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다 츠요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요다 츠요시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990년 센트럴리그 최우수 신인 | ||||||||||||||||||||||||||||||||||||||||||||||||||||||||||||||||||||||||||||||||||||||||||||||||||||||||||||||||||||||||||||||||||||||||||||||||||||||||||||
1989년 도마시노 겐지 ( 야쿠르트 스왈로즈) |
→ |
요다 츠요시 ( 주니치 드래곤즈) |
→ |
1991년 모리타 고이치 ( 주니치 드래곤즈)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 세이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 ||||
<rowcolor=#ffffff> 1974 | 1975 | 1976 | 1977 | 1978 | ||
호시노 센이치 주니치 / 10SV |
스즈키 타카마사 주니치 / 21SV |
스즈키 타카마사 주니치 / 32SP |
스즈키 타카마사 주니치 / 23SP |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5SP |
||
<rowcolor=#ffffff> 1979 | 1980 | 1981 | 1982 | 1983 | ||
에나츠 유타카 히로시마 / 31SP |
에나츠 유타카 히로시마 / 30SP |
스미 미츠오 요미우리 / 28SP |
야마모토 카즈유키 한신 / 40SP |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32SP |
||
<rowcolor=#ffffff>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
야마모토 카즈유키 한신 / 40SP |
나카니시 키요오키 한신 / 30SP |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28SP |
카쿠 겐지 주니치 / 30SP |
카쿠 겐지 주니치 / 32SP |
||
<rowcolor=#ffffff>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
츠다 츠네미 히로시마 / 40SP |
요다 츠요시 주니치 / 35SP |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32SP |
사사키 카즈히로 타이요 / 33SP |
이시게 히로시 요미우리 / 36SP |
||
<rowcolor=#ffffff>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
타카츠 신고 야쿠르트 / 27SP |
사사키 카즈히로 요코하마 / 39SP |
사사키 카즈히로 요코하마 / 29SP |
사사키 카즈히로 요코하마 / 41SP |
사사키 카즈히로 요코하마 / 45SP |
||
<rowcolor=#ffffff>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이가라시 료타 야쿠르트 / 42SP |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46SV |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40SV |
후지카와 큐지 한신 / 46SV |
마크 크룬 요미우리 / 41SV |
||
<rowcolor=#ffffff>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41SV |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42SV |
후지카와 큐지 한신 / 41SV |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33SV 토니 바넷 야쿠르트 / 33SV |
니시무라 켄타로 요미우리 / 42SV |
||
<rowcolor=#ffffff>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오승환 한신 / 39SV |
오승환 한신 / 41SV 토니 바넷 야쿠르트 / 41SV |
사와무라 히로카즈 요미우리 / 41SV |
라파엘 돌리스 한신 / 37SV |
야마사키 야스아키 DeNA / 37SV |
||
<rowcolor=#ffffff>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야마사키 야스아키 DeNA / 30SV |
로베르트 수아레스 한신 / 25SV |
로베르트 수아레스 한신 / 42SV |
라이델 마르티네스 주니치 / 39SV |
이와자키 스구루 한신 / 35SV |
||
<rowcolor=#ffffff>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
라이델 마르티네스 주니치 / 42SV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74 | 1975 | 1976 | 1977 | 1978 | |
사토 미츠오 난카이 / 13SV |
무라타 쵸지 롯데 / 13SV |
사토 미츠오 난카이 / 16SV |
에나츠 유타카 난카이 / 22SP |
야마구치 타카시 한큐 / 26SV |
|
<rowcolor=#ffffff> 1979 | 1980 | 1981 | 1982 | 1983 | |
카네시로 모토야스 난카이 / 20SP |
카네시로 모토야스 난카이 / 19SP |
에나츠 유타카 닛폰햄 / 28SP |
에나츠 유타카 닛폰햄 / 37SP |
모리 시게카즈 세이부 / 39SP |
|
<rowcolor=#ffffff>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
