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colbgcolor=#dddddd,#222>로마자 표기 | |
RR식 표기 | Namgung |
MR식 표기 | |
통용 표기 |
1. 개요
남궁(南宮)은 한국의 성씨 중 하나로 인구는 2015년 기준 21,308명으로 한국에 현존하는 복성(複姓: 두 글자로 된 성씨) 중 가장 많은 성씨이다(2번째는 황보). 본관은 전북특별자치도이지만 실제 인구 분포는 강원특별자치도에 집중적으로 모여 있으며, 그 중에서도 홍천군에 가장 많다.[1] 홍천 외에는 홍천과 가까운 춘천시, 경기도 가평군, 그리고 서울 도봉구에 제법 많이 거주한다.[2] 그 밖에는 충청남도 부여군 등에 집성촌이 있기도 하다.한국에서는 흔치 않은 중국계 성씨로 추정된다. 전설상 남궁씨의 원조(遠祖)는 주나라 때 기자와 함께 고조선으로 온 남궁수(南宮修)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계 남궁씨는 본래 주나라의 황족인 희(姬)성으로부터 파생된 성씨로, 주나라 황실과 연결된 희성 남궁씨였으나 이후 성과 씨의 구분이 모호해지며 성씨로 굳어졌다 . 시조는 고려 성종 때의 대장군이었던 남궁원청(南宮元淸)이며 본관은 함열 단 하나뿐인데 함열(咸悅)은 2021년 현재 익산시 함라면을 중심지로 삼은 조선시대의 고을로 익산시 함열읍으로 그 이름을 잇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로마자 표기는 Namgung이다. 2011년 외교부 여권 통계에 따르면 Namgung이 약 41%, Namkung이 약 27%, Namkoong이 약 14.4%, Namgoong이 약 14.1%, Namgoung이 약 1.5%, Namkoung이 약 1.3%, Namgong 등 다른 표기는 1% 미만이다.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모두 Namgung이다.
복성 집안이 으레 그렇듯 한국에서 보편적인 세 글자 이름을 맞추기 위해 외자 이름을 쓰는 경우가 많은 편이라, 같은 한자가 들어가 있는 남(南)씨에 이름 가운뎃자리가 '궁' 자인 것으로 혼동하기 쉽다. 이를테면 배우 남궁민이 초등학생 시절에 그의 이름을 '남궁+민'이 아닌 '남+궁민'인 줄 알고 있던 친구들이 그의 집으로 전화해서, 아버지가 받으면 '궁민이 있어요?'라고 묻곤 했다고 한다. 남궁민의 아버지는 가문의 성을 잘못 부르는 것을 매우 싫어하여 "궁민이 없다"면서 전화를 끊었다고 하며, 반드시 "민이 있어요?"라고 해야 남궁민에게 바꿔주었다고 한다. 물론 실제로 성씨가 남 외자이고 이름이 궁으로 시작하는 사람이 아예 없지는 않지만, 한국의 작명 정서상 이름에 궁이 들어가는 경우는 아주 드물기 때문에 대부분은 남궁씨일 가능성이 아주 높다.[3][4]
일본에도 한자가 동일한 '南宮'으로[5] 똑같은 성씨가 있지만, 이 쪽은 한국의 남궁씨와 전혀 관련없는 이와테현에서 유래된 성씨이다. 그냥 우연히 한자만 같을 뿐이다. 다만 이 덕분에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 제국에서도 일본계 한국인으로 오인해 남궁씨는 류씨, 임씨[6]의 경우와 비슷하게 창씨개명을 하지 않아도 그냥 넘어간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무협소설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성이다. 남궁세가 문서 참조. 꽤나 유서깊은 성씨라 무협에서는 주로 엘리트 느낌의 가문으로 나오지만, 무협에서 자주 나오는 것에 비하면 실질 인구수가 적다 보니 전국시대 이후로 남궁씨 인물이 많지는 않다.
현대중국에서는 560위 정도의 성씨이며 한족만 사용하고 있는 성씨이다.
