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2448>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132448><colcolor=#fff> 투수 | 0 스트로먼 · 30 위버 · 36 슈미트 · 38 라이터 Jr. · 45 콜 · 55 로돈 · 58 메이자 · 59 에프로스 · 61 커즌스 · 65 코르테스 · 71 해밀턴 · 72 포팃 · 81 힐 · 85 비터 · 92 고메스 · 98 워렌 · # 브루베이커 IL-60 · # 데 로스 산토스 | |
포수 | 28 웰스 · 39 트레비노 · 94 나바에스 · # 에스카라· # 로드리게스 | ||
내야수 | 11 볼피 · 13 치좀 Jr. · 19 버티 · 26 르메이휴 · 90 비바스 · 91 페라자 · 93 라이스 · 95 카브레라· # 더빈 | ||
외야수 | 12 그리샴 · 80 페레이라 · 89 도밍게스 · 99 저지 | ||
지명타자 | 27 스탠튼 | ||
'''''' 애런 분 브래드 어스무스 제임스 로슨 케이시 다이크스 · 팻 로슬러 맷 블레이크 트래비스 채프먼 루이스 로하스 마이크 하키 태너 스완슨 | |||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 |
애런 저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
FA
론 블롬버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
FA
마이크 토레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3]
팀 벨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4]
FA
랜디 벨라르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5]
FA
존 웨틀랜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5]
[7]
타이렐 갓윈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
[8]
FA
제프 넬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9]
FA
데니 니글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8]
[11]
FA
앤디 페티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1]
[13]
FA
데이비드 웰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4]
FA
존 리버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5]
FA
톰 고든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5]
[17]
FA
루이스 비스카이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8]
게릿 콜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
[19]
FA
하비에르 바스케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0]
FA
닉 스위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1]
FA
라파엘 소리아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2]
FA
데이비드 로버트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CBA]
[24]
CBA 지명권 ↔
소니 그레이,
레이베르 산마르틴 트레이드 |
애런 저지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24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17 | 2018 | 2021 | |||||||||||||||||||||||||||||||||||||||||||||||||||||||||||||||||||||||||||||||||||||||||||||||||||||||||||||||||||||||
2022 | 2023 | 2024 |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MVP | ||||
오타니 쇼헤이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201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 ||||
마이클 풀머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201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마크 트럼보 ( 볼티모어 오리올스) 마이크 트라웃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무키 베츠 ( 보스턴 레드삭스) |
→ |
저스틴 업튼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조지 스프링어 ( 휴스턴 애스트로스)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J.D. 마르티네즈 ( 보스턴 레드삭스) 마이크 트라웃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무키 베츠 ( 보스턴 레드삭스) |
202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 토론토 블루제이스) 엘로이 히메네스 ( 시카고 화이트삭스) 마이크 트라웃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 토론토 블루제이스) 세드릭 멀린스 ( 볼티모어 오리올스)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훌리오 로드리게스 ( 시애틀 매리너스)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마이크 트라웃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 토론토 블루제이스) 세드릭 멀린스 ( 볼티모어 오리올스)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훌리오 로드리게스 ( 시애틀 매리너스)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마이크 트라웃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훌리오 로드리게스 ( 시애틀 매리너스) 카일 터커 ( 휴스턴 애스트로스) 루이스 로버트 주니어 ( 시카고 화이트삭스) |
202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훌리오 로드리게스 ( 시애틀 매리너스) 카일 터커 ( 휴스턴 애스트로스) 루이스 로버트 주니어 ( 시카고 화이트삭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후안 소토 ( 뉴욕 양키스) 앤서니 산탄데르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 2025년 수상자 |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행크 애런 상 | ||||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202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행크 애런 상 | ||||
오타니 쇼헤이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2025년 수상자 |
201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 ||||
마크 트럼보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크리스 데이비스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 ||||
살바도르 페레즈 ( 캔자스시티 로열스)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202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 ||||
오타니 쇼헤이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2025년 수상자 |
201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득점왕 | ||||
