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릉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선릉(애큐온저축은행)역 | ||||
외선순환 삼 성 ← 1.3 ㎞ |
2호선 (220) |
내선순환 역 삼 1.2 ㎞ → |
|||
선릉역 | |||||
청량리 방면 선정릉 ← 0.7 ㎞ |
수인·분당선 (K215) |
인천 방면 한 티 1.0 ㎞ → |
}}}}}}}}} | ||
역명 표기 | |||||
2호선 |
선릉 (애큐온저축은행) Seolleung (Acuon Savings Bank) 宣陵 / [ruby(宣陵, ruby=ソンルン)] |
||||
분당선 |
선릉 Seolleung 宣陵 / [ruby(宣陵, ruby=ソンルン)] |
||||
수인·분당선 | |||||
주소 |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지하340 ( 삼성동 172-66) | |||||
소속 영업사업소 및 관리역 등급 | |||||
2호선 |
종합운동장영업사업소 선릉역 ( 서울교통공사 영업본부) |
||||
분당선 |
보통역 / 3급 ( 수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
||||
운영 기관 | |||||
2호선 | 서울교통공사 | ||||
분당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2호선 | 1982년 12월 23일 | ||||
분당선 | 2003년 9월 3일 | ||||
분당선 | |||||
수인·분당선 | 2020년 9월 12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 (
2호선) 지하 3층 ( 수인·분당선)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1])(
2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수인·분당선) |
|||||
철도거리표 | |||||
왕십리 방면 선정릉 ← 0.7 ㎞ |
분당선 선 릉 |
수원 방면 한 티 1.0 ㎞ →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2호선 220번,[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K215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지하340 ( 삼성동 172-66) 소재.2. 역 정보
역 안내도 (
크게보기)
|
2호선 대합실 | 수인·분당선 맞이방 |
2.1. 역명
1977년 최초 건설계획 당시 역명은 '도곡동역'이었으나, 인근에 조선 제9대 임금인 성종의 능인 선릉이 있다는 데서 선릉역이라는 이름으로 확정했다. 현재는 선릉역을 경유하는 분당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도곡역이 있다. 성종의 선정릉과 정현왕후의 선릉(성종의 부인이자 중종의 어머니)(동원이강릉)과 정릉(조선 중종의 능)을 통틀어 삼릉이나 선정릉이라고 하는데, 이 안에 삼릉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한편 분당선 쪽에 선정릉역이 개통되었는데, 실제로 선정릉역에서 선정릉에 가려면 선릉역 쪽으로 돌아서 가야 한다. 선릉역에서 출입구를 지나 200m만 가면 선정릉 입구가 나온다. 새 역보다 기존역으로 다니는 게 더 빠른 것이다.선릉역의 소재지는 도곡동과는 거리가 조금 있으며, 삼성동, 역삼동, 대치동 3개 동의 경계에 있다.
역명은 표준 발음법에 따라 선능이 아니라 설릉으로 발음하는 것이 맞다. 그에 따라 로마자도 Seolleung, 가타카나도 ソンルン으로 되어 있다. 초기에 ソンヌン으로 잘못 표기되었다가 ソンルン으로 교체되었다. 국어 문법 로마자 표기법에서 예시로 많이 나온다. 그러나 '선능'이라고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비슷한 예시로 병점역과 학여울역이 있으며 이 노선들도 각각 [병점녁], [항녀울녁]이라고 발음해야 맞으나 [병쩜녁], [하겨울녁]이라고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 안내방송의 성우조차도 '선능'이라고 했었다. 강희선으로 교체된 후에는 '설릉'으로 발음한다. 2017년 9월 기준으로 한국어와 영어 안내방송은 '선능'과 '설릉'이 혼용된다. 이 외에 다른 왕릉 중 'ㄴ' 받침이 들어간 능도 동일하다.
음운론적으로 [설릉]과 [선능] 선택의 문제는 우선 언덕 능(陵)의 음가를 '능'과 '릉' 중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이는 한글표기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엄밀히 말해 한글표기와 화자가 심리적으로 인식하는 실제음가는 별개의 문제이다.
