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스 슈어저 Max Scherzer |
|
본명 |
맥스웰 마틴 슈어저 Maxwell Martin Scherzer |
출생 | 1984년 7월 27일 ([age(1984-07-27)]세) |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파크웨이 센트럴 고등학교 - 미주리 대학교 |
신체 | 191cm | 94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06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1번, ARI) |
소속팀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8~2009)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10~2014) 워싱턴 내셔널스 (2015~2021)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1) 뉴욕 메츠 (2022~2023) 텍사스 레인저스 (2023~2024) |
에이전트 | 보라스 코퍼레이션 |
기록 |
노히트 노런 2회 (2015.6.20., 2015.10.3.) 무결점 이닝 3회 (2017.5.14.[1], 2018.6.5.[2], 2021.9.12.[3])[4] |
| | | |
[clearfix]
1. 개요
|
2. 선수 경력
맥스 슈어저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맥스 슈어저/선수 경력 |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1 WSH | 21 LAD | 2022년 | |
23 NYM | 23 TEX | 2024년 |
3. 피칭 스타일
|
전형적인 탈삼진형 투수로, 많은 탈삼진과 이에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비교적 많은 피홈런과 낮은 피안타율ㆍWHIP라는 특성을 가졌다. 2021 시즌 종료 시점에서 슈어저의 통산 탈삼진율(K%)은 29.4%나 되고, 7년(2015~2021)간 최소 30.7%/최고 35.1%/연평균 33.1%를 기록했다.[5] 29.4%의 탈삼진율은 MLB 규정이닝(2,000IP)을 충족한 선수들 중 역대 1위에 해당한다. 슈어저(29.4)- 랜디 존슨(28.6)- 페드로 마르티네스(27.7)- 클레이튼 커쇼(27.6) 순이다.[6][7]
마찬가지로 2021 시즌 종료 기준으로 슈어저의 K/BB(4.46)는 2,000IP 이상의 선수들 중 역대 1위다.[8] 슈어저(4.46)-토미 본드(4.44)[9]-커쇼(4.41)- 커트 실링(4.38)-페드로 마르티네스(4.15). 또한 데뷔하기 6년 전인 2002년부터 3000탈삼진을 잡은 2021년까지 탈삼진 리그 전체 1위. 경이로운 기록이다.
포심 패스트볼의 구속은 2024시즌 기준 평균 92.5마일(약 149km/h)[11], 전성기 기준 최고 99.4마일(160km/h)까지 형성되었다. 슈어저의 포심은 메이저리그 최고 수준의 회전수를 가졌고 우타자 기준 몸쪽으로 휘어들어오는 움직임을 보인다.[12] 2013년 현장에서 뽑은 최고의 패스트볼(BA 베스트 툴) 1위로 선정되기도 했다.[13]
패스트볼과 짝을 이루는 슬라이더는 메이저리그의 우타자를 마이너리거처럼 보이게 만드는 위력을 가졌다.[14] 2017 시즌부터는 본격적으로 두 가지 종류의 슬라이더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우타자를 상대론 구속은 평범하지만 변화폭이 큰 보통 슬라이더를 던지며, 좌타자를 상대론 더 빠르지만 덜 꺾이는 파워 슬라이더[15]를 던진다. 2015년에 현장에서 뽑은 최고의 슬라이더 1위로 선정됐다.[16]
체인지업도 던진다. 일반적인 쓰임새대로 좌타자 바깥쪽으로 던지기도 하지만 우타자를 상대할 때도 자주 활용하는 편이다. 커리어 초기에는 이 체인지업의 완성도가 많이 떨어지던 탓에 좌타자를 상대로 크게 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를 꾸준히 발전시켜나갔고, 결국엔 종종 슬라이더 이상으로 평가받을 정도로 뛰어난 구종이 됐다. 2014년에 현장에서 뽑은 최고의 체인지업 2위로 선정됐다.[17]
커브볼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던지기 시작했다. 좌타자를 상대하기 위한 보조적인 무기로 심각한 수준의 좌상바였던 슈어저가 에이스급 투수로 성장하게 된 원동력 중 하나로 평가된다. 다른 구종들보단 다소 완성도와 비중 모두 떨어지는 편으로 여전히 발전 중에 있다.