마이크 트라웃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무키 베츠 ( 보스턴 레드삭스) 프란시스코 린도어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득점왕 | ||||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마커스 시미언 ( 텍사스 레인저스) |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타점왕 | ||||
살바도르 페레즈 ( 캔자스시티 로열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카일 터커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2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타점왕 | ||||
카일 터커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2025년 수상자 |
무키 베츠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무키 베츠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2021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SH | OF |
NYY | OF |
PHI | OF |
||||||
SD | SS |
TOR | 2B |
||||||||
ATL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TOR | 1B ||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LAA | DH ||
KC | C || || ||
WSH/ LAD | SP |
MIL | SP |
LAD | SP |
TOR | SP |
NYY | SP |
MIL | RP |
CHW | RP |
}}} ||
2022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LAD | OF |
LAA | OF |
NYY | OF |
||||||
LAD | SS |
HOU | 2B |
||||||||
SD | 3B |
STL | 1B |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HOU | DH ||
PHI | C || || ||
MIA | SP |
TOR | SP |
LAA | SP |
HOU | SP |
HOU | SP |
CLE | RP |
NYM | RP |
}}} ||
2023 ALL-MLB SECOND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YY | OF |
TEX | OF |
HOU | OF |
||||||
NYM | SS |
ATL | 2B |
||||||||
CLE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ATL | 1B ||
HOU | DH |
TEX | C |
|||
TOR | SP |
MIN | SP |
TEX | SP |
TEX | SP |
BAL | SP |
MIL | RP |
CLE | RP |
}}} ||
2024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YY | OF |
NYY | OF |
LAD | OF |
||||||
KC | SS |
ARI | 2B |
||||||||
CLE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TOR | 1B ||
LAD | DH |
MIL | C |
|||
ATL | SP |
DET | SP |
PIT | SP |
PHI | SP |
BAL | SP |
CLE | RP |
STL | RP |
}}} ||
저스틴 터너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살바도르 페레즈 ( 캔자스시티 로열스) |
보유 기록 | ||
단일 디비전 시리즈 최다 삼진 | 16삼진 | 2017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 |
아메리칸 리그 단일 시즌 최다 홈런 | 62개 | 2022년 10월 4일 |
2022년 타임 선정 올해의 운동선수 |
||||
시몬 바일스 | → | 애런 저지 | → | 리오넬 메시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2448> |
뉴욕 양키스 역대 주장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03~1905 | 1906~1907 | 1908~1909 | 1910~1912 | 1913 |
클락 그리피스 | 키드 엘버펠드 | 윌리 킬러 | 할 체이스 | 프랭크 찬스 | |
<rowcolor=#fff> 1914~1921 | 1922 | 1922~1925 | 1935~1939 | 1976~1979 | |
로저 페킨포 | 베이브 루스 | 에버렛 스캇 | 루 게릭 | 서먼 먼슨 | |
<rowcolor=#fff> 1982~1984 | 1986~1988 | 1991~1995 | 2003~2014 | 2023~ | |
그렉 네틀스 |
윌리 랜돌프 론 기드리 |
돈 매팅리 | 데릭 지터 | 애런 저지 | |
출처 : # | }}}}}}}}} |
뉴욕 양키스 등번호 99번 | ||||
브라이언 브루니 (2009) |
→ |
애런 저지 (2016~) |
→ | 현역 |
}}} ||
<colbgcolor=#132448><colcolor=#FFF> 뉴욕 양키스 No.99 C
|
||
애런 저지 Aaron Judge |
||
본명 |
애런[1] 제임스 저지 Aaron James Judge |
|
출생 | 1992년 4월 26일 ([age(1992-04-26)]세) | |
캘리포니아 주 새크라멘토[2]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린덴 고등학교 -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프레즈노 | |
신체 | 201cm | 128kg | |
포지션 | 외야수[3]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2013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32번, NYY) |
|
소속팀 | 뉴욕 양키스 (2016~) | |
계약 | 2023 - 2031 / $360,000,000 | |
연봉 | 2024 / $40,000,000 | |
등장곡 | Pop Smoke - Hello | |
기록 |
데뷔 첫 타석 홈런 (2016.8.14.) 아메리칸 리그 단일 시즌 최다 홈런 (62개)[4]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대 최소 경기, 최소 타수 300홈런 (2024.8.14.)[5] |
|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132448><colcolor=#fff> 가족 | |
<colbgcolor=#132448><colcolor=#fff> 배우자 | 사만다 브랙시크 (2021년 12월 결혼 ~ 현재) | |
부모 | 아버지 웨인 저지, 어머니 패티 저지[6] | |
형제자매 | 형 존 제이콥 저지[7] | |
후원사 | 에어 조던 | |
종교 | 개신교 |
| | |
[clearfix]
1. 개요
2. 선수 경력
애런 저지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애런 저지/선수 경력 |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3. 플레이 스타일
자세한 내용은 애런 저지/플레이 스타일 문서 참고하십시오.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올스타 6회 (2017, 2018,
2021~
2024) 아메리칸 리그 MVP (2022) 아메리칸 리그 행크 애런 상 2회 (2022, 2024)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실버 슬러거 4회 (2017, 2021, 2022, 2024)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2017[만장일치]) 아메리칸 리그 홈런 1위 3회 (2017, 2022, 2024) 아메리칸 리그 득점 1위 2회 (2017, 2022) 아메리칸 리그 타점 1위 2회 (2022, 2024) 아메리칸 리그 출루율 1위 2회 (2022, 2024) 아메리칸 리그 장타율 1위 2회 (2022, 2024) All-MLB 퍼스트 팀 3회 ( 2021, 2022, 2024) All-MLB 세컨드 팀 ( 2023) |
5. 인기
데릭 지터, 알렉스 로드리게스의 뒤를 이어 양키스를 대표하는 간판급 프랜차이즈 스타이다.