야마오키 유키히코 한큐 / 25SP |
이시모토 요시아키 킨테츠 / 26SP |
이시모토 요시아키 킨테츠 / 40SP |
우시지마 카즈히코 롯데 / 26SP |
요시이 마사토 킨테츠 / 34SP |
|
<rowcolor=#ffffff>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
이노우에 유지 다이에 / 27SP |
카토리 요시타카 세이부 / 27SP |
타케다 카즈히로 닛폰햄 / 22SP |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32SP |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32SP |
|
<rowcolor=#ffffff>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33SP |
히라이 마사후미 오릭스 / 42SP |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30SP 나리모토 토시히데 롯데 / 30SP |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33SP |
오오츠카 아키노리 킨테츠 / 38SP |
|
<rowcolor=#ffffff>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
브라이언 워렌 롯데 / 33SP |
로드니 페드라자 다이에 / 38SP |
로드니 페드라자 다이에 / 38SP |
토요다 키요시 세이부 / 44SP |
토요다 키요시 세이부 / 40SP |
|
<rowcolor=#ffffff>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미세 코지 다이에 / 32SP 요코야마 유키야 닛폰햄 / 32SP |
코바야시 마사히데 롯데 / 29SV |
MICHEAL 닛폰햄 / 39SV |
마하라 타카히로 소프트뱅크 / 38SV |
카토 다이스케 오릭스 / 33SV |
|
<rowcolor=#ffffff>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
타케다 히사시 닛폰햄 / 34SV |
브라이언 시코스키 세이부 / 33SV |
타케다 히사시 닛폰햄 / 37SV |
타케다 히사시 닛폰햄 / 32SV |
마스다 나오야 롯데 / 33SV |
|
<rowcolor=#ffffff>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히라노 요시히사 오릭스 / 40SV |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41SV |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43SV |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54SV |
모리 유이토 소프트뱅크 / 37SV |
|
<rowcolor=#ffffff>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마츠이 유키 라쿠텐 / 38SV |
마스다 타츠시 세이부 / 33SV |
마스다 나오야 롯데 / 38SV |
마츠이 유키 라쿠텐 / 32SV |
마츠이 유키 라쿠텐 / 39SV |
|
<rowcolor=#ffffff>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32SV |
}}} ||
}}} ||
|
|
요다 츠요시 与田剛[1]요다 츠요시(与田剛士)를 등록명으로 썼다.] | Tsuyoshi Yoda |
|
생년월일 | 1965년 12월 4일 ([age(1965-12-04)]세) |
치바현 키미츠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182cm, 84kg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입단 | 1989년 드래프트 1순위 |
소속팀 |
주니치 드래곤즈 (1990~1996) 치바 롯데 마린즈 (1996~1997) 닛폰햄 파이터즈 (1998~1999) 한신 타이거스 (2000) |
지도자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1군 투수코치 (2016~2017)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군 투수코치 (2018) 주니치 드래곤즈 감독 (2019~2021) |
[clearfix]
1. 개요
前 일본프로야구 선수, 해설가, 코치.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주니치 드래곤즈의 감독을 역임하였다.2. 선수 시절
고등학교와 대학 시절엔 부상 등으로 눈에 띄는 활약이 없었지만, 이후 사회인야구팀 NTT 도쿄로 가면서부터 시속 150km가 넘는 강속구를 던지며 주목을 받았고, 1989년 드래프트 1위로 주니치 드래곤즈에 입단했다.입단 첫 해인 1990년부터 구원투수로 뛰며 빠른 강속구를 주무기로 50시합 등판, 4승 5패 31세이브 방어율 3.26을 기록하며 신인왕, 최우수 구원투수 타이틀을 얻고 신인투수 최다 세이브 기록을 세우는 뛰어난 활약을 선보였다.[2] 같은 해 퍼시픽리그 소속으로 투수 4관왕에 신인왕, MVP, 그리고 사와무라상까지 독차지한 긴데츠의 노모 히데오와 함께, 그해 일본 프로야구에서 신인투수 돌풍을 일으킨 주역이었던 셈.[3]
하지만 그 해 이후엔 1992년 시즌[4]을 제외하면 부상 등으로 인해 제대로 출장조차 하지 못하며 부진에 시달렸고[5] 결국 1996년 시즌 도중 치바 롯데 마린즈로 트레이드되며 주니치를 떠났다. 이후 치바 롯데 마린즈, 닛폰햄 파이터즈, 한신 타이거스를 떠돌다[6] 2000년 허리 부상이 악화되면서 끝내 은퇴를 선언하였다.
