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형제회 설립자 및 총봉사자 | ||||||
|
||||||
기도하는 성 프란치스코 |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 作 | ||||||
<colbgcolor=#705033,#705033><colcolor=#dccdb6,#dccdb6> 본명 |
조반니 디 피에트로 디 베르나르도네 (Giovanni di Pietro di Bernardone) |
|||||
출생 | 1181년 | |||||
신성 로마 제국 스폴레토 공국 아시시 | ||||||
사망 | 1226년 10월 3일 (향년 44~45세) | |||||
교황령 움브리아 아시시 | ||||||
학력 | 산 조르조 성당[1] 교리 학교 ( 라틴어 / 졸업) | |||||
직업 | 성직자( 부제/ 수도자), 신학자, 시인, 작곡가 | |||||
종교 | 가톨릭 | |||||
소속 | 작은형제회 | |||||
재임 기간 | 작은형제회 설립자 및 총봉사자 | |||||
1210년~ 1226년 | ||||||
역임 직책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작은형제회 총봉사자 | |||||
– | ← | 설립 | → | 초대 | ||
– | 프란치스코 ( 1210년~ 1226년) | 조반니 파렌티 ( 1227년~ 1232년) |
성인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705033,#705033><colcolor=#dccdb6,#dccdb6> 성인명 |
가톨릭(한국): 프란치스코 성공회(한국): 프란시스
|
|
시성 | 1228년 7월 26일 | ||
교황령
로마 교황 그레고리오 9세 주례 |
|||
칭호 | 하느님의 음유시인 | ||
상징물 | 프란치스코회 수도복, 새, 성흔, 십자고상, 책, 해골 | ||
축일 |
9월 17일[2] 10월 4일 |
||
수호 | 동물, 빈민, 상인, 생태학, 이탈리아, 평화 |
[clearfix]
1. 개요
Il trovatore di Dio 하느님의 음유시인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의 칭호
|
그는 생전에 뛰어난 지성과 빼어난 글솜씨를 갖춘 것으로 유명했다. 특히 그는 라틴어 작문이 만연했던 당시에 이탈리아어 방언만의 언어적 아름다움을 살린 신비스럽고 미려한 글을 지은 최초의 이탈리아어권 시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그는 겸손한 성품과 포용력 있는 태도를 지닌 것으로도 익히 알려져 있었는데, 가난한 자들과 더불어 지내고 동물들을 소중히 대하는 소박하고 자연 친화적인 자세를 보여 주어 뭇사람의 모범이 되었다. 아울러 그는 작은형제회, 성 클라라 수도회, 프란치스칸 3회의 설립자이자 작은형제회의 실질적인 초대 수장[3]으로서 세속의 욕망을 등진 채 겸양의 마음으로 오로지 신앙과 봉사에 전념하는 청빈한 수도 정신을 전파하는 데에 앞장섰다. 이로 인해 그는 하느님의 음유시인이라는 칭호와 더불어 기독교 내에서 가장 기념비적인 인물 중 하나로 손꼽힌다.
가톨릭, 성공회, 루터교회, 그리고 일부 정교회 수도원에서는 성인으로 공경하고 있다. 축일은 10월 4일이다.
2. 이름
이름의 유래는 고전 라틴어 프란키스쿠스(Franciscus, /franˈkis.kus/)로 자유로운 사람, 혹은 프랑크족 사람이라는 의미다. 한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프란치스코라는 명칭은 한국 천주교의 외국 성인명 등의 한글 표기에 따라 프란키스쿠스를 교회 라틴어식으로 발음한 프란치스쿠스(Franciscus, /franˈt͡ʃis.kus/)의 변형이다. 과거 대한민국에서 성인명 표기법이 제대로 확립되지 않았던 때에는 방지거[4], 혹은 프란치스꼬라고 주로 표기했다.[5]대한성공회에서는 영국식 영어 발음을 바탕으로 표기한 프란시스(Francis, /ˈfɹɑːnsɪs/)로 일컫는다.
