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천황(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일본 신화| 전승 ]]
|
||||||||
<rowcolor=#DCA6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진무 | 안네이 | 이토쿠 | 고쇼 | ||||||
<rowcolor=#DCA600>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고안 | 고레이 | 고겐 | 가이카 | 스진 | |||||
<rowcolor=#DCA600>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스이닌 | 게이코 | 세이무 | 주아이 | ||||||
[[고훈 시대| 고훈 시대 ]]
|
|||||||||
<rowcolor=#DCA600>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오진 | 닌토쿠 | 리추 | 한제이 | 인교 | |||||
<rowcolor=#DCA600>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안코 | 유랴쿠 | 겐조 | 닌켄 | ||||||
<rowcolor=#DCA600>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부레쓰 | 안칸 | 센카 | 긴메이 | ||||||
<rowcolor=#DCA600>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비다쓰 | 요메이 | 스슌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
|||||
<rowcolor=#DCA600>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
스슌 | 스이코 | 조메이 | 고교쿠 | ||||||
<rowcolor=#DCA600>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
고토쿠 | 사이메이 | 덴지 | 고분 | ||||||
<rowcolor=#DCA600>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
덴무 | 지토 | 몬무 | 겐메이 | ||||||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
|||||||||
<rowcolor=#DCA600>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제46대 | ||||||
겐메이 | 겐쇼 | 쇼무 | 고켄 | ||||||
<rowcolor=#DCA600> 제47대 | 제48대 | 제49대 | 제50대 | ||||||
준닌 | 쇼토쿠 | 고닌 | 간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
||||
<rowcolor=#DCA600> 제50대 | 제51대 | 제52대 | 제53대 | 제54대 | |||||
간무 | 사가 | 준나 | 닌묘 | ||||||
<rowcolor=#DCA600> 제55대 | 제56대 | 제57대 | 제58대 | 제59대 | |||||
몬토쿠 | 세이와 | 요제이 | 고코 | 우다 | |||||
<rowcolor=#DCA600> 제60대 | 제61대 | 제62대 | 제63대 | 제64대 | |||||
다이고 | 스자쿠 | 엔유 | |||||||
<rowcolor=#DCA600> 제65대 | 제66대 | 제67대 | 제68대 | 제69대 | |||||
가잔 | 이치조 | 산조 | |||||||
<rowcolor=#DCA600> 제70대 | 제71대 | 제72대 | 제73대 | 제74대 | |||||
고산조 | 도바 | ||||||||
<rowcolor=#DCA600> 제75대 | 제76대 | 제77대 | 제78대 | 제79대 | |||||
스토쿠 | 고노에 | 니조 | 로쿠조 | ||||||
<rowcolor=#DCA600> 제80대 | 제81대 | 제82대 | |||||||
안토쿠 | 고토바 | ||||||||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
|||||||||
<rowcolor=#DCA600> 제82대 | 제83대 | 제84대 | 제85대 | 제86대 | |||||
고토바 | 준토쿠 | 주쿄 | |||||||
<rowcolor=#DCA600> 제87대 | 제88대 | 제89대 | 제90대 | 제91대 | |||||
고사가 | 고우다 | ||||||||
<rowcolor=#DCA600> 제92대 | 제93대 | 제94대 | 제95대 | 제96대 | |||||
후시미 | 고니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
||||||
<rowcolor=#DCA600> 제96대 | 제97대 | 제98대 | 제99대 | ||||||
조케이 | |||||||||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
|||||||||
<rowcolor=#DCA600> 제100대 | 제101대 | 제102대 | 제103대 | ||||||
쇼코 | |||||||||
<rowcolor=#DCA600> 제104대 | 제105대 | 제106대 | |||||||
고나라 | 오기마치 |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
|||||||||
<rowcolor=#DCA600> 제106대 | 제107대 | ||||||||
오기마치 | 고요제이 | ||||||||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
|||||||||
<rowcolor=#DCA600> 제107대 | 제108대 | 제109대 | 제110대 | ||||||
메이쇼 | 고코묘 | ||||||||
<rowcolor=#DCA600> 제111대 | 제112대 | 제113대 | 제114대 | ||||||
고사이 | 레이겐 | ||||||||
<rowcolor=#DCA600> 제115대 | 제116대 | 제117대 | 제118대 | ||||||
모모조노 | |||||||||
<rowcolor=#DCA600> 제119대 | 제120대 | 제121대 | 제122대 | ||||||
고카쿠 | 닌코 | 고메이 | 메이지 | ||||||
근현대
|
|||||||||
<rowcolor=#DCA600> 제122대 | 제123대 | 제124대 | 제125대 | ||||||
메이지 | 다이쇼 | 쇼와 | 아키히토 | ||||||
<rowcolor=#DCA600> 제126대 | |||||||||
나루히토 | |||||||||
}}}}}}}}}}}} |
천황 관련 틀
|
|||||||||||||||||||||||||||||||||||||
|
황실 및 왕실의 구성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직계 남성 | 배우자 | 직계 여성 | 기타 |
퇴위한 명예군주
|
태상황/ 태상왕 | 태상황후/ 태상왕비 | - | 태황태후/ 대왕대비 | |
퇴위한 군주
|
상황/ 상왕 | 상황후/ 상왕비 | - | - | |
군주 | 황제/ 왕 | 황후/ 왕비 | 여제/ 여왕 |
황태후/
왕대비 ( 국장/ 국구), 국태부인 국서 |
|
군주의 궁인
|
환관/ 내시 | 후궁 | 상궁 | 남총 | |
군주의 후계자(자녀)
|
황태자/ 왕세자 | 황태자비/ 왕세자빈 | 황태녀/ 왕세녀 | 부마 | |
군주의 자녀
|
황자/ 왕자 | 황자비/ 왕자비 | ( 공주, 황녀)/( 공주, 옹주) | 부마 | |
군주의 후계자(형제)
군주의 후계자(손자) 군주의 형제 군주의 장남,장손 군주의 친부 |
황태제/
왕세제 황태손/ 왕세손 황제(皇弟)/ 왕제(王弟) 원자, 원손 -/ 대원군 |
-/ 부대부인 |
장공주 |
- | |
|
|||||
●
중국(-3C ~ 20C 초)
|
황제 황태자 친왕, 군왕 |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 군왕비 |
공주, 군주, 현주 |
황태후 부마 |
|
왕->
국왕 태자-> 세자 공(公), 군(君) |
왕후->
왕비 태자비-> 세자비 공비(公妃), 군비(君妃) |
왕녀-> 공주 |
태후 부마 |
||
●
조선
|
임금 세자 대군, 군(君) |
왕비 세자비 부부인, 군부인 |
공주, 옹주 |
왕대비 부원군, 부부인 부마-> 의빈 |
|
●
일본
|
천황 황태자 친왕, 왕 |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 왕비 |
천황 내친왕, 여왕 |
황태후 |
|
●
영국
|
King Prince of Wales HRH Prince, Prince |
Queen+이름 Princess of Wales Duchess of 남편의 작위명 |
The Queen HRH Princess, Princess |
Queen+이름 Prince+이름 |
|
각 항목에는 가장 대표적인 용어 하나만 표기하며, 황실과 왕실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를 경우 '/' 기호로 구분한다. 두 단어가 밀접한 관계에 있거나 각기 다른 서열과 지위를 가질 경우 ',' 기호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
|||||
-기호 또는 빈칸은 동아시아 황실/왕실 체제에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거나 관련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당시에는 이러한 경우 특별한 호칭 없이 이름이나 관직명을 사용했다. 그러나 본 틀에서는 문헌 기록이 없더라도, '왕세녀', '국서'처럼 근현대에 새롭게 자리잡은 번역어의 경우 포함해 기재한다.
|
천황 [ruby(天皇, ruby=てんのう)] | Emperor of Japan |
|
<colbgcolor=#bd0029><colcolor=#dca600> 국가 |
<colbgcolor=#fff,#1c1d1f>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가문 | 일본 황실 |
현직 | 나루히토 / 제126대 |
즉위 | 2019년 5월 1일 |
연호 | 레이와 (令和) |
초대 | 진무 천황 |
성립일 |
기원전 660년
2월 11일 ( 진무 천황 즉위 원년 1월 1일) |
경칭 | 폐하([ruby(陛下, ruby=へいか)]) |
관저 | 일본 도쿄도 황거(皇居, 고쿄) |
천황기[1] |
[clearfix]
1. 개요
日本國憲法 第1章 天皇[2]
第1條
天皇は、日本國の象徵であり日本國民統合の象徵であつて、この地位は、主權の存する日本國民の總意に基く。[3]
일본국 헌법 제1장 천황(天皇)
제1조
천황은 일본국의 상징이자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이며, 이 지위는 주권이 있는 일본 국민의 총의에 기반한다.
第1條
天皇は、日本國の象徵であり日本國民統合の象徵であつて、この地位は、主權の存する日本國民の總意に基く。[3]
일본국 헌법 제1장 천황(天皇)
제1조
천황은 일본국의 상징이자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이며, 이 지위는 주권이 있는 일본 국민의 총의에 기반한다.
천황(天皇)은 일본의 군주를 가리키는 칭호이다.
현재 일본의 천황은 제126대 나루히토이며, 2019년 5월 1일 즉위했다. 연호는 레이와(令和)이다. 부황(父皇) 아키히토는 생전 퇴위하여 상황(上皇)으로 물러났다. 생전 퇴위는 고카쿠 천황 이후 202년만이다.
역사적으로는 일본의 전통 종교 신토의 주신(主神)인 태양의 여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숭배하는 신토 신앙의 최고 제사장이었던 사람을 부르는 명칭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일본 제국의 사실상 국교[4]였던 국가신토의 교주이자 일본 제국의 국가원수(元首), 일본군의 대원수(大元帥)로 추대되기도 하였으나, 패전 이후 개헌된 현행 일본국 헌법에서는 '일본국의 상징'이자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만 규정되어 있다.
일본국 헌법에 국가원수를 지목하는 직접적인 조문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국가원수가 수행하는 주요 행위인 '국사행위(国事行為)'[5], 즉, 내각총리대신과 최고재판소 장관 임명, 헌법·법률·정령(政令)[6] 및 외국과의 조약 공포, 국회 소집, 중의원 해산 등의 권한이 상징적으로[7] 천황에게 있으며, 또한 공식적인 의전서열상으로도 천황과 황족들이 내각총리대신 등 관료들을 앞선다. 따라서 일본 내외의 헌법학계에서는 천황을 사실상의 국가원수로 보고 있다.
2. 칭호
한자 '천황(天皇)'의 일본어 발음은 음독(音読み)하여 '덴노(てんのう, Tennō)'가 된다.[8] 한국에서는 일단 정부에서는 상대국에서 부르는 대로 호칭하는 관례에 따라 대정부 차원의 외교 관계에서는 천황이라고 부르고 있고, 언론이나 대중은 '천황' 외에 이를 일본어 고유명사로 보아 외래어 표기에 따라 읽은 '덴노'라 부르기도 하며, 격하하려는 의도로 '일왕'이라는 칭호로도 부른다.영어권에서는 음역인 'Tennō'보다 격에 따른 의역인 'Emperor of Japan'으로 옮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서구권에서는 'Emperor', 즉 ' 황제'로 의역되어 불리며, 공식 직함에 황제를 의미하는 명칭이 들어가는 지위로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이다.[9][10] 서구 외에 다른 국가에서도 황제 칭호를 붙이는데, 일례로 태국에서는 자국 군주는 그냥 라자(국왕)라고 부르면서도 일본 천황에 대해서는 마하라자(황제)라고 칭한다.
일본인들이 천황을 언급할 때는 '천황(天皇)' 혹은 폐하를 붙여 '천황폐하([ruby(天皇陛下, ruby=てんのうへいか)])'라고 하며, 일본 언론에서는 거의 '천황폐하' 또는 '금상폐하([ruby(今上陛下, ruby=きんじょうへいか)])'라고 한다. 금상([ruby(今上, ruby=きんじょう)])은 재위 중인 임금을 부르는 말로 군주정 시대 한국의 '주상전하'처럼 자국 임금을 가리켜 쓰던 말이다. 간략히 줄일 땐 폐하([ruby(陛下, ruby=へいか)])로 부른다. 간혹 옛날식 명칭인 미카도(帝/御門) 혹은 '천자님([ruby(天子様, ruby=てんしさま)])'으로 부르기도 한다고 한다. 황후를 같이 언급할 때는, '천황황후양폐하([ruby(天皇, ruby=てんのう)][ruby(皇后, ruby=こうごう)][ruby(両陛下, ruby=りょうへいか)])'라고 부른다. 반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어지간히 극우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도 일상적으로 천황을 언급할 때는 대부분 '천황'이라고만 하며, 반대로 천황제에 부정적/회의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도 공식석상에서는 대부분 '천황폐하'라고 한다.
'천황'을 한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하늘의 황제, 중세 시대 이후로 도교의 민간 신앙 중에 인기 있는 신 중 하나인 옥황상제를 뜻한다. 그러나 일본 내에서 천황은 현신과 같다는 오해와는 달리, 일본의 건국 신화에서도 황실을 신의 후예(神裔)라고 주장하지 신 그 자체라고는 주장하지 않는다. 천황의 지위를 과도하게 높여 살아 있는 신 그 자체로 모시는 사상은 메이지 유신 후에 나온 것이며, 이 당시 민중들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파급력을 고려하여 인지도 있는 중국의 민간 신앙 등을 받아들여 자국 신화와 기타 설정과 섞어 명칭을 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전에는 동아시아 주류 문화권과 격절된 섬나라의 이점을 살려 독자적으로 칭제하는 정도였다. 다만, 스이코 천황 치세인 607년에 조카 쇼토쿠 태자는 수양제에게 보낸 ' 해 뜨는 곳의 천자(日出處天子)가 해 지는 곳의 천자(日沒處天子)에게 글을 보내노라'는 글로 간접적 하대를 한 적이 있었다.[11]
2.1. 어원
고대 일본의 지배자들은 대왕(大王), 대군(大君) 등으로 표기되는 오키미(おおきみ)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순음 퇴화 이전인 고대 일본어로는 '어버키미(öpökîmî)'라 발음되었으며, 한자 표기 그대로 '큰 임금'을 뜻한다. 수서 동이전에는 '아배계미(阿輩鷄彌)'라고 기록되었다. 야마토 왕권의 오키미가 중국으로부터 '왜왕'이라 불리며 책봉을 받은 일도 있다. 이후 유랴쿠 천황의 치세인 478년에는 안동대장군(安東大將軍)을 하사받기도 했다.[12] 오키미는 치천하대왕(治天下大王), 스메라미코토(すめらみこと)라는 명칭으로 변천했는데 바로 이 스메라미코토의 의미를 한자를 빌려 표기한 것이 천황(天皇)이다. 고대에는 '스메라미코토'라고 읽었지 '덴노'라고 읽지는 않았다.천황이라는 표기를 사용하게 된 것에 대해서 일반적인 속설로는 중화권의 황제인 천자(天子)보다 높이려는 의도로 썼다는 얘기도 있다. 그런데 중화권에서의 천황은 중국 신화에 나오는 주신인 옥황상제를 일컫는다. 일본서기에 쇼토쿠 태자가 오노노 이모코를 수나라에 파견했을 때 당시의 서찰의 서두에 "동천황이 서황제께 보내노라.(東天皇敬白西皇帝)"라고 적혀있는 것으로 볼 때 '천황'이라는 단어 자체는 원래 일본에서 썼을지도 모른다고 하지만, 수서에는 '해 뜨는 땅의 천자가 해 지는 땅의 천자에게'라고 되어 있어서 일본서기 편찬 과정에서 윤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3] 임금을 '천신의 후손'(天神の後孫)이라고 주장한 건 일본뿐만이 아니었다. 해당 구절에 대해 학계에서는 고구려 승려 혜자가 당시 쇼토쿠 태자의 스승으로 자문 역할을 하고 있었고 해가 뜬다 진다가 일본 열도가 아닌 한반도 중심의 지리관이라는 점에서 고구려의 전략적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하는 견해가 강한 지지를 얻고 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14] 도교의 영향을 받기 이전 천황의 의례는 태양과 연계되는 동서축이 종교 의례적으로 중요했다.
'천황'이라는 용어는 본래 도교의 최고 신인 옥황상제를 의미하는 말이다. 도교에서는 천황(天皇), 지황(地皇) 등 방위 구분이 있었으며[15] 북극성을 천황대제(天皇大帝)라고 하는데, 북극성은 천상의 궁궐인 자미원의 정점에 자리한 군주이기 때문이다.[16] 이 도교의 영향으로 군주를 북극성에 비기는 호칭이 퍼졌다는 것이다.