'릉'으로 볼경우 전형적인 /nl/ 연쇄에서 순행적 비음화와 역행적 유음화 중에 선택하는 문제가 된다. 한국어에서 해당 음운작용은 변이를 겪고 있다. '온라인', ' 원룸' 등의 사례를 보았을 때 고연령층에서 [ㄴㄴ]이 자주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3]
'능'으로 볼 경우, 해당 역의 발음은 결코 [설릉]으로 나올 수 없고 단지 [선능]만 가능하다. 1980년대 당시 처음 2호선이 개통되었을 때, 언덕 능(陵) 자의 음가로 '능'을 취해 [선능]으로 발음하고 로마자 표기 'Seonneung'도 이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1982년 개통 당시에는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역명의 로마자 표기가 철저하게 형태주의를 표방했다.[4] 따라서 기저음과 무관하게 표면음(surface representation)에서 어찌 발음되는지는 로마자 표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당시 陵의 기저음을 '능'으로 보았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한편, 형태주의적 표기방침에 따라 교대역, 역삼역 등 다른 역명도 각각 'Gyodae', 'Yeogsam' 등으로 표기되었다.
Sŏnnŭng |
Sŏllŭng |
Seonneung |
2022년 8월부터 2호선 선릉역에 애큐온저축은행이 병기역명으로 추가되었다.
2.2. 역무 시설
2호선과 분당선( 수인·분당선)의 환승역이다. 분당선 역의 경우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지사 선릉그룹역인 그룹대표역이었으나, 보통역으로 격하되었다. 역 등급은 3급이다.분당선 왕십리역 연장 개통 전까지는 9년간 분당선의 시종착역 역할을 해왔다. 선릉로와 분당선 공사는 상호 교착 관계였으나, 첫 삽을 뜬 1990년대 초반부터 2012년까지 근 20년이 지나고 나서 완공되면서 선릉로가 지하철 공사로부터 해방되었다. 그 전까지의 선릉역 사거리는 좁은 도로에 철판만 깔려 밤에는 임시 차선이 잘 보이지도 않고 교통은 미어터졌다. 특히 선릉역이 시종착역이었던 기간 중 마지막 근 3년은 이미 왕십리역까지 선로가 완공되었음에도 순수히 역만을 개통하는 공사에 들어간 시간으로, 티스푼 공사로 진행되었다.
선릉역은 대표적인 개념환승역으로 꼽히는데, 환승 시 에스컬레이터 하나로 타고 올라가는 간단한 환승구조를 가지고 있고, 엘리베이터도 수인·분당선은 한국철도공사 관할이기에 닫힘 버튼이 작동한다. 이 엘리베이터는 대합실-2호선 승강장-분당선 승강장을 잇는다. 분당선은 2호선의 아래층에 있으며 약간 깊은 곳에 있다. 이 역은 분당선에서 2호선으로 갈아탈 때 가장 빠른 곳이다.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가려면 환승통로를 이용해야 하며, 직접 횡단은 불가능하다.
수원/왕십리 방향 양쪽 승강장에 빵집이 들어서면서 한동안 빵 냄새가 진동했었다. 2021년 말 양방향 모두 폐업하였다. 이 빵 냄새 문제로 이용객들이 가끔 2호선 선릉역으로 민원을 넣는 일이 있었는데 분당선 승강장은 한국철도공사 소속이라 서울교통공사 소속인 2호선 역무실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분당선 역무실에 민원을 전달하는 정도밖에 없다.
공식적인 출구는 10개이다. 6, 7, 8, 9번 출구는 분당선에서 가깝고 나머지는 2호선에서 가깝다. 그 외에도 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인근 상업건물 지하와 연결된 출구들이 다수 존재한다. 특히 이 중에서 분당선 전용 개찰구 앞에 8번 출구보다 북쪽에 위치한 성원타워 출구가 있는데, 현재는 출입구가 선릉역에서 꽤 멀어져 10번 출구로 나와 400미터 가까이 걷다 보면 두 번째 나오는 큰 길인 테헤란로69길로 들어가 직진하면 나온다. 이 출구는 과거 8번 출구 쪽에 선릉 출입구가 있었을 때 가장 가까웠던 출구이며 강남구청, 한티역( 서울 버스 472, 서울 버스 4312, 서울 버스 3414 등), 혹은 3번 출구의 개나리아파트 사거리 방면의 버스( 서울 버스 강남07)로 환승 시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언덕을 꽤 올라가야 하고, 7번 출구가 정류장과 훨씬 더 가깝다. 단, 7번 출구는 에스칼레이터가 전혀 없고, 한티역과 개나리아파트 사거리 방면은 출구에서 매우 가깝더라도 신호등을 한 번 건너가야 한다. 1번 출구와 10번 출구는 테헤란로를 다니는 서울 버스나 구리, 하남, 남양주 방면 버스를 타기에 유용하다.
