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9:02

머큐리 세이블/1세대

파일:external/en.academic.ru/Mercury_logo.png
파일:1세대 머큐리 세이블.png
SABLE
1. 개요2. 상세
2.1. 개발 배경2.2. 북미형
2.2.1. 세단2.2.2. 왜건
3. 대한민국 사양: 기아 세이블4. 여담5. 모형화6. 둘러보기

1. 개요

머큐리 세이블의 1세대 차량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문서이다.

2. 상세

2.1. 개발 배경

1980년대 포드 토러스와 함께 개발이 이루어졌다. 이는 당시 포드 모터 컴퍼니에서 수행한 가장 큰 규모의 프로젝트로서 약 35억 달러[1]가 소요되었다. 원래 포드 팬서 플랫폼 폭스 플랫폼을 대체하는 역할의 대형 및 중형차 개발 계획으로 구상되었으나, 1981년 제2차 오일쇼크 이후 휘발유 가격의 안정화가 이루어지면서 대형차 라인업은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포드 토러스 LTD를 대체하는 차량으로, 해당 차량은 기존 마퀴스를 대체하는 역할로 개발되었다.

차량의 개발은 북미에서 이루어졌지만, 유럽에서 포드 에스코트를 개발할 때처럼 학제 간 팀 접근 방식으로 개발이 이루어졌다. 차량의 각 요소는 제조 및 조립을 포함하여 동시에 설계하였고, 과거 크게 실패했던 에드셀 브랜드의 접근 방식과는 대조되는 잠재 구매 고객을 고려한 후 라이벌들의 차를 몰래 사서 나사 하나하나까지 속속들이 뜯어보는 철저한 역공학을 통해 개발하였다.

당시 머큐리 브랜드는 미국 내에서 전륜구동을 늦게 도입했던 상황이었고, 경쟁사인 제너럴 모터스에서는 쉐보레 사이테이션이나 셀레브리티, 폰티악 6000, 올즈모빌 커틀라스, 뷰익 센추리 1982년형부터 이미 도입한데다 비슷한 시기 크라이슬러 코퍼레이션 크라이슬러 K 플랫폼을 활용한 K카들을 양산하던 시기였다. 그리고 세이블이 출시되었을 때 이미 GM은 대형차의 다운사이징까지 거치면서 세이블보다 약간 큰 수준을 유지하던 상황이었다.
파일:1983 머큐리 쿠거.png
파일:토파즈 전기형.jpg
세이블 이전 공기역학 디자인이 가미된 쿠거(위)와 토파즈(아래)

1983년 머큐리 브랜드는 약간의 라인업 정리를 단행하게 되는데, 세단, 왜건 등 별의별 라인업이 있었던 쿠거 포드 썬더버드처럼 2도어 쿠페의 역할에 집중하게 변화를 주었고, 외장 디자인의 재설계가 이루어지며 이후 나올 토러스/세이블 디자인의 핵심 목표인 공기역학적 디자인을 가미하게 된 최초의 포드 계열 양산차량이 되었다[2] 이 차종의 성공으로 인해 포드는 각진 승용차를 탈피하기 시작했고, 1984년 포드 템포 머큐리 토파즈를 선보이며 공기역학적인 차체 설계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전에 판매되던 머큐리 마퀴스는 프로젝트에 대한 출혈 방지를 목적으로 단종되었다.

개발 과정에서 교체 가능한 할로겐 전구가 달린 헤드램프를 사용하기 위해 포드 모터 컴퍼니와 다른 업체들이 NHTSA에 로비를 했고, 그 결과 1984년에 출시된 컨티넨탈 마크 VII에 처음 적용되기 시작했다.

