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08:55:27

고분 덴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일본 신화|
전승
]]
<rowcolor=#DCA6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진무 안네이 이토쿠 고쇼
<rowcolor=#DCA600>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고안 고레이 고겐 가이카 스진
<rowcolor=#DCA600>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스이닌 게이코 세이무 주아이
[[고훈 시대|
고훈 시대
]]
<rowcolor=#DCA600>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오진 닌토쿠 리추 한제이 인교
<rowcolor=#DCA600>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안코 유랴쿠 겐조 닌켄
<rowcolor=#DCA600>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부레쓰 안칸 센카 긴메이
<rowcolor=#DCA600> 제30대 제31대 제32대
비다쓰 요메이 스슌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rowcolor=#DCA600>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스슌 스이코 조메이 고교쿠
<rowcolor=#DCA600>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고토쿠 사이메이 덴지 고분
<rowcolor=#DCA600>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덴무 지토 몬무 겐메이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
겐메이 겐쇼 쇼무 고켄
<rowcolor=#DCA600>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준닌 쇼토쿠 고닌 간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rowcolor=#DCA600>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간무 사가 준나 닌묘
<rowcolor=#DCA600> 제55대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몬토쿠 세이와 요제이 고코 우다
<rowcolor=#DCA600>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다이고 스자쿠 엔유
<rowcolor=#DCA600>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가잔 이치조 산조
<rowcolor=#DCA600>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고산조 도바
<rowcolor=#DCA600> 제75대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스토쿠 고노에 니조 로쿠조
<rowcolor=#DCA600> 제80대 제81대 제82대
안토쿠 고토바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제86대
고토바 준토쿠 주쿄
<rowcolor=#DCA600>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제91대
고사가 고우다
<rowcolor=#DCA600>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후시미 고니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rowcolor=#DCA600>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조케이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rowcolor=#DCA600> 제100대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쇼코
<rowcolor=#DCA600>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고나라 오기마치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rowcolor=#DCA600> 제106대 제107대
오기마치 고요제이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rowcolor=#DCA600>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메이쇼 고코묘
<rowcolor=#DCA600>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고사이 레이겐
<rowcolor=#DCA600> 제115대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모모조노
<rowcolor=#DCA600> 제119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고카쿠 닌코 고메이 메이지
근현대
<rowcolor=#DCA600>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메이지 다이쇼 쇼와 아키히토
<rowcolor=#DCA600> 제126대
나루히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공석)
(공석)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공석)
(공석)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공석)
[[남북조시대(일본)|
북조
]]
(공석)
(공석)
(공석)
(공석)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공석)
(공석)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공석)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
(공석)
(폐지)
내각총리대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


<colbgcolor=#bd0029><colcolor=#dca600>
일본 제39대 천황
고분 천황
弘文天皇
파일:홍문천황릉.jpg
나가라노야마사키릉 전경
출생 648년
사망 672년 8월 21일 (향년 24세)
오미노오오쓰노미야(近江大津宮)
(現 일본 시가현 오츠시)
능묘 나가라노야마사키릉([ruby(長等山前陵, ruby=장등산전릉)])
재위기간 제39대 천황
672년 1월 9일 ~ 672년 8월 21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d0029><colcolor=#dca600> 이가([ruby(伊賀, ruby=이하)]) → 오오토모([ruby(大友, ruby=대우)])
부모 부황 덴지 덴노
모후 야카코노이라츠메
형제자매 7남 12녀 중 장남
배우자 토오치노 황녀, 후지와라노 미미모토지
자녀 2남 1녀
관저 오미노오오쓰노미야([ruby(近江大津宮, ruby=근강대진궁)])
작호 오오토모 황자([ruby(大友皇子, ruby=대우황자)])
시호 고분 덴노([ruby(弘文天皇, ruby=홍문천황)])[1]
}}}}}}}}} ||
1. 개요2. 덴지 덴노의 후계자 문제3. 사후4. 가족관계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제39대 천황.

덴지 덴노의 장남으로 휘는 오오토모(大友) 또는 이가(伊賀)였다.