대다수의 에이스들이 그렇겠지만 경기에 대한 집중력, 승부욕이 대단한 편이며, 이와 동시에 마운드 위에서 평정심을 유지할 줄도 안다. 슈어저의 성실함(work ethic)에 대한 현장의 평은 극찬 일색으로, 경기가 없을 때도 스카우팅 리포트를 읽으며 상대 타자를 분석하고, 프로에선 발전하지 않으면 도태될 뿐이라며 매시즌 더 나아지기 위해 힘쓴다. 또한 경기 외적으론 유쾌한 성격을 가진 좋은 팀 메이트이기도 하다.
스트라이크 존 높은 쪽과 한가운데를 던지는 데 두려움이 없는 편이다. 이를 통해 삼진과 팝업을 누구보다 많이 유도해내면서 볼넷도 적게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탑클래스 투수 치고 많은 피홈런 수도 여기에서 비롯한다. 매우 압도적인 WHIP에 비해 ERA가 다소 높다고 여겨지는 것은 이 때문. 물론 슈어저 같은 뜬공 투수는 비자책점이 적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18] ERA로 본다면 살짝 저평가될 여지가 있다.[19]
사이드암에 가까운 팔각도 때문에 같은 손 타자에게 강하고 반대 손 타자에 약한 현상이 좀 더 극단적인 편이다. 이 탓에 커리어 초기엔 좌타 위주의 라인업을 만나면 크게 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3년부터 2015년 사이에는 체인지업과 커브의 발전을 통해 이를 극복했고, 2016년에 다시 문제가 되자 2017년부턴 파워 슬라이더(커터)를 발전시키며 이를 극복해내고 있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월드 시리즈 우승 2회 (
2019,
2023) 올스타 8회 (2013~2019, 2021)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2013) 내셔널 리그 사이 영 상 2회 (2016, 2017) 아메리칸 리그 다승 1위 2회 (2013, 2014) 내셔널 리그 다승 1위 2회 (2016, 2018) 내셔널 리그 탈삼진 1위 3회 (2016~2018) All-MLB 퍼스트 팀 2회 (2019, 2021) All-MLB 세컨드 팀 (2022) |
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현역 메이저리그 투수들 중 잭 그레인키, 저스틴 벌랜더, 클레이튼 커쇼와 함께 누적 성적과 임팩트 모두 뛰어나며, 명예의 전당 입성이 확정적인 선수이다.
2019년 MLB.com의 기사에서도 일찌감치 슈어저를 알버트 푸홀스, 스즈키 이치로 등과 함께 명예의 전당 입성이 확실시되는 선수로 보고 있다. #
슈어저의 최대 강점은 임팩트다. 네 차례의 다승왕과 세 차례의 탈삼진왕 등을 통해 쌓은 블랙 잉크 55를 포함한 명예의 전당 통계의 모든 지표가 HOF 입성자들의 평균 수치를 넘어서는 훌륭한 커리어를 보유하고 있다.
사이 영 상을 3차례 수상한 선수 중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지 못한 사례는 도핑 논란이 있는 로저 클레멘스와 현역인 클레이튼 커쇼, 저스틴 벌랜더 밖에 없다. 게다가 양대 리그에서 사이 영 상을 수상했으며, 사이 영 상을 타지 못한 해에도 꾸준히 순위에 올랐기에 사이 영 상 셰어는 4.61으로 역대 5위에 올랐다.
로저 클레멘스처럼 금지 약물을 복용하거나, 커트 실링처럼 잦은 사건사고에 휘말리거나, CC 사바시아처럼 아직 HoF 헌액투표 후보자격이 안 됐거나, 저스틴 벌랜더처럼 현역선수인 경우들을 제외하면 통산 3000탈삼진을 기록한 투수들은 모두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2번의 노히터, 한 경기 20 탈삼진, 2019, 2023 월드시리즈 우승 등 훌륭한 업적들을 기록하였다.
입회 시 동판에 새길 모자는 6년 반 동안 가장 오래 활동하면서 2번의 사이 영 상과 2019년 월드시리즈 우승을 이뤄내고 영구 결번도 유력한 워싱턴 내셔널스로 예상된다.