3. 생애
3.1. 유소년 시절
|
성 프란치스코의 탄생 (Nacimiento de San Francisco) 후안 데 알파로 이 하메스 作, 코르도바 미술관 |
유복한 집안에서 자란 프란치스코는 당시 전형적인 부잣집 자제의 면모를 드러냈다. 10대 때 그는 언제나 멋진 옷을 차려입었고, 익살스러운 말솜씨로 주변 사람들을 즐겁게 만들었으며, 자신과 같이 부유한 친구들과 돈을 흥청망청 쓰면서 향락을 추구했다. 그러나 그는 마냥 자신의 이익과 쾌락만을 우선시하는 이기적인 사람은 아니었다. 어느 날 한 거지가 바쁜 아버지를 대신에 옷감을 팔고 있었던 그에게 적선을 부탁했고, 애처로운 마음이 들었던 그는 자신의 지갑에 들어 있던 모든 돈을 그 거지에게 건네주었다. 이 이야기를 알게 된 아버지는 그에게 불필요한 짓을 하지 말라고 꾸지람했고, 친구들은 그를 조롱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3.2. 회심과 세속 단절 선언
1202년경 프란치스코는 명예로운 군인을 꿈꾸며 아시시 지방의 세력과 페루자 지방의 세력 간에 벌어졌던 콜레스트라다 전투에 호기롭게 참전했으나, 머지않아 포로로 붙잡히고야 말았다. 그렇게 그곳의 감옥에 갇혀 지내던 그는 갑작스레 열병을 앓게 되었고, 약 1년이 지난 1203년 아버지가 그의 몸값을 지불한 덕분에 포로 신분에서 풀려나자 곧장 고향으로 돌아가서 병상에 누운 채 시간을 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신의 꿈을 포기하지 않았던 그는 1205년 교황 측 군대를 원조하고자 브리엔 백작 고티에 3세(Gautier III)가 주도한 모병에 지원하기 위해 풀리아 지방으로 향했다. 하지만 이것이 훗날 그의 인생을 탈바꿈할 커다란 전환점이 되었다. 목적지로 가던 도중 또다시 열병에 시달린 프란치스코는 어딘가에서 자신에게 “사람이 아닌 주를 모시기 위해 너의 고향으로 돌아가라. 거기에서 네가 할 일을 가르쳐 주겠다”고 말하는 신비스러운 목소리를 들었다. 처음에 그는 병으로 신체가 나약해져 발생한 환청이겠거니 하고 가벼이 치부했지만, 여정이 지속될수록 이상하게도 세속에 대한 흥미가 점차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감지해 결국 자신의 집으로 되돌아갔다. 아시시에 당도했을 때는 그는 이미 세속적 욕구를 완전히 잃어 향락을 추구하는 것을 멀리하기 시작했으며, 그 대신 여생을 온전히 신앙에만 헌신하면서 보내기로 다짐했다.
|
산 다미아노에서의 기도 (Preghiera in San Damiano) 조토 디 본도네 作,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
|
재물의 포기 (Rinuncia dei beni terreni)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作, 산타 트리니타 대성당의 사세티 경당 |
이후 몇 달 동안 프란치스코는 아시시의 언덕 일대를 떠돌아다니며 동냥질을 했고, 이따금씩 옆 마을의 수도원에서 허드렛일을 도맡았다. 이윽고 그는 페루자 지방에 위치한 마을인 구비오로 떠났는데, 그곳에서 옛 친구의 도움으로 순례자의 옷과 약간의 생활비를 받았다. 그러나 여전히 산 다미아노 수도원의 성당을 수리해야겠다는 목표를 품고 있었던 그는 이내 아시시로 돌아가 공사에 쓰이는 돌을 구걸했고, 그렇게 얻은 원자재를 해당 장소로 짊어 옮기고는 직접 벽을 보수하기 시작했다. 이를 기점으로 약 2년 간 그는 지난날의 방탕한 삶을 회개한다는 심정으로 산 다미아노 성당을 포함한 마을 주변의 버려진 종교 시설들을 재건하는 데에 힘썼다. 그가 손보아 고친 건물들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산 피에트로 델라 스피나 성당과 산타 마리아 델라 안젤리 대성당의 포르치운콜라 경당[8]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프란치스코는 한센병과 천연두에 걸린 사람들을 돌보는 데에도 주력했는데, 이들이 모여 사는 집단촌을 종종 방문해 환자 한 명 한 명 정성껏 간호했다.