2.2. 북미형

2.2.1. 세단

<nopad> 파일:세이블1-1.png 파일:세이블1-2.jpg
북미 사양 전후면부

잭 텔낵의 주도로 디자인하여 1세대 토러스와 1985년에 1986년형으로 함께 출시되었다. 토러스와 달리 기존 차체 색상을 활용하던 라디에이터 그릴 대신 저와트 라이트 바를 장착한 게 특징이다.[3][4] 차체 형식은 토러스처럼 세단과 왜건이 있었으며, 머큐리 토파즈의 윗급,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세단)/ 머큐리 콜로니 파크(왜건)의 아랫급으로 판매되었다. 참고로 동급 세단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는 저력의 토러스와 비교하면 잘 팔린 편은 아니었지만, 윗급인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와 브랜드 내 판매 1,2위 다툼을 했을 정도로 나름 경쟁력이 있었다.

포드 DN5 플랫폼이 적용되는 차량이며, 휠베이스는 토러스처럼 2,692mm였다. 이전 머큐리 마퀴스처럼 유니바디 구조를 취한 차량이었고 4륜 독립 서스펜션이 장착되었다. 전면부에는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과 스태빌라이저 바가 있었고 세단 후륜 차축의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 4링크 형태의 서스펜션이 들어갔다.

형제차인 토러스와는 의외로 도어 및 루프 스탬프만 공유하였는데, 이전에 많은 것을 공유하던 포드 LTD- 머큐리 마퀴스와는 차별화가 이루어진 셈이다. 또한, 토러스와의 차별화를 위해 윈도우 루프라인을 포드 스콜피오의 디자인 요소를 차용하여 블랙아웃된 B, C, D 필러를 사용해 '플로팅 루프' 효과를 만들었다. 토러스와 함께 교체 가능한 할로겐 전구가 달린 공기역학적 복합 헤드라이트를 사용한 최초의 미국산 세단이기도 했다.

실내 공간도 토러스와 많이 공유하긴 했지만, 일부는 도어 패널에 통합되는 모델별 대시보드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6인승인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처럼 50/50 분할 벤치 시트가 기본 적용되었으며, 앞좌석 버킷 시트[5]가 옵션으로 적용되었다.

사양 체계는 기본형인 GS[6]와 고급형인 LS[7]로 이루어졌고, 토러스처럼 SHO 사양을 개발하진 않았다. 파워트레인은 토러스와 같은 90마력의 출력과 176Nm의 토크를 내는 2.5L HSC형 I4 엔진+3단 ATX형 자동변속기, 140마력의 출력과 217Nm의 토크를 내는 3.0L 벌칸 V6 엔진 2개 라인업이 먼저 있었다가 1988년부터 3.8L 에섹스(Essex) 가솔린 V6 엔진을 선택할 수 있었으며, 출력은 3.0L 사양과 동일했지만 토크가 35% 정도 더 좋은 292Nm을 냈기에 스테이션 왜건 사양의 엔진으로 인기가 많았다. 수동변속기가 제공되던 토러스와는 달리 4단 AXOD형 자동변속기만 제공했다. 이후 판매가 부진했던 4기통 3단 AT 사양이 먼저 단종되었다. [8]

초기형 세단은 4,849mm, 후기형 세단은 4,882mm의 전장, 1,798mm의 전폭, 1,379mm의 전고를 가지고 있었다.

1989년에 약간의 변화를 거쳤는데, 황색이었던 주차등이 클리어타입으로 변경되었고 세단의 테일램프 디자인 수정이 이루어졌다. 1990년형의 경우에는 운전석 에어백을 추가할 수 있도록 대시보드를 재설계하고 옵션으로 CD 플레이어를 탑재할 수 있게 변경되었다.

멕시코 등 일부 국가에는 세이블이 형제차인 포드 토러스의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기어레버는 대한민국형은 플로어체인지식이었지만, 미국용은 컬럼식이었다. 계기판 및 센터페시아 디자인도 차이가 있었다.
수상 이력
1986년 카앤드라이버 '10 Best list'
1990년 카앤드라이버 '10 Best list'
1991년 카앤드라이버 '10 Best list'

2.2.2. 왜건

<nopad> 파일:1986 머큐리 세이블 왜건.jpg 파일:1989 머큐리 세이블 왜건.jpg
초기형 왜건 후기형 왜건 후면부

세이블 왜건의 차체를 기반으로 전면부를 바꾼 차량이 토러스 왜건이었다. 이러한 왜건 라인업은 4세대까지 이어졌다.[9]