2. 실존 인물
- 남궁경호 - 한국의 개그맨
- 남궁곤 - 정치학자, 교수[7]
- 남궁근 - 행정학자, 교수
- 남궁도 & 남궁웅 형제 - 한국의 축구 선수
- 남궁련 - 극동해운 창업주
- 남궁린 - 아역 배우
- 남궁민 - 한국의 배우
- 남궁민 - EBSI 국어 영역 강사
- 본이 (남궁본) - 유튜버
- 남궁석 - 기업인, 정치인
- 한승아 (남궁선화) - 한림법학원, 윌비스고시학원 PSAT 언어논리 강사[8]
- 남궁솔 - 인터넷 방송인
- 안녕수야 (남궁수) - 인터넷 방송인
- 남궁억 - 독립운동가
- 남궁연 - 한국의 드러머, 방송인
- 남궁영 - 한국의 행정공무원
- 남궁옥 - 헌종~철종 시기 조선의 무관
- 남궁옥분 - 한국의 가수
- 남궁유
- 남궁윤 - 한국의 남자 성우
- 여진 (남궁은영) - 한국의 가수, 작사가, 작곡가
- 남궁인 - 응급의학과 전문의 겸 작가
- 남궁준 - 한국의 정치인
- 남궁진 - 전 문화관광부 장관
- 남궁형 - 정치인
- 남궁혜미 - LG 트윈스 치어리더
- 남궁훈 - 카카오 전 대표
- 남궁성훈 - 현 젠지 2군 프로게이머
2.1. 남궁씨를 예명으로 쓰는 인물
3. 가상 인물
- 남궁건 - 어쩐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저녁
- 남궁건우(본명: 이건태) -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 남궁달 - 방과 후 옥상[11]
- 남궁란마, 남궁민 - 란마 1/2
- 남궁도위, 남궁황, 남궁단, 남궁명 등 - 화산귀환
- 남궁동자 - 최요한의 동명 소설.
- 남궁린
- 남궁민수 - 설국열차
- 남궁민지 - 충전시켜주세요![12]
- 남궁두 - 남궁 선생전
- 남궁베드로
- 남궁비, 남궁연신 - 한백무림서 무당마검
- 나루미 아사카(한국명: 남궁사라) - 카드파이트!! 뱅가드
- 남궁상 - 비뢰도
- 남궁선녀( 남궁복숭) - 매지컬 고삼즈
- 남궁소연 - 판타지 장편소설 이계 마검사에 등장.
- 남궁우성 - 킬더킹(웹툰)
- 키리후다 쇼부(한국명: 남궁승리) - 듀얼마스터즈
- 남궁신재 -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
- 남궁쌍도 - YAIBA
- 남궁씨 - 우황청심환(소설)[13]
- 남궁카이 - 따끈따끈 베이커리
- 세이바 레츠 & 세이바 고(한국명:남궁열 & 남궁호) - 우리는 챔피언
- 남궁유 - 실혼전기
- 남궁혁- 캐슬[14]
- 남궁현배 - 열혈강호
- 남궁현우, 남궁지수 - 연애혁명
- 남궁예지 - 알랑말랑(웹드라마)
- 남궁현자 - 기생충(영화)[15]
- 남궁민 - 랜덤채팅의 그녀!
- 남궁시운 - 새빛남고 학생회
- 남궁윤 - 소녀, 감정을 배우다
- 남궁재수 - 내일
- 남궁지원 - 1초
- 남궁앤드류, 남궁덕수 - 모할라
- 남궁수·남궁미 남매, 남궁제학, 남궁천 - 일타강사 백사부
- 남궁시현 - 파워퀀텀맨
[1]
한서
남궁억 선생의 본적이 홍천군이었다.
[2]
가평군에는 특히
청평면 하천리, 청평리 일대가 집성촌으로 알려져 있다.
[3]
이는 같은 복성인
황보씨와는 또 다른 부분이다. 황씨는 남씨보다 많고 이름이 보로 시작하는 사례도 많으나, 황보씨는 남궁씨보다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다만 황보씨가 남궁씨 다음으로 많은 복성이기는 하다.
[4]
촌스러운 글자들은 나이가 많은 고령층에선 다소 보이지만 '궁' 자는 신세대는 커녕 노년층에서조차 거의 없다. 그리고 이렇게 '궁' 자가 사람 이름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는 점과 남궁씨 자체가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복성이라는 점 때문에 역설적으로 남궁씨인 사람들은 다른 복성에 비해 이름 가운뎃자리 혼동 문제가 적은 편이긴 하다.
[5]
미나미야, 미나미노미야, 난큐 등으로 읽힌다.
[6]
일본식 독음으로는 각각 '야나기'와 '하야시'로 둘 다 흔한 성씨다.
[7]
이화여자대학교 정유라 특혜 논란 항목 참조
[8]
강사명으로 한승아로 쓰고 있다.
[9]
본명은 홍경일.
[10]
본명은 이재불.
[11]
참고로 극중에서는 급우들에게 '궁달'로 많이 불린다.
[12]
작중 임미래의 친구로 나온다.
[13]
이름이 아니라, 말 그대로 남궁씨 성을 가진 사람이다.
[14]
다만 작중 김재훈이 그를 남이사라고 불러 남씨일 가능성도 있다. 다만 단순히 김재훈이 무식한 것일 수도 있다.
[15]
직접 등장하지는 않고 인물들의 입을 통해 언급만 되는 건축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