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16:42:37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 2호선 VVVF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4호선/수인·분당선에서 운행하던 구 2000호대 전동차에 대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 전동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서울 지하철 전동차 /현황 보기
(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열차번호 · 기타 서울 지하철 열차번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이적 전 차량번호)
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 CI.svg
파일: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_logo.png 파일:남서울경전철 로고.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1000호대
VVVF
저항
-
2000호대
VVVF
저항
초퍼( 상세)
3000호대
VVVF
-
초퍼
4000호대
VVVF( 상세)
-
초퍼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Seoulmetro8_icon.svg
5000호대 6000호대 7000호대
( 상세)
8000호대
파일:Seoulmetro9_icon.svg 파일:UiLine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9000호대 UL000호대 SL000호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저항 · 초퍼 전동차 상세설명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초저항 직각형
저항 · 초퍼
광폭형
GEC 초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WR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차번 미정 DL000호대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 현황)
저항 ( 직각형 ·  현황)
초퍼 ( 직각형 ·  광폭형 ·  상세 ·  현황)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Seoul Metro 2000 Series VVVF EMU
}}}
파일:IMG_2426.jpg
205편성 (1차분)
파일:2호선 2차분 보정.jpg
266편성 (2차분)
파일:2호선 3차분 보정.jpg
208편성 (3차분)
파일:S2038.jpg
238편성 (4차분)
차량 정보
<colcolor=#00a84d>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10량 1편성 / 6량 1편성 / 4량 1편성
(본선 75편성 / 신정 4편성 / 성수 5편성)
생산량 794량
(750량 + 24량 + 20량)
운행 노선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2005~)
도입시기 2005년 (1차분)
2007 ~ 2008년 (2차분)
2017 ~ 2018년 (3차분)
2019 ~ 2020년 (4차분)
2020 ~ 2022년 (5차분)
제작사 현대로템 (1~2, 4차분)
다원시스 (3, 5차분)
소유기관 서울교통공사
운영기관
차량기지 신정차량사업소[1]
군자차량사업소[2]
편성번호 201 ~ 242 , 261 ~ 293 (본선)
245 ~ 248 (신정지선)
256 ~ 260 (성수지선)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a84d> 전장 19,500㎜
전폭 3,120㎜
전고 3,750㎜
궤간 1,435㎜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1~2, 4차분)
알루미늄(3, 5차분)
급전방식 직류 1,500V
신호장비 Siemens LZB700M ATP/ ATO[3][4]
제어방식 현대로템 VVVF- IGBT(IPM)[M]
다원시스 VVVF- IGBT[K]
동력장치 3상 교류 농형 유도전동기
기어비 14:99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4차분 한정 영속도 회생제동 포함)
최고속도 영업 LZB/ ATP/ ATO 구간 80㎞/h
설계 100㎞/h
가속도 3.0㎞/h/s
감속도 상용 3.5㎞/h/s
비상 4.5㎞/h/s
MT 비 5M 5T(본선용 차량)
(Tc-M-M'-T-M'-T1-T-M-M'-Tc)
3M 3T(신정지선용 차량)
(Tc-M-M'-T-M'-Tc)
2M 2T(성수지선용 차량)
(Tc-M'-M'-Tc)
}}}}}}}}}
1. 개요2. 편성3. 분류
3.1. 1차분 (2005)3.2. 2차분 (2007~2008)3.3. 3차분 (2017~2018)3.4. 4차분 (2019~2020)3.5. 5차분 (2020~2022)
4. 개조 이력5. 기타

[clearfix]

1. 개요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 운행하는 VVVF 제어 전동차로, 1980년부터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IPM이 적용된 2레벨 인버터( 미쓰비시 소자(1~2, 4차분))와 유선형 차체를 적용했으며 통유리 적용과 차내 방음, 실내 공기 정화기술이 강화되었다.

1~2, 4차분의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 인버터, 보조전원장치, 열차운전제어장치 등 주요 장치들은 현대로템에서 자체 개발한 한국산 제품이 장착됐다. 1~2차분의 경우, 전력용 반도체 소자는 미쓰비시제가 장착됐다. 4차분도 같은 미쓰비시제 소자를 장착됐지만 구동음이 약간 다르다. 또한 2차분부터는 경적음이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와 동일하게 자전거 선율이다. 그리고 지금은 폐차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TC개조 초퍼차량(232~239, 273~277편성)에도 자전거 선율 경적음이 있었다. 반면 VVVF 1차분은 적용되지 않았다.