통산 성적은 148시합 등판, 8승 19패 59세이브, 방어율 4.58이다. 현역 선수를 제외한 역대 투수 신인왕 중 유일하게 통산 승리가 10승 미만인 선수인데, 이는 선수 시절의 대부분을 구원 투수로 활동했던 점에 따른 결과였다. 데뷔 초창기의 무리한 기용으로 인한 부상만 아니었으면 좀 더 오래, 성공적으로 선수 생활을 할 수도 있었을지도 모를 일.
3. 은퇴 이후
2001년부터 2015년까지 NHK 선데이 스포츠 프로그램에서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사회인 야구팀과 일본 여자야구대표팀 투수코치를 지냈고 2009년에는 제2회 WBC대회에서 불펜코치를 담당. 팀의 2연패에 기여하였다. 2013년 제3회 WBC대회에선 메인 투수코치를 맡았고 대회가 끝난뒤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다가 2016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투수코치로 취임했고, 2018년까지 역임했다.3.1. 주니치 드래곤즈 감독 부임 이후
2019년부턴 모리 시게카즈의 후임으로 주니치 드래곤즈의 감독이 되었다. 수석 코치로는 감독 경험이 풍부한 이토 쓰토무가 선임되었는데 이때문에 이런 저런 얘기가 나오고 있다. 여튼 선수로서의 첫 소속팀에 20여년만에 감독으로 돌아온 셈. 취임 액땜인지 시즌을 앞두고 마쓰자카 다이스케가 팬들에게 사인을 해주다가 어깨 부상을 당하는 예기치 못한 불상사로 불편한 기색을 보였다고 한다. #하지만 액땜이 충분하지 않았는지 주전, 후보 선수를 가리지 않고 부상을 당하며 누더기가 된 선수진으로 시즌을 보내야했다. 그탓인지 성적도 널뛰기를 거듭했는데, 4월 한때 리그 선두 다툼을 하면서 상승세를 타다가 선수 줄부상으로 인해 하위권으로 쳐졌다가, 다시 7월에는 부상 선수들의 복귀와 함께 8연승을 기록하며 센트럴 리그 2위까지 올라왔다가 다시 하락세를 타고 결국 9월 24일, DeNA전에서 패배하며 취임 첫 해 B클래스(4위 이하)가 확정됐다. 거기다 시즌 막판 한신의 극적인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도전의 조연이 되며 피해자가 된 히로시마 도요 카프 팬들의 원성을 사야 했다. 히로시마를 이기면서 고춧가루를 제대로 뿌려주고 한신과의 시즌 최종 2연전을 모조리 내주면서 한신의 극적인 드라마를 완성시켜 주었기 때문이었다.
다만 주전 선수들의 계속된 부상 이탈에도 불구하고 9월 초반까지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에 도전하는 등 나름 전 감독인 모리 시게카즈 시절보다는 조금 나아졌다는 평이 많다.
