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11:04:40

대장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선시대 의녀 장금에 대한 내용은 장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대한민국 대통령 명의로 이공계 대학생에게 지급되는 장학금에 대한 내용은 대통령과학장학금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작 예정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의녀 대장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1~2005
파일:홍국영 로고.png
(2001)
파일:선희 진희 로고.png
(2001)
파일:상도 로고.png
(2001~2002)
파일:위기의 남자 2002 로고.png
(2002)
고백
(2002)
파일:내 사랑 팥쥐 로고.png
(2002)
파일:현정아 사랑해 로고.png
(2002)
파일:막상막하 MBC 로고.png
(2002)
파일:어사 박문수 로고.png
(2002~2003)
파일:러브레터 MBC 로고.png
(2003)
파일:내 인생의 콩깍지 로고.png
(2003)
파일:옥탑방 고양이 로고.png
(2003)
파일:다모 로고.png
(2003)
파일:대장금 로고.png
(2003~2004)
파일:불새 로고.png
(2004)
파일:영웅시대 로고.png
(2004~2005)
파일:원더풀 라이프 로고.png
(2005)
파일:봄날의 미소 로고.png
(2005)
파일:환생-NEXT 로고.png
(2005)
파일:변호사들 로고.png
(2005)
파일:비밀남녀(드라마) 로고.png
(2005)
파일:달콤한 스파이 로고.png
(2005~2006)
[1] 2005년 1월 3일에 MBC의 CI가 바뀌었어도 1986년 로고와 병행해 쓰다가 단계적으로 바꾸던 시기로 2005년에 첫 제작을 한 미니시리즈라도 같이 묶었기 때문에 옛 로고를 그대로 쓴다.
}}}}}}}}}}}} ||

이병훈 PD 연출 드라마 작품
{{{#!wiki style="color:#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허준(드라마)|'''
허준
''']]
파일:상도 로고(백).png 파일:대장금 로고.png 파일:서동요 SBS 로고.png
파일:이산 MBC 로고.png 파일:동이 MBC 로고.png 파일:마의 MBC 로고.png 파일:옥중화 로고.png
}}}}}}}}}}}} ||
<colbgcolor=#19372D,#19372D><colcolor=#D09B35,#D09B35> MBC 대하드라마
대장금
(2003~2004)
大長今 | Jewel in the palace
파일:대장금 포스터.jpg
장르 사극, 퓨전
방송 시간 월요일 · 화요일 / 오후 9:55 ~ 11:05
방송 기간 2003년 9월 15일 ~ 2004년 3월 23일
방송 횟수 54부작
제작 MBC 자체제작
채널 MBC


<colbgcolor=#19372D,#19372D><colcolor=#D09B35,#D09B35> 제작 정성효, 이진서
연출 이병훈
각본 김영현
출연 이영애, 지진희, 홍리나, 임호
시청 등급 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2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시놉시스3. 등장인물4. 시청률5. 음악6. 인기 및 영향
6.1. 대한민국6.2. 세계
7. 역사 재현 오류8. 평가9. 미디어 믹스
9.1. 소설9.2. 뮤지컬9.3. 애니메이션
10. 기타
10.1. 캐스팅10.2. 속편 제작
11. 언어별 명칭1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MBC에서 2003~2004년 월화에 방영한 사극.[1] 조선 시대 궁녀 ' 서장금'이 의녀가 되기까지의 과정, 그리고 장금의 사랑과 성장을 그린 드라마이다. 여담으로 이병훈 PD가 MBC를 퇴사한 후 MBC에서 연출한 첫 작품이기도 하다.