위의 영상은 재능이 만개하기 시작한 2년차 2017년 4월 후에 촬영되었는데,[9] 보다시피 이 때만 해도 팬들이 그를 단번에 알아보지 못했다.[10] 그래도 하나같이 기대하는 선수로 저지를 뽑았고, 그는 그 기대를 차고 넘치게 충족하며 양키스의 간판이 되었다. 신인왕 시즌부터 활약세를 보이다가 2022 시즌에 역사에 남을 62홈런의 몬스터 시즌을 기록했고, 시즌 직후 얻은 FA 자격으로 9년 $3억 6,000만 달러 계약과 함께 양키스 프랜차이즈로 남게 되었다. 여기에 양키스 주장으로까지 선임되었는데, 120년을 상회하는 양키스의 빛나는 역사에서 수많은 스타들이 있었지만 주장 완장을 찼던 선수는 단 16명 뿐이다.[11] 베이브 루스 이후로는 저지를 포함해 단 9명으로, 그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
여담으로 그의 재능이 만개했을 때 게리 산체스, 글레이버 토레스, 루이스 세베리노까지 같이 터지며 옛 양키스 코어 4[12]의 후계자로 주목받고 있었으나, 새로운 코어 4 자체는 산체스[13]와 토레스가 기대 이상 성장해주지 못하고 세베리노가 부상으로 출장을 거의 못하며 옛말이 되어버렸지만 저지는 본인이 받았던 기대치를 한참 뛰어넘어 리그를 대표하는 슈퍼스타가 되었다.
저지의 인기를 단적으로 말해주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유니폼 판매 순위인데,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연속으로 메이저 리그 전체 유니폼 판매 1위를 기록했다. 2021년에는 이전보다 순위가 많이 내려갔으나 그래도 7위를 기록했다.[14]
데뷔 이후부터 양키스를 대표하는 선수로 늘 꼽혔으나, 본격적으로 마이크 트라웃과의 격차를 벌리고 메이저리그 최고의 인기 선수 반열에 오른 시즌은 2022시즌이다. 해당 시즌 저지는 아메리칸 리그 홈런 신기록을 세우며 인기상으로 압도적인 차이로 1위를 굳건히 지켰다. 즉 2022년 저지의 인기는 넘사벽 1위 데릭 지터를 제외한 이전 세대 톱급 선수들의 인기에 버금가는 정도다. 2024년 현 시점에서도 가장 인기있는 야구선수 중 하나로 반드시 꼽히며, 오타니 쇼헤이와 라이벌리를 형성하고 있다.[15]
6.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신인왕, 올스타 6회, MVP 1회, 행크 애런 상 2회, 실버 슬러거 4회, 홈런 타이틀 3회, 득점, 타점, 출루율, 장타율 타이틀 2회 등 매우 뛰어난 수상 실적을 보유한 현 시점 세계 최고의 야구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프라임타임의 임팩트로만 따지면 야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로 거론될 만한 수준[16]을 보여줬기 때문에 명예의 전당 입성 자체는 거의 확정적이다.[17]세이버매트릭스적으로도 단일 시즌 WAR 커리어 하이는 fWAR 11.2, bWAR 10.8을 기록 중이고 통산 WAR은 2024 시즌 종료 시점에서 fWAR 51.4, bWAR 52.2을 기록 중이며, 이는 비교군으로 종종 언급되곤 하는 오타니 쇼헤이를 모두 넘어서고 있다. 게다가 오타니는 일반적으로 투타겸업을 하고 있기에[18] WAR을 쌓는 것에 있어서 저지보다 방향성이 많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대단한 기록이다.[19] 또한 OPS+, wRC+ 등의 비율 스탯도 현역 선수들 중 가장 뛰어나다. 2024 시즌 종료 시점에서 타율은 .288로 돋보이는 수치는 아니지만 OPS+ 및 wRC+ 173을 기록해 마이크 트라웃을 제치고 현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결정적으로 명예의 전당 입성에 있어서 저지의 가장 큰 강점을 꼽으면 바로 역대 최고로 꼽힐 만한 정규 시즌의 임팩트가 있겠다. 