당나라의 당 고종과 측천무후가 일시적으로 황제를 천황(天皇), 황후를 천후(天后)라고 높였던 시대가 있는데[17], 이때 일본이 당나라와 접촉하여 천황 칭호를 수입했다는 설도 존재한다. 일단은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天皇'이라는 한자 표기를 사용한 것은 덴무 천황부터였다.[18]
일본 내부에서는 미카도(帝, 御門)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스메라미코토/스베루미코토'라는 명칭을 생각해 보면 단순히 한자어를 발음대로 읽은 천황보다 더 '정통적인' 호칭인 셈이다. 천황이라고 읽기 시작한 것은 무로마치 막부 시대 황실이 권력 투쟁에서 완전히 밀려나면서 스메라미코토라는 의미가 잊혀져간 시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흑선 사건 이후 일본의 군주를 부를 때 이슬람권의 술탄, 독일어권의 카이저, 러시아의 차르를 부르듯이 일본의 미카도(Mikado of Japan)라고 부르는 일이 많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으며 그냥 Emperor of Japan이라고 불린다. 미카도 외에도 '주상([ruby(主上, ruby=しゅじょう)])', '오키미(大君)', '다이리(內裏)'[19], '덴치 사마(天子樣)'[20], '오카미(御上)'라고도 불렸다. 불교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십선지주(十善之主)'/'십선지왕(十善之王)[21] 또는 금륜성왕(金輪聖王), 성주(聖主), 성황(聖皇)이라고도 불렸다,
3. 칭호 표기 논쟁
자세한 내용은 천황/칭호 표기 논쟁 문서 참고하십시오.4. 역대 천황
자세한 내용은 천황/명단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일본 신화| 전승 ]]
|
||||||||
<rowcolor=#DCA6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진무 | 안네이 | 이토쿠 | 고쇼 | ||||||
<rowcolor=#DCA600>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고안 | 고레이 | 고겐 | 가이카 | 스진 | |||||
<rowcolor=#DCA600>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스이닌 | 게이코 | 세이무 | 주아이 | ||||||
[[고훈 시대| 고훈 시대 ]]
|
|||||||||
<rowcolor=#DCA600>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오진 | 닌토쿠 | 리추 | 한제이 | 인교 | |||||
<rowcolor=#DCA600>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안코 | 유랴쿠 | 겐조 | 닌켄 | ||||||
<rowcolor=#DCA600>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부레쓰 | 안칸 | 센카 | 긴메이 | ||||||
<rowcolor=#DCA600>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비다쓰 | 요메이 | 스슌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
|||||
<rowcolor=#DCA600>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
스슌 | 스이코 | 조메이 | 고교쿠 | ||||||
<rowcolor=#DCA600>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
고토쿠 | 사이메이 | 덴지 | 고분 | ||||||
<rowcolor=#DCA600>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
덴무 | 지토 | 몬무 | 겐메이 | ||||||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
|||||||||
<rowcolor=#DCA600>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제46대 | ||||||
겐메이 | 겐쇼 | 쇼무 | 고켄 | ||||||
<rowcolor=#DCA600> 제47대 | 제48대 | 제49대 | 제50대 | ||||||
준닌 | 쇼토쿠 | 고닌 | 간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
||||
<rowcolor=#DCA600> 제50대 | 제51대 | 제52대 | 제53대 | 제54대 | |||||
간무 | 사가 | 준나 | 닌묘 | ||||||
<rowcolor=#DCA600> 제55대 | 제56대 | 제57대 | 제58대 | 제59대 | |||||
몬토쿠 | 세이와 | 요제이 | 고코 | 우다 | |||||
<rowcolor=#DCA600> 제60대 | 제61대 | 제62대 | 제63대 | 제64대 | |||||
다이고 | 스자쿠 | 엔유 | |||||||
<rowcolor=#DCA600> 제65대 | 제66대 | 제67대 | 제68대 | 제69대 | |||||
가잔 | 이치조 | 산조 | |||||||
<rowcolor=#DCA600> 제70대 | 제71대 | 제72대 | 제73대 | 제74대 | |||||
고산조 | 도바 | ||||||||
<rowcolor=#DCA600> 제75대 | 제76대 | 제77대 | 제78대 | 제79대 | |||||
스토쿠 | 고노에 | 니조 | 로쿠조 | ||||||
<rowcolor=#DCA600> 제80대 | 제81대 | 제82대 | |||||||
안토쿠 | 고토바 | ||||||||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
|||||||||
<rowcolor=#DCA600> 제82대 | 제83대 | 제84대 | 제85대 | 제86대 | |||||
고토바 | 준토쿠 | 주쿄 | |||||||
<rowcolor=#DCA600> 제87대 | 제88대 | 제89대 | 제90대 | 제91대 | |||||
고사가 | 고우다 | ||||||||
<rowcolor=#DCA600> 제92대 | 제93대 | 제94대 | 제95대 | 제96대 | |||||
후시미 | 고니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
||||||
<rowcolor=#DCA600> 제96대 | 제97대 | 제98대 | 제99대 | ||||||
조케이 | |||||||||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
|||||||||
<rowcolor=#DCA600> 제100대 | 제101대 | 제102대 | 제103대 | ||||||
쇼코 | |||||||||
<rowcolor=#DCA600> 제104대 | 제105대 | 제106대 | |||||||
고나라 | 오기마치 |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
|||||||||
<rowcolor=#DCA600> 제106대 | 제107대 | ||||||||
오기마치 | 고요제이 | ||||||||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
|||||||||
<rowcolor=#DCA600> 제107대 | 제108대 | 제109대 | 제110대 | ||||||
메이쇼 | 고코묘 | ||||||||
<rowcolor=#DCA600> 제111대 | 제112대 | 제113대 | 제114대 | ||||||
고사이 | 레이겐 | ||||||||
<rowcolor=#DCA600> 제115대 | 제116대 | 제117대 | 제118대 | ||||||
모모조노 | |||||||||
<rowcolor=#DCA600> 제119대 | 제120대 | 제121대 | 제122대 | ||||||
고카쿠 | 닌코 | 고메이 | 메이지 | ||||||
근현대
|
|||||||||
<rowcolor=#DCA600> 제122대 | 제123대 | 제124대 | 제125대 | ||||||
메이지 | 다이쇼 | 쇼와 | 아키히토 | ||||||
<rowcolor=#DCA600> 제126대 | |||||||||
나루히토 | |||||||||
}}}}}}}}}}}} |
==# 계보 #==
초대
|
||||||||||||||||||||||
│
|
||||||||||||||||||||||
│
|
||||||||||||||||||||||
│
|
||||||||||||||||||||||
제2대
|
||||||||||||||||||||||
│
|
||||||||||||||||||||||
│
|
||||||||||||||||||||||
│
|
||||||||||||||||||||||
제3대
|
||||||||||||||||||||||
│
|
||||||||||||||||||||||
│
|
||||||||||||||||||||||
│
|
||||||||||||||||||||||
제4대
|
||||||||||||||||||||||
│
|
||||||||||||||||||||||
│
|
||||||||||||||||||||||
│
|
||||||||||||||||||||||
제5대
|
||||||||||||||||||||||
│
|
||||||||||||||||||||||
│
|
||||||||||||||||||||||
│
|
||||||||||||||||||||||
제6대
|
||||||||||||||||||||||
│
|
||||||||||||||||||||||
│
|
||||||||||||||||||||||
│
|
||||||||||||||||||||||
제7대
|
||||||||||||||||||||||
│
|
||||||||||||||||||||||
│
|
||||||||||||||||||||||
│
|
||||||||||||||||||||||
제8대
|
||||||||||||||||||||||
│
|
||||||||||||||||||||||
│
|
||||||||||||||||||||||
│
|
||||||||||||||||||||||
제9대
|
||||||||||||||||||||||
│
|
||||||||||||||||||||||
│
|
||||||||||||||||||||||
│
|
||||||||||||||||||||||
제10대
|
||||||||||||||||||||||
│
|
||||||||||||||||||||||
│
|
||||||||||||||||||||||
│
|
||||||||||||||||||||||
제11대
|
||||||||||||||||||||||
│
|
||||||||||||||||||||||
│
|
||||||||||||||||||||||
│
|
||||||||||||||||||||||
제12대
|
||||||||||||||||||||||
│
|
||||||||||||||||||||||
├
|
─
|
─
|
─
|
┐
|
||||||||||||||||||
│
|
│
|
|||||||||||||||||||||
│
|
제13대
|
|||||||||||||||||||||
│
|
||||||||||||||||||||||
│
|
||||||||||||||||||||||
│
|
||||||||||||||||||||||
제14대
|
||||||||||||||||||||||
│
|
||||||||||||||||||||||
│
|
||||||||||||||||||||||
│
|
||||||||||||||||||||||
제15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16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20대
|
제21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24대
|
제23대
|
제22대
|
│
|
|||||||||||||||||||
│
|
│
|
|||||||||||||||||||||
│
|
│
|
|||||||||||||||||||||
│
|
│
|
|||||||||||||||||||||
제25대
|
제26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30대
|
제31대
|
제33대
|
제32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
|
╤
|
═
|
||||||||||||||||||||
│
|
||||||||||||||||||||||
│
|
제37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38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41대
|
│
|
│
|
│
|
제40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39대
|
제43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49대
|
제44대
|
제42대
|
제47대
|
|||||||||||||||||||
│
|
│
|
|||||||||||||||||||||
│
|
│
|
|||||||||||||||||||||
│
|
│
|
|||||||||||||||||||||
제50대
|
제45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51대
|
제52대
|
제53대
|
제46대
|
|||||||||||||||||||
│
|
제48대
|
|||||||||||||||||||||
│
|
||||||||||||||||||||||
│
|
||||||||||||||||||||||
│
|
||||||||||||||||||||||
제54대
|
||||||||||||||||||||||
│
|
||||||||||||||||||||||
├
|
─
|
─
|
─
|
┐
|
||||||||||||||||||
│
|
│
|
|||||||||||||||||||||
제55대
|
제58대
|
|||||||||||||||||||||
│
|
│
|
|||||||||||||||||||||
│
|
│
|
|||||||||||||||||||||
│
|
│
|
|||||||||||||||||||||
제56대
|
제59대
|
|||||||||||||||||||||
│
|
│
|
|||||||||||||||||||||
│
|
│
|
|||||||||||||||||||||
│
|
│
|
|||||||||||||||||||||
제57대
|
제60대
|
|||||||||||||||||||||
│
|
||||||||||||||||||||||
┌
|
─
|
─
|
─
|
┤
|
||||||||||||||||||
│
|
│
|
|||||||||||||||||||||
제61대
|
제62대
|
|||||||||||||||||||||
│
|
||||||||||||||||||||||
┌
|
─
|
─
|
─
|
┤
|
||||||||||||||||||
│
|
│
|
|||||||||||||||||||||
제63대
|
제64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65대
|
제67대
|
제66대
|
||||||||||||||||||||
│
|
||||||||||||||||||||||
┌
|
─
|
─
|
─
|
┤
|
||||||||||||||||||
│
|
│
|
|||||||||||||||||||||
제68대
|
제69대
|
|||||||||||||||||||||
│
|
||||||||||||||||||||||
┌
|
─
|
─
|
─
|
┤
|
||||||||||||||||||
│
|
│
|
|||||||||||||||||||||
제70대
|
제71대
|
|||||||||||||||||||||
│
|
||||||||||||||||||||||
│
|
||||||||||||||||||||||
│
|
||||||||||||||||||||||
제72대
|
||||||||||||||||||||||
│
|
||||||||||||||||||||||
│
|
||||||||||||||||||||||
│
|
||||||||||||||||||||||
제73대
|
||||||||||||||||||||||
│
|
||||||||||||||||||||||
│
|
||||||||||||||||||||||
│
|
||||||||||||||||||||||
제74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75대
|
제77대
|
제76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78대
|
제80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79대
|
제81대
|
│
|
제82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86대
|
제83대
|
제84대
|
||||||||||||||||||||
│
|
│
|
│
|
||||||||||||||||||||
│
|
│
|
│
|
||||||||||||||||||||
│
|
│
|
│
|
||||||||||||||||||||
제87대
|
제88대
|
제85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89대
|
제90대
|
|||||||||||||||||||||
│
|
│
|
|||||||||||||||||||||
│
|
│
|
|||||||||||||||||||||
│
|
│
|
|||||||||||||||||||||
제92대
|
제91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93대
|
제95대
|
제94대
|
제96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조 초대
|
북조 제2대
|
제97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조 제3대
|
북조 제4대
|
제98대
|
제99대
|
|||||||||||||||||||
│
|
│
|
|||||||||||||||||||||
│
|
│
|
|||||||||||||||||||||
│
|
│
|
|||||||||||||||||||||
│
|
북조 제5대
|
|||||||||||||||||||||
│
|
│
|
|||||||||||||||||||||
│
|
│
|
|||||||||||||||||||||
│
|
북조 제6대
|
|||||||||||||||||||||
│
|
제100대
|
|||||||||||||||||||||
│
|
│
|
|||||||||||||||||||||
│
|
│
|
|||||||||||||||||||||
│
|
│
|
|||||||||||||||||||||
제102대
|
제101대
|
|||||||||||||||||||||
│
|
||||||||||||||||||||||
│
|
||||||||||||||||||||||
│
|
||||||||||||||||||||||
제103대
|
||||||||||||||||||||||
│
|
||||||||||||||||||||||
│
|
||||||||||||||||||||||
│
|
||||||||||||||||||||||
제104대
|
||||||||||||||||||||||
│
|
||||||||||||||||||||||
│
|
||||||||||||||||||||||
│
|
||||||||||||||||||||||
제105대
|
||||||||||||||||||||||
│
|
||||||||||||||||||||||
│
|
||||||||||||||||||||||
│
|
||||||||||||||||||||||
제106대
|
||||||||||||||||||||||
│
|
||||||||||||||||||||||
│
|
||||||||||||||||||||||
│
|
||||||||||||||||||||||
│
|
||||||||||||||||||||||
│
|
||||||||||||||||||||||
│
|
||||||||||||||||||||||
제107대
|
||||||||||||||||||||||
│
|
||||||||||||||||||||||
│
|
||||||||||||||||||||||
│
|
||||||||||||||||||||||
제108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109대
|
제110대
|
제111대
|
제112대
|
|||||||||||||||||||
│
|
||||||||||||||||||||||
│
|
||||||||||||||||||||||
│
|
||||||||||||||||||||||
제113대
|
||||||||||||||||||||||
│
|
||||||||||||||||||||||
┌
|
─
|
─
|
─
|
┤
|
||||||||||||||||||
│
|
│
|
|||||||||||||||||||||
제114대
|
│
|
|||||||||||||||||||||
│
|
│
|
|||||||||||||||||||||
│
|
│
|
|||||||||||||||||||||
│
|
│
|
|||||||||||||||||||||
제115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117대
|
제116대
|
제119대
|
||||||||||||||||||||
│
|
│
|
|||||||||||||||||||||
│
|
│
|
|||||||||||||||||||||
│
|
│
|
|||||||||||||||||||||
제118대
|
제120대
|
|||||||||||||||||||||
│
|
||||||||||||||||||||||
│
|
||||||||||||||||||||||
│
|
||||||||||||||||||||||
제121대
|
||||||||||||||||||||||
│
|
||||||||||||||||||||||
│
|
||||||||||||||||||||||
│
|
||||||||||||||||||||||
제122대
|
||||||||||||||||||||||
│
|
||||||||||||||||||||||
│
|
||||||||||||||||||||||
│
|
||||||||||||||||||||||
제123대
|
||||||||||||||||||||||
│
|
||||||||||||||||||||||
│
|
||||||||||||||||||||||
│
|
||||||||||||||||||||||
제124대
|
||||||||||||||||||||||
│
|
||||||||||||||||||||||
│
|
||||||||||||||||||||||
│
|
||||||||||||||||||||||
제125대
|
||||||||||||||||||||||
│
|
||||||||||||||||||||||
│
|
||||||||||||||||||||||
│
|
||||||||||||||||||||||
제126대
|
||||||||||||||||||||||
5. 신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코토아마츠카미|
코토아마츠카미 ]] |
|||||
[[조화삼신|
조화삼신 ]] |
제4대
|
제5대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카미요나나요|
카미요나나요 ]] |
||||||
초대
|
제2대
|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지신오대|
지신오대 ]] |
||||||
지신오대 초대
|
지신오대 제2대
|
[[히무카 삼대|
히무카 삼대 ]] |
||||
지신오대 제3대
|
지신오대 제4대
|
지신오대 제5대
|
||||
히무카 삼대 초대
|
히무카 삼대 제2대
|
히무카 삼대 제3대
|
||||
}}}}}}}}}}}} |
일본 신화에 따르면 '세계 유일의 황제'이자 신의 혈통을 이어받은 ' 아라히토카미(현인신)'이며 천황의 혈통이, 초대 진무 천황 이후로 한 번도 끊어졌던 적이 없었기 때문에 ' 만세일계의 수호신'(万世一系の守護神)으로도 불린다. 역사가 오래된 나라라면 흔히 보이는, 군주를 신격화하려는 특징으로 인해 천황은 일본 신화의 태양의 여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신의 자손(天照大御神の子孫)으로 신성불가침의 존재화되어 있다.
이자나기(男神)와 이자나미(女神) 등 두 남매가 각종 행위[22]를 통해 일본의 무수한 신을 창조하였는데, 그 중에 미하시라노우즈노미코(三貴者, 삼귀자, 산키시)라 일컫는 아마테라스(태양의 여신), 쓰쿠요미(달의 신), 스사노오(추방당하여 사나운 바다의 신)가 가장 막강하다. 각각 하늘과 하늘에 있는 다카마가하라(아마테라스)와 달과 역법(츠쿠요미), 바다(스사노오)를 통치하고 있었다.
이 중 스사노오의 후손인[23] 오쿠니누시가 여러 가지 시련을 겪은 뒤 스사노오로부터 마지막 축복을 받아 이즈모에 거점을 두고 '나라 만들기'[24]를 계속하여 땅 위를 다스렸으나, 지상은 여러 신들이 혼란스럽게 구는 어지러운 혼돈의 나라 정도에 불과했다. 이후 아마테라스의 손자인 아마쓰히코히코호노니니기노미코토(天津彦彦火瓊瓊杵尊, 이하 '니니기')와 니기하야히노미코토(饒速日命) 형제를 각각 규슈와 야마토에 내려오면서 '원래 니들 거니까 뺏어 와'라고 해서 따지고 보면 사촌인 오쿠니누시를 몰아냈고 그 후 니니기의 자손인 진무 천황이 또 사촌을 몰아내고 야마토를 통일했다고 한다.
그런데 일본서기에서 아마테라스의 손자 니니기 등을 내려보낸 주체가 전승에 따라 다르다. 일본서기는 여러 가지 전승을 취합했으며 본문이나 일서니 하는 식으로 다른 전승이 있음을 분명히 구분했다. 본문과 일서를 포함하여 가장 오래된 전승에서는 니니키를 내려보낸 주체는 천계 다카마노하라가 열릴 때 처음으로 나타난 세 신들 중 하나라는 '다카미무스히'이다. 그보다 덜 오래됐으며 일본서기 편집자들이 표준판으로 간주한 본문의 기록에는 '다카미무스히'와 '아마테라스'가 공동으로 명을 내렸다. 그리고 일서에 기록된 가장 후기의 전승은 '아마테라스'가 단독으로 명을 내려 손자 니니기 일행을 내려보냈다는 것이다.
시간의 순서에 따라 아마테라스가 천황가의 조상신인 황조신(皇祖神)이자 천상계 다카마가하라(高天原, 고천원)의 주신으로 자리매김함을 알 수 있다. 사실 다카마가하라란 개념 자체가 민간층이 아니라 야마토 조정 내부에서 생긴 궁정 신화이다. 야마토 조정의 초기 황조신이 아마테라스 오미카미가 아니라는 데에는 거의 모든 학자들의 의견이 모인다. 초기 조상신은 다카미무스히였을 가능성이 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일본서기 중 일서에만 기록된 가장 후기의 전승을 표준판인 양 정책적으로 퍼트리고 교육했다. 전후 일본인은 물론 외국인(당시 일본 제국의 치하에 있던 조선인들)마저도 그 영향을 강하게 받아, 그때의 천황관을 일본 고대의 천황관처럼 이해했다. 가장 후기의 전승을 메이지 정부가 표준판으로 간주한 이유는 간단하다. 그 가장 후기의 전승에 따르면 아마테라스가 손자 니니기미코토를 지상으로 내려보내면서 ' 천양무궁의 신칙'을 말해주기 때문이다. 천양무궁의 신칙 내용은 요약하면 이러하다. "지상은 내 손자 니니기와 그 자손들이 영원히 다스릴 땅이다."
천황이 신이면서 죽음을 맞는 부분도 신화를 이용해 구색을 맞춰뒀는데, 니니기노미코토가 지상에 내려오면서 고노하나사쿠야히메를 보고 미모에 반해 청혼했더니 그 아버지가 언니인 이와나가히메도 데려가라고 했는데, 니니기는 이와나가가 못생겨서 거절했다고 한다. 사쿠야를 통해 황실이 만발하는 꽃(はな・花)처럼 번성하라는 것이었고 이와나가를 통해 돌(いわ・岩)처럼 튼튼하게 유지하라(불사)는 뜻이었다. 니니기가 사쿠야를 취해 황위도 얻고 '만세일통'하지만, 이와나가를 버렸기에 신의 자손이면서도 불사(不死)를 얻지 못해서 죽는다는 것이다.
일본서기와 고사기 등 속칭 '기기신화'가 완성되기 전의 기록을 보면 신화적인 의미에서 진무 천황 자신이 아마테라스이자 니니기 자신으로 간주되었다. 신화적, 종교적 의미에서 천황의 계승식이란 아마테라스이자 니니기이자 진무 천황이자 역대의 천황이었던 바로 그 존재가 되는 의식이다. '죽어도 죽지 않는다'는 옛 신화적 관점이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있다.
6. 역사
그림 속 여자들이 입은 옷은 주니히토에라는 옷이다. 남자들이 입은 옷은 소쿠타이, 머리에 쓴 관은 스이에이노칸이다. |
사실 일본 역사 초창기에는 주변 다른 나라들처럼 천황이 실제 군주로서 통치를 했고, 아스카 시대에는 중국식 제도를 본떠 율령을 도입했다. 즉, 일본도 고대, 헤이안 시대 초기까지는 동시대 고구려나 백제, 신라와 크게 다를 바 없이 천황이 직접 율령에 의한 정치를 하는 고대 중앙 집권제 국가였다.
그러나 헤이안 시대 중기인 858년, 후지와라노 요시후사(藤原良房) 이래로 후지와라가 외척으로 권력을 모두 독점하면서 귀족 섭관 정치로 변모하며, 국풍이 발달하면서 한국이나 중국과의 교류도 감소한다. 이때부터 중앙 집권이 약화되고 일본 특유의 이중적인 권력 체계가 발달하기 시작했으며, 이렇게 약 1000년 동안 대정봉환과 메이지 유신 이전까지의 천황은 실제 정치는 섭정, 관백, 태정대신, 쇼군 등에게 권력을 위임하고 명목상 일본 정부인 조정의 수장으로 수도인 교토나 직할 영지 등 일부 지역에서만 직접적인 통치를 했다. 다들 알다시피 무사 정권은 천황 자체를 쫓아낸다거나 찬탈하지는 않고 '신으로부터 권력을 위임받았다'는 정통성을 내세우기 위해 그대로 두었다.
물론 일본 역사상에도 또라이가 없는 건 아니라서 타이라노 마사카도는 교토와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던 반도 땅[25]에서 거병해 본인을 신황이라 일컬으며 천황이 되려고 시도한 적이 있으나,[26] 결국 조정에서 보낸 쇼군[27]의 군대에 토벌당해서 죽었다.[28] 또한 현대에는 옴진리교의 교주인 아사하라 쇼코가 천황을 폐위시키고 자신이 교주가 되어 신정일치의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고 일본 정부와 천황가를 전복하려는 시도를 했으나 실패했고, 2018년(平成30, 헤이세이 30년) 7월 6일 오전에 사형이 집행되었다.
천황은 일본이라는 제국의 유일한 '군주'이자 태양의 여신 아마테라스의 후손이라는 뼈대 깊은 혈통적 정통성을 가진 존재였기는 하지만, 실제로 다른 나라의 군주와 같은 모습으로 전제 군주로서 스스로 권력을 행사한 시기는 나라 시대부터 헤이안 시대 중기까지 200년 정도밖에 되지 않는 등 길지 않았으며, 가신들에게 이리저리 휘둘리다가 전국 시대 이래로는 권력을 잃은 단순한 얼굴마담 같은 존재로 전락해 있었다. 무엇보다 쇼군이 실질적으로 일본을 다스리던 막부 시대에는 그게 절정에 달했다. 남북조 시대에는 미노의 슈고 다이묘였던 도키 요리토가 고곤 상황의 가마에 화살을 쏘고, 남조의 잔당이 삼종신기 중 일부를 강탈했다가 현지 주민들에게 피살당하는 '조로쿠의 변'도 있었다.