파일:b43986f1ad14ebcd44fb0e4acea33ea8acda6ed8_s2_n0_y1.jpg

최고시청률 57.8%로 대한민국 역대 드라마 최고시청률 10위를 기록했으며, 평균시청률은 무려 46.3%로 역대 5위를 기록했다.[2]

2. 시놉시스


가. 조선조 의녀 '장금'의 성공담
남존여비의 봉건적 체제하에서 무서운 집념과 의지로 궁중최고의 요리사(料理師)가 되고, 우여곡절 끝에 조선 최고의 의녀(醫女)가 되어 어의(御醫)를 비롯한 수많은 내의원(內醫院) 남자 의원들을 물리치고 조선조 유일한 임금 주치의가 되었던 역사상 실존인물, 의녀(醫女) “ 장금”(長今)! 조선조 중종(1506-1544)때 “대장금”(大長今)이라는 엄청난 칭호까지 받은 전설적인 인물인 장금(長今)의 파란만장한 생애를 통해 그 동안 역사에 뭍혀 있던 한 여성의 의미 있는 성공사례를 소개합니다

나. 궁중내 하층민들 중심의 애환과 갈등
왕과 왕비, 후궁과 권신 중심의 권력쟁탈과 암투를 기본으로 엮는, 기존 궁중사극(宮中史劇)에서 벗어나, 미천한 신분의 주인공 장금(長今)을 중심으로 궁중내의 하층민(下層民)들인, 무수리, 나인, 상궁, 내시, 금군병사, 정원서리, 내의원 사령 및 의녀들의 갖가지 애환과 갈등을 궁중이면사(宮中裏面史)와 함께 우리 사극(史劇)에서 처음으로 보여줍니다.

다. 궁중요리를 중심으로 한 전통음식에 관한 모든 것
현대인들의 중요한 관심사로 대두된 음식문화(飮食文化)에 대한 정보를 궁중요리(宮中料理)를 중심으로 그 종류와 조리방법을 상세히 소개하고 아울러 보양식(補陽食)을 포함한 우리고유의 전통음식에 관한 모든 것을 시청자들에게 소개합니다.

라. 조선조 의학 상식 및 의녀제도에 대한 소개
그 내밀성(內密性) 때문에 의학의 금기(禁忌)로 여겨왔던 부인병(婦人病) 중심의 한방치료와 가정에서 여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던 갖가지 민간요법 그리고 세계 유일한 제도였던 “조선조 의녀제도”(醫女制度)와 특성과 운용, 의녀(醫女)와 의원(醫員)의 관계, 역할 등에 관하여 드라마에서 상세히 소개합니다. 특히 기존 의학드라마와 차별화하기 위해 약초학(藥草學), 부인병(婦人病), 일반침구(一般鍼灸)등 생활과 밀접한 내용의 질병을 주로 다룹니다.
주인공 장금이가 궁궐에 들어가 최초 어의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려낸 드라마.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장금/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시청률

당시 말 그대로 센세이션을 일으키면서 엄청난 흥행을 기록했다. 2003년 9월 15일 19.8%를 시작으로 한 시청률은 방송 1개월만인 9부에서 30%를 넘었으며, 결국 2003년 11월 10일 17부에서 40%를 돌파하였다.

이후 계속해서 40%의 시청률 고공행렬을 기록하다가 2004년 3월 극중 대반전과 최 상궁이 죽었던 48부에서는 기어이 51.4%로 50%의 벽을 뚫고 만다. 49부와 50부는 시청률이 40%대로 떨어졌지만 51부부터는 다시 50% 시청률에 복귀. 결국 종영 때까지 계속 50%를 기록하였으며 2004년 3월 23일 54부 마지막 회에서 최고시청률 57.8%를 기록하였다. 최종 평균시청률은 45.8%였다. 같은 시기에 방송했던 천국의 계단도 시청률이 40%를 넘을 정도로 화제작이었으나 대장금의 시청률을 넘지 못하고 주간 시청률이 2위로 끝마쳤다.

이병훈 PD의 경력이 묻어나는 연출력과 김영현 작가의 뛰어난 스토리텔링, 악역마저도 공감이 가는 입체적인 캐릭터 설정 등 다방면에서 호평을 받았다. 메인 스토리인 장금이의 인생역전과 사랑이 서스펜스적이면서도 감동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시청률이나 평단의 평가 모두, 국내외적으로 성공한 드문 케이스의 드라마가 되었다. 특히 시청률은 궤도에 오른 후부터 마지막 회까지 40~50%대 괴물 시청률을 유지했다.