세계 최초의 가상 슈퍼마켓이 여기 있었는데, 스크린도어 광고에 그려진 상품을 홈플러스 앱을 통해 주문하는 방식으로 운영했었다.
3. 역 주변 정보
선릉역 남서쪽 지역으로는 과거에 지어진 아파트들을 재건축한 아파트가 많다. 그리고 선릉역 주변에는 강남역- 역삼역-선릉역으로 이어지는 테헤란로에 테헤란 밸리가 조성되어 있다.또한 선릉역 일대는 미대, 특례 입시와 관련된 화방, 학원들이 밀집해 있는 곳이다. 방배역 일대와 함께 강남 미대 입시의 2대 메카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근처 중고등학교로는 진선여자중학교와 진선여자고등학교가 있다.
게임회사가 많이 몰려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테헤란로가 각종 회사나 금융기업들이 몰려 있는 곳 중 하나이다. 또 게임 회사들이 운집해 있는데, 이 때문에 서울에 있는 게임회사로 입사하려는 이용객들이 많이 찾게 되는 역이다. 한때 엔씨소프트의 본사도 인근에 있다가 판교테크노밸리로 이전했다.
선릉역은 인근에 초, 중, 고, 그것도 여학교(진선여자중고교)가 위치함에도 강남을 넘어 전국구 단위로 퇴폐 유흥업소의 성지이다. 같은 재단 산하의 심인중고교 역시 그런 경험이 있었다. 2020년 기준으로 선릉역 지상 주변에 란제리룸 찌라시가 매우 많다. 2010년대 극초반만 해도 주변 길거리 곳곳에 가로수 낙엽보다 유흥업소 명함이 더 많았었으나, 강남구에서 실시하는 ' 강남스타일 시민 운동'의 일환으로 지금은 훨씬 덜한 편이다. 하지만 역삼역부터 강남역으로 이어지는 테헤란로 쪽은 아직 많다.
이란의 은행인 멜라트 은행 서울지점이 이 역 1번 출구 인근에 있다.
2015년 8월 초에는 선릉역 인근의 한 퓨전 레스토랑에서 선릉역 짬뽕 사건이 일어났다. 표제어와는 달리, 선릉역 자체와는 물리적 근접성 외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3.1. 출구 정보
선릉역 출구 정보 | |
1 |
삼성역 방면 포스코센터 근로복지공단 강남지사 |
2 |
대치4동 한티역 방면 |
3 |
역삼2동 서울도성초등학교 역삼동부센트레빌아파트 개나리SK VIEW 개나리푸르지오아파트 역삼이편한세상아파트 |
4 |
진선여자중·
고등학교 국민건강보험공단 강남동부지사 국민연금공단 강남역삼지사 재)서울의과학연구소 하나로리더스의원 인터케어 건강검진센터 |
5 |
공무원연금공단 서울지역본부 한국기술센터·서울상록회관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HUG주택도시보증공사 서울동부지사 |
6 | 역삼1동 |
7 |
서울시니어플라자 역삼지구대 라움아트센터 청음회관 강남복지재단 |
8 |
선정릉 삼성동우체국 한국무형문화재전수회관 한국문화재재단 강남구치매안심센터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남부권주거복지지사 |
9 | 삼성2동 |
10 |
삼성역 방면 KMI한국의학연구소 L7 강남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84d><bgcolor=#00a84d> 연도 ||
||
||<bgcolor=#00a84d> 총합 ||<bgcolor=#00a84d>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94,330명 | |||||||
1995년 | 101,419명 | ||||||||
1996년 | 106,721명 | ||||||||
1997년 | 107,702명 | ||||||||
1998년 | 95,589명 | ||||||||
1999년 | 자료없음 | ||||||||
2000년 | 103,938명 | 비고 | |||||||
2001년 | 98,433명 | ||||||||
2002년 | 100,093명 | ||||||||
2003년 | 100,472명 | 17,367명 | 117,839명 | [5] | |||||
2004년 | 104,415명 | 10,826명 | 115,241명 | [6] | |||||
2005년 | 110,125명 | 16,351명 | 126,476명 | ||||||
2006년 | 114,583명 | 16,891명 | 131,474명 | ||||||
2007년 | 117,878명 | 17,767명 | 135,645명 | ||||||
2008년 | 123,620명 | 19,412명 | 143,032명 | ||||||
2009년 | 121,542명 | 19,330명 | 140,872명 | }}}}}}}}} | |||||
2010년 | 121,326명 | 20,551명 | 141,877명 | ||||||