신인왕 시즌인 2017 시즌 52홈런, 2022 시즌 62홈런, 2024 시즌 58홈런으로 커리어 통산 3번의 50홈런 시즌을 기록 중이다. 50홈런 시즌 최다 달성 횟수는 4회인데, 이를 달성한 선수는 청정 타자 중에서 베이브 루스(1920-1921-1927-1928 시즌) 단 1명밖에 없고 약물 선수를 포함한다고 해도 마크 맥과이어(1996~1999 시즌까지 4시즌 연속)와 새미 소사(1998~2001 시즌까지 4시즌 연속)까지 포함하여 단 3명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단순히 홈런만 많이 치는 것도 아니라 커리어하이 wRC+도 무려 218이라는 초월적인 수치를 기록 중이다. 무엇보다도 201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구속 혁명 이후 전체적으로 타자들의 성적이 급강하하는 시기에서 홀로 스테로이드 시대들의 약쟁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거나 이를 능가하는 순수 타격 성적을 보여주고 있기에 각 시즌의 파급력만큼은 현대 야구의 모든 선수를 통틀어서 봐도 배리 본즈*의 2001~2004년을 빼면 확실하게 넘어설 선수가 없다.
사실 2022 시즌 이전까지는 계속되는 부상으로 풀시즌을 치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기에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가 진지하게 논의되는 선수는 전혀 아니었다. 물론 루키 시즌이었던 2017 시즌의 활약이 너무나도 센세이션했기에 풀타임만 소화한다면 MVP 컨텐더급 성적을 기록할 것이라는 기대는 있었으나, 이도 어디까지나 if의 영역에 불과했고 풀타임을 치른 2021 시즌도 훌륭한 성적이긴 했지만 2017 시즌 활약에 비견될 수준은 전혀 아니었기에 루키 시즌 활약이 플루크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2022년에 AL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62홈런)을 포함하여 역대급 타격 시즌을 보내더니 2024년에는 홈런 개수를 제외하면 2022년보다 더 발전된 시즌을 보내며, 풀타임을 뛴다는 가정 하에는 메이저리그 역대 최고 수준의 타격 성적을 보인다는 것을 증명했다.
상술했듯 투수들의 구속 상승으로 인한 역대급 투고타저 시대에서 다른 타자들과는 궤를 달리하는 압도적인 타격 성적으로 리그를 지배한다는 점에서 스테로이드 시대라는 역대급 타고투저 시대를 평정한 투수인 페드로 마르티네스와 비견되기도 한다.[20]
단점은 포스트시즌 활약이 정규시즌에 비해 상당히 부진하다는 점과 월드 시리즈 우승이 없다는 점이다. 실제로 2024년까지의 포스트시즌 통산 기록은 .205/.318/.450으로 저지의 위상을 생각하면 어처구니없는 수준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정규시즌 통산 성적이 .288/.406/.604으로 OPS 1.0을 넘기는 성적임을 생각하면 더더욱 비교된다. 이 약점은 저지가 스텝업한 2022년부터 포스트시즌 성적과의 차이가 크게 벌어지며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사실 월드 시리즈 우승이 없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단점이라고 보기 힘들지만 포스트시즌에서 거의 매번 부진하기 때문에 팀의 포스트시즌 광탈에 일조한 적이 많고, 특히 2024년에는 월드 시리즈까지 진출한 상황에서도 너무나도 무기력한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단점이 되었다. 다만 정규시즌의 임팩트가 워낙 뛰어나기에 명전 입성에 있어서 큰 장애물은 아니다.