5. 음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장금/OS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인기 및 영향

이 작품을 통해서 MBC의 전매특허인 트렌디 사극이 더욱 공고화되었다. 그리고 이 드라마의 각본을 맡은 김영현 작가는 이 작품을 계기로 사극 전문 작가로 전향한다.[3]

6.1. 대한민국

당시 말 그대로 센세이션을 일으키면서 엄청난 흥행을 기록했다. <대장금> 신드롬은 시청률에서 뿐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전방위적인 파장을 일으켰다. 모든 언론들은 앞다투어 ' 장금이 신드롬'을 기사화했으며, 정치권에서도 장금이 이미지를 차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장금이가 만들었던 요리는 책으로 출판되었으며, 대장금 테마파크도 운영되었다. ' 장금이의 꿈'이라는 애니메이션과 뮤지컬로 재창조되기도 했다.

실록에 단 몇 번 언급된 인물을 이렇게까지 재창조하여 사랑받을 수 있게 만든 것에는 작가 김영현의 역량, 이병훈 PD의 관록, 그리고 배우진의 열연이라는 요소가 적절히 배합된 데에 있다. 알려진 인물이 아니었다 보니 역사 왜곡 등의 논란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었고, 창작물 자체가 워낙 훌륭하다 보니 설령 왜곡 논란이 있었다 할지라도 금세 잠잠해졌을 것이다.

이전 작으론 예능인 '테마게임'을 집필하였으며 이후 드라마 '애드버킷'의 공동작가로 활동했던 김영현은 대장금으로 그야말로 역대급 필력을 보여주며 퓨전사극계의 신화로 자리 잡았다. 이후 '서동요', '선덕여왕', '뿌리 깊은 나무', '육룡이 나르샤' 등 레전드 작품들을 잇따라 선보였다. 이후 작품들은 작가 박상연과의 협업이었지만 대장금은 오롯이 혼자 쓴 작품으로 초반부 전개에서부터 후반부 마무리까지 어색하거나 부족한 부분 없이 완벽한 작품을 만들어냈다.

MBC 사극의 전설로 불리는 PD 이병훈은 늘상 비판받던 '올드한 연출'이라는 오명을 대장금을 통해 벗어내며 이후 작품들의 연이은 성공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주연급 배우였으나 큰 한방이 없어 잔잔한 연기생활을 하던 이영애는 이 작품을 통해 그야말로 스타배우 반열에 올라서게 되었다. 사극 출연이 처음은 아니었으나 대장금을 통해 본인의 연기 내공을 십분 발휘하며 드라마의 성공에 큰 기여를 했다. 배우 지진희 역시 대장금을 통해 큰 인기를 얻게 되었고 이 작품 이후로 여자 주연 배우를 묵묵히 서포트하는 남주 포지션에 가장 어울리는 배우로 자리잡게 된다. 악인이지만 미워할 수 없고 오히려 연민하게 되는 '금영' 역의 홍리나는 바로 이전작인 똑바로 살아라의 시트콤 이미지가 무색하게 연기변신에 성공해 큰 사랑을 받았다. 특히 자신의 신념과 집안의 악행 중간에 낀 인물의 고뇌와 갈등을 아련하게 표현해 한참 시간이 지난 지금도 악역 캐릭터론 손꼽히는 인물을 창조해냈다. 중종 역의 임호는 중후반부까지 '맛있구나'의 이미지로 소비되어 다소 저평가 받았으나 막판 장금을 연모하면서도 의녀로서 그 꿈을 지지하고 의술을 펼칠 수 있게 만들어주는 후원자의 역할을 제대로 해내며 극찬을 받았다. 특히 죽음을 앞두고 자신을 치료하는 장금의 얼굴, 손끝을 아련히 바라보는 장면은 임호의 연기력이 절정에 달한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옛 한국말로 쓴 노래 ' 오나라'도 대장금의 인지도에 힘입어 크게 히트했다. 당시 뿐만 아니라 지금도 간간이 회자되는 곡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았는지 2019년 기준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에도 수록되어 있다.