5.1.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블랙잉크 | 그레이잉크 | HOF 모니터 | HOF 스탠다드 | |
맥스 슈어저 | 55 | 205 | 177 | 56 |
HOF 입성자 평균 | 40 | 185 | 100 | 50 |
- JAWS - Starting Pitcher (27th)
career WAR | 7yr-peak WAR | JAWS | |
맥스 슈어저 | 75.0 | 47.4 | 61.2 |
투수 HOF 입성자 평균 | 73.0 | 49.8 | 61.4 |
6. 여담
-
메이저리그에서도 비교대상이 없을 정도로 무시무시한 승부욕의 소유자이다. 기본적으로 훈련때도 다른 투수들보다 2배는 더 던지기, 상대 타자를 잡을때는 물론이고 투구수 100개를 넘겼거나, 위기상황에서 벤치에서 불펜교체를 하려할 때 코치나 감독에게 퍼붓는 욕설은 기본이요, 월드시리즈때도 6차전 불펜에서의 투구, 앞서 언급된 대로 파울볼에 얼굴을 맞고 쉬어야 할 때도 눈탱이 밤탱이 상태로 아득바득 등판해 98마일을 던지는 등등.. 하나하나 다 나열하기 힘들 정도로 승부욕을 보여주는 일화가 많다. 저런 행동을 할때마다 낭만을 느끼는 팬들도 있지만 대부분 팬들은 농담반, 진심반으로 또 정신병 도졌다고 말하는 중이다. 그래서 별명이 매드 맥스(Mad Max)이다. 이렇게 승부욕이 강한 면 때문에 스티븐 스트라스버그는 이적 초기 맥스 슈어저하고 정반대의 성격과 성향 때문에 충돌이 잦았다고 언급했고 현재는 오래 뛴 팀메이트로써 친하다고 언급했다.
- 그리고 이 승부욕은 단기전에서 잘 드러나는데, 워싱턴 이적 후엔 롱릴리프 불펜으로 쓰였다가 망한 적도 있고 무엇보다 2019 시즌 우승하면서 페넌트레이스 동안 엄청나게 던지고도 2019년 월드 시리즈에 선발로 두 번 나왔고 7차전에서는 6이닝씩이나 던졌다. 비디오 게임마냥 자주 나왔으며 보는 이에겐 그야말로 팔이 붙어있는 게 신기할 정도였다. 다저스 이적 후에도 2021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게임에서 던지고 4일 휴식 후 2021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3차전에 등판(7이닝 10K 1실점 110구 패전)한 데 이어 이틀 휴식 후 5차전이 접전으로 흐르자 9회 등판을 자청해 세이브를 따냈다.
- 오드아이라 불리는 '홍채 이색증(heterochromia iridum)'을 안고 태어난 선수로 유명하다. 어중간하게 다른 색이 아니라 왼쪽 눈은 갈색, 오른쪽 눈은 푸른색으로 확연히 다르다. 사진[20] 버블헤드 인형에도 오드아이가 반영됐다. 멀리서 봐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양쪽 눈의 색 차이가 확실하고 MLB 최고의 투수라는 명성도 있어 오드아이 실존인물 예시를 들 때 빠짐없이 언급된다. 국내 야구 커뮤니티들에는 이 오드아이로부터 유래한 개눈깔이나 우치하 슈어져라는 별명이 있다.
-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독일계이며 독일어 표기법을 적용시키면 '막스 슈어처(풀네임 막스웰 마르틴 슈어처)'가 된다. 한국에서는 이를 조금 비틀어 "슈어저"라 표기하는 경우가 절대 다수지만 현지 발음은 "셔저"에 가깝고 외래어 표기법으로 봐도 이것이 옳다. 독일어에서는 /sch/가 /슈/로 발음되지만 영어로는 독립적으로 발음될 수 있는 음운이 아니기 때문. 그러나 얀선이나 흐레호리위스 사례에서처럼 한국 야구팬들은 셔저라는 익숙하지 않은 표기에 거부감을 표하는 중.