하지만 나이와 연차에 비해서 누적 기록이 부족해서 첫 턴 입성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경기에만 출장하면 일관적으로 높은 타격 생산성을 보여주었지만[21] 부상으로 풀시즌을 치르지 못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물론 샌디 코팩스같이 200승을 못 채우고도 엄청난 임팩트로 명예의 전당에 첫 턴으로 입성한 케이스도 있기도 하고, 홈런 기록에서 최소 경기 300홈런을 기록하는 등 페이스도 매우 빠른 편이다. 또 다른 50홈런 이상 시즌을 기록하거나, 3회 이상 리그 MVP 수상[22]에 성공한다면 400홈런 이상만 넘겨도 첫 턴 입성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7. 여담
- 입양아 출신으로 부모님 웨인, 패티 저지는 애런이 태어난지 이틀 만에 입양했다. 10살쯤 되었을 때 자신과 부모가 닮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부모로부터 입양됐다고 듣게 되었다고 한다. #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을 탔을 때도 부모님과 함께했다. #
- 형제 중에 한국에서 입양 된 형이 있는데[23], UC 버클리를 졸업했고 한국어, 영어를 포함해서 5개국어가 가능하다. 현재 형은 한국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고 하며[24], 2022년에는 시즌이 끝난 뒤에 가족들과 함께 형을 보러 한국에 올 예정이라고 한다. 영상[25]
[kakaotv(373991156)] |
파일:7110806662_33854530_062283ab7558930ad63032b3c0f32886.jpg |
- 과거 인터뷰에서 해외축구 팀 중에서 맨체스터 시티 FC를 좋아한다고 밝힌 적이 있다.
Judge's Chamber 표준 드레스코드 | Prepare to be Judge'd 티셔츠 |
- 언어유희 좋아하는 양덕후들답게 양키스 팬들의 저지 응원은 판사 유머코드가 가득하다. 위 SI 표지에 나와있는 All Rise!라는 챈트도 재판 시작할때 판사가 들어오면 진행자가 말하는 멘트로 저지의 응원문구이자 슬로건. 우리말로는 "일동 기립" 이라는 의미다. 홈런이 나왔을 때 해설자가 심판의 날(Judgement day) 드립을 칠 때도 가끔 있다.
- 저지가 맹활약하면서, 양키 스타디움 우측 외야에는 저지 전용 응원석인 Judge's Chambers(저지의 법정)이 설치되었다. 마침 양키스 컬러도 비슷한 네이비 컬러라 저지의 응원 팬들은 네이비 컬러의 판사 복장에 법봉 응원도구를 흔들며 저지를 응원한다. 2021년까지는 저지의 포지션도 우익수여서 Judge's Chamber에서 저지를 가까이서 직관할 수 있었지만, 22년부터 팀 사정상 중견수로 이동하면서 다소 거리가 멀어졌다. 저지 대신 우익수로 들어가는 선수는 후안 소토이다.
- Judge's Chambers에 진짜 판사가 오기도 했다. 영상의 가운데 검은 뿔테 안경 쓴 여성이 브롱스 출신의 미국 연방대법관 소니아 소토마요르(Sonia Sotomayor)이다.
- 큰 턱을 가졌다. 그래서 슈스케에 출연했던 가수 존박과 외모가 흡사하다. 현지에서는 NBA 선수인 애런 고든과 닮았다는 얘기가 나온다.[26] 크리스티안 옐리치가 삭발시 저지와 흡사한 외모일 것이라 추측 가능.
- 저지의 핸드폰 화면에는 .179라는 숫자가 적혀 있다고 한다. 2016년 빅리그 맛만 봤던 시절의 타율 기록으로, 그때를 잊지 말자라는 각오를 다지기 위해서 .179를 화면에 놓았다고 한다. 현재 시점에서 세계 최고의 야구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와신상담이 된 셈이다. #
- 2017년 활약에 힘입어 MLB 더 쇼 18의 커버모델로 선정되었다.