3, 5차분의 경우 다원시스에서 자체개발한 전장품들을 적용했으며, 견인전동기는 한성중공업이라는 중소업체에서 자체개발한 전동기가 적용됐다.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와 디자인과 신호장치를 제외하면 기본적인 사양이 동일하다.

1차분은 기존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시절, 2차분은 신규 서울메트로 시절에 도입되었다. 3차분은 206편성만 신규 서울메트로 시절에 도입되었고, 서울교통공사 출범 이후 도입된 207편성부터는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적용되어 도입되고 있다. 207편성은 제작 당시에 메트로 로고를 부착했으나, 반입 전에 변경되었다. 현재 객실 행선안내기 일부 PC를 Windows 7으로 업그레이드했으며(신정+군자 합쳐서 10편성), 신정차량사업소 소속 차량들은 주간제어기 회로 개선공사를 완료했다. 또한 일부 차량을 시작으로 기존에는 광고로 도배되고 한줄짜리 자막 안내가 나왔던 LCD가 다원시스 차량이나 5678호선 차량과 비슷한 방식의 LCD로 개정될 예정이었다.[7] 추후 1~2차분의 행선안내기도 3~4차분처럼 순환 표기로 변경될 예정이지만, 행선표시기 관리 업체와 소송을 진행 중이라 당분간은 교체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ATO 기반의 1인 승무가 가능한 사양이지만 노조의 2인 승무 유지 요구 및 구형 차량과의 호환 문제로 본선용 10량 편성은 기관실의 1인 승무 관련 조작 기능을 모두 막아놓고 2인 승무로 운행하고 있다. 지선용 4량, 6량 편성은 1인 승무로 운행한다. 원래는 신정지선과 성수지선 역시 2인 승무제를 시행했으나 2010년 전후로 차장은 승차하지 않는다.

객차 1량당 정원은 160명이나 구동력 제원 상으로는 450명까지 수용 가능하다고 하며, 실측된 공식 기록 상으로는 580명까지 탑승한 사례가 있다. (혼잡도는 무려 362.5%이다.)

201 ~ 242, 245 ~ 248, 256 ~ 293편성이 도입되어 운행 중이며, 초퍼제어 전동차에서는 재적되었던 243~244, 294~295편성은 결번이다. 서울교통공사의 답변에 따르면 4개 편성(243~244, 294~295편성) 감축은 ATO 신호 방식 도입으로 인해 전동차 시격 조정 능력이 향상되었고 이로 인한 효율적인 시격 조정을 위해서라고 한다.[8] 또한 249~255편성도 결번인데, 이는 신정지선 차량과 성수지선 차량을 구분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2. 편성

2.1. 본선 (10량)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조성(10량)
<colcolor=#00a84d> ↑ 내선순환
2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1## (2) M(추진제어장치, IM)
22## (3)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IM)
23## (4) T(무동력객차)
24## (5)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IM)
25## (6)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6## (7) T(무동력객차)
27## (8) M(추진제어장치, IM)
28## (9)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IM)
29## (10)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외선순환

2.2. 신정지선 (6량)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조성(6량)
<colcolor=#00a84d> ↑ 까치산 방면
204#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14# (2) M(추진제어장치(VVVF, IM)
224# (3)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34# (4) T(무동력객차)
244# (5)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54# (6)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신도림 방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신정지선 임시운행 (6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00a84d> ↑ 까치산 방면
20## (1) <colcolor=#373a3c,#ddd>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1## (2) M(추진제어장치(VVVF, IM)
22## (3)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3## (4) T(무동력객차)
28## (9)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9## (10)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신도림 방면
  • 2006년도에 204편성은 운행 당시 정방향이었기 때문에 그대로 까치산 방면 앞칸이 2004호였다.
  • 2021~2022년도에 221편성은 운행 당시 정방향이었기 때문에 그대로 까치산 방면 앞칸이 2021호였으나, 220편성은 운행 당시 역방향이었기 때문에 신도림 방면 앞칸이 2020호였다.
  • 이후 221편성이 2023년 10~12월에 한 번더 신정지선에서 운행했지만 이 당시는 역방향이었기 때문에 신도림 방면 앞칸이 2021호였다. 하지만 현재는 10량으로 환원된 상태이며 이후 방향도 정방향으로 이미 돌린 상태이며, 2024년 11월에 역방향으로 다시 한번 더 신정지선에서 임시로 운행중이다.
}}}}}}}}} ||