- 위에서 언급됐듯이, 2012년에 동생 알렉스 슈어저가 자살하는 비극을 겪었다. 알렉스는 평소 야구기록이나 세이버메트릭스에 관심이 많은 야구팬이었고, 맥스도 알렉스에게 세이버에 관해 많은 것을 배웠다고. 동생이 자살한 이후론 맥스 슈어저는 매 선발등판을 동생에게 헌정하는 각오로 임한다고 한다. 본래 세이버메트릭스에 대해서는 거부감을 가져 여러 스탯들을 소개하는 동생에게 '공이 야구를 지배해, 숫자가 아니라' 라는 핀잔을 주기도 했지만 나중에는 세이버메트릭스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듯하다. 무엇보다 동생의 자살 이후 '알렉스가 나에게 무슨 말을 전하려 한 걸까' 라며 세이버에 대해 나름대로 공부를 한 모양. 2013 시즌 투수에게 가장 가치 있는 스탯을 물어보는 설문 조사에는 현역 투수치고 드물게 FIP라고 대답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나는 FIP가 말하고자 하는 골자를 이해한다. 투수가 삼진을 많이 잡고 볼넷을 적게 주며 홈런을 덜 맞는다면 성공할 수밖에 없다'라고.[21]
- 미주리 출신이라 가족 전체가 세인트루이스의 팬이었다고 한다. 특히 죽은 동생이 매우 열성적인 팬이었다고 한다. 또한 자신도 어릴 적 세인트루이스에서 자라면서 아지 스미스를 가장 좋아했다고 한다. 슈어저와 비슷한 시대를 보낸 꾸준함의 대명사로 알려진 마크 벌리 역시 고향이 세인트루이스 광역에 속한 세인트찰스 였던 탓에 슈어저와 같은 독일계 출신이면서 세인트루이스 광팬으로 유명하다.[22]
- 추신수가 이 선수의 천적이다. 둘의 맞대결 기록은 2017년까지 30타석 .583/.690/1.174 (3홈런). 선수 본인도 추신수가 자신에게 강하단 걸 잘 알고 있다. 실제로 2013 시즌 중 출연한 라디오 토크쇼에서 인터뷰어가 자신의 천적을 묻자 추신수의 이름을 언급한 적이 있다. 출처1 출처2(5분 21초부터)[23] 워싱턴 지역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까다로운 타자로 추신수를 언급한다. #
- 마이크 트라웃을 상대로는 극강의 모습을 보여준다.
- 한편 2015년에 애덤 웨인라이트가 주루 플레이 중 아킬레스 건 부상으로 시즌 아웃이 된 이후 가진 존 헤이먼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내셔널리그에도 지명타자 제도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질문을 받았는데 자신은 타격하는 걸 즐기지만 자신의 타격보다는 데이빗 오티즈 같은 타자들의 타격을 보는 것이 더 낫지 않겠냐며 옹호하는 의견을 낸 바 있다. 다만 기자와 편하게 대화한 것이 자신이 마치 내셔널리그에 지명타자 룰을 도입해야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한 양 와전되자 직접 SNS에 해명글을 올리기도 했다. 그리고 2018년 타석에서도 활약하며 타율을 3할까지 올리기도 했다. 2019년 월드시리즈를 앞둔 인터뷰에서는 '타석에 서면 경기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데 지명타자가 기용되는 경기에서는 그게 어렵다.'며 투수 타석에도 익숙하다고 하기도 했다.
- 이름 때문에 유대교로 오해받기도 하는 모양인데, [24] 일단 워싱턴 포스트에 따르면 아니고 슈어저는 독일계라고 한다. 유대교 관련 사이트에서도 유대교처럼 들리지만 아닌 이름에 한켠을 자리잡고 있다. 팀 동료였던 스티븐 스트라스버그도 포함되어 있다.