- 마이너에서부터 같이 뛰었던 롭 레프스나이더와 친한 사이다. 또한 의외로 같은 팀 소속이었던 한국 선수 박효준과도 친분이 있다고 한다. 박효준이 미국 적응에 어려움을 겪던 시절에 저지가 먼저 다가와서 친해졌다고 한다. 박효준이 더그아웃 매거진과의 인터뷰 당시 저지와의 일화들을 소개한 적이 있다. 위에 언급했던 대로 애런 저지의 형이 한국계 입양아인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2021년 12월 결혼하였다. 아내와는 학창 시절 린든 고등학교에 함께 다녔고, 그곳에서 저지는 2010년 졸업하기 전까지 세 가지 스포츠(미식축구, 농구, 야구)를 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프레즈노에도 함께 다녔다. 아내는 2017년 운동학 분야에서 석사 학위 논문을 수상하기도 했다. #
- 한국에서 소위 농군 패션이라고 불리는 하이 삭스를 즐겨 신는 편이다. 빅리그 데뷔 시즌인 2016년은 일반 패션으로 경기에 나섰지만 2017년부터는 계속 농군 패션으로 경기에 나서고 있다. 큰 키로 인해 스트라이크 존 손해를 보는 일을 줄이기 위한 시도로 추측된다.
- 2022년의 압도적인 성적이 하필이면 FA 직전에 팀의 연장 계약을 거절한 뒤에 나온 바람에 디시에서는 돈미새라는 별명이 생겼다. 아드리안 벨트레의 2004년을 아득히 뛰어넘는 FA로이드로 남을 가능성도 적지 않았으나,[27] 저지는 2024년에 2022년을 뛰어넘는 또 하나의 몬스터 시즌을 만들어내면서 2022년의 활약이 자신의 실력임을 입증했다.
- 2022년부터 등장음악으로 Pop Smoke의 Hello를 즐겨 사용하는데, 해당곡의 도입부에 bitches라는 가사 등은 두꺼운 베이스 처리 혹은 묵음 처리되어 나오고 있다.
- 저지의 성은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판사를 뜻하는 Judge와 동일 발음인 [져엇ㅈ]=[juhj]로 발음된다. 다시말해 어떻게 불러도 [져어즈]언저리가 될지언정 한글 표기 "저지"와 다르게 ㅣ는 발음되지 않는다. 가끔 애칭으로 "Judgey[저지]"라고[28] 불리기는 하는데, 그 예시로 팀메이트인 앤서니 리조가 경기 후 인터뷰 때 [져어지이]라고 ㅣ발음을 살려 여러 번 부른 적 있다.
- 별명은 성과 같이 'Judge', 한국에서는 주로 판사님이라고 부른다.
- 대한민국 한정으로 아론 주드게라는 멸칭이 있다. 완성형 슬러거로서 메이저리그를 폭격하는 모습을 보이는 평소와 다르게 극도로 부진하는 모습을 보일 때마다 완전히 다른 사람을 보는 것 같다는 뜻으로 사용한다. 주로 양키스가 포스트시즌에 진출할 때마다 쓰이며 정규시즌에서 부진할 때도 간혹 쓰인다. 비슷한 케이스는 축구의 해리 케인이 있고, 케인이 부진하면 케인은 어디가고 해리 카네가 왔냐고 조롱한다. 이쪽은 2021년 이적설 이후 극도로 부진하자 붙여졌던 별명.
- 2022 시즌 종료 후 저지의 샌프란시스코 이적설이 보도될 때 Arson 이라는 오타가 적힌 채 보도되었는데 그 해 FA 최대어의 이적설과는 걸맞지 않는 오타에 밈이 되었고, 이후 저지가 양키스에 잔류하자 "양키스는 Aaron을 잡았고 샌프란시스코는 Arson을 잡았다"는 식의 밈이 되었다. 이후 저지가 2024년 생애 첫 오라클 파크 경기에서 말 그대로 샌프란시스코를 폭격하자, 양키스 트위터도 "Welcome back, Arson" 이라며 이 밈을 사용하였다.