2.3. 성수지선 (4량)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조성(4량)
<colcolor=#00a84d> ↑ 성수 방면
2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1## (2)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2## (3)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3## (4)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신설동 방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성수지선 임시운행 (4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00a84d> ↑ 성수 방면
20## (1) <colcolor=#373a3c,#ddd>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2## (3)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8## (9)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9## (10)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신설동 방면
  • 과거 220편성은 운행 당시 역방향이었기 때문에 신설동 방면 앞칸이 2020호였다.
}}}}}}}}} ||

3. 분류

도입 연식에 따라 5차로 분류된다.
<rowcolor=#ffffff> 분류 제어방식 도입
<colbgcolor=#00A84D><colcolor=white> 본선 (10량)
1차분 VVVF
IGBT
현대로템
2005년 (10량 5편성)
2차분 2007~2008년 (10량 18편성 + 8량 11편성)
3차분 VVVF
IGBT
다원시스
2017~2018년 (10량 20편성)
4차분 VVVF
IGBT
현대로템
2019~2020년 (10량 21편성)
5차분 X[9] 2021~2022년 (2량 11편성)
신정지선 (6량)
5차분 VVVF
IGBT
다원시스
2020, 2022년 (6량 4편성)
성수지선 (4량)
1차분 VVVF
IGBT
현대로템
2005년 (4량 1편성)
2차분 2007년 (4량 3편성)
4차분 2020년 (4량 1편성)

3.1. 1차분 (2005)

파일:IMG_2426.jpg 파일:Seoul Subway Line 2 Train_1st_interior.jpg
205편성 내부 모습

2005년 6월부터 10월까지 도입된 전동차로 본선 201~205편성과 성수지선 257편성이 도입되었다. 도입 목적은 1980년 도입된 저항제어 전동차 201~211편성을 대체하기 위해서다.

도입 당시에는 VVVF 1차분을 240~244, 257편성으로 도입할 계획이었다. 저항제어 2차분 212~214편성을 258~260편성으로, MELCO 초퍼 전동차 중 240~253편성을 201~214편성으로 개번하고 VVVF 1차분을 240~244, 257편성으로 배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편성번호 개번 계획이 변경되어 240~253편성 중 240~244편성은 그대로 편성번호가 유지되며 245~253편성만 206~214편성으로 개번되고 VVVF 1차분을 201~205, 257편성으로 배정하기로 확정되었다. 저항제어 2차분 212~214편성도 또한 계획대로 258~260편성으로 개번되었다.
파일:PYH2014110101010001300_P4.jpg
<rowcolor=#fff> 201편성 (신규 서울메트로 시절)
201편성은 2014년 10월 31일부터 2015년 5월 31일까지 라바 랩핑 열차로 운행되었다.

202편성은 2005년~ 2007년 음악열차로 시범 운영된 적이 있다. 먼저 204편성이 투입되었으나 204편성이 신정지선에 임시 투입되면서 202편성으로 변경됐다.
파일:8101koreanewcar.jpg
<rowcolor=#fff> 202편성 (기존 서울지하철공사 시절)
도입 당시에는 기존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로고를 적용한 채 반입되었다.

수동운전 기반인 ATS를 탑재했으며, 201편성이 2008년 12월에 최초로 ATO로 개조되어 약 1년여 동안 시운전했고 2010년부터 나머지 1차분 전동차들도 ATP/ATO 차상설비로 교체하여 현재 시점에서 자동운전이 가능하다.

2009년 경에는 257편성의 소프트웨어를 교체한 적이 있었으나, 이후 환원되었다.[11] 소프트웨어 교체 후의 구동음은 2호선 4차분, 5호선 3차분과 같다.

205편성 실내등이 기존 형광등에서 LED 직관등으로 교체되었다. 기존 형광등 형태이지만 내부에 수은이 아닌 트랜지스터가 장착된 구조이다.

도입한 지 20년을 코앞으로 바라보는 열차인데도 상태는 의외로 가장 좋고 외관과 내부도 깔끔한 편이다.[12] 따라서 아직도 2호선 신차 하면 이 열차를 생각하는 사람이 여전히 있을 정도다. 오히려 동시기 나온 311000번대 7~8차분, 321000번대 1차분들이 타 동시기 차량보다 상태가 가장 나빠 오늘 내일 하는 상황이다.[13]

이 차량들에 대한 호평이 상당히 많다. 2024년 기준으로 운행을 시작한지 16~17년가량 된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잔고장도 전혀 없고 관리 상태도 매우 뛰어나 아직도 신차같다는 것이 대다수의 의견이다.[14]

2020년 중반 차량 전면부 전조등이 LED로 교체되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3.2. 2차분 (2007~2008)

파일:2호선 2차분 보정.jpg 파일:Seoul Subway Line 2 Train_2nd_interior.jpg
266편성 내부 모습

2007년 8월 30일부터 2008년 12월 23일까지 도입된 전동차로 본선 215~231, 261~272편성과 성수지선 258~260편성이 도입되었다.