- 2019년 2월 "너무 많은 팀이 이기려고 노력하지 않을 때, 이는 경기와 팬 경험을 해치고, '떠돌이 팬'(bandwagon fans)만 양산한다"고 투자에 인색한 메이저리그 구단을 비판했다. 메이저리그 FA 시장에 3년 연속 한파가 몰아친 이유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한다며 "다른 스포츠와 달리 왜 메이저리그 FA에서만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 다른 이유를 알아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메이저리그 선수노조의 경영소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됐다. #
- 2022년 5월 13일 시애틀 매리너스와의 홈경기에서 재팬 헤리티지 나이트를 기념해 모리 미키오 뉴욕 주재 일본 총영사를 초청해 모리 미키오가 시구하려 했지만 마운드에서 비켜주지 않아 결국 시구하지 못 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
- 그동안 공공연하게 쓰이던 투수들의 이물질 사용 규정을 메이저리그 사무국에서 2021년부터 단속하기 시작했다가 최근 들어 다시 기승을 부리자 전 구단에게 2023년부터 또 다시 강력하게 단속하겠다고 했는데 2023년 4월 19일 이물질 사용 규정으로 4회에 퇴장을 당했다. 슈어저는 이에 대해 선수협을 통해 자신의 아이들의 목숨을 걸고 쓴 적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정작 항소를 하진않았다. #
7. 자료 출처
- Max Scherzer Statistics and History - MLB.COM
- 인적사항
- 야구 기록, 각종 경력
- Max Scherzer Stats, Fantasy & News - Baseball-Reference
- 인적사항
- 야구 기록, 각종 경력
- 계약 정보
- Max Scherzer » Statistics » Pitching | FanGraphs Baseball
- 인적사항
- 야구 기록, 각종 경력
- 계약 정보
- Former Logger Max Scherzer Named 2013 AL Cy Young Award Winner! - La Crosse Loggers
- 아마추어 경력; 라크로스 로거스
- Two tone: Max Scherzer's playfulness, intensity may be final piece for Nationals - Washington Times
- 성격
- 아마추어 경력; 고향; 모교; 진학 동기
- 프로 입단;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계약금 협상; 마이크 리쪼
- 홍채이색증
- 인간 관계; 릭 포셀로
- Scherzer family quietly deals with a loss that wins can never offset
- 가족; 동생의 죽음; 아버지; 어머니의 결혼 전 성
- 2012 Big 12 Baseball Media Guide
- 아마추어 경력; 미주리 대학교; 빅 투엘브 컨퍼런스 최우수 투수 상
- University of Missouri Athletics - Hall of Fame
- 아마추어 경력; 미주리 대학교; 학교 최초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 선수
- 2013 AL Cy Young
- 2013년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투표 결과
- Scherzer makes history, becoming first Tigers starter to post an 11-0 record to begin the season
- 역대 타이거스 투수들의 개막 연승 기록
- Tigers’ Max Scherzer improves to 10-0 / Baseball Notebook
- 역대 타이거스 최다 개막 연승
- Max Scherzer becomes first pitcher since 1986 to start season 13-0
- 개막 13연승; 로저 클레멘스 이후 처음
- Max Scherzer outduels Matt Harvey, gets win No. 19
- 개막 이후 19승 1패; 로저 클레멘스; 루브 마콰드
- Player Card: Max Scherzer
- 투구 스타일
- Max Scherzer spins his second no-hitter of 2015
- 두 번째 노히터; 한 시즌 두 번의 노히터를 던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여섯 번째 투수
- Max Scherzer just pitched one of the greatest games of all time - SweetSpot
- 두 번째 노히터; 게임 스코어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a71930>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
1996년 ~ | ||||
1996 닉 비어브로트 투수 / 전체 30번 |
1997 잭 커스트 1루수 / 전체 30번 |
FA 제이 벨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99 코리 마이어스 유격수 / 전체 4번 |
1999[1] 케이시 데이글 투수 / 전체 31번 |
|
FA 러스 스프링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1 제이슨 벌거 투수 / 전체 22번 |
2002 세르지오 산토스 유격수 / 전체 27번 |
2003[2] 코너 잭슨 1루수 / 전체 19번 |
2003 카를로스 쿠엔틴 외야수 / 전체 29번 |
|
2004 스티븐 드류 유격수 / 전체 15번 |
2005 저스틴 업튼 유격수 / 전체 1번 |
2005[3] 맷 토라 투수 / 전체 31번 |
2006 맥스 슈어저 투수 / 전체 11번 |
2006[4] 브룩스 브라운 투수 / 전체 34번 |
|
2007 재러드 파커 투수 / 전체 9번 |
2007[5] 웨스 로머 투수 / 전체 50번 |
2007[6] 에드 이슬리 포수 / 전체 61번 |
2008 다니엘 셔레어스 투수 / 전체 26번 |
2008[7] 웨이드 마일리 투수 / 전체 43번 |
|
2009 바비 보처링 3루수 / 전체 16번 |
2009[8] AJ 폴락 중견수 / 전체 17번 |
2009[8] 맷 데이비슨 3루수 / 전체 35번 |
2009[10] 크리스 오윙스 유격수 / 전체 41번 |
2009[11] 마이크 벨피오리 투수 / 전체 45번 |
|
2010 투수 / 전체 6번 |
2011 트레버 바우어 투수 / 전체 3번 |
2011[12] 아치 브래들리 투수 / 전체 7번 |
2011[13] 앤드류 셰이핀 투수 / 전체 43번 |
2012 스트라이커 트라한 포수 / 전체 26번 |
|
2013 브래덴 시플리 투수 / 전체 15번 |
2013 애런 블레어 투수 / 전체 36번 |