그러나 대망의 2020시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때문에 리그 개막이 늦어진 걸 감안하더라도 실드를 치지 못할 정도의 개막장 운영과 삽질을 시전한 끝에 2020년 7월 말부터 도로 최하위로 돌아가고 말았다. 급기야 7월 25일 주니치신문에서 요다 감독의 용병술과 작전에 대해서 대놓고 비판하는 기사를 1면 톱기사로 실었다. 기사 내용은 24일 선발 오노 유다이를 어거지로 끌고 간 것[7], 불펜에 10명이나 투수를 쌓아 두고도 제때 교체 안한 것, 7회초에 역전을 허용하는 과정에서 전진 수비한 것에 대한 비판이었다. 그 기사 최상단 베플을 번역해 보면 원래 이토 쓰토무를 감독으로 올리려다가 말았다는 뉘앙스의 코멘트가 나왔다. 사실상 이토가 감독이고 요다 감독은 그냥 바지감독인 셈. 24일 경기 역전패 이후 코멘트는 아예 올해 주니치의 유행어라는 조롱까지 댓글로 받아야 했다. 그래도 에이스 오노 유다이를 중심으로 분전하며 시즌 막판에 3위 등극을 확정지었고 4456555를 종결지으며 8년만에 A클래스 복귀와 5할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2021시즌에는 다시 B클래스로 내려와 요코하마와 꼴찌 싸움을 하고 있는 상황이 되어 시즌 종료 후 결별이 예상되고 있다. # 결국 10월 12일자로 이번 시즌까지만 감독직을 수행하고 사임한다는 기사가 올라오며 팀을 떠나게 되었다. 후임 감독으로는 '미스터 드래곤즈' 타츠나미 카즈요시가 가장 유력하며 구단측에서 타츠나미에게 취임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 그리고 타츠나미 카즈요시가 후임 감독이 되며 요다는 물러났다.
4. 기타
- 신인왕 수상 이듬해인 1991년에 전용 테마곡으로 좋아해, 스트레이트! 그래서 오늘 밤도 여기에 왔어(好きよ、ストレート! だから今夜もここに来た)가 나오기도 했다. # 주니치의 응원가 타올라라 드래곤즈!를 만든 야마모토 마사유키가 제작한 곡으로, 당시 성우 데뷔 전이었던 카와카미 토모코가 보컬로 참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 곡은 요다가 감독으로 취임한 2019년에 발매된 타올라라 드래곤즈! 레이와의 격려 음반에 복각 수록되었다.
- 프로 입단 2년째였던 1991년 시즌 후, 최초의 한일 슈퍼게임에도 출전했다. 고시엔 구장에서 열린 3차전에 일본 올스타가 역전하자 9회 마무리 투수로 등판하여 장효조 등에 안타를 허용해 득점권 출루까지 허용했지만, 마지막 타자인 이만수를 삼진으로 잡으면서 경기를 끝냈다.
5. 관련 문서
[1]
1999~2000년까진 발음은 같지만 한자 표기가 다른
[2]
이후 16년 후인 2015년
야마사키 야스아키가 37세이브로 갱신하게 된다.
[3]
요다와 노모는 그해 일본 프로야구 올스타전 첫경기에서 각각 센트럴과 퍼시픽 리그의 선발로 맞대결까지 했다.
[4]
41시합 등판, 2승 5패 23세이브 방어율 3.48
[5]
당시 주니치 감독이었던
호시노 센이치의 무리한 투수 관리로 인한 결과로 평가받는다. 기본적으로 157km까지 구속이 나오는 요다 본인의 투구폼이 부상당하기 쉬운 투구폼이긴 했지만, 본인이 감독의 지시를 제대로 거절 못하는 성격이었기에 첫해부터 50경기 88이닝에 달하는 과도한 출장을 소화했다. 1992년에도 41게임 72이닝을 출장해냈다. 데뷔 3년차 등판 기록이 이정도면 탈이 안 날 리가...요다 츠요시 본인은 1년차부터 '이러다 탈이 나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지만, 어쨌건 지시라서 등판했다고 회고하였다.
[6]
1995년 시즌 이후로는 1999년만 딱 1경기 구원 등판해 평균자책점 8.00을 기록했고, 이 경기가 마지막으로 등판한 경기가 되었다.
[7]
5회 종료시 투구수 103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