스테이션 왜건은 마퀴스처럼 후면부를 리프트백으로 만들었지만, 트렁크를 위한 새로운 구성 형태를 도입했는데, 리어 윈도우를 트렁크의 나머지 부분과 별도로 열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머큐리 브랜드 최초로 스테이션 왜건 라인업에 우드그레인 장식을 제공하지 않은 차량이었다. 여기에 3열이 옵션으로 적용되면서, 최고 7~8인승 형태로 판매되었는데 이는 1977년 머큐리 쿠거 왜건 이후 머큐리에서 판매하는 최초의 중형 왜건이었다.

해당 차량에는 스태빌라이저 바와 함께 코일 스프링 형태의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숏 암/롱 암 포함)이 들어갔다. 전면부에는 디스크 브레이크. 후면부는 드럼 브레이크가 들어갔지만, 스테이션 왜건 사양의 브레이크는 좀 더 큰 편이었다.

초기형 왜건은 4,874mm, 후기형은 4,907mm의 전장, 1,798mm의 전폭, 1,400mm의 전고를 가지고 있었다.

3. 대한민국 사양: 기아 세이블

파일:기아 로고.svg 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 기아플래그십 세단 라인업
푸조 604 세이블 포텐샤
엔터프라이즈 오피러스 K9
파일:기아 세이블 전면부 1.jpg
파일:기아 세이블 후면부.jpg
국내 사양
3,000cc 퍼스트 클라스 세단
-1990년판 기아 세이블 카탈로그에 나왔던 캐치프레이즈 #
대한민국에서의 머큐리 세이블 역사
파일:포드의 프라이드 기아의 세이블.png
'포드의 프라이드, 기아의 세이블'. 이것 하나로 모든 것이 설명 가능하다.

대한민국에서는 기아자동차 포드와 협력관계 시기이던 1989년부터 1세대를 1992년까지 기아자동차가 수입해 기아 세이블로 판매했다. 포텐샤가 등장하기 이전에 부족한 플래그십 역할을 수입차 판매로 대신했던 것. 포드 입장에서는 상술한 광고처럼 보다 안정적인 시장 확보 목적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생산분은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라이트 바에서부터 머큐리 엠블럼이 그대로 붙어 있었다. 대한민국에 판매된 세이블 역시 라이트 바가 붙어 있었으며, 이 디자인 요소는 1995년 후반에 기아자동차 베스타의 후속 원박스카로 출시한 프레지오 초기형에도 적용되었다.[10] 그 과정에서 시트 등을 조립생산했다는 후문이 있다. 완전한 수입은 아닌 셈.

기아에서 자동차공업 통합조치 이후 부활한 승용 차량인 프라이드(페스티바)가 수출로 훌륭한 성과를 얻게 되고, 이를 지켜본 포드에서 기아에 머큐리 세이블의 대한민국 판매권을 선물로 주다시피했었다. 아직 컬럼식 자동변속기를 보기가 낯설었던 대한민국에 맞춰서 플로어체인지식 자동변속기로 나름 로컬라이징해 주었고, 프라이드 미국에 수출하는 대가로 얻은 수입차 판매권이다 보니 세이블은 다른 수입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시선이 적었다. 기아는 세이블 외에도 자회사인 기아서비스를 통해 8세대 링컨 컨티넨탈을 수입해서 판매했다.

당시 기아에서 판매했던 세이블은 초기엔 후면 방향지시등이 미국처럼 브레이크등과 겸할 수 없었기 때문에, 뒷범퍼에 호박색 방향지시등이 조그맣게 부착되어 있었다. 이후 브레이크등 사이에 호박색 방향지시등이 들어간 형태로 변경된다.