- 등장곡도 그렇고 SNS에 올리는 음악을 보면 힙합을 좋아하는 듯하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7F7F7> |
애런 저지 Aaron Judge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프로 데뷔 이전
|
||
유년기 | |||
프로
|
|||
뉴욕 양키스 New York Yankees |
|||
<rowcolor=#132448>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기타
|
|||
<rowcolor=#132448> 플레이 스타일 • vs 오타니 쇼헤이 |
2017년 6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 ||||
카를로스 코레아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호세 알투베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17년 9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 ||||
매니 마차도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디디 그레고리우스 ( 뉴욕 양키스) |
2022년 5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 ||||
호세 라미레즈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요르단 알바레즈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22년 7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 ||||
요르단 알바레즈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알렉스 브레그먼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22년 9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 ||||
알렉스 브레그먼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맷 채프먼 ( 토론토 블루제이스) |
2023년 5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 ||||
맷 채프먼 (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2024년 5~6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 ||||
거너 헨더슨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바비 위트 주니어 ( 캔자스시티 로열스) |
2024년 8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 ||||
바비 위트 주니어 ( 캔자스시티 로열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와이엇 랭포드 ( 텍사스 레인저스) |
2017년 4~6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신인 상 | ||||
라이온 힐리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율리에스키 구리엘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17년 9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신인 상 | ||||
앤드류 베닌텐디 ( 보스턴 레드삭스) |
→ |
애런 저지 (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1]
외래어 표기법대로 하면 '에런'이다.
[2]
캘리포니아의 작은 마을인 린덴에서 성장했다.
[3]
주로
우익수로 출장하지만,
중견수도 무난히 소화가 가능하며 MVP를 수상한 2022 시즌에는 중견수로 출전한 경기가 가장 많았다. 2023 시즌 전에는
좌익수로도 출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코너 외야수만 가능한
알렉스 버두고와
후안 소토가 영입된 2024 시즌부터는 다시 중견수로 출장한다.
[4]
비약물 타자로서는 MLB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
[5]
955경기, 3431타수
[6]
부모 웨인과 패티 저지는
프레즈노 주립대학교에서 학생으로 처음 만났고, 1975년에 결혼했다. 두 아들 존은 1985년, 애런은 1992년에 입양했다.
[7]
한국계 미국인. 한국계 입양아 출신으로 5개국어가 가능한 인재이며 미국의 명문대학교인
UC 버클리를 졸업하고 현재
서울에서 거주 중이며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
[만장일치]
만장일치 수상.
[9]
저지 본인이 거리에서 애런 저지에 대한 양키스 팬들의 생각을 물어보았다.
[10]
'애덤' 저지라고 알고 있거나, 안경을 벗어도 못 알아본다거나. 개막하고 한달 남짓 활약한 시점이었기 때문에, 그의 스탯은 꿰차고 있어도 단번에 알아보는 걸 기대하기는 아무래도 힘들었다. 초반 홈런 페이스를 유지하는 것에 회의를 보이는 팬도 보이는데, 모든 스포츠 종목이 그렇듯이 몇주 반짝하고 사라지는 선수들은 너무 흔하기 때문이다.
[11]
무려 23명의 양키스 영구결번보다도 더 희소한 숫자로, 27번 우승 역사에 영구결번 23명을 제외하고도 기라성같은 주장급 스타들이 얼마나 많았는지는 따로 설명이 필요없다.
[12]
데릭 지터,
호르헤 포사다,
앤디 페티트,
마리아노 리베라의 팜 출신 프랜차이즈 스타들.
[13]
결국 2021 시즌을 끝으로
미네소타 트윈스로 트레이드되면서 넷 중 처음으로 양키스를 떠나게 되었다.
[14]
유니폼 자체가 광팬 수준이 아닌 이상 여러 개를 사는 경우가 별로 없어 3년 연속 1위를 하면서 살 사람은 거의 다 샀기 때문에 판매량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뉴욕 양키스는 전통을 이유로 같은 디자인의 유니폼을 아주 오랫동안 고수하고 있는 팀이라서 매년마다 계속 똑같은 유니폼을 입고 있다는 점도 크다.
[15]
공교롭게도 저지가 홈런을 친 날 오타니도 40-40을 달성하면서 각자 야구계를 대표하는 얼굴임을 증명하고 있다.
[16]
물론 어디까지나 프라임타임으로만 따졌을 때 그렇다는 것이고 누적 성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특히 저지의 MLB 데뷔는 워낙 늦은 편이라서 저지의 누적 성적은 또래 선수들인
마이크 트라웃,
무키 베츠 등과 비교해도 밀린다.