3.3. 작은형제회 설립
1208년 2월 24일 아침, 프란치스코는 여느 때처럼 포르치운콜라 경당에서 미사를 드리고 있었다. 그날 설교에는 마태오의 복음서 10장 1절부터 10절까지의 부분[9]이 언급되었는데, 이는 예수가 자신의 열두 제자에게 하느님의 나라를 선포하고 무소유의 삶을 살도록 당부하는 내용이었다. 이에 깊은 인상을 받은 그는 곧바로 청빈한 삶을 실천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밑단이 무릎까지 내려오는 거친 모직 튜닉을 입고 밧줄을 허리 부분에 두른 후, 아무것도 지니지 않은 채 여러 장소를 두루 돌아다니며 마을 주민들에게 회개, 사랑, 그리고 평화의 전언을 전파했다. 이러한 그의 행보에 대해 대부분은 이상하게 여겼지만, 감명을 받은 이들도 소수나마 있었다. 그렇게 1년이 지나지 않아 11명의 사람들이 그를 따랐고, 그는 이 소규모 공동체를 작은 형제들(Fratres Minores)이라고 칭했다. 이들은 아시시 근교의 텅 빈 한센병 환자 집단촌에 옹기종기 모여 검소한 일상을 보내면서도 때로는 움브리아 지방 전역을 전전하며 뭇사람에게 설교를 하기도 했다. 이듬해 1209년 프란치스코는 공동체 내 생활 양식에 대해 기초적인 규정이 있어야 함을 인지해 <원회칙(Regula primitiva)>이라는 짧고 단순한 규칙을 만들었다. 원회칙의 주요 골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따라 그의 발자국을 따라가는 것’이었다.
|
교황 앞의 성 프란치스코 (프란치스코회 규칙의 인준) (San Francesco davanti al Papa (Conferma della regola francescana)) 스피넬로 아레티노 作, 시카고 미술관 |
3.4. 성 클라라 수도회와 3회 설립
|
아시시의 클라라의 머리카락을 자르는 성 프란치스코 (San Francisco cortándole el cabello a Clara de Asís) 안토니오 카르니세로 作, 프라도 미술관 |
한편 프란치스코는 예전에 자신이 산 다미아노 수도원 내 성당을 직접 보수하면서 같이 손을 본 자그마한 오두막을 가난한 자매회의 본거지로 정하고, 수녀들을 모두 수용하게끔 작은형제회의 수도자들과 함께 건물을 확장하고 있었다. 다만 공사는 급하게 진행되었는데, 자신의 두 딸을 모두 잃은 아버지가 그의 일가 친척들을 동원해 이들을 되찾고자 수녀원에게까지 피해를 입힐지도 모르므로 그 전에 빨리 완공하고자 했던 것이 그 이유였다. 이윽고 확장이 마무리되자 클라라와 아녜스를 비롯한 가난한 자매회의 수녀들은 프란치스코와 작은형제회 수도자들의 도움으로 서둘러 본거지로 이사했고, 그렇게 해서 새로운 여성 공동체는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되었다. 시간이 흘러 가난한 자매회는 공동 설립자 클라라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성 클라라 수도회(Ordo Sanctae Clarae)로 명칭을 바꾸었다.
프란치스코와 그가 설립한 수도회의 명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의 검소한 생활 방식과 봉사 정신을 실천하고 싶은 평신도들도 나란히 늘어났다. 이들 중 대부분은 자신의 성별에 따라 작은형제회, 혹은 가난한 자매회에 입회했지만, 이미 결혼을 했거나 마음대로 직업을 그만둘 수 없는 신자들은 그럴 수가 없었다. 이에 1209년 프란치스코는 회개의 형제자매회(Fratres et Sorores de Poenitentia)라는 이름의 3회[15]를 설립함으로써 이들이 작은형제회 및 가난한 자매회의 규범을 따르는 세속 생활을 할 수 있게 해 주었다. 해당 조직체는 1221년 당시 교황 호노리오 3세의 인준을 받음으로써 정식 공동체로 발전했다.