기본적 사양은 1차분 전동차와 동일하나, 내장재는 통짜 스텐레스 제질에서 모켓 시트로 변경되어 기존 1차분 전동차에 비해 많이 개선되었다. 현대로템 출범 이전 반입 차량분은 '주식회사 로템' 패찰이 부착되었다.[16]

229편성은 2015년 12월 25일 신정차량사업소 궤도 이탈 사고를 겪었지만 현재 정상 운행 중이다.

2020년 5월부터 차량 내부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고 있다. 기존의 초퍼 부수칸들은 신형차량 부수칸으로 대차되고 설치되었다.

220편성은 2011년 4량으로 조성되어 성수지선에서 운행했던 적이 있었다. 이후 본선 운행에 투입되다가, 2021년 246편성 폐차와 함께 6량으로 조성되어 신정지선에서 운행했다. 그리고 2021년 10월 10량으로 조성하고 본선에 복귀했다.

221편성은 2021년 9월 245편성의 중정비와 함께 신정지선 운행 차량이 부족해져 6량으로 조성되어 임시로 신정지선에서 운행했다가 2022년 3월에 10량 편성으로 재조성되어 본선 운행에 복귀했다. 221편성은 정방향으로 꽤 오래 운행했고 2차분 차량 중에서는 한 방향으로 가장 길게 운행했던 차량(총 987일)이었다.
<rowcolor=#ffffff> 2차분 VVVF 차량 최장기간 한방향 운행 (987일)
<rowcolor=#ffffff> 편성 시행날짜 방향전환 전 방향전환 후 비고
<colcolor=#00A84D> 221 2020년 7월 25일 역방향 정방향
2023년 4월 8일 정방향 역방향
2024년 1월 21일 역방향 정방향 링크
221편성은 신정지선 5차분인 245편성이 정비를 받는 관계로 2023년 10월 말부터 2023년 12월까지 신정지선에서 역방향 상태로 임시로 운행됐다. 이후 본선에 복귀하다가 2024년 1월 21일날 군자차량사업소에서 정방향으로 돌린 후 S2274번 성수발 내선순환행 열차로 출고됐으며, 11월부터 다시 신정지선에서 역방향으로 임시 투입되었다.

2022년 9월부터 승강장 정차 후 출입문이 열리면 LCD에서 현재 역명(영어 포함)이 표시된다. 역명 혹은 부역명, 병기역명이 길 경우 한국어, 영어 순으로 약 3초마다 깜빡인다.

2023년 6월부터 주행 중에 LCD에서 역명표출을 유지한다. 글씨체의 두께가 많이 커졌다. 다만 역명 혹은 부역명, 병기역명이 길 경우 한글 약 15초, 영문 4~6초간 띄우며, 간체자와 가나역명이 표출되었던 역에서는 가나와 간체자를 2초씩 표출한다. 환승역의 경우에는 환승할 수 있는 노선명을 영문과 같이 표출하되 1~9호선만 있다면 '환승(Transfer) ⑦호선'과 같이 뜨지만, 나머지 다른 노선이나 많을 경우는 스크롤로 천천히 띄운 뒤 다시 역명표출을 유지하며 출입문 개방 시에는 기존 2022년 9월판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출입문 개방시 간체자와 가나, 환승노선명은 표출하지 않는다. 역명표출은 24초간 표출한 후 환승역명을 표출, 하지만 역명이 긴 경우는 '한글>영어>한글>영어'를 약 40초간 표출시킨 뒤 환승노선을 표출하고 다시 역명을 표출한다. 예외적으로 강남역의 경우 간체자와 가나가 LCD에 표출되었으나 이번 개정 이후 표출되지 않는다. 이는 1차분도 LCD 표출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230편성이 기존의 초퍼 부수칸을 신형차량 5차분으로 재조성하기 위해 노령으로 갑종회송되었다가 서울로 다시 복귀했다. 신조 부수차량의 외관은 행선 표시기가 없는 것을 제외하면 기존 2차분 전동차와 완전히 똑같은 모습으로 제작되었다. 내부는 기존 2차분 전동차와는 다르게 6인 좌석이 적용되었다.