6.2. 세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장금/한류 열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역사 재현 오류

여기서 일부 의문점에 대해선 여러 해석이 가능하다. 최 상궁에 대해서는 허구 내지는 최 상궁의 비극적 최후를 극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연출진의 각색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원래대로라면 그대로 붙잡혀서 고문을 당하다가 죽었을 확률이 높았기 때문이다.[7] 작가도 이 부분이 걸렸는지 작중에서도 관리의 말을 빌어서 '설마 제조상궁이 도망갈 줄은 몰랐다' 라고 언급하고 (경계가 허술했다는 점) 최 상궁이 숨어있는 곳은 궁중 여인들이 있는곳[8]으로 아무리 의금부라고 하더라도 진입이 다소 어려운 지역들인 점을 감안하면 의금부보다는 내시부에서 수색해야 하는 곳들인데 작중 대비전 상궁이 '옛정을 생각해서 봐줄 테니 빨리 가시라, 나는 바로 내시부에 고할 것이다'라는 언급이나 나인들에게 발각 되었을 때도 나인>민 상궁>의녀 장금에게 알리고 장금이 민 상궁이 의금부에 고하는 걸 말리는 장면이 있다. 따라서 소문이 났지만 쉬쉬하였고 결정적으로 장금이가 최상궁이 스스로 죄를 고할 수 있게(죗값을 치를 수 있게) 봐준 것에 가깝다.

8. 평가

기존 사극에서 고작해야 왕을 유혹해 권세를 탐하는 발칙한 요부와 같은 모습으로 그려지던 궁궐 여성의 이미지를 깨버리고, 넘치는 도전 정신과 집념으로 당당하게 자신의 역경을 주체적으로 극복해가는 장금의 캐릭터는 여성계에서도 큰 호평을 받았다. 주인공 부터 조연까지 전면적으로 극을 이끌어가고 극을 끌어가는 캐릭터가 대부분 여성캐릭터라는 점이 평소 사극을 기피하던 젊은 여자 시청자들에게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주연급 배우들의 열연도 중요하지만 이 작품을 고평가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조연들의 엄청난 존재감 때문이다. 이병훈 PD의 페르소나로 불리는 임현식은 이 작품에서도 중요한 인물을 맡으며 극의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해냈고 그와 부부로 열연한 금보라 역시 무거운 분위기 속 단비 같은 역할을 해내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 작품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배우는 '한 상궁' 역의 양미경과 '최 상궁' 역의 견미리이다. 양미경은 그야말로 '한 상궁 신드롬'을 만들어내며 자신이 출연하기로 한 회차보다 10회나 연장한 27회에서야 퇴장하게 되었고 그 당시 '한 상궁 살리기 캠페인'이 벌어졌을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구가했다. 장금의 멘토이자 스승으로서 그 길을 이끌어주는 역할을 200%이상 해냈으며 죽음 직전 자신의 그토록 그리워하던 친구의 딸이 장금이라는 사실을 알게되자 감사함과 슬픔 그 중간의 감정을 애절하게 연기하며 배우 인생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견미리는 당초 맡기로 한 '한 상궁' 배역과 정반대인 악역 '최 상궁'을 급히 연기하게 되었지만 그런 비하인드가 없었던 사람처럼 연기하며 큰 사랑을 받았다. 나쁘기만 한 악인이 아니고 최고상궁 집안 출신으로 스스로 악행을 벌일 수 밖에 없었던 인물의 고통과 이면을 절절하게 연기했고 후반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은 레전드급 명장면으로 꼽힌다. 그 외에도 경합에서 패배한 후 자존심의 큰 상처를 입고 눈물을 쏟는 장면, 절친이자 자신의 손으로 죽게 만든 장금 엄마의 무덤에서 독백하는 장면은 견미리[9] 배우 인생의 가장 큰 성과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장금의 절친이자 돌아온 장금의 비빌 언덕이 되어주는 '연생' 역의 박은혜[10], '정 상궁' 역으로 열연한 여운계, 장금의 의녀 생활을 열어주는 '장덕' 역의 김여진[11], 중후반부 장금의 멘토, 스승 역할을 하는 '신익필' 역의 박은수 등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숱한 난관과 역경에 시달리면서도 심성을 잃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해서 이겨내고, 악인을 처리할 기회가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마음 속의 원한을 버리고 용서하며[12] 자신의 길을 정진하는 장금의 모습은 많은 시청자들에게 대리만족을 주었으며, 결국 장금이를 괴롭혔던 많은 악인들이 쓰러지고 자멸하는 모습은 많은 이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주었다.