3.5. 순방 선교 활동
이탈리아 내에 공고히 기반을 다진 프란치스코는 활동 반경을 해외로 넓히기 시작했다. 1211년 스페인의 로그로뇨 지방 근교에 위치한 마을 아곤시요에 메드라노(Medrano)라는 영주가 살고 있었다. 그의 후계자 아들은 의문의 병에 걸려 한동안 병상에 누워 있었는데, 그동안 수많은 방법을 사용해 봤음에도 도무지 치료될 기미가 보이지 않아 메드라노는 골머리를 썩고 있었다. 이 이야기를 들은 프란치스코는 곧장 아곤시요로 향했다. 그를 본 영주 일가는 간곡히 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이에 그는 아픈 소년의 몸에 손을 가볍게 올려 병의 증세를 가라앉혔다. 가문의 후계자가 기적적으로 치유가 되는 광경을 목격한 메드라노와 그의 가족은 감사의 표시로 로그로뇨 지방 내 에브로강과 가까운 영지를 프란치스코에게 기증했다. 훗날 프란치스코는 그 장소에 스페인 첫 가난한 자매회 수녀원을 설립했다.1212년 늦봄 프란치스코는 예루살렘에 발을 내딛기로 마음을 먹었다. 그는 목적지로 향하는 배에 올라탔으나, 달마티아 지방의 해안을 지날 무렵 예기치 못한 폭풍이 몰아치는 바람에 결국 이탈리아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1213년 5월 8일 그는 아레초 지방을 방문해 여느 때처럼 평신도들 앞에서 설교를 했다. 이때 그 자리에 있었던 카타니 백작 오를란도 디 키우시(Orlando di Chiusi)가 그의 강론에 큰 감동을 받은 나머지 그에게 자신의 영지에 있는 라베르나산을 기증했다.
|
보르고 산 세폴크로 제단화 中 술탄 앞의 성 프란치스코 (San Francesco davanti al Sultano) 사세타 作, 영국 국립미술관 |
3.6. 작은형제회 개편
|
교황 호노리오 3세 앞의 성 프란치스코 (San Francisco ante el Papa Honorio III) 루이스 베루에코 作, LACMA |
그와 동시에 1221년 프란치스코는 오래 전부터 동고동락한 자신의 동료 엘리아 다 코르토나(Elia da Cortona)를 자신의 보조자이자 작은형제회의 행정과 회계를 관할하는 책임자로 지명했다. 그리고 1224년 8월 지난 3년 간의 대대적인 재조직 업무로 인해 심신이 지친 그는 소수의 수도자들을 이끌고 라베르나산으로 거처를 옮겨 조용한 수도 생활을 이어 나갔다.
3.7. 말년과 죽음
성흔을 받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Estigmatización de San Francisco de Asís) 알론소 카노 作, 프라도 미술관 |
1226년 10월 3일 해 질 무렵, 죽음이 어느새 임박했다는 사실을 감지한 프란치스코는 수도자들에게 자신을 눕혀 달라고 부탁했다. 그런 뒤 그는 모두가 지켜보는 가운데 시편 142편[17][18]을 나직이 읊은 후 세상을 떠났다.