이 차량들에 대한 호평이 상당히 많다. 2024년 기준으로 운행을 시작한지 16~17년가량 된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잔고장도 전혀 없고 관리 상태도 매우 뛰어나 아직도 신차같다는 것이 대다수의 의견이다.[17]
파일:61a-2211kr.jpg
<rowcolor=#fff> 현재는 5차분 신조 객차로 교체된 T(무동력)칸
223~231, 271~272편성은 23xx호와 26xx호(4, 7호차)에 각각 기존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의 남은 무동력 객차를 개조해 투입했다. 내부 설비를 VVVF 전동차에 맞춰 개조했지만 대차는 교체하지 않았으며, 출입문 사이의 유리가 통유리가 아닌 2분할 유리를 사용한다는 점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초퍼 무동력 객차의 차체는 스테인리스가 아닌 마일드스틸 차체이다. 223~227편성은 1992년 MELCO 초퍼 무동력차, 228~231편성은 1991년 MELCO 초퍼 무동력차, 271~272편성은 1991년 GEC 초퍼 무동력차로 개조했다. 이 무동력차는 230편성을 시작으로 2022년 말까지 신형차량 5차분으로 교체가 완료되었다.
<rowcolor=#ffffff> 무동력 객차 조성 (2007~2022년)
<rowcolor=#ffffff> 신정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 군자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노란색 바탕이다.
<rowcolor=#ffffff> 편성 4호차
(T)
7호차
(T)
도입 시기 비고
<colcolor=#00a84d> 223 2627 2727 7차분
(MELCO)
1992년 4월
( 현대정공)
224 2623 2723
225 2624 2724
226 2625 2725
227 2622 2722
228 2632 2732 6차분
(MELCO)
1991년 6월
( 현대정공)
229 2633 2733
230 2634 2734
231 2635 2735 1991년 7월
( 현대정공)
271 2572 2672 6차분
(GEC)
1991년 12월
( 대우중공업)
272 2575 2675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3.3. 3차분 (2017~2018)

파일:2호선 3차분 보정.jpg 파일:2호선 VVVF 3차분 실내.png
208편성 내부 모습

2017년 4월 14일부터 2018년 12월 3일까지 도입된 전동차로 본선 20편성(206~213, 239~242편성, 285~292편성)이 도입되었다.

처음에 목업 차량을 출시했을 당시 링크암 대차를 달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며 양산차에 신형 대차가 출시될지 모른다는 추측이 있었으나, 최초 반입분인 206편성은 링크암 대차가 아닌 기존과 동일한 DT-50 대차를 달고 나왔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2018년 제작분인 211편성부터는 차량 내부 로고가 서울교통공사 로고로 적용되어 반입되었다.[25]

다원시스에서 제조한 3차분은 암스테르담 메트로에서 운영되는 암스테르담 GVB의 M5/M6 열차 인테리어를 베끼면서 크로스 시트 제거, LCD 스크린 위치 변경 등 대한민국 발주처의 요구사항에 따른 부분을 제외하면 거의 판박이이다. 사실상 다원시스 열차가 전작에 비해 가지는 디자인적 차별 요소는 모두 이 열차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다.[26] 암스테르담 메트로의 차량과 같이 좌석을 잘 보면 노선상의 City Hall, Sinchon, Wangsimni, Gangnam, Jamsil, Seongsu, Sindorim, Sadang 등 주요 역명이 새겨져 있다.

서울교통공사 측에서 연결기에 이상이 있다는 사실을 2018년까지 1년 넘게 인지하지 못했다고 한다.[27] 이는 자칫하다 어떤 이유로 전동차가 퍼졌을 때 구원 차량이 와서 견인을 못 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이다.