조정의 권위가 가장 초라하던 무로마치 시대, 고쓰치미카도 천황의 치세에는 오닌의 난을 시작으로 전란이 잦아 궁궐까지 불에 탔으며, 지방에서도 혼란이 커지고 영주들이 황실령을 침탈해 황실이 재정난에 빠졌다. 고쓰치미카도 천황이 귀족들의 저택에서 기거했음에도 화려한 궁전이 아닌 허름한 집에서 지냈다는[29] 헛소문이 돌은 것도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나온 것이다. 천황과 귀족들의 본거지인 교토가 전란으로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이후에도 황실의 권위는 계속 곤두박질쳤다. 104대 고카시와바라 천황은 황실 재정이 없어 부황 고쓰치미카도 천황의 장례를 치르지 못해 그 유해를 44일이나 방치해야 했었고 당시 기나이(기내, 수도권)의 지배자로 관령을 역임하던 호소카와 마사모토가 형식적이고 무익하다는 이유로 즉위식을 거부하여 22년 동안이나 즉위식을 치르지 못하다가 쇼군 아시카가 요시타네와 이시야마 혼간지에서 비용을 내주어 겨우 즉위식을 치렀으며 그 후 4년 뒤, 63세의 나이로 붕어했다. 그 다음인 105대 고나라 천황(재위 1526년~ 1557년) 또한 즉위식을 치를 돈이 없어서 유력한 전국 시대 다이묘인 고호조(後北条)와 오우치(大內), 이마가와(今川) 등의 가문으로부터 성금을 받아 즉위 10년 만에야 즉위식을 거행할 수 있었으며, 천황 자신도 어필을 팔아서 황실 수입에 보탰다. 오기마치 천황도 모리 모토나리로부터 금을 헌상받을 때까지 즉위식을 올리지 못했다.
또 궁녀들이 매춘을 한다거나,[30] 동네 아이들이 천황 본인을 무시하며 마구 돌을 던져, 그 돌에 맞고 다녔다는 소문까지 발생했다.
이렇게 황실의 권위가 무너지고 형해화된 수준까지 갔으나, 무로마치 - 전국 시대 천황들이 무력하게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의 국왕들이 왕실과 왕권의 보존을 위해 노력했음에도 무능력했다는 오해를 사는 것처럼 전국 시대의 천황들도 황실을 유지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오닌의 난이 터지기 전의 고하나조노 천황 때에는 형식상으로나마 정치적 권위가 살아 있어 반란이 터지면 막부에서 대부분 천황의 '치벌윤지'를 요청했으며 오닌의 난 이후에도 전란과 조정의 무력화로 사라져 버린 여러 의례를 되살려 조정의 존재감을 살리고 권위를 회복하려 했다. 또한 막부가 실정을 하거나 쇼군이 잘못을 저지르면 이를 지적하는 시나 글을 쓰거나, 고하나조노 천황처럼 퇴위하여 출가하는 것으로[31] 막부의 통치를 우회적으로 비판하고 민심을 샀으며 사찰에 불경을 사경해 봉납하며 재난이 그치기를 기원한 고카시와바라 천황처럼 전염병이나 기근이 들면 종교 행사를 거행해 대중들을 진정시키고 위로했다. 또한 다이묘들이 헌금으로 관직을 사려는 것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하기도 하는 등, 천황이 아무 것도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게다가 전국 시대의 다이묘들은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자신의 권위를 높이기 위하여 조정과 천황의 권위를 이용하려 했고, 이를 위해 천황에게 헌상을 바친다거나 형식적으로나마 조정의 권위를 인정하고 관위를 얻기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하지만 거기까지였고 그것 말고는 눈에 띄는 뭔가의 행동을 보인 적은 없다.
에도 막부 시기에는 쇼군가였던 도쿠가와 가문의 막대한 후원과[32] 더불어 고위 사무라이 및 쇼군가와의 유착으로 인해 적지않이 권세를 누린 적도 있지만[33], 그 시기에도 당연히 정치적 실권은 쇼군과 그를 중심으로 한 막부에게 있었고, 천황은 그냥 바지사장에 불과했다.[34]
여담으로 이렇게 천황을 쥐고 흔들던 에도 막부가 무너지고 대정봉환으로 일본 제국이 성립되자 신정부의 주요 인사들은 에도 막부가 정당한 군주인 천황을 핍박했다고 보고, 구스노키 마사시게 등 과거 천황에게 충성한 충신이라고 판단되는 인물들을 찬양하기도 했다. 그중 도요토미 히데요시도 있었는데 도쿠가와 이에야스처럼 무엄하게(?) 천황을 허수아비 취급하지 않고 존중했다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그 도요토미 히데요시조차 조선 침략을 "쓸데없는 짓 하지 말라"며 반대한 고요제이 천황의 어명을 무시했다.
물론 천황도 잃어버린 권력을 되찾기 위한 시도를 몇 번 한 적은 있었고 가장 성공할 뻔했던 것이 1333년에 일어난 겐코의 변이었다. 고다이고 천황의 명으로 아시카가 다카우지, 닛타 요시사다 등의 반가마쿠라파 무장들이 봉기해 가마쿠라 막부를 무너트린 이 사건으로 고다이고 천황은 고대 일본처럼 천황이 직접 통치하는 나라로 되돌리기 위해 막부와 그 역직들인 쇼군과 집권, 그리고 관백 등의 천황의 권력을 제한하는 관직과 기구를 죄다 폐지하는 겐무 신정을 시도했으나, 결과적으로는 실패해 쇼군이 다스리는 막부 체제가 이후 500여 년을 더 이어갔다.
자신들 말대로는 일본 최초의 국가로 생각되는 야마토(大和)로부터 신의 피가 끊기지 않고 계속 이어져 내려오며 일본을 통치했다고 하여 '만세일통(万世一統)의 천황'라고 불리운다. 하지만 '천황'이라는 명칭이 사용된 건 비교적 최근이며[35] 피나 이름이 끊긴 듯한 애매한 시기도 있었다. 예를 들면 일본의 패전 직후인 1954년 미즈노 유(水野祐)가 주장한 '3왕조 교체설'이 대표적이다. 그는 " 일본 황실의 역사는 10대 스진 천황에서 14대 주아이 천황까지의 고왕조, 15대 오진 천황에서 25대 부레쓰 천황까지의 중왕조, 26대 게이타이 천황 이후의 신왕조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하면서 " 스진 천황 이전의 천황은 역사상 실재하지 않는 허구의 인물"이라고 주장하였다.[36] 하지만 이는 황실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보는가에 따라 다르다. 조선 왕조 철종처럼 17촌이어도 전주 이씨 왕실로 치는 것처럼 혈통 자체가 완전 타인인 자가 아니라, 촌수가 멀거나 현대와는 황실의 범위가 달랐다는 등의 설도 존재한다.
이 학설은 많은 비판 혹은 보충의 대상이 되었으나 이후 '기마 민족 정복설'이나 '규슈 왕조의 야마토 지역 정복설' 등 다양한 왕조 교체설의 시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런 학설들이 주류로 인정받고 있지는 못하지만, 일단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만세일계'라는 것은 허구적인 관념에 가깝다는 것이다. 다만 3왕조 교체설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확실한 것은 게이타이 천황 이래 일본 천황의 역사는 최소 1500여 년 동안 끊기지 않았으며, 현존하는 왕조 중 가장 오래되었다는 것이다.[37]
헤이안 시대 말기에는 천황이 상황(上皇)[38]으로 물러나거나 상황이 출가하여 법황(法皇)[39]으로 물러난 뒤에야 오히려 실권을 가지게 되고 천황은 사실상 태자 정도의 지위에 불과한 시대도 있었다. 이를 인세이(院政, 원정)라고 한다.
가마쿠라 시대 고토바 상황이 쇼군 미나모토노 사네토모의 죽음으로 겐지 쇼군이 단절되고 가마쿠라 막부가 호조씨를 비롯한 고케닌들의 내부 항쟁으로 어수선한 것을 틈타 막부 타도를 외치며 이른바 '조큐의 변'을 일으켰다가 내부 항쟁을 멈추고 한데 뭉친 무사들에게 거꾸로 역공을 당해 고토바 상황은 물론 그의 아들인 쓰치미카도 상황과 준토쿠 상황 모두 교토에서 쫓겨나 유배되고, 고토바 천황이 지명한 주쿄 천황도 폐위되어 막부에 의해 새로이 고호리카와 천황이 즉위한 이후로 천황과 교토의 조정은 독립성을 잃고 막부에 의해 '관리'되는 신세로 전락해 버리고 만다. 심지어 가마쿠라 후기에 이르면 제위 계승을 놓고 또 내분이 벌어져 황통이 둘로 쪼개졌는데, 고사가 천황이 원래 맨 처음에 넷째 아들 고후카쿠사 천황에게 양위해 놓고, 정작 고후카쿠사 천황의 뒤를 고후카쿠사 천황의 자손이 아닌 평소 총애하던 여덟째 아들 가메야마 천황의 아들인 고우다 천황으로 정해 버리는 바람에 졸지에 자기 자손에게 왕위를 물려줄 수 없게 된 고후카쿠사 천황이 아버지와 동생에게 반발하면서 분쟁이 벌어졌고, 당시 막부는 심플하게 "고후카쿠사 천황의 자손과 가메야마 천황의 자손이 10년 단위로 로테이션으로 해먹어라"로 퉁쳐 버렸다. 이후 고후카쿠사 천황의 자손을 지묘인통, 가메야마 천황의 자손을 다이카쿠지통이라 불렀으며, 이 두 황통이 가마쿠라 막부 멸망 때까지도 돌아가며 천황에 오르게 되었다( 신라의 박석김 교대와 유사). 이것이 남북조 시대'라는 시대의 복선이 된다.
가마쿠라 막부를 멸망시킬 계획을 세우고 아시카가 다카우지, 닛타 요시사다, 구스노키 마사시게 등 무사들의 지원을 이끌어내어 가마쿠라 막부 타도에 성공한 고다이고 천황은 다이카쿠지통에 속했다. 고다이고가 막부 타도를 꾀한 것도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게 기껏 군주가 되었더니 자기 아들한테 황위 못 물려준다고 하면 그걸 군주 치고 좋아할 사람 몇 명이나 되겠는가 생각해 보면 당연한 것이었다. 하지만 백 년 가까이 실권이 없어 정치적 경험이 모자랐던 데다 무사들을 도외시하고 공경(公卿) 중심의 정책을 펼치는 고다이고에게 반발한 무사들은 아시카가 다카우지를 중심으로 결집해서 고다이고 천황의 정치를 부정하고 다시금 막부를 부활시켜 버렸다. 고다이고 천황도 무사들에 의해 반강제로 양위하고 삼종 신기도 다카우지가 세운 막부에 의해 옹립된 고묘 천황에게 넘겨 주는 굴욕을 겪었지만, 고다이고 천황은 이를 부정하고 교토를 탈출, 나라의 요시노에서 "너희에게 넘겨준 삼종 신기는 가짜이고, 내가 여기 진짜를 가지고 있다! 그러니 일본의 정통 군주는 나다!"라며 요시노에서 자신의 조정을 선포한다. 이로서 교토의 조정 즉 북조와 요시노의 조정 즉 남조 이렇게 두 천황이 양립하는 일본 역사상 전무후무한 사태가 벌어졌던 것이다.
고다이고 천황이 무사들을 도외시하고 공가 중심의 귀족 정치를 펼쳤고 그게 겐무 신정의 실패의 원인이 되었다고는 하지만, 이에 반발하는 무사들이 다카우지를 중심으로 결집해서 세운 막부와 그 막부에 의해 옹립된 천황의 북조를 마냥 지지한 것도 아니었고, 고다이고 천황 본인도 자신의 아들들을 일본 각지로 보내 무사들을 결집하게 하는 등 참 끈질기고도 집요하게 뛰어다녔다. 남북조 시대 내내 일본 각지에서는 남조를 지지하는 무사들과 북조를 지지하는 무사들이 서로 양패로 갈라져 피 튀기며 싸워댔는데, 정확하게 말해 정통성이 남조에 있든 북조에 있든 무사들 입장에서는 그저 자신들에게 더 많은 영지 소유를 보장해 줄 명분과 그럴 힘을 갖춘 구심점을 찾아서 자신들이 상대의 영지를 빼앗아 차지하는 데 도움이 되겠다 싶으면 박쥐마냥 남조에 붙었다가 북조에 붙었다가 하는 판이었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 일부는 궁지에 몰린 나머지 전쟁에 필요한 자금을 구하러 바다 건너 고려와 원나라/ 명나라로 레이드를 떠나게 되니, 한국사와 중국사에 ' 왜구'라고 기록된 존재들의 등장도 남북조 시대의 전란으로부터 파생된 사태였다.
가끔은 남조가 우세하기도 했지만 점차 막부가 세력을 넓혀가고 규슈를 완전 복속하면서[40] 결국 북조 쪽으로 기울고 만다. 결국 아시카가 요시미츠의 알선으로 남북조 두 가문이 제위를 번갈아 가며 계승할 것과 전국의 천황 직속령인 "고쿠가료(国衙領, 국아령)"를 다이카쿠지통의 소유로 삼을 것을 조건으로 남조의 히로나리 친왕(후에 고카메야마 천황으로 추숭)이 북조의 고코마츠 천황에게 삼종 신기를 넘겨 마침내 남북조가 통일되었다. 서기 1392년의 일이다.[41] 물론 이 시기 고쿠가료의 토지는 거의 조금밖에 없었다.
그러나 정작 고코마츠 천황은 당초의 양통질립 약속을 무시하고 자신의 차남인 오구라노미야 미히토 친왕을 황태자로 책봉해 버리면서 화의는 깨졌다. 이에 고카메야마 상황이 잠시 요시노로 가는 등 반발했지만 결국 화의가 성립되었다. 그때 남조의 실력은 이미 얼마 남아 있지 않았다고는 하지만, 저항만큼은 정말 끈질겼다. 1428년에 미히토 친왕 즉 쇼코 천황이 죽고 고하나조노 천황이 즉위하였는데, 이에 대해 옛 남조 지지파가 항의하며 다시 거병했다. 이를 후남조(後南朝)라고 한다. 후남조는 1443년 삼종 신기 가운데 곡옥과 검을 가져가는 금궐의 변(禁闕の変)을 일으키기도 했는데, 이때 검은 곧 회수했지만 곡옥은 후남조의 2대 천황인 자천왕(自天王)의 요시노 조정이 보유했다. 1457년 말에 아카마쓰씨의 부흥을 목표로 하는 세력이 조로쿠의 변(長禄の変)을 일으켜서 자천왕과 그의 형제이자 후남조의 정이대장군 충의왕(忠義王)을 죽이지만, 요시노 향민들이 곡옥을 다시 빼앗는 바람에 1458년에야 북조는 곡옥을 마저 회수할 수 있었다. 그 후 오닌의 난 와중이던 1470년까지 여러 차례 후남조 세력의 거병이 이어졌고, 야마나 소젠을 총대장으로 하던 서군이 남조 계통의 황족을 데려다 이른바 '서진남제(西陣南帝)'로 옹립했지만, 1473년 소젠이 죽은 뒤에 서진남제는 완전히 힘을 잃었고 각지를 떠돌다 1479년 에치젠의 어느 절에 도착했다는 사료를 끝으로 기록마저 사라져 버렸다. 그리고 남조의 황통은 그대로 끝났다.
메이지 시대에는 남조의 정통을 인정했지만, 북조 계통인 이후 천황들의 정통성이 부정된 건 아니었다. 당장 메이지 천황 본인이 천황가 역시 북조의 직계 후손이기애 북조를 애써 무시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1911년(메이지 44년)에 메이지 천황의 명으로 남조 2대를 정통 천황으로 인정, 종래의 96대부터 100대까지의 천황을 "북조"로 보고 정통에서 제외하였고 남조의 노리요시 친왕, 히로나리 친왕은 천황이 아니었으나 즉위한 것으로 보고 고무라카미 천황, 고카메야마 천황으로 추숭했다. 1926년(다이쇼 15년)에 다이쇼 천황[42]의 명으로 남조를 정통으로 한 이후에도 즉위의 여부에 대해 의견이 갈린 유타나리 친왕에 대해서도 조케이 천황으로 시호를 올렸다.
하지만 이 때문에 자신이 남조의 후손으로 황위를 이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차례차례 나타났다. 남조의 후손으로 인정받을 경우 최소한 백작 이상의 높은 귀족 작위를 받을 수 있었을 것이기에 그런 사람들이 나타났을 것이다. 구스노키 마사시게나 닛타 요시사다 등 남조를 위해 목숨 바친 '충신'의 후손들까지 찾아내서 귀족 작위를 주던 시대적 분위기였으니 말이다. 그렇게 총합 약 50여 명 정도가 나타났다. 그중에는 큰 반향을 일으킨 사람도 없지는 않지만 지금은 모두 근거 없는 주장으로 추정된다.[43]
쇼군과 천황의 관계는 흔히 만세일계로 상징되는 정통성의 천황, 권력을 위임받은 실권자 쇼군이라는 도식으로 흔히 설명되지만, 그것도 무로마치 막부 시절까지의 이야기이다. 전국 시대부터는 이미 그 권력의 정통성도 원래부터 쇼군에게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여기에 에도 막부대까지 오면 쇼군이 금중병공가제법도를 제정해 천황에게 이런저런 규정을 강요했다. 쇼군이 직접 천황이 되지 않은 것은 초기에는 천황의 상징성 때문이었지만, 그 이후에는 천황이 진짜로 아무것도 아니었기 때문이라는 말도 존재한다. 이덕일 같은 사람은 "중세 일본의 천황은 제사장 역할 그 이상 이하도 아니었다"[44]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천황과 조정을 이루는 공경[45]들은 당대의 일본 상류 사회를 이끄는 셀럽처럼 인식되었고, 아무리 정치적인 실권이 없다고 한들 적어도 문화적인 측면에서는 그들을 무시할 수는 없었다. 역대 쇼군들은 황녀와 혼인함으로서 황실 전체를 막부 권위의 상징처럼 여겼다. 그래서 에도 막부 때는 애들이 고나라 천황에게 했듯이 돌을 던졌다가는 목이 달아나는 수도 있었다.
그러다가 에도 시기 중기 이후 오규 소라이 등으로 대표되는 유교적 통치 이념이 지배층에게 퍼지자 천황이 다시 쇼군의 윗사람이라는 인식이 부활했다. 천황과 쇼군이 주고받는 친서를 살펴 보면 이 시기부터 천황이 슬슬 윗사람인 것처럼 행동하기 시작한다. 물론 '윗사람'으로 불러 주는 딱 그 정도 선이었지, 막부를 타도하고 정권을 '진짜' 주인인 천황에게 돌려줘야 한다느니 이런 소리를 하는 인간들은 가차 없이 목을 날렸다. 또한 윗사람이라고 해서 뭔가 실권이 있는 게 아니니 재력도 그렇게 변변치 못해, 황실 보물을 교토 시장에다 내다 팔아서 살아야 할 지경에 이르렀다.[46] 일본 메이지 시대에서 패전 뒤까지 활약했던 수필가 사토 고세키(佐藤垢石)가 쓴 '도미 감시(にらみ鯛)'라는 글에 보면, 만엔 원년 무렵 한여름이라 대궐에 어선(御膳) 즉 수라상에 올라가는 생선들이 모조리 썩어서 악취가 나고 먹을 수가 없을 지경이었고, 고메이 천황이 연회를 열었을 때 대궐 안에는 언제나 술이 모자란다는 이유로 술에다 물을 타서 마셨고 결국 몇 잔을 마셔도 취할 수가 없었다거나, 연회에 연어 한 조각이 남은 것을 보고 "버리지 말고 챙겨 두어라. 짐이 두었다 저녁 반주에 먹겠다(これを棄ててはならぬ。朕は晩酌の佳肴とするつもりである)"고 하는, 이게 진짜 한 나라의 군주가 맞긴 한가 싶은 심히 비참한 에피소드가 소개되어 있다. #[47]
그러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구심점이자 절대 권력으로 옹립되어 막부에서 권력을 돌려주면서 ' 일본 제국'의 심볼과도 같은 존재가 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의 패전 이후 천황이 신이 아닌 인간임을 밝히는 ' 인간선언' 때문에 '신의 후예' 정도로 약간 위상이 내려갔다. 일본 제국 때에 로마 교황이 유럽을 포용하듯이 천황도 아시아를 포용해야 한다는 보편적 천황제(普遍的天皇制)는 끝내 정계, 학계 등에 등장하지도 못하고 무산되었다.[48]
물론 이 시절에도 천황이 절대 군주였는지는 일본 근대사를 차분히 곱씹어야 할 일이다. 군주에게 매우 강력한 권한을 부여하는 독일 제국 헌법을 모방해서 제정한 대일본제국 헌법에 "일본은 만세일계의 천황이 통치한다."를 제1조로 내걸었다고는 하지만, 일본 제국 시절에 중요한 것은 천황이 전 일본을 다스리는 신국(神國)의 계승자라는 '이미지', 즉 권위를 지닌 구심점이었기 때문이다.[49] 메이지 천황은 메이지 유신을 주도한 실세들의 눈치를 보고[50] 그들의 뜻에서 어긋나지 않게 행동하였다. 보통 다른 사람에 의해 군주가 된 사람들이 대체적으로 그렇듯 말이다.