4. 사후 공경 및 영향
“하늘이 지상으로 보낸 새로운 인간.” –
보나벤투라
|
“위대하고 존경할 만한 설교자.” –
프랑수아 드 살
|
“백 년마다 한 번 성 프란치스코가 태어난다면 세상의 구원은 보장될 것이다.” –
마하트마 간디
|
“나에게 있어 성 프란치스코는 사람의 본분을 다한 인간의 표본이며, 시련 또한 평화로운 투쟁으로 이겨내 인간으로서 가장 아름답고 숭고한 의무를 실천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
“성 프란치스코는 그리스도를 모심으로써 그분의 정신을 본받았다.” |
“프란치스코는 어떤 의미로는 보편적인 성인이며, 그리스도께서는 그를 통해 자신의 시대뿐만 아니라 우리 시대를 포함한 다른 시대,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와 문명에도 복음을 선포하고자 하셨다.” |
“가난의 사람, 평화의 사람, 피조물을 사랑하고 지키는 사람이다.” |
프란치스코의 시신은 10월 4일 아침 아시시에 소재한 산 조르조 성당에 매장되었으나, 그로부터 약 4년이 지난 1230년 5월 25일 그를 기념하여 설립한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으로 이장되었다. 그의 유해는 아랍인들에게 약탈을 당할 수 있다는 우려로 철저히 비밀리에 안장되었고, 그렇게 묘지의 위치는 1818년 발견될 때까지 588년 동안 밝혀지지 않았다.
프란치스코가 설립한 1회 작은형제회, 2회 성 클라라 수도회, 그리고 3회 회개의 형제자매회는 그의 사후 일련의 개혁을 통해 몇몇 분파로 나뉘어졌으나, 이들이 서로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음으로써 총합 약 65만 명의 사람들이 소속된 프란치스코회라는 거대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현재 가톨릭 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수도회로 자리 잡았으며, 이탈리아를 포함한 전 세계 119개국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 추기경은 2013년 제266대 교황으로 선출되었을 때 가난한 자를 잊지 않는 프란치스코의 정신을 기리고자 자신의 교황명을 그의 이름으로 택했다.
4.1. 그의 이름을 딴 것들
- 교육 시설
- 샌프란시스코 대학교(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세인트 프랜시스 대학교[20]( 미국 인디애나주 포트웨인)
- 세인트 프랜시스 대학교[21]( 미국 일리노이주 졸리엣)
- 세인트 프랜시스 대학교[22](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로레토)
- 세인트 프랜시스 대학교[23]( 홍콩 신계 정관오)
- 세인트 프랜시스 칼리지( 미국 뉴욕주 뉴욕시 브루클린)
- 종교 시설
-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이탈리아 움브리아주 아시시)
- 성 프란치스코 수녀원( 멕시코 멕시코 시티)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가톨릭 성당(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제벨알리)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미국 뉴멕시코주 산타페)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미국 뉴저지주 메터천)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폴란드 마워폴스키에주 크라쿠프)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몰타 발레타)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미국 뉴욕주 뉴욕시 맨해튼)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시리아 알레포)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아루바 오라녀스타트)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영국 런던 노팅 힐)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영국 런던 스트랫포드)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오스트리아 빈)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이탈리아 시칠리아주 팔레르모)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프랑스 파리)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호주 멜버른)
- 기타
5. 대중 매체
- 독일의 음악가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의 오페라 < 빛(Licht)>에 수록된 <토요일(Samstag aus Licht)>의 4장에 등장하는 수도자들이 프란치스코의 시 <미덕의 찬송(Salutatio Virtutum)>을 반복해서 읊는다.
- 일본의 만화 < 소녀는 서가의 바다에서 잠든다>에 등장하는 참새 설교 장면은 프란치스코가 새들에게 설교를 한 일화를 모티브로 한 것이다.
- 일본의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 < 푸른 늑대와 흰 사슴 시리즈>의 캐릭터로 등장한다. 능력치는 정치 57, 전투 43, 지모 84이며, 내정특기로는 건설/외교/등용을 가지고 있다.
- 헝가리의 음악가 프란츠 리스트의 피아노 소품 <2개의 전설(Deux légendes)>의 1번 곡 <새들에게 설교하는 아시시의 프란치스코(St. François d'Assise: La prédication aux oiseaux)>도 역시 프란치스코가 새들에게 설교를 한 일화를 모티브로 한 것이다.
