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모양의 한자 囗에 대한 내용은 囗 문서 참고하십시오.
口 입 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3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コウ, ク
|
||||||
일본어 훈독
|
くち
|
||||||
-
|
|||||||
표준 중국어
|
kǒu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口의 필순 |
[clearfix]
1. 개요
口는 '입 구'라는 한자로, 신체 ' 입', ' 구멍'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입 |
음 | 구 | |
중국어 | 표준어 | kǒu |
광동어 | hau2 | |
객가어 | khiéu[文] / héu[白] | |
민북어 | kě | |
민동어 | kēu[文] / kāu[白] | |
민남어 | khió[文] / kháu, káu[白] | |
오어 | kheu (T2) | |
일본어 | 음독 | コウ, ク |
훈독 | くち | |
베트남어 | khẩu |
유니코드에는 U+53E3에 배당되었으며, 주음부호로는 ㄎㄡˇ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R(口)로 입력한다.
口는 기본적으로 입이라는 뜻이지만, 언어별로 구멍, 말, 말하다, 문, 어귀, 인구수 같이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추가되기도 한다.
口의 이체자로는 𠙵[7][8]와 𠮚[9][10]가 있다. 일부 웹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
口는 입의 모양[11]을 본뜬 상형자이다. 형태가 간단하고 직관적이어서 한자가 상형문자에서 변화를 거치는 모습을 보여줄 때 예시로 매우 많이 드는 글자의 하나다.
2.1.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 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 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口는 대단히 많은 한자들이 가진 구성요소의 하나다. 일단 口의 부수인 입구부는 강희자전에서 분류된 30번째 부수인데, 1,146개에 이르는 한자들이 삼는 부수로 초두머리, 삼수변에 이어 최대 수준이다. 또한 부수가 아닌 구성 요소로서도 셀 수 없이 많은 한자들이 가졌는데, 덕분에
외래어나 방언 단어의 발음만을 나타내기 위한 글자를 만들 때 같은 발음의 한자 옆에 입구부를 변으로 붙여 만드는 일이 많다. 그래서 주로 啦, 喺과 같은 방언자들이 많다. 그 외에 입과 관련없이 口가 지사 부호로 들어간 한자도 꽤 많다.
큰입구몸( 囗)과는 다른 글자이다. 큰입구몸은 몸[12]으로써 사용되는 부수이다. 이따금 한자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四, 固와 같은 글자의 부수를 입구부로 착각하기도 한다. 또한 가타카나 ロ와 혼동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자. 이 둘은 모양만 같을 뿐, 발음과 형성기원이 다르다. 한글 ㅁ도 유사한데, 口와 ㅁ은 똑같이 입을 상형하여 만들어진 글자다.
3. 용례
기초 한자다 보니 매우 흔히 쓰이며 주로 입, 말, 인원수 등을 나타내는 뜻으로 쓰인다.3.1. 단어
- 가구( 家口)
- 개찰구( 改 札口)
- 갱구( 坑口)
- 경구( 經口)
- 경구개음( 硬口 蓋 音)
- 구강(口 腔)
- 구개(口 蓋)
- 구개수음(口 蓋 垂 音)
- 구개음화(口 蓋 音 化)
- 구결(口 訣)
- 구경(口 徑)
- 구두(口 頭)
- 구두계약(口 頭 契 約)
- 구두교(口 頭 交)
- 구두변론(口 頭 辯 論)
- 구두선(口 頭 禪)
- 구두설명(口 頭 說 明)
- 구두시문(口 頭 試 問)
- 구두시험(口 頭 試 驗)
- 구두심리(口 頭 審 理)
- 구두심판(口 頭 審 判)
- 구두약속(口 頭 約 束)