그가 덴지 덴노 사후에 실제로 천황이 되었는지 아닌지는 분명치 않다. 확실한 건 당시 정식으로 즉위하지는 못했다는 것으로, 먼 훗날 메이지 덴노가 그에게 천황의 시호를 올린 뒤에는 일단 제39대 천황으로 인정되고 있다.

2. 덴지 덴노의 후계자 문제

사이메이 덴노가 붕어한 뒤에 그녀의 장남 나카노오오에가 덴지 덴노가 되었다. 덴지 덴노는 천황이 되기 전에 동생인 오오아마 황자(훗날 덴무 덴노)에게 황위를 계승시켜 주겠다는 약속을 했고, 실제로 그를 황태자로 삼았다.

그러나 덴지 덴노는 아들인 오오토모를 차마 버릴 수가 없었다. 그래서 태정대신으로 삼은 오오토모 황자를 후계자로 삼을 의향을 내비치기 시작했다. 결국 오오토모를 새로운 태자로 삼고 그 상태에서 붕어했다. 오오토모 황자가 정식으로 천황이 되려고 하자 오오아마 황자가 이에 불만을 품고 고대 일본사 최대의 내란이었던 진신(임신)의 난을 일으켰다. 그 결과 세키가하라 일대에서 양군은 수개월에 걸쳐 전쟁을 벌였다.

결국 오오아마군에게 크게 패배한 뒤, 오오토모는 그 다음날에 24살의 젊은 나이로 목을 메고 생을 마감했다.

3. 사후

덴무 덴노
"저 놈이 천황이라면 지나가는 개가 웃겠다."
라는 식으로 까면서 자결한 오오토모를 천황으로 인정하는 자에게 무자비한 형벌을 가했다. 이 여파가 어찌나 컸는지 오오토모는 메이지 덴노 때인 1870년 8월 20일 준닌 덴노, 주쿄 덴노와 함께 복위되어 '고분 덴노' 라는 시호를 받고 제39대 천황으로 공인 되었다.

즉 사후 천 년도 더 돼서야 시호를 받고 제39대 천황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그래서 화풍 시호가 있던 시기의 천황임에도 준닌 덴노와 더불어 불구하고 화풍 시호가 없다[2].

고분 덴노는 역대 천황 중 유일하게 생전에 천황 대접을 아예(형식적으로나마 조차) 못받은 천황이었다[3]. 실제 천황이었던 시기가 있긴 했는지 불분명하지만[4], 메이지 시대에 덴무 덴노 이전에 즉위한 천황로 인정되었기 때문에 추존 천황은 아니다.

일본에서 거의 최초로 한시를 지었던 인물이기도 하다. 일본에서 8세기 중엽에 편찬된 가장 오래된 일본 한시집인 《회풍조》에 오오토모 황자의 한시가 수록되어있다.

4. 가족관계


==# 천황 계보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4대
제23대
제22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3대
제32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41대
제40대
제39대
제43대
제49대
제44대
제42대
제47대
제50대
제45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46대
제48대
제54대
제55대
제58대
제56대
제59대
제57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7대
제66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7대
제76대
제78대
제80대
제79대
제81대
제82대
제86대
제83대
제84대
제87대
제88대
제85대
제89대
제90대
제92대
제91대
제93대
제95대
제94대
제96대
북조 초대
북조 제2대
제97대
북조 제3대
북조 제4대
제98대
제99대
북조 제5대
북조 제6대
제100대
제102대
제101대
제103대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제117대
제116대
제119대
제118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제126대




[1] 사후 문단 참고 [2] 화풍 시호는 헤이안 시대때 없어진다. 사라진 지 오래된 메이지 덴노때 시호를 받았으니 화풍 시호는 받지 못했다. [3] 스토쿠 덴노는 그나마 생전엔 천황으로서 대접을 받았고, 준닌 덴노는 허수아비였지만 폐위하기 전까지만 해도 천황으로 대접을 못 받은 건 아니었다. [4] 이 때문에 고분 덴노가 사실은 천황으로 추존된 것으로 보는 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