6. 어록
“평화와 선이 있기를.”[24]
“Pax et bonum.” |
“해야 하는 일부터 하라. 그런 다음 할 수 있는 일을 하라. 그러면 어느새 불가능한 일을 하고 있을 것이다.”
|
“이 세상의 모든 어둠도 촛불 하나의 빛만큼은 끌 수가 없다.”
|
“햇빛 한 줄기만으로도 짙은 그림자를 몰아내기에 충분하다.”
|
“자비와 지혜가 머무르는 곳에는 두려움과 무지가 존재할 수 없다.”
|
“우리는 육신에 이끌려 지혜롭고 신중해지면 안 된다. 오히려 단순하고 겸손하며 순수해야 한다.”
|
“입으로 평화를 선포하기 전에 먼저 그대의 마음을 평화로 가득 채우도록 하라.”
|
7. 기타
- 프란치스코의 신장은 152cm에 못 미쳤을 정도로 작았다고 한다.
- 오늘날 그리스도교에서 연말 크리스마스 시기에 행하는 성탄절 구유 예식도 프란치스코가 처음 한 것이다. #
- 프란치스코는 훗날 수많은 예술가들의 영감이 되었는데, 특히 미술계에서는 그의 성흔을 주제로 한 작품이 현재 약 2만 점이 넘는다.
7.1. 동물과의 교감
프란치스코는 생전에 동물을 인간처럼 존중을 받아야 하는 귀중한 생명체로 여겼는데, 이는 동물을 단순히 소유물 혹은 희생 제물, 즉 인간의 하급 존재로만 인식했던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가치관이었다. 그는 동물도 인간과 동일한 하느님의 피조물이기 때문에 인간처럼 아무런 조건 없이 소중히 대우받고, 종교적 진리를 얻을 자격이 있음을 피력했다. 이로 인해 그와 동물들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그가 구비오의 식인 늑대를 달랜 일화와 새들에게 설교한 일화가 유명하다.
|
보르고 산 세폴크로 제단화 中 구비오의 늑대 (Il lupo di Gubbio) 사세타 作, 영국 국립미술관 |
|
성흔을 받는 성 프란치스코 中 성 프란치스코가 새들에게 설교하다 (San Francesco predica agli uccelli) 조토 디 본도네 作,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
7.2. 아시시의 가시 없는 장미
|
아시시의 가시 없는 장미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대성당의 장미 정원 |
실제로 현재까지도 포르치운콜라 경당이 있는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대성당의 마당에는 가시가 없는 장미가 피고 있다. 평범한 장미 씨앗으로 그 마당에 심으면 애초에 가시가 생겨나지 않는 장미가 자라며, 다른 곳에 자란 장미를 해당 장소로 옮겨 심으면 가시가 사라진다고 한다.
8. 관련 문서
[1]
현재
아시시에 소재해 있는 산타 키아라 대성당의 전신.
[2]
성 프란치스코의
오상 축일로
프란치스코회 내에서 기념한다.
[3]
정작 프란치스코는 자신이 수도회의 수장으로서 대우를 받는 것을 바라지 않아 기록상 초대 수장은 그의 뒤를 이은 조반니 파렌티(Giovanni Parenti)다.
[4]
프란치스코의
음역인 방제각(方濟各)을
중국어식으로 발음한 팡지거(Fāngjìgè)의 변형.
[5]
이로 인해 노년층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는 해당 이름들을
세례명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가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시인
정지용이 있다.
[6]
조반니가 요한의
이탈리아어식 명칭이다.
[7]
프란치스코의
이탈리아어식 명칭이다.
[8]
작은 몫이라는 뜻을 지닌
이탈리아어식 명칭.
라틴어 및
영어식 명칭인 ‘포르치운쿨라’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9]
10:1 예수님께서 열두 제자를 가까이 부르시고 그들에게 더러운 영들에 대한 권한을 주시어, 그것들을 쫓아내고 병자와 허약한 이들을 모두 고쳐 주게 하셨다. 10:2 열두 사도의 이름은 이러하다.