2011년 | 121,790명 | 19,914명 | 141,704명 | ||||||
2012년 | 117,904명 | 22,576명 | 140,480명 | ||||||
2013년 | 107,826명 | 41,508명 | 149,334명 | ||||||
2014년 | 106,978명 | 42,854명 | 149,832명 | ||||||
2015년 | 103,360명 | 43,794명 | 147,154명 | ||||||
2016년 | 100,950명 | 43,593명 | 144,543명 | ||||||
2017년 | 98,916명 | 43,057명 | 141,973명 | ||||||
2018년 | 101,223명 | 44,095명 | 145,318명 | ||||||
2019년 | 102,302명 | 46,456명 | 148,758명 | ||||||
2020년 | 81,650명 | 38,227명 | 119,877명 | ||||||
2021년 | 80,005명 | 37,668명 | 117,673명 | ||||||
2022년 | 87,551명 | 39,665명 | 127,216명 | ||||||
2023년 | 94,347명 | 41,790명 | 136,137명 | ||||||
출처
|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7]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테헤란로에 있는 역으로 두 노선을 합하여 하루 평균 148,758명이 이 역에서 타고 내린다. 수많은 기업체가 본사를 두고 있어 출퇴근 수요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근처의 유흥가에 종사하는 이용객들 역시 밤 시간대에 주로 이용한다.
- 2010년대의 2호선 이용객 감소가 두드러진다. 2호선의 경우 2008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2000년 103,938명에서 2008년에 123,620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하루 평균 12만 명을 유지하였다가, 분당선의 왕십리 연장 개통 직후 1만 명이 빠진 것을 시작으로 승객이 빠르게 감소하여 2017년에는 단독 승하차 10만 명이 무너졌다가 2018년에 다시 10만 명대에 진입했다. 2호선에서 이용객 수가 열 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역이다.
- 분당선은 반대로 2012년 연장 개통 이후에 급격한 상승세를 탔다. 이곳이 종착역이었던 2011년 승하차 승객 수가 19,914명이었는데, 왕십리역으로 연장된 직후인 2013년에는 41,508명을 기록해 불과 2년 만에 두 배 이상의 상승세를 보였다.
- 분당선 연장 이후에도 총 승객의 합은 비슷하다. 141,877명(2010년) → 140,480명(2012년) → 149,832명(2014년) → 141,973명(2017년)이다. 분당선 왕십리 연장 이후 만 명 가까이 승하차객이 늘었다가, 2015년 9호선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선정릉역에 수요가 조금 분산된 것으로 보인다.
- 코로나로 2020년에 이용객이 감소했지만, 이용객 수는 14만 명에서 11만 명으로 크게 변하지 않았다. 반면 강남역은 20만 명에서 14만 명으로 6만 명이 감소했다.
- 2024년 GTX-A 수서역 개통으로 2028년 삼성역 개통 전까지는 1회 환승만으로 강남 업무지구 중심과 가장 가까이 접근할 수 있어서 일시적으로 승하차량이 치솟을 것으로 보인다.
5. 승강장
양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5.1. 서울 지하철 2호선
2호선 승강장 |
2호선 역명판 |
삼성 ↑ | |||
내 | ㅣ | ㅣ | 외 |
↓ 역삼 |
외 | 2호선 | 잠실· 건대입구· 성수· 왕십리 방면 |
내 | 교대· 사당· 신도림· 홍대입구 방면 |
이 역부터 낙성대역까지 모든 역이 오른쪽 문만 열린다.
5.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승강장 |
↑ 선정릉 | |||
2 | ㅣ | ㅣ | 1 |
한티 ↓ |
1 | 수인·분당선 | 구룡· 모란· 수원· 인천 방면 |
2 | 선정릉· 압구정로데오· 왕십리 방면 |
6. 사건 사고
- 선릉역 짬뽕 사건: 선릉역에서 일어난 것은 아니고 선릉역 근처 가게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 선릉역 칼부림 사건
- 선릉역 오토바이 사망사고: 선릉역 인근 교차로 위에서 일어난 사고이다.