2014 투키 투상 투수 / 전체 16번 |
2015 댄스비 스완슨 유격수 / 전체 1번 |
2016[CBA] 안페니 그리어 외야수 / 전체 39번 |
|
FA 잭 그레인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17 페이빈 스미스 1루수 / 전체 7번 |
2018 2루수 / 전체 25번 |
2018[CBA] 제이크 맥카시 외야수 / 전체 39번 |
2019 코빈 캐롤 중견수 / 전체 16번 |
|
2019[16] 블레이크 월스턴 투수 / 전체 26번 |
2019[17] 브레넌 말론 투수 / 전체 33번 |
2019[18] 드레이 제임슨 투수 / 전체 34번 |
2020 브라이스 자비스 투수 / 전체 18번 |
2020[CBA] 슬레이드 세코니 투수 / 전체 33번 |
|
2021 조던 롤러 유격수 / 전체 6번 |
2022 드루 존스 외야수 / 전체 2번 |
2022[CBA] 랜든 심스 투수 / 전체 34번 |
2023 토미 트로이 유격수 / 전체 12번 |
2024 슬레이드 콜드웰 외야수 / 전체 29번 |
|
2024[21] 라이언 월드슈미트 외야수 / 전체 31번 |
2024[CBA] JD 딕스 유격수 / 전체 35번 |
||||
*
[1]
FA
데본 화이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
FA
그렉 콜브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3]
FA
리치 섹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4]
FA
팀 워렐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5]
FA
크레이그 카운셀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6]
FA
미겔 바티스타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7]
FA
리반 에르난데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8]
FA
올랜도 허드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8]
[10]
FA
후안 크루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1]
FA
브랜든 라이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2]
배럿 록스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
[13]
FA
애덤 라로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CBA]
[CBA]
[16]
맷 매클레인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
[17]
FA
패트릭 코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8]
FA
AJ 폴락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CBA]
[CBA]
[21]
코빈 캐롤 신인왕 수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
[CBA]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ab0003> |
워싱턴 내셔널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
머드캣 그랜트 | 조 스파마 | 칼 모튼 | 빌 스톤맨 | 마이크 토레스 | |
<rowcolor=#ffffff> 1974 | 1975 | 1976~1983 | 1984 | 1985 | |
스티브 렌코 | 데이브 맥널리 | 스티브 로저스 | 찰리 레이 | 스티브 로저스 | |
<rowcolor=#ffffff> 1986 | 1987 | 1988~1993 | 1994~1996 | 1997 | |
브린 스미스 | 플로이드 유먼스 | 데니스 마르티네즈 | 제프 파세로 | 짐 벌린저 | |
<rowcolor=#ffffff> 1998 | 1999~2000 | 2001~2002 | 2003 | 2004~2006 | |
카를로스 페레즈 | 저스틴 허만슨 | 하비에르 바스케스 | 토니 아미스 주니어 | 리반 에르난데스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2010 | 2011 | 2012~2014 | |
존 패터슨 | 오달리스 페레즈 | 존 레난 | 리반 에르난데스 |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 |
<rowcolor=#ffffff> 2015~2016 | 2017 | 2018~2021 | 2022~2023 | 2024 | |
맥스 슈어저 |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 맥스 슈어저 | 패트릭 코빈 | 조시아 그레이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02d72> |
뉴욕 메츠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5910> 1962~1963 | 1964~1965 | 1966 | 1967 | 1968~1977 |
로저 크레이그 | 앨 잭슨 | 잭 피셔 | 돈 카드웰 | 톰 시버 | |
<rowcolor=#ff5910> 1978 | 1979~1980 | 1981 | 1982 | 1983 | |
제리 쿠스먼 | 크레이그 스완 | 팻 재크리 | 랜디 존스 | 톰 시버 | |
<rowcolor=#ff5910> 1984 | 1985~1986 | 1987 | 1988~1991 | 1992 | |
마이크 토레스 | 드와이트 구든 | 밥 오헤다 | 드와이트 구든 | 데이비드 콘 | |
<rowcolor=#ff5910> 1993~1994 | 1995~1996 | 1997 | 1998 | 1999 | |
드와이트 구든 | 바비 존스 | 피트 하니시 | 바비 존스 | 알 라이터 | |
<rowcolor=#ff5910> 2000 | 2001~2002 | 2003~2004 | 2005 | 2006~2007 | |
마이크 햄튼 | 알 라이터 | 톰 글래빈 | 페드로 마르티네스 | 톰 글래빈 | |
<rowcolor=#ff5910> 2008~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요한 산타나 | 마이크 펠프리 | 요한 산타나 | 존 니스 | 딜런 지 | |
<rowcolor=#ff5910> 2015 | 2016 | 2017~2018 | 2019~2021 | 2022 | |
바톨로 콜론 | 맷 하비 | 노아 신더가드 | 제이콥 디그롬 | 타일러 메길 | |
<rowcolor=#ff5910> 2023 | 2024 | ||||
맥스 슈어저 | 호세 퀸타나 |
맥스 슈어저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