메이지 시대 초기에 천황의 위치는 민중에게도 대단히 모호하게 여겨졌다. 당시 일본인들은 오랫동안 쇼군과 다이묘, 사무라이들의 지배를 받았지 천황의 지배를 받은 것은 아니었으며, 그랬기에 천황이 머무르던 대궐이 있는 교토 정도를 제외하면 천황이 무엇인지도 잘 모르고 있었다.[51] '현인신(아라히토가미)'이라는 개념조차도 민간의 생각과 지배층의 생각이 잘 맞아떨어지지 않았다. 메이지 시대 초기 천황이 행차할 지역에 사전 파견된 정탐꾼이 그 지역의 민심에 대해 기록한 점이 이러한 점을 잘 드러난다. '천자님께서 행차하시니 길을 닦으라고 명령해서 길을 청소했다. 천자님의 행차라는 것은 정말로 귀찮기 그지없다.' 게다가 행차를 위해 뭘 만들라고 하면, 적당히 대충 만들고 끝인 경우도 종종 있었다.
이를테면 메이지 초기에는 천황이 탄 어가(御駕)에 돈을 집어던지는 일이 꽤나 자주 벌어졌는데, 신에게 돈을 바쳐서 경의를 표하는 민간 신토의 전통을 그대로 천황에게 적용한 것이다. 돈만이 아니라 천황의 행차가 지나가면 춤이나 노래 또는 음식을 바치는 사람도 나타났다. 이것은 민간인들이 자신들이 아는 민간 신토의 방식으로 신이라고 하는 천황에게 경의와 숭배를 나타내려 했던 것이다. 하지만 천황에게 서양의 절대 군주와 같은 권위를 씌우려 했던 일본 정부는 이런 행동에 기겁하였고, 금지와 억압으로 이런 전통을 단절시켰다.[52] 같은 이유로 현인신인 천황이 존재하는데 신과 소통한다고 자처하는 것은 불경스럽다는 이유로 기존 신토의 무속인들도 탄압당했으며, 일본 각지에 신사가 8만 곳이 통폐합당해 사라졌다. 이는 현재 일본 신토에서 무녀가 아르바이트 직업화 하고 궁사( 신관)는 사실상 신사 관리인화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나아가 당시 일본 민중들 사이에 거의 민중 종교로 자리 잡고 있던 불교가 특히 된서리를 맞아서 신불분리령에 수반한 폐불훼석(廢佛毁釋)으로 전국 각지에서 사찰들이 파괴되고 많은 승려들이 강제 환속당했다.
메이지 정부는 천황에게 서양의 황제와 같은 권위를 덧칠하려 했다. 제국주의 열강의 위협 아래 최대한 빨리 이 일을 해치우기 위해서는 전 국민을 상대로 한 세뇌 작업이 필요했으며, 당연히 폭력과 금지·억압이 덤으로 따라붙을 수밖에 없었다. 일제강점기 초기의 '헌병경찰'도 일본에서 하던 짓을 식민지로 가져온 것에 불과했다. 학교에서는 위처럼 메이지 정부의 입맛에 맞게 각색된 신화를 사실로 가르쳤고, 천황의 초상화인 어진영(御眞影)을 모셔 놓고서는 천황을 섬기게 만들었다. 불타는 학교에 그 어진영을 구하려고 뛰어들어 갔다 죽는 교사의 일화가 전설적인 미담으로 그려지고, 제2차 세계 대전 때는 다이호가 피격당해서 함 내에 화재가 발생했는데도 함 내에 걸린 어진영을 다른 구축함에 옮기겠다고 뻘짓을 해서 화재 유폭-굉침으로 많은 사람들이 죽는 일이 나올 정도였다. 나중엔 궁성요배[53]를 식민지를 포함한 모든 사람에게 강요했다.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실패와 몰락은 이미 여기서 예견되었던 것이다.
그 결과로, 실제 권력이야 어쨌건 근대 일본에서 천황의 상징성과 신성함은 함부로 건들 수 없는 신성불가침의 수준으로 격상되었다. 심지어 메이지 천황이 잠시 묵었던 집에서는 그가 썼다는 물건과 자리에 투명 덮개를 덮어 박물관의 전시물 다루듯 하였고 메이지 천황이 마시고 목욕했다는 우물물은 '신이 사용한 물이니 신령함이 깃든 만병통치약일 것이다'라고 해 사람들이 줄을 서서 그 물을 받아 갈 정도였다고 한다. 천황이 잠시 머무는 집이더라도, 지역에서 유지 가문이어야 하고 가족 중 죽은 이가 없어야 하며 집안에 우환이 없어야 하는 등, 까다로운 조건을 걸고 각별히 신경을 써 머물 집을 뽑았다.
다만 메이지 천황은 시기에 따라 어느정도 권력을 지녔다고도 보는 연구도 있다. 사실 실권이 없어 보인 것도 따지고 보면 어려서 뭘 몰랐거나, 아니면 실제로는 히카루 겐지로 대표되는 일본의 이상적인 지도자 유형에 따라 신하들에게 다 맡기느라 그랬다는 얘기도 있다. 지도자는 생각 없이 인생을 즐기고, 실제 일은 아랫것들이 다 하는 스타일. 이런 문화 때문에 일본은 굳이 천황이 아니라도 막부나 번, 군부에서 유난히 중간층의 영향력이 강했다.[54]
대일본제국 헌법 등에서도 나타나 있듯이 실제로는 일본의 국사 중에서는 천황이 아니면 권신이라 할지라도 함부로 못 건드리는 영역이 있었고, 메이지 6년의 정변이나 태평양 전쟁 종전 당시 상황에서 볼 수 있듯이 진짜 답이 없으면 천황이 나서서 일을 해결하기도 했다. 또, 메이지 시대 말년에는 이토 히로부미도 안중근 의사에게 암살당해 세상에 없었고 어지간한 신하들도 슬슬 나이를 먹고 은퇴했을뿐더러 메이지 천황 본인도 나이를 먹었을 무렵에는 그나마 활동을 좀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천황이었던 히로히토 천황 또한 단순한 얼굴마담이 아닌 꽤나 실권이 있었던 국가 원수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히로히토 천황이 직접 영향력을 행사했던 케이스는 단 3차례가 있다. 첫째는 다나카 기이치 총리를 질책해서 물러나게 한 사건, 둘째는 2·26 사건 당시 '이유가 어떠하건 내 허락도 없이 내 군대를 마음대로 움직여 반란을 일으킨 것들은 내 신하가 아니다', '장군들이 가만있겠다면 내가 직접 근위사단을 지휘해 진압하겠다!'고 까지 할 정도로 강경한 태도를 보여서 반란 진압의 계기를 마련한 점, 셋째로, 종전 과정에서도 '성단(聖斷)'을 내리는 등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바 있다. 이 외에도 전쟁 당시 히로히토 천황은 일본 육해군의 동향을 일본 내에서 가장 잘 파악하고 있었다. 그를 처벌하지 않았던 미국의 장군인 더글러스 맥아더에 대해서는 "히로히토를 제대로 처벌하지 못했다는 면에서 매우 잘못했다"는 이야기도 은근히 나오고 있다.[55][56]
다만 당시의 상황 및 사건들을 세세하게 살펴보면 이 또한 다르게 볼 여지도 있다. 만주 사변 이전까지 히로히토 천황은 공공연하게 민간 정부를 지지했으며 이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연구는 없다. 문제는 내각이 천황의 신임을 등에 업고 군부를 컨트롤하려고 하면 군부는 통수권이 천황에게 있지 내각에 있는 게 아니라면서 반발하는 것이었다. 군부는 이른바 통수권 간범이라는 논리로 내각과 정당 정치를 역적도당으로 만들어버리고, 이를 막으려는 궁중 중신들까지도 역적/간신배 딱지를 붙여 탄핵했으며 193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 '천황 기관설' 등 천황을 현대적 정책 결정 과정의 일원으로 편입시키려는 이치키 키도쿠로 등 쇼와 천황 측근들의 시도를 격렬하게 공격, 축출시키고 메이지 시대의 원로였던 사이온지 긴모치까지도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더군다나 메이지 유신을 주도했던 유력 정치인들이 모두 사망한 이후로 군부는 정치에 빈번하게 개입하며 권력을 키워 다이쇼 시대에 이미 천황의 권위를 실추시키기 시작했고, 쇼와 시대에는 그 권력이 더욱 강해져있었다.
그 극에 달한 게 2·26 사건으로, 쿠데타군에게 내각총리대신이 살해당한 줄 알았던 히로히토 천황은 쿠데타 당일 새벽에 반란군의 요구를 거부하고 자신이 직접 통수권을 행사하면서 육군에게 즉시 쿠데타군을 진압하도록 명령했으나, 육군대신 가와시마 요시유키는 쿠데타군이 자신과 같은 황도파 소속 후배들이라는 이유만으로 이를 무시하고 쿠데타군과 3일이나 지리한 대치전과 협상을 벌였으며[57][58] 심지어 반란을 진압해야 할 계엄사령관 가시이는 사태 마지막 날까지도 육군대신과 참모차장에게 천황에게 대권을 쥐어주고 유신을 선언토록 하자고 설득하고 있었다.[59] 결국 진압 작전이 시작되자 궁지에 몰린 쿠데타군의 투항으로 사태가 마무리되었다.
이 사건은 당시 쇼와 천황에게 어느정도 영향력이 남아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부의 위세가 통제불능 수준으로 강해져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진다. 더군다나 사이토 마코토 내대신이나 다카하시 고레키요 대장대신 등 유력한 측근들이 살해당하고 권위를 실추당한 히로히토 천황은, 쿠데타군이 자신의 바로 아래 남동생인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과 접선하여 황위 교체를 노렸다는 뜬소문까지 퍼지면서 자신의 위치까지 위협받기에 이르렀다. 히로히토 천황이 무력화되는 시기도 바로 이 2·26 사건 이후이다. 쿠데타에 실패한 황도파가 몰락하면서, 경쟁관계였던 통제파가 군부를 철저히 장악했기 때문이다.[60] 하나의 파벌에게 장악된 육군의 권력은 그야말로 절대적이었으며, 1937년에 천황이 원로들의 추천을 받아 우가키 가즈시게를 총리로 지명하자 육군이 반발하여 무산시키고 하야시 센주로를 내세워 총리대신에 앉히는 일까지 벌어졌다.[61] 이때의 육군에겐 천황의 뜻마저 거역할 수 있는 힘이 있었던 것이다.[반론1]
이 사건을 아돌프 히틀러가 발터 폰 라이헤나우를 2번이나 독일 육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하려다가 육군의 반대로 실패한 사례로 비교하는 경우가 있으나, 일국의 재상인 내각총리대신을 임명하려다가 군부가 인정을 거부하여 무산된 것과 군부 인사 문제를 손 대려다가 군 내부의 반대로 실패한 것은 결코 같은 격에 둘 수 없다.[반론2] 또한 히틀러의 외교 정책에 독일 군부가 쿠데타 음모까지 벌여가면서 반대하다가 결국 모두 숙청되고 예스맨만 남아 히틀러에 아무런 대꾸도 못하는 신세가 된 것과는 달리 일본 군부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막강한 발언권을 행사했고 항복을 질질 끄는 데 성공했던 걸 고려하면 독일 군부와 일본 군부의 권력 지위는 서로 비교하기가 어렵다고 하겠다.[반론3]
이때부터는 현인신이라는 천황조차도 군부의 눈치를 봐야 했다. 실제로 작전 회의에서도 히로히토 천황이 직접 의견을 내는 경우는 거의 없었고, 군 수뇌부들이 낸 의견들을 듣고 다수가 찬성하는 쪽으로 승인해 주는 일이 대부분이었다. 몇몇 개막장 작전에 관해서는 히로히토 천황도 "이 작전이 실제로 가능하기나 한 건가?"라며 태클을 걸기도 했으나, 결국 수뇌부 다수가 찬성하면 본인의 의견은 접어버리고 "다수가 찬성했다면 짐 또한 반대하진 않겠소."라며 결국 승인을 해주었다. 심지어 태평양 전쟁의 개전도 이런 식으로 이루어졌다.
히로히토 천황이 포로에 대한 인도적 대우를 명시한 제3 제네바 협약과 전시 생화학 무기 사용을 금지한 제네바 의정서에 비준하는 것을 거부했다는[65] 말이 있으나 비준이 무산된 것은 육군과 해군, 즉 군부의 반대로 1934년에 무산된 것이므로[66] 히로히토 천황이 조약의 비준을 거부했다는 주장은 사실무근이며 오히려 외국과의 조약을 체결하고 비준한다는 천황의 권위가 얼마나 땅에 떨어졌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반론4]
섭정 시절인 1925년에 제정된 치안유지법을 1928년에 강화해서 반정부 운동 탄압에 써먹었다고 주장되나 마찬가지로 쇼와 천황이 섭정이었던 1922년 2월에 사법성에서 치안유지법의 전신인 '과격 사회 운동 단속 법안'을 제출했다가 기각된 사실과[68] 1925년 보통 선거의 실시와 맞물려 내무성과 당시 거대 양당이었던 헌정회와 입헌정우회의 지지를 받아 입법되고 강화되었던 사실[69] 이 어디에도 쇼와 천황이 관여했다는 주장이 끼어들어 갈 자리는 없다.[반론5]
중일 전쟁 초반에 일본 육군은 중화민국의 수도 난징을 점령한 후 협상으로 전쟁을 끝내는 것을 고려했는데 쇼와 천황은 협상을 거부하고 전쟁을 확대시킨 고노에 후미마로를 지지했다고 하나, 협상을 파토낸 건 육군성( 이타가키 세이시로)과 내각(고노에)이었고 협상으로 전쟁을 끝내고자 한쪽은 지금까지 만주 침략 활동을 주도해 온 (육군)참모본부(간인노미야)였는데, 사이온지 긴모치의 비서였던 하라다 구마오의 일기에 의하면 1938년 1월 14일 내각의 반대에 직면한 간인노미야가 협상 지속 문제를 놓고 '어전회의(御前会議)'를 열어서 내각의 결정을 뒤집으려고 하자 히로히토 천황이 "그러면 애초에 중국에서 일을 안 벌였으면 될 것 아니냐"며 질타했던 것이다.[71]
쇼와 천황의 전쟁 책임에 대해서 YES냐 NO냐로 대답하자면 YES이기는 한데, 자세하게 들어가면 많이 복잡하다. 자세한 것은 쇼와 덴노/전쟁 책임 문서로.
7. 국정에 대한 권한
현재 전세계의 군주들 중 'Emperor(황제)'로 불리는 유일한 군주이나, 실질적으로도 명목상으로도 국정에 대한 권한이 전혀 없다.대부분의 입헌 군주제 국가의 군주는 (실제로 사용하기는 어렵겠지만) 일단 법률 거부권과 인증 거부권, 의회 해산권 등을 명시적으로 지니고 있다. 태국의 경우에는 쿠데타 같은 비상상황에선 국왕이 제재를 가하거나 승인함으로써 실제로 개입할 수 있으며, 영국 국왕도 이론상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내각에 자발적으로 위임한 형태로, 제2차 세계 대전 때처럼 필요에 따라 어느 정도 국정에 개입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일본 천황의 권한은 다른 나라 입헌군주들에 비해서도 독보적일 정도로 아예 없다. 이는 구 대일본제국 헌법이 사실상 전제 군주제를 헌법적으로 보장한 것에 지나지 않았던 것을 연합군이 정반대로 뜯어고치는 과정에서 나온 산물이다. 일본국 헌법 1조부터 8조는 천황의 권리와 의무에 대해 규정하는데, 1조[72]부터 이미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천황은 국민의 합의로 내세운 상징이라고 명확하게 규정이 되어 있다. 그에 따라 천황은 스스로 정치적 권력을 갖지 않고, 헌법에 명시된 몇몇 상징적이고 의례적인 행위만을 내각의 조언과 승인에 기초하여 행해야 한다. 이렇게 완벽하게 권한이 없는 군주는 세계사적으로도 전무후무하며, 어떤 비상시라 해도 현 일본국 헌법이 유지되는 이상 천황은 국정에 절대 관여할 수 없다. 밑에도 서술했지만, 2013년 야당 정치인인 야마모토 타로가 천황( 아키히토)에게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관련된 편지를 건네자, 천황은 읽지도 않고 바로 시종장에게 넘겼다. 그 이유는 바로 정치에 개입하지 않는 것이 원칙인 천황을 정치적인 논란에 끌어들이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야마모토 타로는 공식적으로 국회에서 사과했음에도 황실 행사 참석 금지 징계에, 우익단체의 협박 편지를 받았다.
일본국 헌법
제3조
천황의 국사에 관한 모든 행위는 내각의 조언과 승인을 요하며, 내각이 그 책임을 진다.[73]
제4조
① 천황은 이 헌법이 정한 국사에 관한 행위만을 행하며, 국정에 관한 권능은 갖지 않는다.
② 천황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국사에 관한 행위를 위임할 수 있다.
제5조
황실전범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섭정을 두는 때에는, 섭정은 천황의 이름으로 그 국사에 관한 행위를 한다. 이 경우에는 전조 제1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8조
황실에 재산을 양도하거나, 또는 황실이 재산을 양수 또는 사여(賜與)하는 것은 국회의 의결에 기초하여야 한다.
다만 국사 행위에 거부권은 없는데 무조건 승인해줘야 한다는 조항은 없다. 정부가 어떻게든 섭정을 세우면 되지 않느냐고 할 수도 있지만, "그런데 섭정도 승인하지 않으면 어떻게 하냐?"는 내부의 지적이 있고, 이에 대해선
답이 없다고 한다. 황실 전체가 천황이 하기 싫다고
파업을 하지 않는 이상 실제로 이런 일이 터질 가능성이야 없겠지만, 헌법적으로 보면 한계가 있는 셈이다. 성문법주의를 채택하고 있지만 관습에 대해서는 그 누구보다도 보수적인 일본인들이기 때문에 천황의 일거수일투족에 굳이 제한을 두고 싶지 않다고 여기는 모양이다.제3조
천황의 국사에 관한 모든 행위는 내각의 조언과 승인을 요하며, 내각이 그 책임을 진다.[73]
제4조
① 천황은 이 헌법이 정한 국사에 관한 행위만을 행하며, 국정에 관한 권능은 갖지 않는다.
② 천황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국사에 관한 행위를 위임할 수 있다.
제5조
황실전범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섭정을 두는 때에는, 섭정은 천황의 이름으로 그 국사에 관한 행위를 한다. 이 경우에는 전조 제1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8조
황실에 재산을 양도하거나, 또는 황실이 재산을 양수 또는 사여(賜與)하는 것은 국회의 의결에 기초하여야 한다.
천황은 크게 다음과 같은 권리들이 없다.
- 명령을 발할 권리도 없다. 일본 제국 시대에는 칙령을 발할 권리가 있었지만, 이제는 국정에 관한 권한이 없어지며 천황이 발하는 칙령은 내각총리대신이 발하는 정령으로 대체되었다. 법률 공포의 경우처럼 정령의 공포는 천황이 하는 것으로 하여 흔적만 남았으며, 이것도 법률의 경우처럼 거부권이 없다. 종전 내각총리대신의 명령인 각령 또한 정령으로 흡수되었다. 다만 전전에 발했지만 전후에도 폐지되지 않은 칙령[74]은 현재까지도 유효하며, 정령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 황실 사무에 관한 권한도 없다. 일본 제국 시대에 천황이 스스로 제정하던 황실전범은 현재 법률의 형태로 의회에서 제정하거나 개정하며, 황위 계승권자도 황실전범이 정하는 바에 따르며, 부득이하게 순위를 바꿔야 하는 경우 내각총리대신이 의장인 황실 회의의 결정에 따르며 여기에 천황은 관여하지 못한다. 천황 자신의 치세를 상징하는 연호조차 더이상 즉위하는 천황이 스스로 제정할 수 없고, 내각에서 정령으로 제정해 발표하고 있다.
- 선거권도 없다. 선거권은 만 18세 이상의 모든 일본 국민에게 보장된 권리이지만, 천황은 주민 등록이 없어서 선거도 못 한다. 일본 천황의 국정에 대한 권한은 일개 국민보다도 못한 것이다.[75]
- 명목상의 통수권도 없다. 보통 현대 입헌군주제 국가의 경우 명목상/법적 통수권은 국가원수인 군주가 가지고, 실질적인 통수권은 정부수반인 총리가 가진다. 하지만 일본 천황의 경우 자위대에 관한 명목상의 통수권도 소유하지 않는다.[76]
- 퇴위할 권한조차 없다. 천황이 누구의 허락이나 동의 없이 퇴위하는 경우는 사망뿐이며, 생전에 퇴위를 하려면 내각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 퇴위 의사 표명도 국정의 일환이기 때문에, 천황은 퇴위 의사를 스스로 밝힐 권리조차 없다. 아키히토 상황의 경우가 그 사례로, 아키히토 천황은 생전 퇴위를 원하였으나 퇴위할 방법이 없었고, 2016년 8월 "제가 나이가 80살이 넘어서, 나라의 상징으로서의 책무를 수행하는 게 어려워질 것 같다"는 식의 발표를 직설적인 문장은 하나도 쓰지 않고 에두르고 에둘러서 자신의 기분을 털어놓으면서 '이렇게까지 말했으면 이해할 것이니 나를 좀 퇴위하도록 해 주시오'라는 속뜻을 가진 간접적인 식으로 발표했다. 이를 두고 일본 언론은 천황의 '기분 표명'이라고 보도하였고, 아베 신조 총리와 내각은 천황의 의사를 무시하기는 곤란하니 특별법을 제정하여 아키히토가 생전 퇴위할 수 있게 처리하였다.