9. 미디어 믹스

9.1. 소설

소설로 1~4권이 발배됐다. 대본을 원작으로 했지만 그 대본이 tv방영본이 아닌 초본이라 1, 2권은 방영분과 다른부분이 좀 있고 3권은 아예 tv와 달라졌다.

9.2. 뮤지컬

뮤지컬로도 제작되었다. 2007년 초연은 드라마를 그대로 옮겨놓은 버전이었는데 흥행은 신통치 못했다. 2008년 대폭 수정을 거쳐 경희궁 숭정전에서 '고궁 버전' 이라는 이름으로 올렸는데 제목만 '뮤지컬 대장금'이지 '뮤지컬 조광조'. 그래도 원 버전보다는 흥행에 성공했으며, 2009년 3회 더뮤지컬어워즈에서는 최우수재공연상과 남우신인상( 강태을)을, 15회 한국뮤지컬대상에서는 최우수작품상과 연출상을 수상했다. 근데 강태을은 돈주앙 때문에 탔는지 대장금 때문에 탔는지 애매하다. 사이트에도 돈주앙/대장금으로 나와있다.

9.3. 애니메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금이의 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기를 대신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작품을 토대로 나온 장금이의 꿈이라는 애니메이션이 있다. 대장금과는 틀만 같고 다른 전개로 진행되지만, 당시 한국 애니메이션 작품 치고는 꽤 수준이 높은 데다 살짝 귀여운 분위기도 있어서 상당한 인기몰이를 한 작품이다. 덕분에 만화화 되기도 했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

10. 기타

10.1. 캐스팅

10.2. 속편 제작

MBC에서 2012년 7월 제작을 목표로 대장금 2기를 만들 구상이라는 이야기가 터져나왔지만, 결국 대장금 2기 대신 그냥 이병훈 PD의 신작인 마의를 들고 나와서 일단은 무산되었다. 그러다 2013년 초부터 동년 7월에 다시 방영 예정이라는 얘기가 떴지만, 2013년 3월말 편성 불발 소식이 전해졌다.

2014년 3월 20일, 중국 유명 사이트인 알리바바, 바이두 등에서 약 300억~350억 가량의 투자금액을 받고 '대장금' 2 제작을 결정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극중 장금의 라이벌이었던 금영의 딸을 장금이가 수제자로 받아들인다고 한다. 7월부터 중국 현지 로케이션 촬영에 들어가 10월경에 보도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하지만 이영애가 출연을 최종적으로 고사하면서 이영애가 없는 작품이 나올 것으로 보였으나, 결국 제작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2024년 1월 30일 이영애가 의녀 대장금에 캐스팅 되었다는 기사가 나오면서 속편으로 예측되었으나, 대장금 작가의 발언에 의해 주연 배우만 동일한 다른 작품인 것이 알려진다. 의녀 대장금 참고.

11. 언어별 명칭

<colbgcolor=#19372d,#010101><colcolor=#d09b3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대장금()
러시아어 Жемчужина дворца(Zhemchuzhina dvortsa)
마인어 Jewel in the Palace
베트남어 Nàng Dae Jang-geum
스페인어 Una joya en el palacio
아랍어 جوهرة القصر(jawharat alqasr)
영어 Dae Jang Geum[17]/Jewel in the palace[18]
일본어 [ruby(宮廷女官, ruby=きゅうていにょかん)]チャングムの[ruby(誓, ruby=ちか)]い(Kyūteinyokanchangumunochikai)[19]
중국어 [20]/ 大长今(Dà chǎng jīn)( 표준 중국어)
Thai Chhòng-kîm( 객가어)
Tāi Chióng-kim( 민남어)
태국어 แดจังกึม จอมนางแห่งวังหลวง(Dæ cạng kụm cxm nāng h̄æ̀ng wạngh̄lwng)[21]
튀르키예어 Saraydaki Mücevher[22]
페르시아어 جواهری در قص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19372d,#010101> 루마니아어 Giuvaierul palatului
벵골어 দাই জাং গিউম(Dā'i jāṁ gi'uma)
불가리아어 Съкровище в двореца(Sŭkrovishte v dvoretsa)
싱할라어 දේ ජං ගුම්(dē jaṁ gum)
우즈베크어 Saroy javohiri
쿠르드어 گەوھەری کۆشک(소라니 방언)
파슈토어 په قصر کې زیورات
폴란드어 Klejnot w pałacu
헝가리어 A palota ékköve }}}}}}}}}

