 한일시장 - 홈플러스 - 목포과학대학교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청호시장입구 - 포르모 - 목포소방서육교 - 시민문화체육센터 - (← 법원. 검찰청 ←) - 주공회룡마을 - 전남도청 - 남악성당 - 오룡호반써밋2차 - 오룡행복초등학교 - 오룡주차장
파일:목포시 CI_White.svg 목포시 간선버스 3-1번
기점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동(삼학도차고지) 종점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오룡리(오룡주차장)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
막차 22:10 막차 -
배차간격 40~50분
운수사명 태원여객, 유진운수 인가대수 4대
노선 삼학도차고지 - 자유시장 - 목포복음교회 - 동명농협 - 목포역 - 목포여고 - 산정동주민센터 - 목포우체국 - 동부시장 - 홈플러스 - 목포과학대학교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청호시장입구 - 포르모 - 목포소방서육교 - 시민문화체육센터 - (← 법원. 검찰청 ←) - 주공회룡마을 - 전남도청 - 남악성당 - 오룡호반써밋2차 - 오룡행복초등학교 - 오룡주차장

2. 개요

목포시 간선버스 노선 중 하나다.

3. 역사

파일:목포_2_지도 노선도.png }}}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이 쪽 동네 길이 막다른 길이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대형차량이 못 가는 길이 있기는 하다. 지금의 석현동 구간 길이 없던 한국전쟁 즈음만 하더라도 이곳이 서울가는 길이었다. [2] 지금의 인수당한약방 [3] 원도심이 번성했을 때는 좁은 도로에 사람과 차량이 얽혀 구간을 지나가기 쉽지 않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