제국헌법 시대 천황의 지위와 비교하면,
현행 헌법하의 천황의 지위가 오랜 역사에서 볼 때 전통적인 천황의 지위에 맞다고 본다.(2009년 4월, 결혼 50주년 기념 기자 회견에서)
#
오죽하면 전 천황이었던 아카히토 상황마저도 천황의 권위는 지금이 딱 적당하다고 이를 인정할 정도이다.8. 위상
실권의 유무와 별개로 현대 일본에서 천황이 가진 상징성은 매우 크다. 실권만 없을 뿐이지 그렇다고 진짜 흔한 일반인 A로 생각하는 사람은 없으며, 국제적으로도 일국의 국가 원수 수준에 준하는 대우와 위치를 가지고 있다.[82] 저 유명한 고노 담화(1993년)와 무라야마 담화(1995년)도 앞서 1990년 노태우 대통령의 방일 때에 아키히토가 "우리나라에 의해 초래된 불행한 시기에 귀국민이 겪었던 고통을 생각하며 저는 통석의 염을 금할 수 없습니다"라는 발언이 그러한 담화가 나오는 분위기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을 정도다. 쉽게 말해 천황이 '통석의 염'이라는 말을 하지 않았다면 고노 담화도 무라야마 담화도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는 천황이라는 존재가 일본 내에서 여전히 존재감이 강렬하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 주기 충분하다. #일례로 일본국 헌법 1조부터 8조까지가 천황에 관한 조항이다. 비록 정치적인 권력은 없지만 여전히 일본인들에게 신성불가침적인 존재이며 언론에서도 함부로 다루지 않으며,[83] 대부분의 일본인들도 천황 폐하라고 꼬박꼬박 존칭을 붙힌다. 일본 만화나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황실을 소재로 한 건, 마코 공주를 제외하면 거의 보기가 힘들다. 1990년, 아키히토 천황의 차남 부부인 후미히토 친왕과 기코 비(당시 가와시마 기코)의 결혼을 기념하여 만든 애니메이션이 있긴 하다. 이런 모습은 쇼와 천황의 사망에서 극명히 드러난다. 천황이 중병에 걸렸다고 일본 내 모든 행사가 전부 취소되고 자숙(自粛)하는 등의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물론 처음엔 야단법석에 침울한 분위기를 조성했지만, 해( 1989년)를 넘어 질질 끌자 김이 샜는지, 쇼와 천황이 사망한 당일에는 꽤 조용했다.
전임 제125대 천황인 아키히토는 사망하면 일세일원의 원칙에 따라 '헤이세이 천황(平成天皇)'이라는 시호가 추존될 것이 매우 유력하다. 그러나 현행법상 반드시 그래야 한다는 법적인 근거는 없고, 어디까지나 관습상 그렇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현재 생존 중인 아키히토를 헤이세이 천황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은, 죽은 사람에게 붙이는 이름인 '시호'를 아직 살아있는 상황에게 쓸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살아있는 군주한테 시호를 붙인다는 것은 살아있는 사람을 고인으로 부르는 것과 같은 행위이다. 일본인들은 금상(今上)이나 천황 폐하(天皇陛下) 등의 경칭으로 부른다. 물론 언론이나 공식 석상에서 그렇다는 것이고, 천황제에 크게 집착하지 않는 일반인들은 사석에서 천황님(天皇さん) 정도로 다소 스스럼없이 부르기도 한다. 천 짱(天ちゃん)같이 보수주의자 기준으로는 막 나가는 호칭까지도 쓰는 사람도 있다.[84]
아키히토의 즉위식을 준비할 때는 테러를 방지한답시고 도쿄도 경찰 전체가 동원되어 도쿄도 내의 모든 맨홀 뚜껑을 일일이 열어 확인한 후 봉인하는 유난을 떨었던 적이 있다. 일본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이를 "진저리 나는 바보짓"이라고 표현했다.[85] 또 당시 가이후 도시키 일본 총리가 즉위식에 참여해[86] 축사를 하고 만세삼창을 불렀으며, 일본 국민의 대표인 일본 총리보다 천황이 높은 단에 위치해 있었음을 들어 문제가 제기되었다. 즉위 비용으로 소비된 약 400억 엔의 금액이 전액 국고 지원 되었음은 물론이다. 이는 일본 내에서조차 문제가 제기되어, 가나가와현의 시민 단체가 흔히 만세 소송이라 불리는 소송을 걸었으나, 14년을 질질 끈 끝에 2004년 고이즈미 준이치로에 의해서 기각되었다.
이 시기 시 의회에 참석했던 당시 나가사키시 시장이던 모토시마 히토시( 우익 성향의 자민당)가 좌익 계열 정당에서 당선된 시 의원과 이야기하던 중, 전쟁 책임에 대한 집요한 추궁 질문에 "천황에게도 전쟁 책임이 있다"고 답변했다가 글자 그대로 생명의 위협[87]을 받기도 했다. 그 시장은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일본 경찰의 철통 같은 호위를 받으며 청사 안에서 생활해야 했으며, 집으로는 갈 엄두도 내지 못했다. 그리고 사태가 좀 진정되어 다시 출근했다가, 1990년 차에 타던 중 우익 세력의 난동으로 등 뒤에서 발사된 총격을 맞고 중상을 입었다. 그가 평소 우익 성향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입바른 소리를 시의회에서 한번 했다가 생명을 잃을 뻔한 것이다.
나가사키 시장에 대한 테러는 한 번으로 끝나지 않았다. 후임으로 당선된 시장 이토 잇초는 전임자와는 달리 중도에 가까운 정치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평소 극우 정치인들의 일본 핵무장 발언이나 평화 헌법 개정 움직임에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가, 2007년 야쿠자 출신 극우 괴한에게 총격을 당해 끝내 사망했다. 핵을 맞았던 전력이 있는 나가사키는 극우 성향에 대해 반발하는 경향이 강했고, 이 때문에 극우파들의 정치 테러의 목표가 된 셈이다. 이런 일본 앞에, 천황을 독극물로 암살하려 했던 옴진리교가 목 날아간 꼴이 됐음은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다.[88]
현재 황위 계승 서열 1위는 후미히토 친왕, 2위는 2006년에 태어난 아키히토의 유일한 손자인 히사히토 친왕. 2006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무남독녀 아이코 공주밖에 없는 현 황실을 우려해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를 필두로 하여 여자도 천황이 될 수 있도록 황실전범을 개정하려 했다.
그러나 당일 차남인 후미히토 부부가 셋째 임신 중을 언론에 밝혀 무산되었다. 일설에 의하면 후미히토 친왕과 기코 비 부부는 몇 번씩이나 아들인지를 확인했다고 한다. 히사히토 친왕(2006.9.6.)이 태어난 날, 아키히토 천황은 갓 태어난 손자에게 황실의 보물인 삼신기를 내렸다. 거의 출산이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는 나루히토 천황 내외가 아들을 낳지 않는 한, 히사히토 친왕이 큰아버지 나루히토 천황의 황통을 이을 것은 자명해 보인다.
그러나 2011년에 일본 황족 23명 가운데 남자는 7명뿐인 사실을 감안하고 남녀 평등의 여론이 불어, 여성 황족에게도 계승권을 주는 개정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아키히토 천황의 딸 노리노미야 사야코 공주는 2005년 11월 평민 공무원이자 작은오빠 후미히토 친왕의 가쿠슈인 동창이며 절친인 구로다 요시키(黑田慶樹)와 결혼하여 평민으로 신적강하되었다.[89]
2013년, 다카마도노미야 히사코 비가 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에 모습을 드러낸 데 대해 논란이 일었다.
2013년 10월 31일에 야마모토 타로 참의원 의원이 천황에게 후쿠시마 핵 발전소 사고의 실태를 호소하는 편지를 써서 보냈다가 정치 문제가 되었고 결국 국회에서 사죄해야 했다. 정작 아키히토 천황은 편지를 읽어 보지도 않았다고 한다. 천황이 편지를 읽어 봤자, 전후(戰後) 체제에서 어차피 천황은 내각이 뻘짓을 하건 국민들을 어떻게 굴리건 진짜로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에 의미는 없었을 것이다. 법률로 금지된 정치 개입을 하려 했다는 의심만 살 수 있고 이 경우 천황 자신도 위험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천황은 편지 자체를 안 읽어 봤고, 내용도 단순히 후쿠시마 원전 사고 실태에 대해 호소하는 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저런 꼴을 당했다. 만일 천황이 직접 읽어 봤고 내용이 상당히 비판적이었다면 더 나쁜 결과를 맞았을 것이다. 야마모토 참의원 의원은 황실 행사 참석 금지 징계에 우익 단체의 협박 편지까지 받았다. 아키히토 천황도 해당 의원을 보호하기 위해 편지를 읽지 않고 현장에서 그냥 측근에게 건넨 것으로 보이며, 해당 의원의 안위를 염려하기도 했다.
2014년 12월 23일, 아키히토의 탄일에 맞춰 트위터에서 천황 합성 축제(天皇クソコラ祭り)란 게 퍼지면서 대규모 키배가 일어난 적도 있다.
2017년 5월 21일, 일본 보수 인사 측에서의 천황에 대한 발언으로 논란이 일었다. 아키히토의 생전 퇴임을 논하기 위해 만들어진 아베 신조 총리의 자문 위원회 인사들 사이에서 "천황은 제사에서 기도하는 데 의미가 있을 뿐, 그것 말고 무슨 역할이 있는가? 궁중 제사만 계속하면 굳이 퇴위할 필요도 없다."는 주장이 나왔고 궁내청도 이에 상당히 격분하며, "그간 천황이 국내외를 다니며 나라를 위해 기여한 일을 기억하지 못하느냐"며 항의했다. 해당 자문위원회의 인사들이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측근이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일본 지도층에서 천황을 보는 시각을 엿볼 수 있다.
다만 천황이 처음부터 이렇게 일본 열도에서 신성불가침적인 존재는 아니었으며, 오히려 대정봉환과 보신 전쟁으로 에도 막부 축출과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일본 제국의 지배층이 천황 신격화를 꾸준히 시키면서 이뤄진 것이지 그 이전까지 천황의 권위는 끽해야 교토 상류층이나 공가, 막부 같은 지배층에게나 통하는 것이었으며, 국학이 성행하기 전까지 평생 지배층을 볼 일이 없던 일본 열도의 평민들은 천황이 있는지도 몰랐다. 그마저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막부를 개창하면서 천황의 상징성과 권위를 부활시키는 데 도움을 준 것이지, 전국 시대에는 쇼군의 오랜 집권으로 아예 상징성조차 없어지고 모든 권위와 상징성마저 쇼군에게 넘어가서 다이묘들에게도 무시당하는 신세였던 시절도 있었다. 특히 무로마치 막부 시절에는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일본국왕을 수여받게 되면서 쇼군의 권위가 천황을 뛰어넘었던 시절도 있었으며, 요시미쓰 사후에는 천황가에서 신하인 쇼군에게 태상천황이라는 호칭까지 수여하려고 한 일까지 있었다. 일본 제국 수립 초기에도 일본인들은 누군지도 모르는 천황을 왜 숭배해야 하냐며 의문감을 가졌을 정도이다.
그래서 메이지 유신 이후 군부가 지배하던 일본 제국 시대 천황을 신처럼 숭배하라고 사회적으로 압박하는 분위기나 일본군 내 천황 숭배 강요도 이런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실질적으로 현대 일본 천황의 권위와 신격화는, 문자 그대로 대정봉환 이전까지 수많은 지방 다이묘들이 군림하던 번과 현들을 막부라는 실권으로 통제하던 느슨한 연합 체제였던 일본 열도 내의 질서를 열도를 통합한 단일 정권 일본이라는 국가로 만드는 과정에서 에도 막부를 엎고 실권을 가진 새 지배층은 일개 변방의 번인 사쓰마, 조슈번의 하급 무사들이었다. 당연히 다른 다이묘의 후손들이나 평민들, 심지어 사쓰마, 조슈 번의 평민들조차 그동안 자기 동네 듣보잡 사무라이였던 이들을 지배자로 섬길만한 근거도 권위도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이제와서 자신의 권위를 만들 수는 없으니, 쪼개져서 각자 다이묘들의 실권하에서 살던 열도 전역의 평민들을 공통된 일본이라는 국가의 일원으로서 묶는 구심점 역할을 하기 위해 자신들과 비슷하게 에도 막부 시절 뒷방 늙은이 신세였지만, 명목상으로는 어쨌든 열도에 강림한 신인 천황이란 존재를 다시 내세우면서 시작한 것이다. 그렇게 천황을 다시 명목상의 구심점으로 일본 제국을 만들고 끊임없는 우상화 정책과 신성화, 권위 부여를 통해 2차 대전 시절 쇼와 천황의 권위가 완성된 것이다.
8.1. 상징 천황제와 국가 원수성
제국(帝國/帝国)이라는 의미는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그 군주가 황제인 나라를 가리킬 수도 있고,
- 문화적 그리고 민족적으로 전혀 다른 영역과 구성원에게도 통치권을 확장하는 나라를 가리킬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군주국은 국호에 군주의 칭호에 따라 국왕이면 왕국, 공작이면 공국 등을 함께 표기한다. 그래서 일본도 '대일본제국(大日本帝国, Empire of Japan)'이라는 국호를 사용했다. 그러나 1947년 일본국 헌법 시행과 함께 현재까지 '일본국(日本国, Japan)'이라는 국호를 사용하고 있다.[90]
종전 이후 쇼와 천황은 "더 이상 정치에 아무런 관여도 하지 않겠다"며 입헌군주로서의 최소한의 권한까지 전부 버리는 길(말하자면, 상징 천황제)을 택했는데, 이때부터 일본의 군주인 천황은 단순한 입헌군주조차 아닌 ' 메이지 유신이 일어나기 전'의 천황처럼[91] '일본국의 상징'이자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이라는 존재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보통 입헌군주정 국가들은 헌법에 군주가 해당 국가의 원수라고 명시하지만, 일본국 헌법은 천황을 일본의 상징이라고만 서술할 뿐, '국가원수'라고 하지 않는다. 한마디로 입헌군주국의 군주와 비주권 군주의 중간 정도에 위치한 입지이다.
일본 보수 내각은 천황을 국가원수로 내세우는 것을 넘어 개헌을 통해 천황이 국가원수라는 내용을 직접 명시하는 조항을 되살리자고 추진하고 있다. 그들의 주장은 이미 일본 내에서나, 해외 순방 등에서 국가원수로 대우해 주고 있으니 법에 명시해서 그 근거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9. 관계
9.1. 한국과의 관계
한국 역사에서 일본의 교섭 주체자 내지는 천황이 처음으로 분명하게 기록된 것은 삼국사기 신라본기이다. 신라의 8대 군주 아달라 이사금 재위 20년(173) 자를 보면 "왜의 여왕 비미호가 사신을 보내 와서 예방하였다(倭女王卑彌乎 遣使來聘/倭女王卑弥呼 遣使来聘)"고 하여 아달라 이사금 때에 왜국과의 교류 사실을 전하고 있다. 특히 왜국의 여왕 비미호는 삼국지에 등장하는 히미코(비미호, 卑彌呼)와 같은 인물로 보인다. 삼국지의 기록에 따르면 히미코는 일본 내 소국들이 서로 다투던 혼란한 시기에 여왕으로 공립(共立)된 인물로서 경초(景初) 2년(238)과 정시(政始) 4년(243)에는 중국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교류하기도 하였다.그러나 기사의 등장 시기가 173년으로, 삼국지에 등장하는 238년, 243년과 시간적 차이가 있어 사건의 진위 여부를 놓고 이견이 존재한다. 이 기사를 부정하는 입장에서는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비미호를 역사적 실체로 인정하게 되면 그 수명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점을 문제 삼아 중국 사서에 근거한 삼국사기 초기 기록의 조작으로 이해하고 반면에 삼국사기의 비미호 기사를 인정하는 입장에서는 그녀가 왜국왕으로 공립되기 전에 야마타이국(邪馬臺國/邪馬台国)의 왕으로 추대되어 즉위 인사를 한 것이며, 그 연대는 신라의 고기록(古記錄)이나 구삼국사(舊三國史/旧三国史)에 기록되어 있던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한편 절충론은 기사 자체는 인정하되 삼국사기 초기 연대의 왜곡을 주장한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히미코의 생몰 기간이다. 히미코의 사망 연대가 삼국지 위지 왜인전의 기록을 보면 247년경으로 되어 있는데 173년에 야마타이국 여왕으로 즉위했다면 최소한 75년간 재위한 것이 된다. 비미호의 즉위 시 연령은 확인할 길이 없지만 10살에 즉위하였다고 가정해도 최소 85살 이상은 생존했던 것이 된다. 만일 이러한 생몰 기간이 가능하다면 삼국사기 신라본기 아달라 이사금 20년(173) 기록에 등장하는 비미호 기사에 대한 이해가 가능해진다. 히미코는 왜국의 대표로 공립되기 이전에 이미 야마타이국 왕으로 재위해 있었고, 즉위 초년에 즉위 사실을 신라에 알리고 견사하여 우호 관계를 맺으려 한 것이다. 그렇다면 위의 기록은 중국 문헌에도 전하지 않는 신라와 야마타이국 간의 교류를 시사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八年, 夏四月, 日夲國王遣使, 進黄金三百兩·明珠一十箇.
8년(882) 여름 4월에 일본국왕이 사신을 보내 황금 300냥과 명주 10개를 바쳤다.
삼국사기 권 제11 신라본기 제11 헌강왕 8년
8년(882) 여름 4월에 일본국왕이 사신을 보내 황금 300냥과 명주 10개를 바쳤다.
삼국사기 권 제11 신라본기 제11 헌강왕 8년
大曆十四年己未, 受命聘日夲國, 其國王知其賢, 欲勒留之. 㑹大唐使臣髙䳽林來, 相見甚懽, 倭人認巖爲大國所知, 故不敢留乃還.
대력(大曆) 14년 기미(779)[92]에 명을 받아 일본국을 방문하였는데, 그 국왕이 그의 현명함을 알고 그를 억지로 잡아 두려 하였다. 마침 당의 사신 고학림(高鶴林)이 와서 둘이 서로 만나 매우 기뻐하자, 왜인들은 김암이 대국(大國)에도 알려져 있음을 알게 되었고, 그 때문에 감히 잡아 두지 못하였고 이에 돌아왔다.
삼국사기 권 제43 열전 제3 김유신 하(下) 부 김암
삼국유사 권 제2 기이 제2 원성대왕조에는 당 정원(貞元) 2년 병인 즉 786년 10월 11일에 일본왕 문경(日本王文慶)이라는 인물이 등장하여 신라에 사신을 보내
원성왕에게 신라의 보물
만파식적을 요구하였다고 되어 있다.
일연은 여기서 '일본왕 문경'이라는 인물이 일본에 실제로 존재했던 군주인가 아닌가, 실존했다면 어떤 군주를 가리키는 것인가를 살피고자 《일본제기(日本帝紀)》라는 문헌을 끌어다 대조하며 고증을 시도했다. 현재는 전하지 않는 이 책에서는 일본의 55대 왕이 '문덕왕(文徳王)'이라고 전하고 있었고, 실제로
일본서기를 비롯한 육국사에서 55대에 해당하는 천황은
몬토쿠 천황(文徳天皇, 재위 850.5.31~858.10.7)로 《일본제기》라는 문헌과 대수가 들어맞는다. 몬토쿠 천황은 일연이 본 《일본제기》에 등장하는 '일본왕 문경'과 그나마 연대상으로 가까운 인물이었지만 문경이라는 이름 자체는 《일본제기》에서도 살필 수 없었기 때문에 일연은 '일본왕 문경'이라는 인물에 대해 실존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신라에 만파식적을 넘겨줄 것을 요구했던 이 일본왕 문경이라는 존재 역시도 일본의 어느 호족이 스스로 '일본왕'을 사칭한 위사를 보낸 것일 가능성도 염두에 둘 수 있겠지만, 이것도 확실하지 않다.대력(大曆) 14년 기미(779)[92]에 명을 받아 일본국을 방문하였는데, 그 국왕이 그의 현명함을 알고 그를 억지로 잡아 두려 하였다. 마침 당의 사신 고학림(高鶴林)이 와서 둘이 서로 만나 매우 기뻐하자, 왜인들은 김암이 대국(大國)에도 알려져 있음을 알게 되었고, 그 때문에 감히 잡아 두지 못하였고 이에 돌아왔다.
삼국사기 권 제43 열전 제3 김유신 하(下) 부 김암
그러다가 19세기 말 막부 타도와 함께 대정봉환, 왕정복고(1876)가 이루어지고 개혁( 폐번치현, 근대화와 사무라이 폐지)이 시작된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사신단이 대놓고 "일본 천황이 조선 국왕보다 의전 서열이 높다."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시각은 이미 에도 시대 말기부터 있었다. 일단 '천황'은 황제의 칭호 중 하나였고 조선 국왕은 명목상 청나라 황제의 신하였기 때문에 '천황 = 황제 > 조선 국왕'라는 논리였다.
