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선에 있는 동명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봉천역(전라선) 문서
, 북한 만포선에 있는 동명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봉천역(만포선)
문서
참고하십시오.봉천역 | ||
외선순환
서울대입구← 1.0 ㎞ |
2호선
(229) |
내선순환
신 림1.1 ㎞ → |
역명 표기 | ||
2호선 |
봉천 Bongcheon 奉天 / [ruby(奉天, ruby=ポンチョン)] |
|
주소 |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지하1721 ( 봉천동 979-7) | ||
소속 영업사업소 | ||
2호선 | 신대방영업사업소 봉천역 | |
운영 기관 | ||
2호선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2호선 | 1984년 5월 22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섬식 승강장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2호선 229번.[1]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지하1721 ( 봉천동 979-7) 소재.2. 역 정보
역 안내도 |
서울대입구역부터 이 역을 지나 신림역까지 섬식 승강장이다.
역명 유래는 이 역이 소재한 법정동의 이름인 봉천동이다. 건설 계획 당시 역명은 봉천1동역이었다. 2008년 9월에 관악구에서 행정동을 통·폐합하면서 이름을 모두 변경했지만 법정동은 여전히 봉천동이다.
2020년 9월 11일부터 1년 8개월 동안 이 역 4번 출구를 폐쇄하고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는 공사를 진행하였다. 당초 완공은 2021년 12월이었으나 통신 케이블이 발견되면서 완공일자가 연기되어 2022년 5월 27일 14시에 개통되었다.
이 역 4번 출구 하행 에스컬레이터는 상행과 달리 에스컬레이터에서 내린 후 6개의 계단을 추가로 내려와야 한다. 통신 케이블로 인한 것이라고 안내문을 부착해 뒀다. 상행 에스컬레이터는 하행 에스컬레이터 종료 지점에서 시작된다. 하행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불만이 많은 편이다. 4번 출구 공사 기간 동안 바로 뒤 엘리베이터가 매우 혼잡하였다. 왜냐하면 해당 출구를 이용하던 이용객들이 한번에 몰렸기 때문이다.
2호선 역들 중 스크린도어 너머의 역명판이 지하철체 그대로인 몇 안 되는 역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은 평범한 상가들과 주택가로 밀집돼 있다. 2022년 4월 말에 이 역 2번 출구 바로 앞에 스타벅스[2]가 오픈했다. 서울대입구역 방면으로 조금만 더 가면 양녕대군의 묘가 있는 국사봉으로 가는 길이 나온다. 국사봉은 바로 위 동작구의 최고봉이며 이 산으로 가는 길의 이름도 ' 양녕로'이다.주변에 주상복합타운이 여러 곳 들어설 예정이었으나 현행 서울시정 도시계획위에 의해 연기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12-2 구역과 14 구역의 재건축이 보류 처리된 적이 있으며 서울 경전철 신림선도 보류 처리된 바 있다.
서울대입구역 방향 버스로 갈아타려면 1번 출구, 서울 버스 관악01, 서울 버스 관악11로 갈아타려면 4번 출구, 봉천로를 지나가는 버스로 갈아타려면 5번 출구, 신림역 방향 버스로 갈아타려면 6번 출구로 나온다. 4번 출구, 5번 출구는 봉천로로 올라가야 한다.
주변에는 장군봉근린공원, 신관중학교, 봉림중학교, 서울관악유치원, 관악초등학교가 있다.
3.1. 출구 정보
봉천역 출구 정보 | |
1 | 관악초등학교 |
2 | 청룡동 |
3 |
봉림중학교 장군봉근린공원 |
4 |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서울관광고등학교 |
5 | 은천동 |
6 | 중앙동주민센터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84d><bgcolor=#00a84d> 연도 ||
||<bgcolor=#00a84d>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43,977명 | |||
1995년 | 49,349명 | ||||
1996년 | 40,960명 | ||||
1997년 | 36,229명 | ||||
1998년 | 35,000명 | ||||
1999년 | 자료없음 | ||||
2000년 | 37,007명 | 비고 | |||
2001년 | 42,584명 | ||||
2002년 | 44,773명 | ||||
2003년 | 44,982명 | ||||
2004년 | 45,658명 | ||||
2005년 | 45,167명 | ||||
2006년 | 45,649명 | ||||
2007년 | 46,244명 | ||||
2008년 | 46,961명 | ||||
2009년 | 46,457명 | }}}}}}}}} | |||
2010년 | 46,173명 | ||||
2011년 | 46,802명 | ||||
2012년 | 46,826명 | ||||
2013년 | 47,629명 | ||||
2014년 | 48,373명 | ||||
2015년 | 46,910명 | ||||
2016년 | 45,637명 | ||||
2017년 | 44,834명 | ||||
2018년 | 46,202명 | ||||
2019년 | 48,608명 | ||||
2020년 | 38,797명 | ||||
2021년 | 38,500명 | ||||
2022년 | 41,245명 | ||||
2023년 | 43,934명 | ||||
2024년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3] |
유동인구가 많은 신림역, 서울대입구역 사이에 끼어있어 상대적으로 이용객이 적지만, 그래도 하루 평균 4만 8천여 명이 이용하는 역이다. 2호선에서는 전체 25위로 중하위권이다. 주된 이용객은 청룡동 및 은천동 주민으로 외지인의 유입이 거의 없는 곳임에도 2호선이 이 일대의 유일한 간선 교통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주민들이 2호선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온통 산비탈을 깎아 만든 관악구의 지리적 특성상 2호선에 대한 쏠림 현상은 특히나 강하다.
이곳은 신림역이나 서울대입구역과는 달리 남북을 잇는 도로가 없어 역세권이 매우 좁고 상권의 영향력도 약하다. 유명 브랜드나 점포들 중 신림역·서울대입구역 중 한쪽에 있거나 양쪽에 다 있는데 봉천역에만 없는 경우가 많다. 남부순환로를 지나는 버스는 신림역과 서울대입구역을 같이 지나가고, 서울대입구역은 관악로와, 신림역은 신림로와 연결되어 버스 환승으로 관악구 곳곳의 수요를 흡수할 수 있다. 봉천역 주변 아파트 단지들도 버스로는 신림이나 서울대입구역으로 가기 더 편한 경우가 많아서 상대적으로 이용객이 도보역세권으로 제한되는 경향이 크다.
5. 승강장
2호선 승강장 |
서울대입구 ↑ | |||
ㅣ | 내 | 외 | ㅣ |
↓ 신림 |
외 | 서울 지하철 2호선 | 사당· 교대· 잠실· 성수 방면 |
내 | 신림· 신도림· 영등포구청· 홍대입구 방면 |
6. 사건 사고
- 2023년 1월 26일 에스컬레이터에서 걸어 내려오던 승객이 손잡이를 잡지 않고 걸어 내려오다 미끄러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4]
7. 둘러보기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84d> |
시청 -
을지로입구 -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신당 -
상왕십리 -
한양대 -
뚝섬 -
성수 -
건대입구 -
구의 -
강변 -
잠실나루 -
잠실 -
잠실새내 -
종합운동장 -
삼성 -
선릉 -
역삼 -
강남 -
교대 -
서초 -
방배 -
사당 -
낙성대 -
서울대입구 -
봉천 -
신림 -
신대방 -
구로디지털단지 -
대림 -
신도림 -
문래 -
영등포구청 -
당산 -
합정 -
신촌(지하) -
이대 -
아현 -
충정로 -
|
성수 -
용답 -
신답 -
용두 -
|
||
신도림 -
도림천 -
양천구청 -
신정네거리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