12. 둘러보기

1990년대 이후
한국 TV 드라마 시청률 TOP 100
{{{#!wiki style="margin: 0 -10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margin: 0 -1px"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첫사랑 사랑이 뭐길래 모래시계 허준
<rowcolor=#fff>
5위
6위
7위
8위
젊은이의 양지 그대 그리고 나 아들과 딸 태조 왕건
<rowcolor=#fff>
9위
10위
11위
12위
여명의 눈동자 대장금 파리의 연인 보고 또 보고
<rowcolor=#fff>
13위
14위
15위
16위
진실 질투 바람은 불어도 목욕탕집 남자들
<rowcolor=#fff>
17위
19위
20위
21위
국희
청춘의 덫
토마토 M 폭풍의 계절
<rowcolor=#fff>
22위
23위
24위
25위
주몽 야인시대 엄마의 바다 제빵왕 김탁구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내 이름은 김삼순 야망의 전설 여인천하 아들의 여자
<rowcolor=#fff>
30위
31위
32위
33위
용의 눈물 하나뿐인 내편[통합시청률] 별은 내 가슴에 넝쿨째 굴러온 당신
<rowcolor=#fff>
34위
35위
37위
39위
야망 서울의 달
정 때문에
마지막 승부
솔약국집 아들들
내 딸 서영이
<rowcolor=#fff>
40위
42위
43위
44위
왕가네 식구들
이브의 모든 것
댁의 남편은 어떠십니까 신데렐라 인어 아가씨
<rowcolor=#fff>
45위
46위
47위
49위
올인 황금빛 내 인생 사랑할 때까지
찬란한 유산
소문난 칠공주
장밋빛 인생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파일럿 딸부잣집 마지막 전쟁 애정의 조건
<rowcolor=#fff>
55위
56위
57위
59위
미스터Q 사랑을 그대 품안에 선덕여왕
하늘이시여
웃어라 동해야
<rowcolor=#fff>
60위
61위
62위
63위
겨울새 미우나 고우나 왕과 비 장미와 콩나물
<rowcolor=#fff>
64위
65위
66위
67위
수상한 삼형제 너는 내 운명 천국의 계단 신고합니다
<rowcolor=#fff>
68위
70위
71위
72위
가족끼리 왜 이래
사랑과 성공
이 여자가 사는 법 장희빈 엄마가 뿔났다
<rowcolor=#fff>
73위
74위
77위
79위
코리아게이트 가을동화
예감
해를 품은 달
그 여자네 집
전원일기
가을 여자
<rowcolor=#fff>
80위
81위
83위
84위
엄마야 누나야 약속
좋은걸 어떡해
명랑소녀 성공기 꿈의 궁전
<rowcolor=#fff>
85위
86위
87위
89위
사랑해 당신을 산다는 것은 발리에서 생긴 일
해피투게더
풀하우스
<rowcolor=#fff>
90위
93위
94위
95위
굳세어라 금순아
억새 바람
자이언트
모래 위의 욕망 종합병원 제3공화국
전설의 고향 1996
<rowcolor=#fff>
97위
98위
99위
100위
날마다 행복해 우리들의 천국 일출봉
{{{-2 {{{#!folding
}}}}}}}}}