2019 | 2023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1 |
2013년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 ||||
데이비드 프라이스 ( 탬파베이 레이스) |
→ |
맥스 슈어저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코리 클루버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2016년 ~ 2017년 내셔널 리그 사이 영 상 | ||||
제이크 아리에타 ( 시카고 컵스) |
→ |
맥스 슈어저 ( 워싱턴 내셔널스) |
→ |
제이콥 디그롬 ( 뉴욕 메츠) |
2013년 아메리칸 리그 다승왕 | ||||
데이비드 프라이스 ( 탬파베이 레이스) 제러드 위버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
→ |
맥스 슈어저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코리 클루버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맥스 슈어저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제러드 위버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
2014년 아메리칸 리그 다승왕 | ||||
맥스 슈어저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코리 클루버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맥스 슈어저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제러드 위버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
→ |
댈러스 카이클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16년 내셔널 리그 다승왕 | ||||
제이크 아리에타 ( 시카고 컵스) |
→ |
맥스 슈어저 ( 워싱턴 내셔널스) |
→ |
클레이튼 커쇼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2018년 내셔널 리그 다승왕 | ||||
클레이튼 커쇼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존 레스터 ( 시카고 컵스) 마일스 마이콜라스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맥스 슈어저 ( 워싱턴 내셔널스) |
→ |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 워싱턴 내셔널스) |
2016년 ~ 2018년 내셔널 리그 탈삼진왕 | ||||
클레이튼 커쇼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맥스 슈어저 ( 워싱턴 내셔널스) |
→ |
제이콥 디그롬 ( 뉴욕 메츠) |
2019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IL | OF |
LAA | OF |
LAD | OF |
||||||
BOS | SS |
NYY | 2B |
||||||||
WSH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NYM | 1B ||
MIN | DH |
PHI | C |
|||
HOU | SP |
HOU | SP |
NYM | SP |
WSH | SP |
WSH | SP |
SD | RP |
MIL | RP |
2021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SH | OF |
NYY | OF |
PHI | OF |
||||||
SD | SS |
TOR | 2B |
||||||||
ATL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TOR | 1B ||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LAA | DH ||
KC | C || || ||
WSH/ LAD | SP |
MIL | SP |
LAD | SP |
TOR | SP |
NYY | SP |
MIL | RP |
CHW | RP |
}}} ||
2022 ALL-MLB SECOND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PHI | OF |
SEA | OF |
HOU | OF |
||||||
NYM | SS |
CLE | 2B |
||||||||
STL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LAD | 1B ||
LAA | DH |
LAD | C |
|||
CHW | SP |
ATL | SP |
PHI | SP |
NYM | SP |
LAD | SP |
STL | RP |
HOU | RP |
}}} ||
}}} ||
맥스 슈어저의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보유 기록 | |
정규이닝 최다 탈삼진 | 20개[25] |
맥스 슈어저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39번 | ||||
제프 다바논 (2007) |
→ |
<colcolor=#FFFFFF> 맥스 슈어저 (2008~2009) |
→ |
조던 노베르토 (2010)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37번 | |||||
브랜든 라이언 (2009) |
→ |
맥스 슈어저 (2010~2014) |
→ |
마이크 펠프리 (2016) |
|
워싱턴 내셔널스 등번호 31번 | |||||
재비어 세데뇨 (2014) |
→ |
맥스 슈어저 (2015~2021) |
→ | 결번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31번 | |||||
작 피더슨 (2015~2020) |
→ |
맥스 슈어저 (2021) |
→ |
타일러 앤더슨 (2022) |
|
뉴욕 메츠 등번호 21번 | |||||
리치 힐 (2021) |
→ |
맥스 슈어저 (2022~2023) |
→ |
잭 쇼트 (2024) |
|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31번 | |||||
마이크 매덕스 (2023) |
→ |
맥스 슈어저 (2023~2024) |
→ | 결번 |
[1]
세자르 에르난데스,
오두벨 에레라,
애런 알테어
[2]
조니 필드,
크리스티안 아로요,
대니얼 로버트슨
[3]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
에릭 호스머,
토미 팸
[4]
1이닝 9구 3K
[5]
이는 전성기 1997~2003
페드로 마르티네스(31.8%)보다도 높은 수치다. 다만 마르티네스의 최고 수치는 37.5%라 최고 기록은 낮다.
