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0 02:00:58

분배법칙

배분법칙에서 넘어옴
[[대수학|대수학
Algebr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론
기본 대상 연산 · 항등식( 가비의 이 · 곱셈 공식( 통분 · 약분) · 인수분해) · 부등식( 절대부등식) · 방정식( /풀이 · ( 무연근 · 허근 · 비에트의 정리( 근과 계수의 관계) · 제곱근( 이중근호 · 개방법) · 환원 불능) · 부정 · 불능) · 비례식 · 다항식 · 산술( 시계 산술)
수 체계 자연수( 소수) · 정수( 음수) · 유리수 · 실수( 무리수( 대수적 무리수 · 초월수) · 초실수) · 복소수( 허수) · 사원수 · 팔원수 · 대수적 수 · 벡터 공간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적 구조
군(group) 대칭군 · 기본군 · 자유군 · 리 군 · 괴물군 · 점군 · 순환군 · 군의 작용 · 동형 정리 · 실로우 정리
환(ring) 아이디얼
체(field) 갈루아 이론 · 분해체
대수 가환대수 · 리 대수 · 불 대수( 크로네커 델타)
마그마· 반군· 모노이드 자유 모노이드 · 가환 모노이드
선형대수학 벡터 · 행렬 · 텐서( 텐서곱) · 벡터 공간( 선형사상) · 가군(module) · 내적 공간( 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정리·추측
대수학의 기본정리 · 나머지 정리 · 유클리드 호제법 · 부분분수분해 · PID 위의 유한생성 가군의 기본정리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미해결
관련 하위 분야
범주론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토포스 이론 · 타입 이론
대수 위상수학 연속변형성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대수학( 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mapping class group · 닐센-서스턴 분류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대수적 정수론 타원곡선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리근 정리 · 모듈러성 정리
가환대수학 스펙트럼 정리
표현론 실베스터 행렬
기타 및 관련 문서
수학 관련 정보 · 추상화 · 1학년의 꿈 · 노름 · 혼합계산 · 분배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교재 }}}}}}}}}

연산
Numbers and Opera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65432> 수 체계 자연수 ( 홀수 · 짝수 · 소수 · 합성수) · 정수 · 유리수 ( 정수가 아닌 유리수) · 실수 ( 무리수 · 초월수) · 복소수 ( 허수) · 사원수
표현 숫자 ( 아라비아 숫자 · 로마 숫자 · 그리스 숫자) · 기수법( 과학적 기수법 · E 표기법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 BEAF· 버드 표기법) · 진법 ( 십진법 · 이진법 · 8진법 · 12진법 · 16진법 · 60진법) · 분수 ( 분모 · 분자 · 기약분수 · 번분수 · 연분수 · 통분 · 약분) · 소수 { 유한소수 · 무한소수 ( 순환소수 · 비순환소수)} · 환원 불능 · 미지수 · 변수 · 상수
연산 사칙연산 ( 덧셈 · 뺄셈 · 곱셈 구구단 · 나눗셈) · 역수 · 절댓값 · 제곱근 ( 이중근호) · 거듭제곱 · 로그 ( 상용로그 · 자연로그 · 이진로그) · 검산 · 연산자 · 교환자
방식 암산 · 세로셈법 · 주판 · 산가지 · 네이피어 계산봉 · 계산기 · 계산자
용어 이항연산( 표기법) · 항등원과 역원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분배법칙
기타 수에 관련된 사항 ( 0과 1 사이의 수 · 음수 · 작은 수 · 큰 수) · 혼합 계산 ( 48÷2(9+3) · 111+1×2=224 · 2+2×2) · 0으로 나누기( 바퀴 이론) · 0의 0제곱 }}}}}}}}}

1. 개요2. 다항식의 분배법칙3. 분배법칙이 일반적으로 성립하는 연산4. 분배법칙이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 연산5. 같이 보기

1. 개요

/ distributivity

집합 [math(S)]와 [math(S)]에 대해 닫혀있는 두 이항 연산 [math(*, +)]가 정의되어 있을 때, [math(S)]의 임의의 원소 [math(a)], [math(b)], [math(c)]에 대해

[math(a*(b+c)=(a*b)+(a*c))]가 성립하면 ([math(+)]에 대한 [math(*)]의) 좌분배법칙이,
[math((b+c)*a=(b*a)+(c*a))]가 성립하면 ([math(+)]에 대한 [math(*)]의) 우분배법칙이 성립한다고 하며,
위 두 가지가 모두 성립할 경우 집합 [math(S)]에서 연산 [math(*)]은 연산 [math(+)]에 대해 분배법칙 ([math(+)]에 대한 [math(*)]의 (양쪽) 분배법칙). [1]이 성립한다([math(*)] distributes over [math(+)])고 한다.[2]

반례가 하나라도 나온다면 분배법칙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착각하면 안되는 것이, 분배법칙은 교환법칙과 무관하다, 일반적인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는 물론, 심지어 [math(a * (b + c) \neq (b + c) * a)]여도 여전히 성립 가능하다. 대표적인 예시가 행렬 사원수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2013년 고교 입학생까지) 행렬이 고교수학에 남아 있던 시기의 학생이라면, 행렬에서 (덧셈에 대한 곱셈의) 분배법칙이 성립한다고 쓰여있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2. 다항식의 분배법칙

연산자 앞뒤로 항이 2개씩 이상 있을 경우, 다음을 따른다.

[math((a+b)*(c+d)=(a*c)+(a*d)+(b*c)+(b*d))]

만약 교환법칙도 성립한다면 다음의 법칙도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인수분해 참조.
분배법칙이 성립하는 다항식은 선형성(linearity)을 띤다라고 한다.

3. 분배법칙이 일반적으로 성립하는 연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연산을 다루는 집합 S는 복소수 범위이다.

4. 분배법칙이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 연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연산을 다루는 집합 S는 복소수 범위이다.

5. 같이 보기



[1] [math(+)]의 분배법칙이 아니라 [math(*)]의 분배법칙임에 유의. '~에 대한'과 '~의'를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2] 여기에서 [math(*)]과 [math(+)]는 실수(복소수)의 곱셈ㆍ덧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집합 [math(S)]에서 닫혀 있는 어떠한 두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일 뿐이며, [math(S)]가 실수(복소수)의 부분집합이 아닐 수도 있다. 그 예시는 아래의 나오는 행렬에서의 분배법칙. [3] 덧셈 및 뺄셈에 대한 곱셈의 분배법칙이 성립한다. [math(a(b+c)=ab+ac)], [math((a+b)c=ac+bc)], [math(a(b-c)=ab-ac)], [math((a-b)c=ac-bc)] [4] [math((af(x) + bg(x))' = af'(x) + bg'(x))] [5] [math(\displaystyle \int (af(x) + bg(x))\,{\rm d}x = a\int f(x)\,{\rm d}x + b\int g(x)\,{\rm d}x)] [A] 덧셈 및 뺄셈에 대한 곱셈 분배법칙이 성립하는 것이지, 덧셈 및 뺄셈 분배법칙이 성립하는 것이 아니다. [A] [B] 단, 좌분배법칙만 성립하지 않으며, 우분배법칙은 성립한다. 좌분배법칙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는 정의에 들어맞는다. 나눗셈에서는 [math((a + b) \div c = (a \div c) + (b \div c)]) 이고, 합성함수에서는 [math((f + g) \circ h = (f \circ h) + (g \circ h))] 이며, 제곱에서는 곱셈에 대한 거듭제곱의 우분배법칙 [math((ab)^c=a^c b^c)]이 성립한다. [B]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