베드로라고 하는 시몬을 비롯하여 그의 동생
안드레아,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와 그의 동생
요한, 10:3
필립보와
바르톨로메오,
토마스와 세리
마태오,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타대오, 10:4 열혈당원
시몬, 그리고 예수님을 팔아넘긴
유다 이스카리옷이다. 10:5 예수님께서 이 열두 사람을 보내시며 이렇게 분부하셨다. “다른 민족들에게 가는 길로 가지 말고, 사마리아인들의 고을에도 들어가지 마라. 10:6 이스라엘 집안의 길 잃은 양들에게 가라. 10:7 가서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하고 선포하여라. 10:8 앓는 이들을 고쳐 주고 죽은 이들을 일으켜 주어라. 나병 환자들을 깨끗하게 해 주고 마귀들을 쫓아내어라.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10:9 전대에 금도 은도 구리 돈도 지니지 마라. 10:10 여행 보따리도 여벌 옷도 신발도 지팡이도 지니지 마라. 일꾼이 자기 먹을 것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10]
교황의
성좌가 있어
가톨릭교회에서는 가장 지위가 높은 성당이다.
[11]
고문들이 만류했던 이유는 작은 형제들이 표방하는 청빈한 신앙 생활 방식이 불안전하고 비실용적이어서 이들을 정식
수도회로 승격하면 교회의 명성에 흠이 갈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12]
라틴어로는 Minister generalis.
프란치스코회 계열 수도회의 총책임자를 일컫는 직함이다.
[13]
라틴어식 이름으로 본명은 클라라의
이탈리아어식 명칭인 키아라(Chiara)다.
[14]
본명은 카테리나(Caterina)지만, 언니를 따라
수녀가 된 후 아녜스라는 이름으로 바꾸었다.
[15]
라틴어로는 Tertius ordo. 세속에서 특정 수도회의 정신과 생활 방식을 따르는 평신도들로 구성된 재속 단체를 일컫는다.
[16]
보나벤투라가 집필한 <성 프란치스코 대전기(Legenda maior)>에는 프란치스코가 마주한 세라핌의 모습에 대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얼굴은 온화하게 미소를 짓고 있었고, 두 날개는 머리 위에, 다른 두 날개는 옆으로 펼쳐져 있었으며, 나머지 두 날개는 몸 전체를 가리고 있었다고 한다.
[17]
현대
성경 기준.
라틴어로 번역된
불가타에는 141편에 해당한다.
[18]
142:2 큰 소리로 나
주님께 부르짖네. 큰 소리로 나 주님께 간청하네. 142:3 그분 앞에 내 근심을 쏟아붓고 내 곤경을 그분 앞에 알리네. 142:4 제 얼이 아뜩해질 때 당신께서는 저의 행로를 아십니다. 제가 다니느 길에 저들이 덫을 숨겨 놓았습니다. 142:5 오른쪽을 살피소서. 그리고 보소서. 저를 돌보아 주는 이 아무도 없습니다. 도망갈 곳 더 이상 없는데 제 목숨 걱정해 주는 이 아무도 없습니다. 142:6 주님, 당신께 부르짖으며 말씀드립니다. “주님은 저의 피신처 산 이들의 땅에서 저의 몫이십니다.” 142:7 제 울부짖음을 귀여겨들으소서. 저는 너무나 허약하게 되었습니다. 뒤쫓는 자들에게서 저를 구하소서. 그들이 저보다 드셉니다. 142:8 제가 당신 이름을 찬송하도록 감옥에서 저를 빼내 주소서. 당신께서 제게 선을 베푸실 때 의인들이 저를 둘러싸리이다.
[19]
이로 인해 현재까지도
프란치스코회 계열
수도회에서는 10월 3일에서 4일로 넘어가는 밤에 프란치스코가 그날 지상에서 천국으로 옮겨 갔음을 기념하고 추모하는 전이예식(transitus)을 거행한다.
[20]
University of Saint Francis(USF)
[21]
University of St. Francis(USF)
[22]
Saint Francis University(SFU)
[23]
Saint Francis University(SFU)
[24]
프란치스코가 길에서 만나는 사람들에게 주로 했던 인사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