[17]
2018 시즌이 시작되기 전 내일
마이크 트라웃이 은퇴하면 명예의 전당 입성이 가능한지를 묻는 팬의 질문이 있었는데, 명예의 전당 연구 권위자 제이 재프는 "10년을 채우는 게 규정이라 2020년 1경기라도 뛰어야 입성 자격이 생기지만, 트라웃이 불상사가 생겨 내일 은퇴하면 거의 확실히
애디 조스 타입의 예외로 입성할 것이다."라고 답변한 바가 있다.
# 당시 트라웃의 통산 WAR은 fWAR 54, bWAR 54.6으로 2024 시즌 종료 시점에서 저지의 통산 WAR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즉 트라웃의 향후 누적 스탯과 관계 없이 데뷔 이후 7년 간 보여준 활약만으로도 명예의 전당 입성을 확신하는 답변을 한 것이다. 결국 저지의 명예의 전당 입성 자체는 의심하는 것이 어불성설인 셈이다.
[18]
그러나 2024 시즌 오타니는 투구, 수비를 하지 않고 타격과 주루만으로
50-50 클럽을 달성하는 등 오히려 저지보다 적은 방향성으로 WAR 9를 쌓는 위업을 이뤄내기도 했다. 물론 타격과 주루를 모두 종합한 공격 기여도인 Offense에서도 저지가 95.0, 오타니가 80.7을 기록했기에 저지의 WAR 가치가 전혀 퇴색되지는 않는다.
[19]
심지어 나이로 따졌을 때는 오타니보다 MLB 데뷔가 늦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놀라운 기록이다. 사실 오타니도 NPB 생활로 인해 타 선수들에 비해 MLB 데뷔가 꽤 늦은 편에 속하는데, 저지는 오타니보다 2살 더 많은데도 각자의 루키 시즌 연도가 1년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물론 오타니의 경우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약 3년 동안은 MLB에서 투타겸업을 구현하기 위한 시행착오를 겪었다는 점을 감안하긴 해야 한다. 본격적인 전성기의 시작도 오타니가 2021년, 저지는 2022년으로 오타니가 오히려 1년이 빠르다.
[20]
페드로 마르티네스 역시 순수 성적만 보면
밥 깁슨이나
드와이트 구든 등 겉으로 보기엔 비슷해 보이는 성적을 기록한 투수들이 없지는 않으나 이들은 전원 투고타저 시대에 기록한 성적인 반면 페드로 혼자 스테로이드 시대에 기록한 성적이라 고평가받는 것이다.
[21]
2024년 기준, 커리어 로우 시즌의 wRC+가 140이다. 부상만 없다면 계산이 서는 타격을 보여줬다는 것.
[22]
3회 이상 MVP 수상자는 11명으로 500홈런 달성자보다 훨씬 적다.
[23]
이름은 존 저지. 위쪽의 사진에 저지의 형과 동생이 함께 찍힌 사진이 있다. 특이한 점은 셋 다 입양아다.
[24]
어렸을 때 사진 빼고 모습조차도 공개되지 않은 것을 보면 애런 저지의 형이라고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평범하게 살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25]
근데 안왔다.
[26]
그런 고든은 직접 저지의 유니폼을 풀로 장착하는 코스프레도 선보였었다.
[27]
물론 벨트레의 2004년은 활약상과는 별개로 FA로이드라는 단어의 기원이라는 점에서 후대에 길이 기억될 것이지만, 저지의 2022년은 벨트레의 2004년과는 비교도 안 될 성적을 기록했다. 물론 저지는 출장만 하면 wRC+ 140을 넘기는 꾸준한 타격 생산성을 보여주었지만 2022년은 아예 200을 넘겨버려 차원이 다른 타격을 보여주었고, 수많은 조상님들의 이름을 소환하며 아예 현대 야구의 한 획을 그어버렸다. 심지어 저지의 팬들조차도 2022 저지를 다시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저지가 2022년 이후 양키스와 맺은 9년 360M 계약은 초대형 계약으로 불리긴 하지만 실상은 45 WAR 정도의 가치인데, 저지의 2022 시즌을 네 번만 뛰고 남은 시즌을 모조리 부상으로 빠져도 돈값을 끝마칠 정도다.
[28]
John이나 Sam을 Johnny이나 Sammy로 부르듯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