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00:55:00

우크라이나계 한국인

대한민국의 주요 인종 및 재한 외국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wiki style="border: 0px; margin-bottom: -15px"
주요 인종
한민족
주요 재한 외국인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중국인 베트남인 태국인 미국인 우즈베키스탄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필리핀인 네팔인 러시아인 인도네시아인 캄보디아인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몽골인 일본인 미얀마인 카자흐스탄인 대만인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스리랑카인 방글라데시인 캐나다인 파키스탄인 말레이시아인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인도인 호주인 싱가포르인 프랑스인 키르기스스탄인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홍콩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라오스인 영국인 독일인 홍콩인 우크라이나인
출입국 및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內 체류외국인
연도별·국적(지역)별 현황 기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5bbb><colbgcolor=#ffd500> 상징 국호 · 국가( 소련 시절)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의회 · 내무부
선거 대통령 선거 · 최고 라다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우크라이나 여권 · 대외관계 틀
국방 우크라이나군() · 육군 · 해군 · 해군 보병대 · 공군 · 공수군 · 특수작전군 · 국토방위군 · 무인장비군 · 국방부( 정보국)
역사 역사 전반 · 키예프 루스 · 갈리치아-볼히니아 · 리투아니아 대공국 · 코사크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러시아 제국 ·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 소련( 우크라이나 SSR · 우크라이나 대기근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1991년 12월 1일 우크라이나 독립 국민투표 · 오렌지 혁명 · 유로마이단 혁명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 돈바스 전쟁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경제 경제 전반 ·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 로셴 · GSC Game World · 암스트리트
지리 행정구역 · 갈리치아 · 돈바스 · 부자크 · 붉은 숲 · 아조프해 · 초르노젬 · 카르파티아산맥 · 크림반도 · 북 크림 운하 · 푸스타 · 흑해 · 남부크강 ·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드니프로강 · 부크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강 · 프루트강
사회 우체국· 대학 목록( 키이우 공과대학교 · 키이우 대학교 · 하르키우 대학교) · 언론 목록( 우크린포름 · 유로마이단 프레스 · 키이우 인디펜던트) · 우크라이나 마피아
언어 언어 전반 · 우크라이나어 · 키릴 문자 · 루신어 · 우룸어 · 크림 타타르어 · 카라임어 · 가가우즈어
교통 우크라이나 철도공사 · 키이우 지하철 · 하르키우 지하철 · 드니프로 지하철 ·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 안토노프 항공 · 보리스필 국제공항 · 줄리아니 국제공항 · 호스토멜 공항 · 헤르손 국제공항 · 르비우 국제공항 · 도네츠크 국제공항 · 루한스크 국제공항
문화 공휴일 · 요리( 보르시 · 샤슐릭 · 치킨 키이우 · 크바스) · 축구 국가대표팀( 여자) · 농구 국가대표팀( 여자) · 풋살 국가대표팀 · 프리미어 리그 · 퍼스트 리그 · 우크라이나컵 · 우크라이나 위민스리그 · 우크라이나 정교회 ·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 반두라 · 우크라이나 음악 · 타라스 셰우첸코 · 1+1 · 국민의 일꾼 · Natus Vincere · 코사크 댄스
민족 우크라이나인 · 루신인 · 헝가리계 · 폴란드계 · 러시아계 · 불가리아계 · 한국계 · 루마니아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튀르키예계 · 이탈리아계 · 리투아니아계 · 독일계 · 벨라루스계
디아스포라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 우크라이나계 미국인 ·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 · 우크라이나계 폴란드인 · 우크라이나계 파라과이인 · 우크라이나계 영국인 · 우크라이나계 독일인 · 우크라이나계 프랑스인 · 우크라이나계 스페인인 · 우크라이나계 이탈리아인 · 우크라이나계 한국인
우크라이나 소련의 적통설 }}}}}}}}}


1. 개요2. 고려인3. 우크라이나인4.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5. 우크라이나계 이스라엘인6. 관련 문서7. 나무위키에 등재된 인물8. 외부 링크

1. 개요

소련 해체 이후 우크라이나에서 한국으로 이주, 귀화한 사람들을 의미한다. 대한민국 내에서 우크라이나 국적을 가지고 체류하는 인구는 2024년 10월 31일 기준 5,327명으로 집계되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한국계 우크라이나인 상당수가 광주 고려인마을 등등에 정착하였고, 이 외에도 우크라이나인 상당수가 전쟁 이후 G-1 비자를 소지한 상태로 대한민국에 체류하고 있다. 전쟁 이전 한국에 체류하는 사람 대부분은 혼인 후 귀화한 경우였다.

해당 문서는 편의상 재한 우크라이나인(우크라이나 국적을 가지고 한국에 체류하는 경우)과 우크라이나-한국 이중국적자, 그리고 우크라이나계 한국인을 동시에 다룬다.

2. 고려인

본래 우크라이나는 고려인 인구가 많은 편은 아니었으나, 소련 해체 직후 중앙아시아나 캅카스, 혹은 발트 3국에 거주 중이던 고려인 인구가 국적 박탈 등의 이유로 무국적자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혹은 현지의 내전 등을 피해서 우크라이나로 이주하기도 했다. 2001년 통계 기준으로 한국계 우크라이나인의 규모가 4만 5천명에 달했다. # 이들 중 상당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한국에 정착하였고,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한국에 영구 정착을 결정하는 인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3. 우크라이나인



여기서 우크라이나인이라 함은 우크라이나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의미한다.[1] 유로마이단 사태 이후 유럽연합 국가에서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비자를 쉽게 내주는 것에 비해, 대한민국은 우크라이나 국민의 단순 관광 목적의 방문 역시 비자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계를 제외한 우크라이나인들 입장에서 한국은 그렇게 특별히 매력적인 이민 목적지는 아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각국에서 우크라이나인 난민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와중에 한국 기준으로는 한국계를 제외한 우크라이나인 난민 인구가 그렇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주로 음악계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많다. #1 #2 #3

4.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러시아계 이주민들 중 상당수는 연해주 출신인데, 연해주 주민 중에는 20세기 초반 우크라이나인들의 연해주 대량 이민을 이유로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들이 많은 편이다. 하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우크라이나어를 구사하지 못하는데, 소련 시절 우크라이나어 민족어 교육 등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이루어졌고, 연해주 일대의 우크라이나인들 대상으로는 따로 우크라이나 민족 자치 교육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소련 해체 이후 시베리아와 연해주 각지의 우크라이나계 인구 상당수가 우크라이나로 재이주한 영향으로(다시 말해서 그나마 우크라이나 민족주의가 강한 사람들이 빠져나간 영향으로) 해당 지역 내 우크라이나계 후손들 중 우크라이나 민족 정체성을 강하게 드러내는 경우는 드물다.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의 민족적 경계는 불분명하다. 이 때문에 한국 내 러시아계 디아스포라 사회 관련한 연구는 고려인과 러시아인, 우즈베크인 등을 포괄하는 ‘러시아어 사용인구’(Russian-speaking population), 또는 ‘루소폰’(Russophones)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접근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민족적으로 러시아인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삼는, 과거에 소련 시민이었던 다양한 민족들을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의 범주에 놓고 있는 것이다.

5. 우크라이나계 이스라엘인

한국에 체류하는 이스라엘 국민들 중 우크라이나 이민 1~2세대에 해당하는 경우도 드물지는 않다.[2]

6. 관련 문서

7. 나무위키에 등재된 인물

8. 외부 링크



[1] 우크라이나 내 고려인들의 경우 상당수가 모어가 우크라이나어가 아닌 러시아어이다. [2] 우크라이나-이스라엘 관계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