일본은 막부가 존립한 시절까지만 해도 막부가 외교를 전담했는데, 심지어 쿠로후네 사건 때도 마찬가지였다. 예를 들어서 총영사 해리스는 쇼군을 일본의 사실상 국가원수(문서에는 황제)로 간주하고 도쿠가와 이에사다에게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피어스의 친서를 건냈다. 또한 미일화친조약이나 영일 우호 조약 등 각종 불평등 조약에서 일본의 대표자로서 최종적으로 서명한 사람은 도쿠가와 이에사다(당시 에도 막부의 쇼군)였다. 미국 정부나 영국 정부 역시 일본 조정이 아니라 막부를 협상 대상으로 삼았음은 조선 조정과 다를 바 없다.
조선이 봤을 때 일본과 동등한 관계에서 화친해야 마땅하였다. 사실 소중화사상(小中華思想)에 빠진 당시 조선은 자신들을 '천하'라며 스스로 높임과 동시에 일본은 천하 바깥의 교화되지 않은 무리라고 여겨 서로 동등하게 생각하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겼다. 결국 조선 측에서 일본이 화친을 하고자 한다하여 여기서는 한 수 접고 들어가 주었다. 이후 조선이 독립국으로서 ' 대군주' 칭호로 격상시키고 대한제국으로 국제가 바뀌면서 ' 대한제국 황제'가 '대일본제국 천황'과 명목상으로나마 동등해짐으로서 이 문제는 형식적으로는 완전히 해결된다. 그러나 한일합병(1910.8.29. 대한제국의 국권 피탈) 이후 대한제국 황제는 왕공족의 일개 가문명으로 불리는 이왕가로 격하되면서 천황보다 의전 서열이 아래에 위치하게 되고 일본의 귀족인 화족보다는 높은 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청나라는 1871년에 일본과 청일 수호 조규를 맺었는데, 이것도 엄밀하게 '대일본제국 천황'과 '대청 황제'라는 대등한 관계로서 국교를 맺었던 것은 아니다. 청나라 건국 이후 일본을 당시 통치하고 있던 에도 막부와 조공-책봉 관계를 맺지 않았던 상태에서[94] 청나라로서는 일본이 감히 자국 군주를 천황이라 부르며 청나라 황제와 맞먹으려 드는 것을 도저히 용납하지 못했고, 청나라는 일본이 기존의 조공-책봉 관계가 아니라 서구식의 '대등한' 외교를 요구했을 때 그것이 자국 중심의 조공-책봉 체제라는 기존 질서를 와해시킬 것을 우려해 반대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이때 이홍장이 나서서 "일본은 조선이나 월남과는 달리 조공-책봉 체제에 속해 있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일본과 수교하지 않으면 일본이 구미 열강에 붙어버릴 수도 있다는 점을 이유로 일본과의 수교를 주장했고, 1871년 7월 조인된 '청일수호조규(淸日修好條規)'와 '통상장정(通商章程)'은 그 체결 주체가 청나라 황제와 일본 천황이 아니라 청나라 전권대신 이홍장과 일본 측 전권 대사 다테 무네나리로 됐다. 명칭이 조약이 아니라 조규인 것도 청나라 황제의 특별한 배려로 청일 수호가 이뤄졌음을 드러내기 위한 이홍장의 의도에서 나온 것이다. # 형식상 중국 황제와 일본 천황이 대등한 외교 관계를 맺은 것이 아니라 각자가 임명해 보낸 전권 대신끼리의 외교 관계라고 간주한 일종의 편법이다.
천황은 한때 식민지 조선이나 대만에서 해당 외지의 총독을 임명하는 고유 권한도 가진 적이 있었기 때문에 천황이 전쟁 책임은 면책받을 수 있어도 아시아 식민 통치의 직접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총독부의 직속상관이 천황이 되므로 총독의 위치가 사실상 내각총리대신과 비슷했다. 실제 정치적 영향력은 본국 내각의 수장인 내각총리대신이 강했겠지만. 물론 1945년 패전 이후 식민지를 모두 상실함에 따라 총독 자체가 사라져 임명 권한도 폐지되었다.
쇼와 천황이 공식상에서는 아니지만 황실의 풍습이 조선의 풍습과 비슷하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고[95] 전해지고, 아키히토 천황 스스로가 ' 일본의 황족에 백제인의 피가 섞여 있다'는 발언을 했을 때 한국의 소위 재야 사학계에서 많은 관심을 가졌지만, 그 근거가 고사기에서 무령왕 - 간무 천황이 모계 방향으로 먼 연관이 있다고 한 문구 수준이었으므로 확대 해석은 삼갈 필요가 있다. 맞을 수도 있지만 아닐 수도 있는 것이다. 여진족 신라인설[96]이 학술적으로 큰 의미를 가지지 않듯, 약 300년간 떨어진 이러한 머나먼 혈연관계는 고대 백제와 왜국의 관계가 가까웠음을 일정 부분 보여줄 수는 있어도, 일본 황실의 혈통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볼 근거가 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단지 현 아키히토 천황이 외교적 수사[97]를 구사하였을 뿐이며, 오히려 저 발언을 악용해서 대한제국 병합에 대한 정당화를 주장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었고, 일본 제국의 악명 높은 내선일체가 그 주장에서 피어난 부산물이기도 하지만, 사실 세계적인 관점으로 봤을 땐 이마저도 큰 의미를 두긴 어려운 것이, 한 국가의 왕실이 다른 국가의 혈통과 섞이는 것쯤은 매우 흔한 현상이기 때문이다. 당장 20세기 초 유럽만 봐도 그렇고. 현재는 군주가 먼 옛날 피 좀 섞였다고 다른 나라를 병합할 수 있는 시대가 이니다. 애초에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 전혀 의미가 없는 주장일 뿐이다.
일본 정부와 궁내청에서는 1998년 10월 7일, 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의 일본 국빈 방문 시 아키히토 당시 천황과 김대중 대통령과의 만찬에서 처음으로 아키히토 천황이 한반도에 대한 ' 고통'과 ' 사과' 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서 처음으로 언급함으로써 과거의 일본의 모습과 다른 면모를 보였다. 아키히토 일본 천황 발언 일본 국왕 김대통령 초청 만찬서 한국 고통 사과
2019년 2월 8일, 문희상 국회의장이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천황에게 사죄를 요구하는 발언을 날려, 좌우를 막론하고 일본 정계와 언론이 일제히 강하게 반발하였다. #
9.1.1. 방한(訪韓) 여부
한국은 일본과 지리적으로 매우 가까운 이웃 나라일뿐더러 역사적으로 매우 많은 교류를 가진 관계임에도 역사상 일본의 천황이 한반도를 방문한 사례가 없다. 다이쇼 천황이 1907년 방문한 적이 있으나 그것은 황태자였던 시절로 천황의 방문은 아니다.다른 아시아의 경우 한국처럼 일제의 식민지였던 대만에는 쇼와 천황이 방문한 적이 있으며 아키히토도 1991년과 1992년, 2017년에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중국, 베트남 등 천황이 방문한 적이 있는데 반해 한국은 위 나라들보다 거리가 가까운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천황이 방문한 적이 없는 것은 꽤 특이할 정도다.[98]
다만 황족의 경우 2002 한일 월드컵 당시 다카마도노미야 노리히토 친왕과 히사코 비 부부가 방한한 적이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1970년 영친왕의 장례식 때와 1989년 이방자 여사의 장례식 때 전술한 다카마도노미야 노리히토 친왕의 아버지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99]과 유리코 비 부부가 조문했던 적이 있다. 이는 이방자 여사가 궁가 나시모토노미야 가문 출신으로 일본 방계 황족 출신이기 때문이다.
2009년 이명박 대통령이 천황 방한을 추진할 것이라는 언론 보도가 나오면서, 국민들은 물론 호국 및 애국 단체와 독립 단체 그리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과 반일 단체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거나 규탄하고 나섰으며 한국 국민들 대부분도 천황의 방한을 적극적으로 반대하였다. 결국 한국 정부가 급히 "천황의 방한 계획은 사실상 없다"고 발표하면서 분위기가 누그러지기도 하였다. 2012년 이명박 대통령은 천황에게 사과를 요구하는 발언을 날렸고 이에 우려하는 말이 나오자 해명하였다.
사실 이명박 이전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등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들도 천황 방한을 추진하거나 추진하려고 한 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과거사 문제 해결과 국민정서 그리고 여러 단체들의 반발과 반대, 일본 측의 거부로 인해 모두 실패하였거나 무산된 적이 있다.[100] 게다가 노무현과 박근혜, 문재인의 경우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대일 외교와 관련해 천황 방한을 아예 언급, 추진하지 않았을 정도였다.[101] 일본의 상황도 비슷해서, 천황이 한국에 간다는 것은 또다시 한국에서 천황에게 일제 강점기나 일본군 위안부 등 한일 간 역사 문제와 관련해 사과를 요구할 수도 있는 등 난처한 입장이 된다는 것이 자명하기에 방한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상기된 대로 일본 천황은 일본 정부의 통제를 강하게 받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한국보다 일본과 더욱 사이가 안 좋은 중국에도 1992년 아키히토 천황이 방문한 것처럼, 언젠가는 한국도 방문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중국조차도 1970~80년대 당시 쇼와 천황이 살아있던 시절까지는 천황의 방중이 중국 국내에서도 정치적으로 금기시되었고 1989년 쇼와 천황이 사망하고 그 후임자인 아키히토 때까지 천황이 중국을 방문하지 못했다.
만일 성사된다면 대한민국에 방한한 국가 원수들의 기념행사인 무궁화대훈장, 대훈위 국화장 훈장 교환이 천황에게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2017년 9월 23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일본 아사히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키히토 천황이 퇴위하기 전 아키히토 천황의 한국 방문을 제안하는 발언을 했다. # 이수훈 신임 주일 대사도 "아키히토 천황의 방한이 한일관계를 녹이는 데 큰 기여를 하는 게 아니겠냐"며 일본 천황의 한국 방문을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천황 방한이 이뤄지면 한일관계에 발전될 것으로 본다"며 천황 방한을 거론하는 발언을 했다. # 생전 퇴위가 결정된 아키히토 천황의 방한에 대해 한국과 일본 국민의 70% 이상이 찬성한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
그러나 2019년 한일 무역 분쟁, 일본 불매 운동 등의 사건이 터지면서 양국 관계가 급속하게 냉각되어 방한이 성사되지는 못했다.
이후 2020년을 거치며 한일 관계가 어느 정도 개선되었고, 일본의 여성 주간지인 조세지신(女性自身)은 2023년 7월 13일 '전직 궁내청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2025년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이 되는데, 이때 천황 부부의 한국 방문을 성사시키려는 움직임"이 일본 정부 안에 있음을 보도했다. 조세지신은 '총리 관저 한 관계자의 발언'으로 "기시다 총리는 급속히 개선되고 있는 한일 관계의 총체적인 마무리를 위해 천황 부부의 한국 방문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것 같다", "(기시다 총리는) 전례 없는 천황 부부의 방한이 이뤄지면 역사에 자기 이름을 남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외교 방면에서 '정치적 유산'을 남기고 싶어하는 기시다 총리의 꿍꿍이도 얽혀 있다고 설명했다. # 다만 기시다가 지지도 하락 때문에 2024년 10월 자민당 총재 선거(자민당 단독 과반 상태에서 열리는 사실상의 총리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였기애 나루히토 천황의 방한은 미지수다.
9.2. 타국과의 관계
외교 프로토콜에 따른 영어 경칭은 His Imperial Majesty다. 정식 영어 명칭은 Emperor of Japan이며 영어권에서 주로 이렇게 통용된다.일본에선 각각의 천황은 여타 군주들처럼 칭호를 붙여 구분하며( 진무 천황, 덴무 천황), 일세일원제가 확립된 현대의 천황은 홍무제, 영락제처럼 메이지 천황이나 쇼와 천황으로 연호를 붙여 지칭한다. 또한 천황의 죽음을 붕어(崩御)라고 부른다.[102]
중국의 경우에는 새 이름을 만들어서 부를 필요성까지는 느끼지 못했는지 그냥 천황(중국어 발음으로 '톈황') 호칭을 쓰고 있으며, 난징 대학살 연구자들도 쇼와 천황을 비판할 때도 천황이라 표기한다. #
9.3. 일본공산당의 견해
일본공산당은 과거 천황이 참석하는 국회 개회식은 물론 1990년 아키히토 천황의 즉위식에도 불참하고 축사 의결에 반대했다.1932년 5월 당시 코민테른에서 결정된 '일본의 정세와 일본 공산당의 임무에 관한 테제'에서는 일본 지배 체제를 절대주의적 천황제, 지주적 토지 소유, 독점 자본주의의 세 축으로 규정하였고 지주 및 독점 자본의 대변자 그리고 절대주의적 정치 체제로서의 천황제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천황제를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으로 혁파하고 이윽고 프롤레타리아 민중 혁명을 통해 일본을 사회주의 국가로 변모시키는 것을 일본공산당의 제1 과제로 삼았었다. 자세한 것은 일본인민공화국 문서로.
그런데 2003년을 기준으로, 아키히토 천황의 거듭된 평화주의적 행보와 여성 천황도 수용해야 한다는 여론으로 인해 상징에 불과한 천황제에 대해 마지못해 인정해 준다는 방향으로 노선을 바꿨다. 이는 대중 정당으로의 도약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하는데 노선 전향 이후 일본공산당 내부의 국제파로부터 형언할 수 없는 비판을 받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천황에 대해 마냥 곱게 보는 입장은 아니긴 하다. 해당 기사는 시위대처럼 천황제를 당장 없애자는 건 아니고, 즉위식이 정교분리에 어긋난다며 지적한 것이다.
하지만 이건 일본국 헌법에 명시된 일본과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서의 천황을 인정했다는 것으로, 천황의 국정에 관한 권한이나 권위는 일절 인정하지 않는다. 시이 가즈오 일본공산당 위원장은 "천황은 정치 권한이 없으므로 과거사 사과를 할 자격조차 없다"는 요지의 발언을 한 적이 있다. 이는 공산당이 평화 헌법 개정을 막기 위해 호헌파에 속해 있지만 정작 일본국 헌법(평화 헌법)의 첫 조항에 천황제가 명시되어 있다는 아이러니함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공산당이 여당의 자리에 올라 그들이 꿈에 그리던 민주주의 혁명을 달성한다면 국민들에게 천황제 존속을 묻는 여론 조사나 국민 투표를 시행할 수도 있다. 현재는 천황제 적극 반대도 아니고 적극 지지도 아닌 애매한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안 그래도 일본공산당 강령에서 "천황의 제도는 헌법상의 제도이며 그 존폐는 앞으로의 정세가 익었을 때 국민의 총의에 의해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天皇の制度は憲法上の制度であり、その存廃は、将来、情勢が熟したときに、国民の総意によって解決されるべきものである。)"라며 국민의 총의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10. 논란
일본 사회, 일본인 사이에서 천황이나 황실에 대해 '감히' 비판하거나 그 행적을 평가하기라도 하는 것은 철저하게 금기시되며, 역사적 평가뿐만 아니라 단순한 풍자 및 해학, 가공의 패러디나 오마주를 생산하는 것도 일절 용인되지 않는다. 표현, 언론 및 출판의 자유는 황실을 대상으로는 사실상 예외 사항이 되며, 일본 어디에서나 천황에 대한 화제를 입 밖에 꺼낼 때에는 그저 '국민으로서 예의를 지켜 최소한의 인사치레, 경의만 표하는 것'이 암묵적인 룰이 되어 있다. 이를 가리키는 일본 내 시사 용어가 국화 터부(菊タブー)로, 곧 "국화(황실) 이야기만 나오면 터부(금기)가 된다"는 말이다.법률상으로는 일본 천황과 황실 역시 일반 국민에게 적용되는 모욕죄나 명예훼손죄를 똑같이 적용받으며, 황실이 이 죄의 피해를 입을 경우 총리가 황실을 대신하여 고소권을 행사할 수 있다. 과거 일본 제국 시절에는 침방률과 같은 황실에 대한 불경죄 조항이 형법에 있었으나 현행 일본 형법에서는 삭제되었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이러한 일로 국민을 고소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 반면, 민간에서 합의된 사적 제재가 공공연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우익단체로부터 집단 협박이나 스토킹은 물론 직접적인 테러 및 살해 위험에까지 노출될 수 있다. 이들의 표적이 될 경우 일본 경찰에 신고해도 표면적인 조치만 이루어질 뿐, 일본 사회의 역린을 건드린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신변 보호를 받기 어려우며, 사실상 일본 국내에서 정상적으로 살아가기는 어려워진다.
일본 외에 주요 강대국이나 중견국이면서도 아직 왕실이 존재하는 영국이나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 벨기에 등 유럽의 입헌 군주제 국가들은 국왕과 왕실에 대한 국민의 평가가 상당히 자유로운 데 비하여[103][104] 일본에서는 자국 군주에 대한 신성불가침성이 매우 강력하며, 특히 일본 제국 시대의 천황제 파시즘에도 불구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 최고 사령부에서 정치적 필요에 의해 일본 황실에 전쟁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묻지 않기로 합의하면서 황실을 정치적 '금기'로 보는 인식이 더욱 견고해졌다.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때는 일본에서 좌우를 막론하고 집단적인 반발이 일어나서 한일관계가 얼어붙은 적도 있었다.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은 "일왕이 한국을 방문하고 싶다면 우선 지난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이 저질렀던 악행과 만행에 대해서 진심으로 반성해야 한다. 일왕이 독립투사들 앞에서 고개를 숙여서 사죄를 한다면 일왕 방한(訪韓)도 가능했을 것"이라고 발언했는데, 이것에 대해 엄청난 반발이 일어나서 한일 관계가 악화된 바 있다. 한국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만이 주로 언급되지만, 일본 내에서는 좌우를 가리지 않고 큰 논란이 되었던 사건이다. 집권 민주당과 자민당은 물론 과거 천황제 폐지를 주장했던 일본공산당 역시 비판 성명을 낼 정도였다. 다만 일본공산당이 비판을 한 건 천황을 신성시해서는 아니라 오히려 아무런 공식적 권력도 없는 천황에게 과거사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는 것 자체가 오히려 천황제를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하였기 때문이다.
그 후로도 2019년 2월, 문희상 당시 국회의장이 다시 천황의 사과 요구를 했을 때에도 일본 여론은 한국에 대해 굉장히 싸늘해졌고, 평소 한국에 중립적으로 알려진 인사들까지도 혐한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만 자국 군주에 대한 태도에 있어 일본 사회가 유럽보다 경직된 것은 맞으나 그렇다고 태국이나 아랍 왕정 국가들마냥 완전히 비판을 틀어막는 건 아니고 실제로 천황제에 대한 반대 시위도 소수나마 존재한다. 일례로 2019년에도 참여 인원은 극소수였으나 천황제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렸으며 과거 천황제 폐지를 주장했던 일본공산당 또한 그러한 이유에서 정치 활동의 제약을 받진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천황은 일본인들에게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소수의 급진적인 좌파나 공화주의자를 제외하면 공개적으로 반대하는 운동은 많지 않다. 황족 개개인의 인간성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하는 일본인들은 상당수 있지만 천황과 천황제 자체를 모욕하는 것은 일본 내에서 결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다만 친왕이나 내친왕, 친왕비 등 다른 황족들에 대한 비판은 약간 느슨한 편이다.
11. 여담
실권이 없기 때문에 마냥 한가할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천황은 의외로 정말 바쁘고 고된 일과를 보낸다. 마음 편히 개인 시간을 누릴 수 있는 시간은 생각보다 상당히 제한적이다. 내각에서 이미 결정된 일에 관한 것이라도 그 많은 문서에 일일이 날인해 최종적으로 매듭 지어줘야 하는 일을 하루도 빠짐없이 해야하며, 국무대신 같은 고위 공무원을 임명하는 등 형식적인 국사 행위는 무조건 천황이 진행해야 하고, 이 행사 저 행사는 물론 팔순이 넘은 나이에도 외국 순방까지 불려 다니면서 항상 반듯한 모습과 표정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건강 문제로 아프다고 하루 병가를 내고 쉬는 것 또한 쉽지 않다. 괜히 아키히토 천황이 퇴위 선언 연설을 할때 끝맺음으로 이제 나이 80이 넘어 연로해져서 국가 상징의 의무를 다하는 것이 어렵다고 언급한 것이 아니다. 오죽하면 현임 나루히토도 동생 후미히토에게 황사 직책을 주고 황실 업무를 분담할 정도.천황 본인뿐만 아니라 황후와 친왕(남성), 내친왕(여성) 등 대부분의 황족이 이와 같이 정해진 일정에 따라 행사에 참석하고, 얼굴을 비추고, 카메라 앞에서 웃어주는 일들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황족의 공적인 거동을 일본에서는 '공무(公務)'라고 칭한다. 아프다고 못하면 ‘자격이 없다’느니 하면서 까인다. 황후 마사코가 황태자비였을 때가 대표적.