이 중 211편성의 2911호 경적은 특이하게도 2호선 2차분 경적이다.
206~210, 288~290편성까지는 최후의 서울메트로 로고가 내부에 달린 전동차이다. 206편성은 서울메트로의 이름으로 도입된 최후의 전동차이다.
<rowcolor=#ffffff> 본선 도입 현황 (10량 20편성)
<rowcolor=#ffffff> 신정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 군자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노란색 바탕이다.
<rowcolor=#fff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colcolor=#00a84d> 206 2017년 4월 14일 2017년 9월 30일 경부선 김천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207 2017년 8월 14일 2018년 2월 1일
208 2017년 10월 16일 2018년 2월 12일
209 2017년 11월 8일
210 2017년 11월 27일 2018년 2월 27일
211 2018년 2월 12일 2018년 6월 12일
212 2018년 3월 12일 2018년 7월 11일
213 2018년 4월 9일
239 2018년 4월 30일 2018년 8월 6일
240 2018년 5월 14일 2018년 8월 10일
241 2018년 6월 18일 2018년 9월 19일
242 2018년 6월 26일 2018년 9월 12일
285 2018년 7월 31일 2019년 1월 12일
286 2018년 8월 13일 2019년 1월 14일
287 2018년 9월 17일 2019년 2월 20일
288 2018년 10월 15일 2019년 2월 14일
289 2018년 10월 29일 2019년 3월 1일
290 2018년 11월 12일 2019년 2월 20일
291 2018년 11월 26일 2019년 3월 7일
292 2018년 12월 3일 2019년 2월 17일

3.4. 4차분 (2019~2020)

파일:S2038.jpg 파일:2밥통.jpg
238편성 내부 모습

2019년 3월 25일부터 2020년 10월 26일까지 도입된 전동차로 본선 21편성(214, 232~238편성, 273~284, 293편성)과 성수지선 1편성(256편성)이 도입되었다.

2017년 10월 10일, 철도 갤러리에 올라온 현대로템 직원의 증언에 따르면 현대로템이 디자인 시안을 제작하고 서울교통공사에서 이를 선택하는, 동해선 2차분과는 다른 아주 획기적인 디자인 안이 나올 것이라고 했다.[29] 근데 정작 실상은...

2018년 4월, 신촌역에서 이 열차의 디자인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30]

2018년 8월 7일, 해당 차량의 목업이 공개되었다.[31][32] 유리 주변 검은색과 곡면으로 된 전두부 디자인 덕분에 이 때부터 동호인들과 현업자들 사이에서 " 밥통"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3차분(481~485편성)이 이 열차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차이점은 서로 구동음이 다른 점과, 2호선용은 직류 전용에 ATP/ATO이며, 스크린도어 제어를 위한 RF장비가 설치되어 있지만 4호선용은 직교류 겸용에 ATS/ATC 겸용이라는 점이다.

일부 철도 동호인들은 디자인이 3차분에 비해 퇴보했다며 좋지 않게 보는 경우가 많지만, 1~2차분과 같은 제작사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승무요령도 많이 달라지지 않았고 신뢰성도 높아 현업자들에게서 3차분에 비해 더 좋은 평을 받고 있다. 이는 다원시스의 역량 문제라는 지적이 많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실차 내부가 유출되었다.[35] 초기 LCD 안내기 디자인은 지금과 달랐으나 정식 운행에 투입될 때 다원시스 도입분과 같은 형태로 업데이트되었다.

구동음이 기존 1~2차분과 달리 5호선 하남 연장분 반입분과 동일한 차량이다.

278편성의 2978호 전두부 전조등 사이에 차량번호를 더 부착했고, 293편성도 반입 당시부터 차량번호를 기존 차량과는 다르게 2978호처럼 부착했으며, 이후 다른 차량들도 변경 작업을 진행했다.

이 차량들이 도입되면서 2호선에서 남아있었던 초퍼제어, 성수지선에서 저항제어 열차들이 폐차되기 시작했으며, 2021년 3월 말에 모두 폐차반출되면서 2호선 초퍼제어 전동차 및 낙창식 창문과 반개폐형 차량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로써 본선, 성수지선은 전차량 원핸들로 운행하게 되었다.

278~279편성은 GEC 초퍼 시절 전용칸이 있었으나 대차분에서는 삭제되었다.