[6]
저스틴 벌랜더는 24.7로 역대 7위(현역 3위).
[7]
그러나 리그 평균을 감안하는 K%+의 경우는 143으로 역대 17위고 존슨(176)과 마르티네스(168)에게 뒤처진다.
[8]
1,000이닝 기준으로는
크리스 세일이 1위인데 1,000이닝은 통계 사이트 규정이고 MLB.com은 2,000이닝을 규정 이닝으로 잡는다.
[9]
1890년 이전의 선수라 큰 의미는 없다.
[10]
'head jerk'라고 한다.
[11]
과거엔 평균 94.3~9마일인(약 153km/h)이 찍혔으나 노쇠화로 인해 많이 줄었다.
[12]
일본에서는 이를 '슈트'라고 부른다.
[13]
2016년 2위, 2017년 3위.
[14]
2013-2016 우타자 상대 피wOBA 0.194
[15]
본인이 커터가 아니라 파워 슬라이더로 부르고 있다.
[16]
2013-2014년 2위, 2017년 3위
[17]
2017년 2위
[18]
수비수가 안 좋은 플레이를 하더라도 뜬공이 에러로 기록될 확률은 땅볼에 비해 낮다.
[19]
세이버메트리션이 가능하면 ERA가 아니라 RA9(9이닝당 실점)을 선호하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팬그래프(RA9-WAR)와 베이스볼 레퍼런스는 투수 WAR을 계산할 때 ERA가 아니라 RA9을 사용한다.
[20]
미국 운전면허증에는 운전자의 눈 색깔이 명시되어 있는데, 슈어저의 운전면허증에는 눈 색깔이 DIC(dichromatic eyes)라고 적혀 있다고 한다.
[21]
같은 팀의
저스틴 벌랜더 역시 ERA만으로 투수를 평가하는 건 지나치게 부당하다며 FIP를 거론해 타이거스 선발투수진이 어느 정도 세이버메트릭스에 식견이 있음을 보여주기도 했다. 다만 벌랜더는 그래도 ERA와 평균을 내서 볼 필요가 있으며, 승수를 쌓는 건 별개의 문제로 특별한 뭔가가 더 필요하다는 타협적인 태도였다.
[22]
미국에 독일계 미국인이 많지만 슈어저와 벌리의 고향인 미주리 쪽이 워낙 독일계 미국인이 많기로 유명하다. 캘리포니아 쪽에 한인들이 많은 것과 비교하면 생각하기 쉽다.
[23]
방송이 약간 기분 나쁠 수도 있는데 슈어저가 추신수라고 대답하자마자 진행자인 댄 패트릭은 폭소를 터뜨리며 '항상 이렇다니까요. 역사에 남은 뛰어난 투수들도 유달리 약한 'random guy' 한 명은 꼭 있어요.' 라고 말한다. 본토에서도 추신수가 저평가 받는 선수라는 것을 알려주는 단적인 사례. 오히려 슈어저는 패트릭이 추신수를 별 볼일없는 타자라 하자 추신수는 정말 좋은 선수라며 실드를 쳐줬다. 2017년에 치러진 오랜만의 맞대결에서도 자신에게 홈런을 쳐내자 "추신수는 항상 나를 상대로 최선의 결과를 만들어내왔다. (그와 상대하는 게) 두렵지는 않지만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24]
당시 독일 나치 정권의 유대인 박해로 미국으로 넘어온 유대계 독일인들이 많기 때문이다.
[25]
2016년 5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