1989년 10월 대한민국 출시 당시 가격이 2,750만 원이었다. 당시 쏘나타의 풀 옵션 가격이 1,096만 원 수준이었으며, 1987년 수입차 시장의 개방 이후 수입된 3시리즈가 5천만 원이 넘는 시절이었으니 고급차로서는 가격 경쟁력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국산차보다는 훨씬 비싼 가격으로 주로 중상류층의 자가용 승용차로 판매되었다.

1996년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로 정비가 이관될 때까지 기아에서 정비할 수 있었기에, 당시에는 타 수입차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유지보수도 쉬웠다.
파일:Screenshot_20190321-225318_YouTube.jpg
바비킴의 모닝케어 광고[11]에서 등장하는 노란 택시가 1세대 세이블 차량이었다.
기아 세이블 판매량
연도 대한민국 시장 판매량
<colbgcolor=#131e29> 1989년 <colbgcolor=#fff> 493대
1990년 1,579대
1994년 904대

4. 여담

베트 미들러의 모창이 활용된 광고 (1986년)

5. 모형화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08080,#191919> 차급 단종 차량
소형차 밥캣
준중형차 토파즈 · 코멧 · 사이클론 · 모나치 · 링크스/ LN7 · 트레이서
중형차 몬테고(1968~1976) · 제퍼 · 미스틱 · 밀란
준대형차 마퀴스 · 세이블 · 몬테고(2004~2007)
대형차 에이트 · 몬테레이(1952~1974)/ 몬테레이 선 밸리 ·
커스텀 · 메달리스트 · 미티어 · 몽클레어/ 몽클레어 선 밸리 ·
턴파이크 크루저 · 머라우더 · 몬테고(1968~1976) ·
파크 레인/ 파크 레인 브로엄 · 콜로니 파크 ·
보이저 · 커뮤터 · 그랜드 마퀴스
스포츠카 쿠거 · 카프리
준중형 SUV 마리너
준대형 SUV 마운티니어
픽업트럭 M 시리즈
MPV 빌리저 · 몬테레이(2004~2007)
{{{#!wiki style="margin:-16px -11px" 포드의 차량
에드셀의 차량
머쿠어의 차량
링컨의 차량
컨티넨탈의 차량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141f><tablebgcolor=#05141f><height=70><width=45%><nopad>
기아
차량 목록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colbgcolor=#05141f> 구분 승용차, SUV, RV, 승합 / 경상용차 버스 트럭 군용차
1960년대 피아트 124 - K-360, T-600, T-1500, T-2000 -
1970년대 브리사, 피아트 132, 푸조 604 아시아 P9AMC, 아시아 B버스, 아시아 AB버스, AM버스 타이탄, 복사, KB트럭, B-1000 K-111, K-511, K-711
1980년대 프라이드, 캐피탈, 콩코드, 세이블, 봉고(승합 모델),
베스타, AC버스, 토픽
콤비, 코스모스 봉고(트럭 모델), 세레스,
트레이드, 라이노,
AM트럭
K-311, K-811
1990년대 비스토, 아벨라, 리오, 세피아, 슈마,
크레도스, 포텐샤, 엔터프라이즈, 엘란,
스포티지, 록스타, 레토나, 카렌스, 카스타,
카니발, 프레지오, 타우너(승합 모델)
그랜버드 그랜토, 타우너(트럭 모델) K-131
2000년대 모닝, 스펙트라, 쎄라토, 씨드, 포르테,
엑스트렉, 옵티마, 로체, 앙트라지(카니발), K7, 오피러스,
쏘울, 쏘렌토, 모하비, 벤가, 트라벨로, 천리마
- 파맥스 K-911
2010년대 레이, K2, K3, K4(중국형), K5, K9,
KX3, KX5, KX7, 니로, 스팅어, 스토닉/ KX1, 리오 X-라인,
페가스, 즈파오, 텔루라이드, 셀토스, 엑씨드
- - K-151, 중형표준차량
2020년대 쏘넷, EV6, K8, 니로 플러스, EV9, EV5, K3(소형차, 리오 후속),
K4, EV3, EV2예정, EV4예정, EV7예정, 타스만예정, PV1예정, PV5예정, PV7예정, AY예정, TV1예정
- - -
회색 글씨 - 단종 차량