2022년 8월 15일 2호선 4차분 273편성의 출입문 위쪽이 광고용 LCD로 시범 교체되었고, 지금은 차내 2호선 단일 노선도에 6호선 신내역 연장 반영이 되어 있지 않던 노선도가 모두 제거되는 등 1차분을 제외한 모든 객차에 교체 완료되어 영상이 표출되고 있다.
<rowcolor=#ffffff> 본선 도입 현황 (10량 21편성)
<rowcolor=#ffffff> 신정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 군자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노란색 바탕이다.
<rowcolor=#fff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colcolor=#00a84d> 214 2019년 3월 25일 2019년 10월 22일 진해선 신창원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232 2019년 4월 11일 2019년 12월 23일
233 2019년 5월 13일 2019년 12월 24일
234 2019년 6월 13일 2019년 12월 21일
235 2019년 8월 16일 2019년 12월 27일
236 2019년 10월 15일 2020년 2월 11일
237 2019년 11월 18일 2020년 2월 16일
238 2019년 12월 2일 2020년 4월 7일
273 2019년 12월 16일 2020년 4월 6일
274 2019년 12월 27일 2020년 4월 3일
275 2020년 2월 27일 2020년 5월 21일
276 2020년 3월 12일 2020년 5월 18일
277 2020년 3월 30일 2020년 6월 26일
278 2020년 4월 9일 2020년 7월 13일
279 2020년 4월 27일 2020년 7월 2일
280 2020년 5월 21일 2020년 8월 10일
281 2020년 6월 17일 2020년 10월 5일
282 2020년 7월 13일 2020년 10월 12일
283 2020년 8월 13일 2020년 12월 14일
284 2020년 9월 10일
293 2020년 10월 26일 2021년 2월 1일
성수지선 도입 현황 (4량 1편성)
256 2020년 9월 28일 2021년 1월 29일 진해선 신창원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3.5. 5차분 (2020~2022)

파일:2048편성.jpg
248편성

신정지선 개조저항(245~248편성)과 본선 일부 차량들의 초퍼제어 무동력 객차들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현재 2~3호선 모두 다원시스로 낙찰되었다. 이미 다원시스가 수주한 2호선 전동차와 동일한 사양으로 제작되었다.[37][38] 디자인도 3차분에다 CEM만 장착한 모습이다. 다만 2호선 2차분에 있는 초퍼 무동력 객차 대체용으로 제작되는 신조 객차들은 3차분과 달리 스테인리스 스틸 차체로 제작되었다.[39] 나머지 부수차들은 군자기지에서 교체한다고 한다.[40]

여담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부수객차의 차체는 중국에서 납품받은 것으로 추정된다.[41]

230편성은 2021년 5월 4일 다원시스 정읍공장으로 회송된 이후, 부수차 교체 작업을 완료하고 신정차량사업소로 복귀했다. 객실 내부는 좌석을 제외하면, 기존 2차분 전동차 사양을 따르고 있다.[42]
파일:unnamed-6ㅇㅇㅇ.jpg
<rowcolor=#fff> 신조 객차 T(무동력)칸
신조 T칸의 외관은 기존 2차분과 같은 스테인리스 스틸 차체이지만, 내부 의자는 3차분의 사양을 따르고 있다. 또한 출입문을 비롯해 많은 부분에서 기존 차량의 부품을 탈거해 장착했다. 단, 2차분과는 다르게 측면 행선 표시기가 없다.[43]

2021년 11월 2일에 245편성이 오송으로 시운전을 위해 갑종회송되었다.[44]

230편성이 부수객차 교체를 완료한 상태이다.[45]

2020년 상반기에 반입 예정이었으나, 다원시스의 사정으로 반입이 상당히 지연되어 있었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부품 수급 문제로 반입이 늦어졌다고 한다. 이후 정상적으로 반입하기 시작했으나, 3호선 초퍼 전동차들과 4호선 직교류 겸용 전동차들의 교체와 서해선 연장분 열차와 7호선 석남 연장분 제작이 더 우선이기에 2호선용, 특히 부수객차 전동차 반입은 후순위로 밀려 2022년 11월을 끝으로 모두 반입되었다. 이로써 성수지선, 신정지선 저항차량 및 낙창식 창문과 반 개폐형 차량은 모두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이로써 2호선 전차량은 원핸들로 운행하게 되었다.

245~248편성 한정으로 수인·분당선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9~10차분(351F44~351F60, 351F79~351F83편성)과는 달리 조성이 기존 3M3T(TC-M-M'-T-M'-TC)로 그대로 유지했다.

2024년 2월 7일에 248편성이, 2024년 3월 6일에는 246편성이 군자차량사업소에서 방향전환을 하면서 역방향으로 바뀌었다. 245편성도 도입 당시 역방향이었으나 시운전 하면서 정방향으로 변경됐지만 2024년 4월 2일에 다시 역방향으로 바뀌었고, 2024년 4월 26일날 247편성이 역방향으로 바뀌면서 신정지선 245~248편성 모두 역방향으로 바뀌었다.
파일:2호선5차분LCD.jpg
LCD 모니터