6.1. 기타 사고
7. 연계 교통
7.1. 1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91919><color=#373a3c,#c3c6c8> 선릉역(23259)
삼성역 방면 ||
삼성역 방면 ||
간선 | |
심야 | |
직행좌석 | |
광역급행 | |
경기프리미엄 |
7.2. 7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91919><color=#373a3c,#c3c6c8> 선릉역(23276)
한티역 방면 ||
한티역 방면 ||
간선 | |
지선 | |
마을 |
7.3. 8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91919><color=#373a3c,#c3c6c8> 선릉역(23214)
선정릉역 방면 ||
선정릉역 방면 ||
간선 | |
지선 | |
마을 |
7.4. 10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91919><color=#373a3c,#c3c6c8> 선릉역(23218)
역삼역 방면 ||
역삼역 방면 ||
간선 | |
심야 | |
직행좌석 | |
광역급행 | |
경기프리미엄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91919><color=#373a3c,#c3c6c8> 선릉역(23241)
한티역 방면 ||
한티역 방면 ||
간선 | |
직행좌석 | |
공항리무진 |
8. 여담
- 두산 베어스의 용병 투수였던 맷 랜들은 이곳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면서 전치 6주의 부상을 당했고 팀에서 방출당한 뒤 은퇴했다.
-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당시 특별검사팀이 이 역 1번 출구 바로 앞에 있는 대치빌딩의 3개 층을 임차해 사용하였다. 때문에 특검이 수사 활동을 했던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이 일대에 상당수의 언론사 취재진들이 상주하고 있었다.
- 수인·분당선 선릉역은 스크린도어 광고가 많은데, 다른 한국철도공사 소속 역이나 2호선 선릉역에 비해서도 많다.
- 현재는 서비스가 종료된 레이시티를 시작할 때 첫 번째로 만나는 NPC인 "위기의 써니"가 선릉역 6번 출구와 7번 출구 사에 위치해 있었다.
- 리디에서는 오전 11시 ~ 오후 5시 사이에 선릉역에 비가 오면 선착순으로 포인트를 주는 이벤트를 하고 있다. 리디 본사가 선릉역 인근에 위치해 있다.
- 이 역에서 왕십리역까지 2호선은 24분, 수인·분당선은 11분이 걸리므로 수인·분당선이 더 빠르다.
9. 둘러보기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84d> |
시청 -
을지로입구 -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신당 -
상왕십리 -
한양대 -
뚝섬 -
성수 -
건대입구 -
구의 -
강변 -
잠실나루 -
잠실 -
잠실새내 -
종합운동장 -
삼성 -
선릉 -
역삼 -
강남 -
교대 -
서초 -
방배 -
사당 -
낙성대 -
서울대입구 -
봉천 -
신림 -
신대방 -
구로디지털단지 -
대림 -
신도림 -
문래 -
영등포구청 -
당산 -
합정 -
신촌(지하) -
이대 -
아현 -
충정로 -
|
성수 -
용답 -
신답 -
용두 -
|
||
신도림 -
도림천 -
양천구청 -
신정네거리 -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abe00> | |
서울숲 -
압구정로데오 -
강남구청 -
선정릉 -
선릉 -
한티 -
도곡 -
구룡 -
개포동 -
대모산입구 -
복정 -
가천대 -
태평 -
모란 -
야탑 -
이매 -
서현 -
수내 -
정자 -
미금 -
오리 -
죽전 -
보정 -
구성 - ##
구성 -
신갈 -
기흥 -
상갈 -
청명 -
영통 -
망포 -
매탄권선 -
수원시청 -
매교 -
|
||
수원 -
고색 -
오목천 -
어천 -
야목 -
사리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
달월 -
월곶 -
소래포구 -
인천논현 -
호구포 -
남동인더스파크 -
원인재 -
연수 -
송도 -
인하대 -
숭의 -
신포 -
|
}}} ※ 볼드는 급행열차 정차역 (고색 ~ 죽전 구간) ※ 기울임체는 급행열차 정차역 (인천 ~ 오이도 구간)}}}}}}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분당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수인분당선 승강장을 거쳐야 횡단 가능하다.
[2]
개정 전 20번.
[3]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 자료 > 연구·조사 자료 > 연구 보고서
[4]
1982년 개통 당시 관련 영상(8분 25초부터), 출처: 유튜브
[5]
수인·분당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9월 3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0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6]
수인·분당선의 자료는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인용하였다.
[7]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
[8]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9]
「[단독] 퇴근하고 잠복한 경찰이 불법촬영범 잡았다」, SBS, 2021-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