- 구두위임(口 頭 委 任)
- 구두주의(口 頭 主 義)
- 구령(口 令)
- 구미(口 味)
- 구비문학(口 碑 文 學)
- 구설수(口 舌 數)
- 구술(口 述)
- 구실(口 實)
- 구어(口 語)
- 구전(口 傳)
- 구제역(口 蹄 疫)
- 구초(口 招)
- 구취(口 臭)
- 구호(口 號)
- 근구( 近口)
- 대구( 大口)
- 분화구( 噴 火口)
- 비상구( 非 常口)
- 식구( 食口)
- 연구개음( 軟口 蓋 音)
- 인구( 人口)
- 입구( 入口)
- 창구( 窓口/ 創口/ 瘡口/ 艙口)
- 출구( 出口)
- 통풍구( 通 風口)
- 포구( 浦口)
- 치경구개음( 齒 莖口 蓋 音)
- 함구( 緘口)
- 항구( 港口)
- 호구( 戶口)
- 화구( 火口)
3.2. 고사성어/ 숙어
고사성어에도 단골로 출현한다.- 구밀복검(口 蜜 腹 劍)
- 무구지보( 無口 之 輔)
- 양약고구( 良 藥 苦口)
- 유구무언( 有口 無 言)
- 이구동성( 異口 同 聲)
- 이목구비( 耳 目口 鼻)
- 일구이언( 一口 二 言)
- 중구난방( 衆口 難 防)
- 함구불언( 緘口 不 言)
- 호구지책( 糊口 之 策)
3.3. 인명
口자는 일본인의 성씨에 많이 쓰인다. 특히 야마구치(山口)와 노구치(野口)는 일본 성씨 빈도 순위 중 100위 내에 든다.[13] 반면 한국과 중국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노구치 고로( 野口 五 郎)
- 노구치 유메( 野口 由 芽)
- 노구치 히데요( 野口 英 世)
- 다구치 나츠미( 田口 夏 実)
- 다구치 소( 田口 壮)
- 다구치 히로코( 田口 宏 子)
- 데구치 유이나( 出口 結 菜)
- 모리구치 히로코( 森口 博 子)
- 미조구치 겐지( 溝口 健 二)
- 사카구치 다이스케( 阪口 大 助)
- 사카구치 리코( 坂口 理 子)
- 사카구치 안고( 坂口 安 吾)
- 사카구치 슈헤이( 阪口 周 平)
- 사카구치 켄지( 坂口 憲 二)
- 사카구치 켄타로( 坂口 健 太 郎)
- 사카구치 코이치( 坂口 候 一)
- 야마구치 마유미( 山口 眞 弓)
- 야마구치 마이( 山口 舞)
- 야마구치 마호( 山口 真 帆)
- 야마구치 모모에( 山口 百 恵)
- 이구치 유카( 井口 裕 香)
- 카와구치 리나( 川口 莉 奈)
- 카와구치 카츠미( 川口 克 己)
- 카와구치 하루나( 川口 春 奈)
- 타니구치 메구( 谷口 めぐ)
- 타니구치 아이리( 谷口 愛 季)
- 타니구치 지로( 谷口ジロー)
- 타니구치 타카시( 谷口 節)
- 토키도 - 본명 타니구치 하지메( 谷口 一)
- 토요구치 메구미( 豊口めぐみ)
- TAG - 본명 다구치 야스히로( 田口 康 裕)
3.4. 지명
3.4.1. 국내
3.4.2. 해외
3.5. 나라별로 다른 용례
일본 한자음은 입이라는 뜻으로 쓰는 경우가 별로 없다. 음독인 'く'에는 그릇이나 도구, 인구를 세는 뜻이 있으며, 한자음인 'こう'에는 구멍이라는 뜻이 있다. ' むくち( 無 口)'처럼 '입'이나 '말'을 나타낼 때 보통 훈으로 'くち'라고 읽는다. 그리고 한국이나 중국에서는 入口등의 일부 용례에서만 문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일본에서는 東口(동쪽 출구), 北口(북쪽 출구)등 출입구의 의미로서도 사용된다.중국어로는 입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주로 입 자체 보다는 입으로 하는 행위(먹다, 말하다 등)를 칭하는 경우에 쓰이며, 생물학적 기관으로써의 입은 보통 嘴를 주로 사용한다.
4. 기타
口는 사각형이 한 개이다. 그런데 입 구와 같이 사각형만으로 이루어진 한자가 몇 개 더 있다.- 한 개: 口(입 구)
- 두 개: 日(날 일), 曰(가로 왈), 回(돌아올 회), 吕(성씨 려/여, 법칙 려/여), 囙(인할 인), 吅(부르짖을 훤, 엄할 엄)
- 세 개: 罒(그물 망), 目(눈 목), 品(물건 품)
- 네 개: 田(밭 전), 㗊(뭇입 집), 昌(창성할 창)
- 다섯 개: 囬(돌아올 회), 唱(노래 창)
- 여섯 개: 晶(맑을 정)
-
아홉 개:
囲(에워쌀 위)
정자는 圍이며 이 자형은 일본에서 쓰이는 신자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