2021년 11월 9일 부로 245편성이 운행을 시작했는데 3차분에 있던 LCD 화면이 천장으로 옮겨졌다. 또한 통로문 위 차량번호 글씨체가 3차분과는 달리 윤고딕체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출입문 LED의 길이가 3차분보다 짧아졌다. 또한 통로문 위의 칸 번호 패찰 또한 3차분에 비해서 커졌다.
<rowcolor=#ffffff> 본선 도입 현황 (2량 11편성)
<rowcolor=#ffffff> 신정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 군자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노란색 바탕이다.
<rowcolor=#fff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colcolor=#00a84d> 223 2022년 4월 28일 2022년 5월 23일 다원시스 김천공장 트레일러 이송 군자차량사업소
224 2022년 12월 21일 2023년 1월 18일
225 2022년 10월 14일 2022년 11월 25일
226 2022년 5월 18일 2022년 6월 15일
227 2022년 5월 30일 2022년 7월 29일
228 2022년 1월 21일 2022년 3월 16일
229 2022년 11월 25일 2023년 2월 7일
230 2021년 10월 18일 2022년 3월 11일 호남선 노령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231 2022년 1월 17일 2022년 3월 28일 다원시스 김천공장 트레일러 이송 군자차량사업소
271 2022년 8월 23일 2022년 9월 1일
272 2022년 9월 25일 2022년 11월 4일 경북선 옥산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신정지선 도입 현황 (6량 4편성)
245 2020년 12월 1일 2021년 11월 9일 충북선 오송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246 2022년 6월 26일 2023년 2월 8일 경북선 옥산역
247 2022년 7월 24일 2023년 2월 15일
248 2022년 8월 14일 2023년 2월 22일

4. 개조 이력

5. 기타

파일:2호선 초기디자인.jpg

[1] 201~242편성, 245~248편성/중정비 [2] 256~293편성/중정비 [3] Distance to Go 방식 [4] 1~2차분 차량의 경우 도입 시에는 ATS-S2 방식으로 도입되었으나 2009년 후반부터 ATO/ATP로 개조되었다. [M]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 [K] KEC 소자 기반이다. [7] 「‘광고 도배’ 지하철 객실 전광판 바꾼다」, 동아일보, 2018-08-16 [8] 서울교통공사 > 시민 참여 > 고객의 소리 > 신청 [9] 무동력 객차뿐이어서 제어방식을 적지 않는다. [M] [11]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12] 그러나 2차분에 비하면 수동식 통로문, 스테인리스 좌석이라는 점에서는 조금 불편하긴 하다. 물론 스테인리스 좌석인 이유는 이 차가 도입되기 2년 전 대구 지하철 참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13] 2024년 1월 초기형 3세대 전동차 대차분 계획이 발표되며 이들도 6~7년 후면 역사 속으로 사라질 예정이다. [14] 이는 비슷한 시기 도입된 9호선 1차분과 이보다 조금 늦게 도입된 3호선 1차분, 공항철도 2차분도 해당된다. [M] [16] 관련 게시글(가입 필요), 출처: 네이버 카페 [17] 이는 비슷한 시기 도입된 9호선 1차분과 이보다 조금 늦게 도입된 3호선 1차분, 공항철도 2차분도 해당된다. [K] [19] 「서울지하철 안전관리 강화」, 세이브투데이, 2017-05-24 [20] 참고 자료: 네이버 포스트 [21]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22]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23] 「지하철 2호선 행선지 안내.. 내선-외선 표기 없앤다」, 동아일보, 2019-06-12 [24] 「“서울교통공사 간부, 특혜 주고 취업 청탁”」, KBS, 2017-07-14 [25]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26] 참고 자료: 네덜란드어 위키피디아 Metromaterieel M5 문서(3번째 문단 참고) [27] 「[단독] 교통공사, 2호선 새 전동차 결함 1년 넘게 몰랐다」, 중앙일보, 2018-12-03 [M] [29] 해당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30]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31] 현대로템 홈페이지(페이지 접속 불가) [32] 현대로템 블로그, 출처: 티스토리 [33] büro+staubach > mobility [34] 「현대로템, 국내 최초 열차 전기제동 신기술 개발···서울2호선 신차 적용」, 국토일보, 2019-06-27 [35]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K] [37]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38] 「다원시스, 1408억원 규모 전동차 구매공급 낙찰」, 이데일리, 2018-10-16 [39] 2호선 신조 부수객차로 추정되는 객차,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40] 서울교통공사 공문,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41] #,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42]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43]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44]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45]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46] 초기 디자인, 출처: 네이버 카페 [47] 「2호선 새 전동차 좌석 넓어진다…1열 7석에서 6석으로」, 연합뉴스, 2016-02-29 [48] 「현대로템, 서울시 2호선 전동차 214량 제작」, 노컷뉴스, 2017-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