[1] 2005년 11월 5일부터 2007년 2월 23일까지 'MBC 명작드라마'로 재방영되었는데, 2006년 11월 4일까지는 토요일 오전 9시 44분, 2006년 11월 10일부터 마지막회까지는 금요일 낮 12시 35분에 방송되었다. 사실 지금도 케이블에선 종종 편성되고 있다. [2] 단순 수치만으로도 대단하지만, 순위에 오른 드라마들 대부분이 90년대인걸 감안하면 인터넷 문화가 급속도로 발달하던 시기인 2000년대 초에 유일하게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다는 것은 괄목할 만한 수치. 심지어 위 드라마들 중 대장금과 방영기간이 가장 차이가 적게나는 태조 왕건조차 무려 3년이나 차이가 난다. [3] 후에 김영현 작가는 선덕여왕에서 전무후무한 레전드 캐릭터인 미실을 탄생시켰다. 대장금, 미실은 연기대상을 탔다. [4] 물론 뒷배를 써 숙원의 허락을 받기는 했지만 아무리 숙원이 인정했다고는 하지만 이 사실이 윗선에 보고되지 않을 리가 없고 그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5] 고혈압이라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음식 관리를 까다롭게 해야 난산을 피할 수 있는데, 오히려 고량진미를 올려야 한다고 처방한다. 지병만 아니면 문제가 없는 처방이기 때문에 발각되더라도 발뺌을 하면 된다고 생각한 듯. [6] 신익필은 "신비조차도 잡아낸 맥이다. 네가 모른다는게 말이 되지 않는다."라고 일축해버린다. [7] 이러한 형태의 최후는 최판술이 유배지로 가는 도중 장독이 올라 객사하는 것으로 표현되긴 하였다. [8] 대비전 상궁을 만나는 장면이 있다. [9] 이 작품의 인연으로 이병훈 PD의 이산에선 혜경궁 홍씨 역을 맡게 된다. [10] 이 작품의 인연으로 이병훈 PD의 이산에선 효의왕후 김씨 역을 맡게 된다. [11] 이 작품의 인연으로 이병훈 PD의 이산에선 정순왕후 김씨 역을 맡게 된다. 주인공 정조의 아치에너미 역할이자 악역으로 활약하였고 이 인물은 김여진의 대표 캐릭터가 된다. [12] 근데 드라마 보면 알겠지만, 장금이 캐릭터는 마냥 착해서 쉽게 남을 용서해주고 이런 캐릭터는 아니다. 은근히 똥고집 실제로 제주도 유배 후 처음에는 복수심에 불타는 모습을 보여주어 정운백에게 크게 혼나는(이 때 장덕이 자신도 복수심에 침을 잡았다며 대신 쉴드를 쳐주기도 했다.) 모습도 보인다. 장금의 용서는 의녀로 재입궁해서 여러 일을 겪으며 상당히 치열한 고민을 한 끝에 이루어진 것이기에 개연성이 있다. [13] 대장금이 태어나기 전, 서천수와 박 나인이 만나는 파트. [14] 유튜브의 광고 수익 배분은 전세계 공통 55%로, 방송사들이 이에 불응하여 광고료 협상을 하였으나 합의되지 않고, 한국 사이트에 90%로 계약한 것. 링크, 링크 2, 링크 3. [15] 김현주, 송혜교 등도 서장금 역 물망에 한때 거론되었는데, 공교롭게도 김현주는 당시 송혜교가 여주인공으로 나온 KBS 2TV 가을동화의 유력한 여주인공이었다고 한다. [16] 김정은은 '그녀는 짱' 뿐 아니라 '대장금', '그녀는 짱'이 끝난 뒤 시작된 SBS 화요 예능 프로그램 '최수종쇼' 보조 MC 출연을 고사했다. [17] 한국 로마자 표기 영어 이름. [18] 유튜브 영상 공식 영어 이름. [19] 궁녀 장금의 맹세 [20] 한국 대장금에서도 차회예고 때 항상 한자로도 주로 쓰인다. [21] 왕궁의 여왕 대장금 [22] 궁전의 보석. '궁전의 보석' 자체는 튀르키예가 처음으로 번역한 제목이며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이 번역명을 사용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