}}}}}}}}}
[ 차급별 구분 ]
||<rowbgcolor=#0514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 차급 || 시판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05141f> 경차 모닝 | 레이 <colbgcolor=#eee,#2d2f34> 비스토
소형차 K3(리오 후속) | 페가스 프라이드 | 아벨라 | 브리사 | 천리마 | K2 | 리오 | 피아트 124
준중형차 K4 | 씨드 캐피탈 | 세피아 | 슈마 | 스펙트라 | 쎄라토 | 포르테 | K3
중형차 K5 콩코드 | 크레도스 | 옵티마 | 로체 | 스팅어
준대형차 K8 세이블 | 포텐샤 | K7
대형차 K9 푸조 604 | 엔터프라이즈 | 오피러스
스포츠카 - 엘란
소형 SUV 스토닉 | 니로 | 셀토스 | 쏘울 | KX1 | 쏘넷 | EV3 아시아 록스타 | 레토나 | KX3 | 리오 X-라인 | 니로 플러스
준중형 SUV 스포티지 | EV5 | EV6 | 엑씨드 | 즈파오 KX5
중형 SUV 쏘렌토 KX7
준대형 SUV 텔루라이드 | EV9 모하비
소형 MPV - 벤가
준중형 MPV 카렌스 엑스트렉
중형 MPV - 카스타
대형 MPV 카니발 -
LCV - 봉고3 미니버스 | 베스타 | 타우너 | 토픽 | 프레지오 | 트라벨로
PBV PV1예정 | PV5예정 | PV7예정 -
픽업트럭 타스만예정 B-1000
경형 트럭 - T-1500 | T-2000 | 타우너
소형 트럭 봉고 세레스
준중형 트럭 - 파맥스 | 타이탄 | 트레이드
중형 트럭 - 복사 | 라이노 | 트레이드
대형 트럭 - AM트럭 | KB트럭 | 그랜토
준중형 버스 - 콤비
중형 버스 - 코스모스
준대형 버스 - 아시아 AB버스
대형 버스 그랜버드 아시아 B버스
군용차 K-151 | K-311 | K-711 | K-911 | 중형표준차량 K-111 | K-131 | K-511 | K-811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원화가치 약 4조 6,750억 원 규모로, 당시 환율 가치로 따지면 비용가치는 더 비싸질 것으로 보인다. [2] 이후 쿠거는 많은 호평을 받았고, 형제차인 썬더버드보다 더 많이 팔리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3] 이후 머큐리 토파즈 트레이서 등 머큐리 라인업과 기아 프레지오 등 많은 국산차에 이러한 라이트 바 디자인이 적용되기도 했다. [4] 또한, 그릴이 없는 바텀 브레서 형태를 강조하긴 했지만, 공기 흡입구는 라이트바 아래 범퍼에 달려 있었다. 이러한 디자인은 1950년대 시트로엥 DS, 포드 머스탱 SVO 시에라에도 달려 있었다. [5] 이럴 경우, 최대 5명이 탑승할 수 있었다. [6] 토러스로 따지면, GL 사양 정도로 볼 수 있었다. [7] 토러스의 최고급형인 LX보다 약간 윗급이었다. [8] 토러스의 경우, 해당 사양이 1991년형까진 남아 있었다. [9] 5세대의 경우에는 포드 파이브 헌드레드와 대응하는 포드 프리스타일, 포드 토러스 5세대 차량과 대응하는 크로스오버 포드 토러스 X가 있었지만, 머큐리 몬테고 세이블의 경우에는 크로스오버 차량인 머큐리 메타 원이 출시되지 않고 베이퍼웨어로 남으면서 이러한 라인업 없이 세단으로만 판매되었다. [10] 세이블이 수입되어 판매될 당시에 이 라이트 바가 나름 인상적이었는지 쏘나타같은 승용차의 라디에이터 그릴 부분을 라이트바로 튜닝하는 게 잠시나마 유행하기도 했었다(...). [11] 영웅본색 당년정을 패러디한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