천황을 비롯한 일본 황실은 성씨가 없다. 히로히토(裕仁), 아키히토(明仁), 나루히토(徳仁) 등 모두 개인 이름만 있다. 결혼 전 성씨가 있었던 황후나 친왕비도 황실로 시집올 때 성씨가 없어진다. 성씨는 인간들이나 가지는 건데 일본 신화 구조상 천황은 '보통 인간'이 아니고 신의 혈통에서 직계로 내려왔기 때문이라고 한다.[105]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고 쇼와 천황이 인간선언을 했고 21세기에 천황이 사실은 인간인 걸 모르는 사람은 일본에도 거의 없지만 그래도 성이 없는 상태는 그대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단 방계 황족은 미야고(궁호)라는 걸 가지는데, 성씨와는 다르지만 학교에 다닐 때에나 사회생활을 할 때 등등 성씨 비슷하게 사용된다.
친왕제는 과거 한국과 중국에서도 볼 수 있지만, 공주를 '내친왕'으로 봉하는 건 일본만의 특징이다. 친왕/왕은 평민 여성과 혼인하더라도 지위를 유지할 수 있지만, 내친왕/여왕은 평민 남성과 결혼할 시 황적을 이탈해 평민으로 강등된다. 사야코 공주, 노리코 공주, 아야코 공주 등이 이에 따라 평민이 되었다. 이 때문에 요즘 들어 문제가 되고 있는 남자 황족 부족 우려와 맞물려, 앞으로는 이러한 경우에도 황족 신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황실전범을 개정하자는 얘기도 잠깐 있었다. 그러나 이 논의는 히사히토 친왕이 태어나자 흐지부지됐다. 또한 일본 황실에서도 어김없이 남존여비의 분위기는 지속되어, 아무리 천황의 딸인 내친왕이라 할지라도 남편보다 먼저 앞서 걷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구로다 사야코 문서 참고.
쪽바리와 더불어 소일본(小日本), 일본귀자(日本鬼子) 등과 같이 일본을 욕하는 말조차도 거침없이 모에화해 버리는 21세기 일본의 오타쿠들이 워누(倭奴)와 더불어[106][107] 절대로 모에선으로 건드리지 않는 존재이기도 하다.[108] 천황은 일본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로 취급받기 때문에 이를 모에화하는 것 그 자체만으로 비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실존하는 황족을 모에화하거나 천황이라는 어휘를 사용하지 않는 것뿐이다. 미카도니 하는 명칭으로 천황 비슷한 위치에 있는 캐릭터로 만든다.[109]
초대 진무 천황, 여성 천황들(사이메이, 메이쇼 등), 근대 천황들(메이지, 다이쇼, 쇼와, 헤이세이), 그리고 근대 이전에 그려진 초상화가 있는 천황들을 빼고는 다들 초상화의 모습이 유사하다. 이는 당연히 천황들의 어진이 대개 당대가 아니라 거의 후대의 상상화이기 때문이다. 유튜브에 역대 일본 천황 125대 진무 천황 ~ 헤이세이 천황(歷代の日本天皇125代[神武天皇 ~ 平成天皇])이라고 치면 천황들을 그린 모습이 나오는데 너무 부자연스럽다. 특히 2대 ~ 49대 천황의 경우에는 초상화의 색깔이 없고 단조롭다. 그리고 75대 ~ 93대 천황 중 81대 안토쿠 천황을 제외하고는 초상화에 나오는 얼굴이 비슷비슷하다.
한편 초상화가 없는 천황도 있는데 바로 고분 천황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는 그가 태어나서 죽은 이래 천몇백 년 동안 천황으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11년 도쿄에서 아키히토 천황이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대국민 담화를 할 때 테레비 도쿄에서는 대국민 담화 방송을 틀지 않고 정규 방송을 하는 용자(?) 짓을 하였다. 왜 그런지는 테레비 도쿄 문서로.
[1]
가운데 문양은
금빛 국화 문양을 띠고 있는
일본 황실의 인장으로, 관습법상
일본의 국장이기도 하다.
[2]
대부분의
공화국이 1장에 국체의 성격(예: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
대한민국 헌법)이나 국가권력의 존재 이유(예: 인간의 존엄성은 침해되지 아니한다. 모든 국가권력은 이 존엄성을 존중하고 보호할 의무를 진다. - 독일 기본법)를 삽입하나, 일본국 헌법에서 천황이 가장 먼저 나온다는 것은 그만큼 천황의 존재가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 일본국 헌법의 제1조에서도 '일본 국민에 주권이 있으며', '천황 지위의 근거는 국민의 의사에 기초한다'고 하여 그 권력 구조를 드러내고 있다. 비록 이게 일본 국민이 그 의사를 직접 밝혀 근대적인 투표를 통해 천황을 선출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카리야 테츠의 "
일본인과 천황"에서도 '천황 선거는 불가능하다'면서, '상징'이라는 표현은 대단히 모호하고, 주권을 지닌 일본 국민과 천황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도 나타내지 못한다며 지적한 부분이다.
[3]
일본국 헌법은 신자체와 현대 가나 표기법 시행 이전에 제정된 뒤 한 번도 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조문 원문은 구자체(정자)에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 따라 표기되어 있다.
[4]
일본국 헌법 시행 이전 일본 제국은 공식적으로
국가신토를 종교가 아니라 본래
일본인의 정신의 일부인 '
국체', '초종교(초신앙)'으로 취급하여, 일본 신민이 천황을 섬기는 것을 '종교의 자유 이전의 문제'로 취급했다. 그러나 비교종교학적 측면에서 이는 엄연히 종교였으며, 이 당시 천황 숭배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탄압당했다가 전후 복권된 교파의 신도들에게 "
야스쿠니 신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냐"고 질문하면 직접적으로 비난하지는 못하고 "야스쿠니 신사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우리 신사의 카미사마(神様, 신님)는 몇백 년 전부터 모셔온 신입니다."라 에둘러 말한다.
신토 문서 참고.
[5]
일본국 헌법 제3조에서 "천황의 국사에 관한 모든 행위에는 내각의 조언과 승인을 필요로 하며, 내각이 그 책임을 진다.(天皇の国事に関するすべての行為には、内閣の助言と承認を必要とし、内閣が、その責任を負ふ。)"에서 따온 명칭이다.
[6]
대일본제국 헌법 시기에는 천황의 명령은 칙령, 내각총리대신의 명령은 각령으로 현대와는 달랐다. 현대에는 천황의 칙령 발령권이 폐지되고 내각총리대신이 정령을 발한다. 단, 신규로 칙령을 발할 수 없을 뿐인지라 위계령과 같이 아직 폐지되지 않은 칙령은 정령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7]
이 열거된 국사 행위들은 '내각의 지명\'으로, '국민의 이름\'으로와 같은 단서가 붙어 있고, 따라서 제도적으로는 실권이 천황에게 있지 않고 국회, 내각 및 국민투표를 통해 정해진 절차에 따라 시행되도록 되어 있다.
[8]
한자를 따로 읽으면 てん(ten)과 おう(ō)이지만, 붙여 읽을 때는
연성(連声)이라는 현상 때문에 n이 덧난다.
[9]
상대적으로 최근인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에티오피아 제국,
팔라비 왕조 등 황제 혹은 그와 동등한 직함을 가진 제국들이 더 있었지만, 군주정의 무덤이라 불리는 20세기를 넘기지 못하고 혁명으로 무너졌다.
[10]
한자 문화권 명칭의 경우
교황과 함께 단둘인 직함이다. 서양에서는 교황을 원래 '파파(Papa)'[110]라고 불렀으며 여기에는 '황제'나 '군주'라는 의미는 들어 있지 않다. 다만 의미와는 별개로 의전은 실제로 황제에 상응한다.
[11]
일본서기: 「日出處天子致書日沒處天子無恙云云」,
수서: 「開皇二十年,倭王姓阿每,字多利思北孤,號阿輩雞彌,遣使詣闕。上令所司訪其風俗。使者言倭王以天為兄,以日為弟,天未明時出聽政,跏趺坐,日出便停理務,雲委我弟。高祖曰:『此太無義理。』於是訓令改之。」
[12]
백제는 425년에 '진동대장군(鎭東大將軍)'의 칭호를 받았다.
[13]
'천황'이라는 단어의 언급 문제는
중국 측과
일본 측의 자료가 확실하게 엇갈린다. 중국 측에서는 위진 남북조 시절에 중국에서 사용했다고 주장하는 한편, 일본에서는
쇼토쿠 태자가 보낸 외교 서찰이 시초라고 본다. 이에 대해 학계에서는 일본 측의 자료보다는 중국 측의 자료에 신빙성이 있다고 본다.
[14]
김후련,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고대일본의 자타인식」, 『역사문화연구』21, 2004
[15]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은 대신들로부터 모든 황의 가운데에 있는 태황(泰皇)이라는 명칭을 건의받았으나
황제라는 새로운 호칭을 만들었다.
[16]
지상의 군주도 이와 빗대어 군주는 북쪽에 앉아 남면하고 신하는 남쪽에 앉아 북면하며 궁궐도 북쪽에서 남면하여 남쪽으로 큰 주작대로를 낸다.
[17]
당 태종 말 ~ 무주 말까지를 다룬 드라마
무미랑전기나 영화 적인걸-측천무후의 비밀에서도 이 점을 반영하여 측천무후를 '천후'라고 칭한다.
[18]
현존하는 '천황' 표기가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유물이 아스카노이케 유적에서 발굴된 677년 목간의 '天皇聚露忽謹'에서이다. 그 이전의 경우는 모두 실물이 전해지지 않고 인용으로서만 전해지거나 신빙성 여부가 의심되는 유물들이다.
[19]
한국어로 번역하면 '대궐'이다.
[20]
그냥 '천자'라는 한자어를 일본식으로 읽은 것이다.
[21]
'십선계(十善戒)를 지킨 공덕으로 왕이 되었다는 뜻이다. 십선계란 ① 살생하지 않는 것, ② 도둑질하지 않는 것 ③ 삿되게 간음하지 않는 것, ④ 망령된 말을 하지 않는 것, ⑤ 현란스러운 말을 하지 않는 것, ⑥ 험담하지 않는 것, ⑦ 이간질하지 않는 것, ⑧ 탐욕을 부리지 않는 것, ⑨ 성내지 않는 것, ⑩ 삿된 견해를 갖지 않는 것 등이다.
[22]
코를 만지거나 귀를 씻거나 기타 등등
[23]
기록에 따라 스사노오의 아들/6대손/7대손이라고 하며, 스사노오의 딸 스세리히메와 결혼해 스사노오의 사위가 된다.
[24]
이자나기와
이자나미가 미처 다 하지 못한 나라/땅 만들기를 오쿠니누시가 계속 이었다는 의미.
[25]
멀리 떨어져 있다 보니 중앙의 권력 지배가 좀처럼 닿지를 않아서 교토 조정이나 교토 서쪽 지역 주민들에게는 아즈마에비스(東夷)라 불리며 '오랑캐' 취급을 받았고, 그런 탓에 지방관들이 중앙의 권력이 미치기 어렵다는 점을 악용해서 좋을 대로 해먹는 일도 많았다.
[26]
타이라노 마사카도가 신황을 자처한 데에는 자신이 50대
간무 천황의 4대손이라는 것도 중요한 요인이었지만 동시에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고금의 역사를 살펴봐도 힘이 있는 자가 한 나라를 차지하는 일은 흔하디흔한 일이었다. 바로 얼마 전에
거란도
발해를 멸망시키고 그 땅을 차지하지 않았느냐?"라는 다분히 패도 지향적인 이유도 드러내고 있었고, "내가 가진 이 힘도 하늘이 나에게 주신 힘이니 내가 이 일본의 절반을 차지한다고 해서 안 될 것이 없다"라고, 일본 전통관으로 보자면 이미
황적이탈돼서 딱히 정통성이 없는 자신에 대해 일종의 중국식 천명 사상도 드러내고 있었다.
[27]
이때의 쇼군은
막부 시대의
쇼군과는 다른 개념으로, 천황이 임명하는 단순한 무관직에 불과했다.
[28]
이마저도 중앙에서 보낸 군세에 의해서 진압되었다기보다는 타이라노 사다모리(마사카도의 친척으로 역시 간무 천황의 후손, 간무 이세
헤이시의 선조),
후지와라노 히데사토 같은 현지 호족들이 주축이 된 군세에 의해서 진압되었다.
[29]
사실 아무리 귀족 저택이라 해도 정식으로 건축된 황궁과는 규모로 보나 경비로 보나 결코 비교가 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한국에서
광해군이 임진왜란으로 주요 대궐들이 모조리 불타버리고 부왕이
종친의 사저를 수리해 쓰던 행궁을 박차고 나와서
창덕궁이나
창경궁의 재건을 감행한 것도, 그 당시는 물론 나중에 가서 '궁궐병'이라 불릴 정도로 지나치게 공사를 많이 벌인다는 비판이 일고 결국 광해군 자신의 실각으로까지 이어졌다고는 하지만, 전쟁 이후 실추한 왕실이나 국가의 권위 쇄신 및 회복을 위해서
어느 정도는 필요한 조치였다는 옹호가 가능한 것이 이런 이유에서다. 아무리 "정치가 잘되면 땅에 금 그어놓고 넘어오지 말라고 해도 안 넘어간다"는 논리로 토목 공사를 부정적으로 보는 것이 유교라고는 하지만, '형식이 뭐가 중요하냐 실속만 있으면 그만이지'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말 같지도 않은 헛소리 하지 마라"며 형식과 실속이 조화를 이루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
공자 본인이었고, 왕이라고 지나치게 검소한 것만 따져도 결국 대외적인 이미지를 비롯한 왕가로서의 품위나 권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겉으로 드러나는 시각적 이미지도 전근대에는 엄연히 권력의 한 작동 원리였고 왕권의 중요한 요소였다.
[30]
이게 얼마나 심각한 문제냐면, 일본에서 천황을 모시는 것 이전에, 궁녀들의 대부분은 공가의 귀족 출신이었다. 즉
조선으로 치면 반가의 부인과 따님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몸을 팔았다는 소리다. 일본의 경우 대궐에서 따로 품계를 받지 않은 궁녀들의 경우에는 궁에 매여 한평생 살아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특별히 천황의 '성은'을 입어 후궁으로 품계가 주어지지 않는 일반 여관(女官)의 경우 자유연애와 결혼이 가능했고, 천황이나 중궁을 모시다 결혼해서 대궐을 나가는 경우도 많았다. 유명한
무라사키 시키부나
세이 쇼나곤,
이즈미 시키부 모두 궁중에 출사해 드나들던 여관으로 천황이 아닌 귀족 남성과 혼인했던 인물이다. 물론 자유연애와 결혼이 가능했던 것과 반가의 따님들이 '생계 유지'를 이유로 몸을 팔아야 하는 처지에 있었던 것은 다른 문제이지만.
[31]
고하나조노 천황의 경우 오닌의 난 발발 뒤에 양위하고 출가하였는데, 오닌의 난이라는 대형 사고가 터진 것에는 자신이 발급한 치벌윤지도 한몫했다는 자숙의 의미였다. 물론 직접적인 원인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우유부단함에 있었지만, 이런 대형 사고 날 원인 제공해 놓고도 별다른 책임도 지지 않은 요시마사에 비하면 '짐이 부덕하여 이런 전란이 일어났다'며 양위하고 물러난 것에 대해서 호평하는 이들도 많았다고 한다. 물론 다르게 생각하면 '도피' 아니냐는 냉소도 피할 수 없겠지만.
[32]
재산이 얼마 없었던 황실에 10만 석의 영지를 선물해 주었는데 천황 개인의 영지가 3만 석이고 황실의 영지가 7만 석이었다. 참고로 에도 막부 직할령인 천령은 400만 석가량이고(도쿠가와 막부의 수입이 230만 석), 하타모토 같은 직속 무사는 전부 합쳐 300만 석가량의 영지를 보유했다. 에도 시대의 다이묘 중에는 가가번처럼 웬만큼 이름 있는 다이묘는 백만 석을 넘어가는 이들도 적지 않았고, 그 영지 보유의 기본 단위가 사쓰마(77만 석), 센다이(62만 석)처럼 10만은 거뜬히 넘는 이들도 많았다.
[33]
그 유명한
주신구라 사건이 천황이
쇼군에게 보낸 칙사를 대접하던
사무라이들끼리 예법이 어긋났다는 이유로 쪼인트를 까다가 벌어진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다이묘인
아사노 나가노리까지
할복해야 했는데, "천황의 칙사 앞에서 무례한 모습을 보인 것에 대한 파장이 컸다는 소리니, 당시 천황의 권세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알 수 있다."고 보는 식자도 있지만 엄밀하게는 에도성 안에서는 칼을 빼서는 안 된다는 막부의
무가제법도를 어긴 것이 더 컸다.
[34]
이는
에도 막부의 쇼군가 쪽에서 천황이 실권을 회복할 가능성을 우려해서 황실과의 혼인을 거부한 탓이 컸다. 그래서 그 막부의 권위도 나락으로 떨어진
개화기 때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와 천황의 여동생인
가즈노미야 지카코 내친왕과의 결혼이 성사되자, 세간의 지대한 관심을 모았다.
[35]
천황/칭호 표기 논쟁 항목 참조. 일본에서 천황을 가리켜서 '천황'이라고만 부르게 된 것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나 그랬고, 그 전까지는 주로 '미카도(帝/御門)' 또는 '원(院)'이라는 칭호를 많이 사용했다.
[36]
만세일계와 같은 말은 한민족의 시조라 불리는
단군이 하늘의 신 환웅과
웅녀의 후손이며, 한국은 하늘과 곰의 기운을 받은 국가라는 식의 신화적 이야기에 불과하다. 정치적으로 천황의 정당성을 위한 상징적 단어일 뿐이다.
[37]
비단 현존하는 왕조뿐 아니라 옛날에 존재했던 왕조들까지도 이 잡듯이 뒤져도 가장 최장수 왕조에 꼽힐 것이다. 보통 왕조는 500년을 넘기도 힘들며 문명별, 시대별, 지역별로 왕위 계승의 법칙도 달라서 A라는 왕조가 500년을 넘겼다 쳐도 B라는 왕조에서 채택했던 왕위 계승의 법칙 방식으로는 아닐 수도 있다. 한국사의 신라, 고려, 조선만 해도 하나의 나라가 쭉 이어진 것으로 인식하지만 서유럽식으로 보면 왕조가 몇 번은 바뀌었다고 볼 수 있다. 예시를 들자면 신라의
혜공왕-
원성왕 교체기, 고려의
목종-
현종 교체기, 조선의
철종-
고종 교체기는 서유럽식으로 보면 다른 왕조로 세야 할 만큼 촌수가 멀어졌다. 또한 신라는 왕성이 3개로 초반에 김박최 3성이 돌아가며 왕위를 차지하다 김씨가 독점 후 마지막엔 박씨가 즉위한다.
[38]
태상천황의 줄임말이다.
[39]
태상법황(太上法皇)의 줄임말로, 선정법황(禪定法皇)이라고도 한다.
[40]
고다이고 천황이 각지로 자신의 아들들을 보내 현지에서의 논공행상권을 맡기고 무사들을 포섭하라고 했는데, 이들 황자 가운데 그나마 유의미하게 북조에 대항할 만한 힘을 갖추었던 곳이 규슈였고, 가네요시 친왕이 호족 기쿠치씨와 결탁하여 수립한 정서부(征西府)는 북조가 규슈 통치를 위해 임명한 규슈 단다이나 가마쿠라 막부 이래로 규슈의 슈고로서 전통적인 지배 세력이었던 쇼니씨와도 항쟁을 벌여 여러 차례 승리하고 한때
다자이후를 점령하기도 했으며, 무엇보다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일본국왕으로 책봉되는 등 외교적인 지위도 확보했다. 여기에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서자였던 아시카가 다다후유까지 끼어들어 자신의 세력을 결집하려 하면서(이후 다다후유는 쇼니씨의 사위가 되었다) 규슈는 '가네요시 친왕 - 기쿠치씨'의 남조 세력(정서부) 대 '잇시키씨 → 이마가와씨'의 북조 세력(규슈 단다이) 그리고 전통적인 지배 세력이자 남조나 북조 모두와도 어느 정도 거리를 두는 아시카가 다다후유-쇼니 요리히사의 '제3세력' 이렇게 삼파전 양상을 띠었다.
[41]
이해는 마침 한반도에서도
공양왕이 강제로 폐위당하고
이성계가 새로운 왕조를 세운 해였다.
[42]
실제는 섭정을 한 황태자
히로히토 친왕
[43]
남북조 시대 혈통 분쟁과 관련한 부분은
교고쿠도 시리즈 3권 <광골의 꿈>에서 소재로 사용된다.
[44]
이러한 인식은 지금이라고 별로 다를 것은 없는지 2017년 생전 퇴위를 밝힌 아키히토 당시 천황에게 이른바 유식자 회의(有識者会議)라 불리는 아베 신조 당시 총리의 사적 자문 회의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
천황은 기도나 하고 있으면 그만이다(天皇は祈っているだけでよい)"라는 비아냥이 나왔을 정도니. 히라카와 쓰케히로(平川祐弘) 도쿄대 명예 교수 등에 따르면 이 발언을 전해 들은 아키히토 당시 천황은 몹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적어도 아키히토 자신은 일본의 천황으로서 과거 일본의 침략으로 식민지로 전락하고 전쟁에 강제 동원되어 피해를 입은 이들이 있다는 것을 부정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내 왔건만 그 모든 것이 그것도 천황을 받든다는 우익 관계자들로부터 단박에 부정당한 것이나 다름없으니.
궁내청 관계자도 "지금까지 폐하께서 해 온 활동을 모른단 말이냐"라는 반응이었다.
#
#
[45]
일본의 전통적인
문벌귀족.
[46]
일본 만화
히카루의 바둑에 이를 보여 주는 장면이 있는데, 작중
히카루가 어느 골동품점 주인이 히카루의 지인으로부터 몰래 빼돌려 가지고 있던
도라지로의 물그릇 도자기를 걸고 바둑을 두는 에피소드에서
후지와라노 사이는 골동품점 주인이 빼돌린 그 물그릇 도자기에 대해 "분명히 도라지로를 따라 들어간 교토의 황궁에서 봤던 그 물그릇"이라며 "당시 황실의 재정이 몹시 궁핍했다고 알고 있는데 그때 외부로 반출된 것일까…."라고 생각하는 장면이 나온다.
[47]
혹자는 "이 기록은
에도 막부 말기의 기록인 만큼, 이 시기의 천황이 내내 이렇게 살았다는 것으로 해석할 게 아니라, 상류층들도 궁핍을 면치 못할 만큼 당대
일본 경제가 크게 흔들리고 있었다고 보는 게 맞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또한
일본 황실의 영지는 10만 석이고 그 중에서도 천황의 개인 영지는 3만 석에 달하여 어지간한
다이묘 수준은 되었으므로, 에도 막부 시기 내내 저런 상황은 아니었다고 보는 게 옳을 것이다.
[48]
사실 일본 천황이 아시아 세계에서 보편적인 군주가 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티베트 불교의
달라이 라마나
바티칸의
로마 교황 같은 종교적 권위를 내세우자니 일본의 신토는
불교나
그리스도교처럼 동아시아 세계 전체에서 통용되는 종교도 아니었고, 문자 기록부터 시작해서 인문학, 정치학, 철학, 기술 등 온갖 인프라의 발상지로 말 그대로 '세계 문명' 그 자체였던 중국처럼 뭔가 일본이 고안하고 내세울 수 있는 보편적인 철학을 제시하고 내세울 위치에 있지도 못했다. 이는 지금이라고 별로 다를 것은 없다.
[49]
이토 히로부미가 다른 나라
외교관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일본 황족으로 태어남은 큰 불행이다. 태어나면서부터 예절에 얽매여 살고 자기 뜻대로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하면서 손으로
마리오네트 다루는 시늉을 하여 지켜보던
외교관들이 당황했다는 말은 도시 전설이고, 대일본제국 헌법을 제정한 장본인 가운데 한 명이 이토 히로부미다. 물론 천황의 권위와 권한이 높을 수록 정부 고관들이 이익을 보면 이익을 봤지 손해 볼 것은 없으니 또 모를 일이다.
[50]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경우 그가 입궐한다고 하면 메이지 천황은 양장을 단정하게 차려입고 그를 만났으며, 야마가타도 메이지 천황이 자신을 두려워하는 줄 잘 알아서 어전회의 도중에 메이지 천황이 졸기 시작하면 차고 있던 칼집으로 바닥을 대놓고 쾅쾅 두드려서 천황을 깨우기도 했다고.
[51]
메이지 정부가 전국 각지에 징병령을 내려 농민들로 구성된 징집 군대를 편성할 계획을 세웠을 때도, 농민들이
죽창 들고 관공서 몰려가서 "천황이 도대체 뭔데 우리 목숨을 혈세로 거둬가겠다는 거냐"며 화를 냈을 정도였다.
[52]
아직도 남아 있는 곳도 있다고 한다.
[53]
천황이 있는 도쿄의 황거를 향해 신민으로서 절을 하는 일.
[54]
그래서 일본의 역사물을 보면 막부나 번 등에서 '가로(家老)'라든지 하는 사람들이 주축이 되는 경우가 많다. 쇼군이나 번주는 가끔 몇 마디 던지는 정도고, 아예 참석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쉽게 말하자면, 사장은 없이 전무, 상무 등이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는 격.
[55]
맥아더는 천황에 대해서 “천황 한 명의 가치는 미군 사단 21개와 맞먹는다”며 그런 영향력을 지닌 천황을 굳이 교수대에 올려서 괜히 패망한 일본인들 감정만 자극해 사태를 악화시킬 바에는 자신이 목표로 하는 일본 개혁에 적절하게 이용해 먹는 것이 차라리 더 효율적이고 일본인들의 저항도 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56]
종전 직후 일본 전국 각지로부터 맥아더와 미군을 환영하는 무수한 편지들이 쇄도했는데,
오사카 인근에 사는 오우치 하나코라는 사람이 1945년 12월 맥아더 연합군 총사령관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아예 “식량 배급을 늘려주면 천황제를 폐지해도 대중들은 환호할 것”이라고까지 썼다고
# 특히
일본국 헌법 공표당시 일본 대중들 대다수가 군대와 전쟁 포기 조항을 지지했을 정도로, 정말 당시 대중들은 전시 상황만 끝날 수 있다면 뭐라도 좋은 상태였다. 물론 맥아더가 포섭하려 한 건 대중이 아니라 반공에 협력해 줄 지도층이었기에 얘기가 달라진다.
[57]
Shillony (1973), pp. 181~182
[58]
Kita (2003), pp. 127~129
[59]
Shillony (1973), pp. 172~173
[60]
이
통제파의 수장이 바로
도조 히데키였다.
[61]
『Genro Kinmochi Saionji: A Challenge from the Age of Seventy』
[반론1]
- 우가키 가즈시게의 낙마는 그의 임명을 반대한 육군과 지명하긴 했지만 임명할 생각은 없었던 히로히토 천황이 짜고 친것이라는 해석도 있다.[111] 그리고 히로히토 천황은 그 뒤에도 총리 인선을 군부와 논의한 적이 없다.
[반론2]
- 군부 인사권은 통수권자의 고유 권한이다. 다시 말해 독일 육군이 히틀러가 라이헤나우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는 걸 반대한 것은 '
우린
널 통수권자로 인정하지 않아'라고 한 것이나 다름 없다.
[반론3]
- 이는 두 나라의 군부가 최고지도자를 대하는 태도가 달랐기 때문이다. 일본 군부는 히로히토 천황과 이견은 있었지만 히로히토 천황을 신처럼 숭배하고 충성했으며 히로히토 천황을 암살하고 체제를 전복할 생각은 하지도 않았다. 반면 독일 군부는 히틀러를 암살하고 제정을 복고하려 한 장교들이 많았으며 히틀러 암살 음모에 가담하지 않은 장교들도 라이헤나우 같은 나치 지지자들 제외하고는 사석에선 히틀러를 '보헤미아 상병'이라 부르며 멸시했으며 히틀러 암살 음모를 알고도 신고하지 않았다. 만약 일본 군부가 히로히토 천황을 암살하려다가 실패했다면 히로히토 천황은 당연히 군부를 숙청했을 것이다.
[65]
당시 일본에서는 제국의회가 아닌 천황만이 조약을 비준할 수 있었다. 참고로 일본은
제네바 의정서는 1925년에 서명했지만 비준은 1970년에 했고
제네바 협약은 1929년에 서명했지만 비준은 1953년에 했다.
[66]
Sherman, Christine, War Crimes: Japan's World War II Atrocities, Turner Publishing Company, 2001, p.258
[반론4]
- 이는 물타기요 책임 전가다. 일본 군부가 제네바 협약과 제네바 의정서의 비준을 반대한 것은 사실이지만 비준하지 않은 것은 히로히토의 결정이었다. 히로히토와 군부는 모두 침략 전쟁을 원했고 국제법에 얽매이지 않기 위해 조약을 비준하지 않은 것이다. 다시 말해 조약을 비준하고 싶었던 히로히토를 군부가 총칼을 들고 협박해서 무산된 것이 아니라 공공연하게 비준을 반대한 군부와 내심 비준을 원하지 않았던 히로히토의 뜻이 맞아떨어져서 무산된 것이다.
[68]
Tipton, Elise, The Japanese Police State: Tokko in Interwar Japan, Bloomsbury Academic, 2014, p.22
[69]
Tipton, p.22-23
[반론5]
-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은 메이지 헌법부터 다시 살펴봐야 한다.
일본 제국의 모든 법률은 천황 혹은 섭정의 재가가 필수였고 천황의 재가 없이 만들어진 법은 없었다. 당연히 치안유지법도 히로히토가 재가해서 제정될 수 있었다.
[71]
Harada, Kumao, Saionji-ko to seikyoku, vol.6, Iwanami Shoten, 1951, pp.206
[72]
천황은 일본국의 상징이며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서 그 지위는 주권을 가진 일본 국민의 총의로부터 나온다.
[73]
이 조항에는 '천황이 내각의 조언을 받아 자의로 승인을 한다'는 식으로 해석될 요지도 있지만, 잘 보면 마지막에 내각이 책임을 진다는 문구가 있다. 책임을 지는 쪽이 당연히 권한도 갖는 것이다.
[74]
위계령 등
[75]
유럽의 입헌 군주들은 대부분 법적으로는 선거권을 가지고 있으나, 관례상 선거에 참여하지 않는다. 다만, 국가에 따라서
국민 투표에는 참여하기도 한다.
[76]
제국 시절에는
일본군의 통수권을 보유하긴 했었다.
[77]
행정부(
내각), 입법부(
국회), 사법부(
재판소).
[78]
정원 3인. 검찰청에서 일하는 그 검사가 아니다. 検査官. 검사관 중에서 호선된 1명이 회계검사원장이 된다.
[79]
회계 검사원법 제4조
[80]
회계 검사원법 4조 4항
[81]
서명은 붓글씨로 친필 서명을 해주며, 옥새는 워낙
크고 아름다운 물건인지라 실제 옥새는 찍어주는 관리가 따로 있다. 어쨌건 천황의 친필 서명이 있어야만 옥새를 찍을 수 있으므로 도장을 찍을 권한 자체는 천황에게 있다.
[82]
예를 들어 실리를 중시하고 외교적으로 중요한 회의에서는 일본국 총리대신이 나가고, 외국의 왕족에 관련된 일이나 올림픽 같은 상징적인 대회에는 천황이 참석하는 식이다.
[83]
언론은 기본적으로 중립성을 위해 모든 인물에게 반말체로 말하지만, 천황만큼은 깍듯이 존칭과 경어로 보도한다. 심지어 좌파 언론 중 꽤 과격한 아사히 신문도 얄짤없다.
[84]
작가 아가와 히로유키(1920)가 썼다고 알려진 호칭이다. 참고로 그는
해군선옥론자로 육군식 천황 신격화를 혐오했지만 역사 교과서 수정은 지지하는 등, 딱히 우익에서 벗어나지는 않은 인물이다.
[85]
참고로
무라카미 하루키는
좌파 성향의
아나키스트이자
공화주의자다 보니, 저렇게 말하는 것이 이상하지는 않다. 그리고 아무리 천황이 신성불가침이라도,
일본도 사람 사는 곳이다 보니
쇼와 천황의 죽음을 앞두고 각 방송사들이 자중한답시고 대부분의 예능 프로그램을 무기한 결방하자, 천황 하나 때문에 TV를 못 본다고 방송국마다 항의가 빗발쳤다. 그래서 우습게도 이 시기 비디오 대여점이 아주 장사가 잘되었었다고 한다.
[86]
아키히토 즉위 당시의 총리는
다케시타 노보루였으나 헤이세이 개원 후 얼마 안 있어
리크루트 사건으로 사임하고, 후임
우노 소스케마저 스캔들로 사임하여 즉위식을 할 무렵에는 가이후 도시키가 총리를 하고 있었다.
[87]
협박을 비롯해 인터넷 개인 메일 테러.
[88]
물론
옴진리교를 이토 시장 등과 동일시할 수는 없다. 옴진리교는 일본 국가 전복을 꾀하고 여러 차례에 걸쳐 많은 무고한 생명을 살상했기에 더욱 큰 문제가 되었다.
[89]
물론 말이 평민이지, 가쿠슈인을 다니며 황족과 친구로 지낼 정도였다면, 꽤나 좋은 집안일 가능성이 높다.
[90]
본래 국체를 나타내는 표현을 붙이지 않는 것이 동양권의 전통적인 국명 작명법이기도 하다.
[91]
사실 엄밀히 말하면
메이지 천황 이전
고메이 천황 및
에도 시대 천황보다도 오히려 권위가 약해졌다. 비록 에도 막부
쇼군들이 막부 중기 이후로는 사실상
교토에 상경하지도 않는 쇼군들이 대부분인 등(막부 말기에는 오히려 에도에 한 번도 안 가보고 교토에만 거주한 쇼군 또한 있긴 하다.) 쇼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독점하긴 했지만, 어쨌거나 형식적으로는 쇼군의 결정을 천황이 재가하는 형태를 갖추긴 했었던 데에 비해 현대의 천황은 그러한 형식적 권한조차 없다. 애당초 막부 말기 외양 웅번들이 토막을 외치고 반란을 일으킨 근거 자체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천황의 허락 없이
미국과 통상 조약을 맺었다는 것 때문이었다.
[92]
신라 혜공왕 15년이다.
[93]
이미 조선은 국초부터 일본 측 외교 대상에 대해 '일본 국왕'이라고 불렀고 이건 무로마치 막부의 쇼군을 가리킨다. 군주국끼리의 교섭인데 조선의 군주가 사신을 보내 교섭하는 일본측 총책임자가 일본 군주가 아닌 다른 존재여서는 당연히 안 되기 때문에 그렇게 칭하였던 것.
[94]
반청복명의 거두 가운데 하나였던
정성공이 보낸
주순수 등이 일본에 건너가서 원병을 요청하면서 조선의
강항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 성리학을 가르치고, 에도 막부에서는 정성공의 요청대로 대륙에 원병을 보내 명나라를 부흥시키자는 의론도 있었다. 내부에서 반대해서 그만뒀지만.
[95]
이도학의 《새로 쓰는 백제사》에 실려 있는 일화인데, 기마 민족 정복 왕조설로 유명한 일본의 사학자 에가미 나미오가 쇼와 천황을 만났을 때에 그렇게 말했다고 한다. 사실인지 알 길은 없지만, 중세까지 일본에서 "천황가는 조선(즉 한반도)에서 건너왔다"는 인식은 존재했던 듯하다. 기타바타케 지카후사가 자신의 저서 신황정통기에서
간무 천황 때까지 "일본 천황은 삼한과 같은 종족"이라고 적은 책들이 있었는데 간무 천황이 그 책들을 싹 모아서 불태워 버렸다고 언급하기도 했고, 일본 사람들은 식사할 때 젓가락을 주로 쓰고 숟가락을 안 쓰는데 천황가에서는 숟가락을 쓴다더라(
#) 하는 얘기도 있다.
[96]
다만, 여진족 신라인설과 달리 한반도와 일본 천황 사이의 관계는 고사기를 비롯한 여러 고서적이나 신화, 전승들과 관련되어 직간접적으로 그 관계를 나타내는 근거들이 상당히 많이 등장한다.
[97]
이 발언은
2002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 양국 간의 우호와 화합을 강조하기 위해 나온 것으로 사돈의 팔촌 엮듯 자그마한 부분이라도 한일 간의 연결 고리를 만들기 위함이었다. 근거 동영상을 보면 "
속일본기에 조상의 어머니가
백제계라 기록되어 있어 인연을 느낀다"고 했는데 그게 굉장히 과장되어 퍼졌다.
[98]
레이와(令和) 신연호 발표 하루 전에 2019년 공개된 외교 문서에 따르면 1988년 9월 당시
일본 외무성의 무라타 료헤이(村田良平) 사무차관이 이원종 주일 대사와의 비공식 협의에서 '
아키히토 황태자의 조속한 한국 방문이 실현되길 기대한다'는 일본 측 입장을 전달했고, 이 대사가 이를 본부에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 무렵 제5공화국 정권이
1988 서울 올림픽을 개최하는 달이었고, 일본으로서는 올림픽 개최식에 참석해서
한일관계에 대한 전향적인 입장을 드러내고, 제5공화국 정권은 또 한일 관계의 변화된 모습을 내세워서 정치적으로 이용할 거리를 얻을 수 있었다.
아베 신조의 부친인
아베 신타로 외무대신이 1986년 3월 당시
아키히토 황태자 부부의 방한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으나 그해 8월
미치코 황태자비의 건강 문제 등으로 방한 계획이 보류됐다.
#
[99]
다이쇼 천황과
데이메이 황후의 4남 중 막내.
[100]
패전 이후 천황이 방문한 국가에서 좋은 소리 못 듣는 것은 한국만 그런 건 아니었고,
영국이나
네덜란드는 쇼와 덴노가 방문했을 때 전국적인 항의 시위가 벌어져서, 엄연한 제2차 세계 대전의 책임이 있음에도 어떤 처벌도 받지 않은 쇼와 천황을
아돌프 히틀러에 빗대며 비난하는가 하면, 쇼와 천황이 붕어했을 때는 조문 사절도 안 보낼 정도였다.
[101]
노무현은
아키히토 천황의 한국 방문 대신 아키히토 천황의 장남
나루히토 황태자와 차남
후미히토 친왕의 한국 방문을 제안했을 정도로 천황 방한에 소극적이었고,
박근혜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사태가 터지고 대통령직에서 탄핵 당하기 이전 콘크리트 지지율 30%를 자랑할 정도로 당시 고정 새누리당 지지층들로부터 높은 지지율을 보였지만, 그와는 별개로 자신의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이
일제 강점기
일본군 장교로 복무, 부역하는 등 아버지의
친일반민족행위자 논란과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았고, 당시에
일본도
아베 신조 총리가 군사 대국화 등 우경화 정책을 펼치면서
박근혜 정부 시기 초반기에 한국과 외교적으로 갈등을 빚던 시점이었는지라,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문재인은 직접 천황 방한을 언급하진 않았으나 2017년 9월
이낙연 국무총리가 천황의 한국 방문을 제안하는 발언을 했고, 이수훈 신임 일본 대사와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천황 방한을 거론하는 발언을 했다. 하지만 임기 중반
일본제철 강제징용 소송 배상 판결이 확정되고부터는
한일 무역 분쟁으로 한일 관계가 광복 이후 사상 최악의 국면까지 치달으면서 천황의 한국 방문은 언급조차 나오지 못했다.
[102]
다만
1989년
쇼와 천황이 붕어하였을 때에는 일본 국내에서도 "붕어"라는 말이 일상적이지 않음을 감안한 것인지
당시 소식을 전하는 아나운서가 '붕어하셨다'는 말 뒤에 '돌아가셨다는 뜻'이라고 짤막하게 추가 설명을 덧붙인 적이 있다. 실제로 '붕어'라는 어휘를 살면서 이때 처음 알았다는 반응의 일본인들도 아주 많았는데
마지막 사망 소식을 전한 지
60년이 훌쩍 넘었으니 그럴 만도 했다. 게다가 그 60년도 그냥 60년이 아니었는데 60년 전에 살던 사람도 대중 매체를 접하기 어려웠기 때문. 일부 대도시에서만 공업이 이루어져 신문과 라디오의 보급률이 낮고 아직 농업이 주류 산업이던 시대, TV 구경도 할 수 없던 시대가 이 60년 안에 정보화 사회로 바뀌었다. 천황의 사망 소식을 한날한시에 전국에 생방송으로 알린다는 것이
다이쇼 시대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다.
[103]
일례로
영국에서는 공식적으로든 비공식적으로든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제로 개편하자"는 목소리를 줄기차게 주장한다. 이런 경향은 정도의 차이일 뿐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같은 다른 유럽의
입헌 군주국들도 마찬가지이다.
[104]
다만
스페인은 예외. 스페인에서는 래퍼 파블로 하셀이 왕실과 경찰을 비판했다가 징역형에 처한 적이 있을 정도로 유럽의 입헌군주국치고는 왕실에 대한 비판을 금기로 여기는 경향이 제법 강하다.
[105]
성씨가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미디어물에서는 천황가의 성을
야마토라고 쓰기도 한다. 군주의 공식 성명에 통치국의 이름이 붙는 유럽식 관례를 생각하면 나름 적절하다.
[106]
워누는 노예를 모에화하는 꼴인데 이는 자기 나라를 모욕시키는 꼴이니. 그러나 워누조차도 최근에는 모에화되고 있다…지만 극소수이며 워누가 '왜국의 노예'라는 뜻인데 이를 모에화하는 건 좀(…).
[107]
실제로 절대다수의
중국인들이
일본을 비난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말이
워누다. 중국인들이 이러한 맹점을 노린 것.
[108]
물론 이러한 태도 때문에 "천황은 언터처블
최고존엄이 맞다."는 조롱이 더더욱 커졌다.
[109]
마코 공주로
윤간 임신 동인지를 냈다가 철퇴를 맞은 사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