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2:00:53

PokéRogue/바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PokéRogue
1. 개요2. 바이옴 종류
2.1. 마을(Town)2.2. 평원(Plains)2.3. 엔드(End)

1. 개요

파일:PokéRogueWikiMap.png
공식 위키 제공 바이옴 분포도
포켓로그에는 35개의 바이옴이 존재한다. 각 바이옴마다 나타나는 포켓몬 및 트레이너, 체육관 관장이 다르며, 연결된 바이옴도 각기 다르다. 클래식 모드 데일리 런에서는 10웨이브마다 바이옴이 변경되고, 엔들리스 모드에서는 랜덤하게 1~4웨이브마다 바이옴이 변경된다. 지도(Map) 아이템이 있는 경우, 일정 확률로 다음 진행 바이옴을 선택하여 이동할 수 있다.

각 바이옴에서는 포켓몬별로 희귀도에 따라 출현 확률이 정해져 있다. 총 다섯 단계의 희귀도가 존재하며, 각 웨이브마다 1~512의 난수를 굴려 그에 따라 결정되는 방식이다. 이 때 행운 수치가 있을 경우, 이 난수의 최대치가 행운 수치의 2배만큼 줄어든다. 만약 최대 행운 등급인 SSS등급, 즉 행운 수치가 14포인트일 경우 난수의 최대치는 512에서 14의 2배인 28을 뺀 484가 된다. 이로 인해 보통 등급의 출현 확률이 줄어들면서 상대적으로 희귀도가 높은 포켓몬의 출현 확률이 늘어나게 된다.
일반 출현 확률
<rowcolor=#ffffff> 희귀도 난수 범위 기본 확률 최대 행운 확률
보통(common) 512 ~ 157 356/512 (69.53%) 328/484 (67.77%)
드묾(uncommon) 156 ~ 33 124/512 (24.22%) 124/484 (25.62%)
레어(rare) 32 ~ 7 26/512 (5.08%) 26/484 (5.37%)
수퍼 레어(super rare, SR) 6 ~ 2 5/512 (0.98%) 5/484 (1.03%)
울트라 레어(ultra rare, UR) 1 1/512 (0.20%) 1/484 (0.21%)

또한 관장 및 챔피언, 엔들리스 모드에서는 패러독스 포켓몬과 무한다이노가 출현하지 않는 10의 배수의 웨이브에서는 특별히 보스 포켓몬이 출현하며, 이 보스 출현 확률에는 '드묾(uncommon)' 등급이 없다. 일반 웨이브와 달리 1~64의 전용 난수를 굴려 출현 포켓몬을 결정하며, 행운 수치가 있을 경우 난수의 최대치는 행운 수치의 절반만큼 줄어든다. 최대 행운인 SSS등급(14포인트)일 경우, 난수의 최대치는 64에서 14의 절반인 7을 뺀 57이 된다.
보스 출현 확률
<rowcolor=#ffffff> 희귀도 난수 범위 기본 확률 최대 행운 확률
보통(common) 64 ~ 21 44/64 (68.75%) 37/57 (64.91%)
레어(rare) 20 ~ 7 14/64 (21.9%) 14/57 (24.56%)
수퍼 레어 (super rare, SR) 6 ~ 2 5/64 (7.8%) 5/57 (8.77%)
울트라 레어(ultra rare, UR) 1 1/64 (1.6%) 1/57 (1.75%)

또한 게임 내 시간에 따라 등장하는 포켓몬 및 몇몇 포켓몬의 진화 루트가 달라진다. 하루는 40웨이브로 구성되며, 낮 - 황혼 - 밤 - 새벽 순으로 반복된다. 단, 심연 바이옴에서는 웨이브에 상관없이 항상 밤으로 취급된다. 시작 시의 시간은 5의 배수(5, 15, 25, 35)에서 무작위로 결정되므로, 처음으로 시간이 바뀌는 타이밍은 6, 11, 16웨이브 중 하나다.
하루의 구성
<rowcolor=#ffffff> 시간 소요 웨이브
낮(Day) 0 ~ 14
황혼(Dusk) 15 ~ 19
밤(Night) 20 ~ 34
새벽(Dawn) 35 ~ 39

2. 바이옴 종류

특정 시간대에만 출현하는 포켓몬은 현호 안에 시간대를 표시하였고, 별도 표기가 없는 경우 아무 때나 출현한다. 진행 레벨에 따라 점차 진화형이 등장하고, 어느 정도 레벨 이상이 되면 미진화형은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바이옴 정보

2.1. 마을(Town)

이동
(없음) 마을 평원 (100%)
필드 BGM
1~4단계
6~10단계

1~10단계의 고정 바이옴. 8단계에서 라이벌과 1차전이 고정되어 있다.

2.2. 평원(Plains)

이동
마을 (100%) 평원 풀밭 (66%)
공장 (75%)
대도시 (33%)
도장 (66%)
호수 (33%)
초원 (50%)
필드 BGM


11~20단계의 고정 바이옴.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성신체육관의 3인방 ( 덴트, , )과 체렌.
===# 대도시(Metropolis) #===
이동
평원 (33%) 대도시 슬럼 (100%)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모야모, 청목, 종길, 꼭두.
===# 슬럼(Slum) #===
이동
대도시 (100%) 슬럼 공사장 (100%)
필드 BGM

등장 체육관 관장은 두송. 이론 상 대도시와 도장에서 체육관 관장을 상대하고 평원으로 돌아와 대도시를 한번 더 방문할 경우 볼 수 있다.
===# 공사장(Construction Site) #===
이동
슬럼 (100%) 공사장 발전소 (50%)
연구소 (100%)
도장 (50%)
호수 (33%)
필드 BGM

등장 체육관 관장은 사도, 마티스, 암페어.
===# 도장(Dojo) #===
이동
공사장 (50%) 도장 평원 (66%)
신전 (33%)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철구, 코르니, 자두, 채두
===# 발전소(Power Plant)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시트론, 카밀레, 전진
===# 공장(Factory) #===
이동
발전소 (100%) 공장 평원 (87.5%)
연구소 (12.5%)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동관, 규리.
===# 연구소(Laboratory)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비주기.
===# 풀숲(Grass) #===
필드 BGM

===# 높은 풀숲(Tall Grass)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콜사, 유채, 비올라
숲, 동굴로 이어진다
===# 숲(Forest)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호일, 아티, 단풍
정글, 목초지(초원)로 갈림
===# 정글(Jungle) #===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후쿠지
===# 사원(Temple)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멜리사
===# 늪지(Swamp)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도희, 보미카
묘지와 높은 풀숲으로 이어진다.
===# 묘지(Graveyard)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어니언, 유빈, 라임

===# 심연(Abyss) #===
이동
묘지 (100%) 심연 동굴 (33%)
우주 (33%)
황무지 (33%)
필드 BGM
일반 출현
보통 파일:icon0198_f00_s0.png 니로우 파일:icon0228_f00_s0.png 델빌 파일:icon0229_f00_s0.png 헬가 파일:icon0302_f00_s0.png 깜까미 파일:icon0509_f00_s0.png 쌔비냥
파일:icon0510_f00_s0.png 레파르다스 파일:icon0624_f00_s0.png 자망칼 파일:icon0625_f00_s0.png 절각참 파일:icon0827_f00_s0.png 훔처우 파일:icon0828_f00_s0.png 폭슬라이
파일:icon0859_f00_s0.png 메롱꿍 파일:icon0860_f00_s0.png 쏘겨모 파일:icon0861_f00_s0.png 오롱털 파일:icon0942_f00_s0.png 오라티프 파일:icon0943_f00_s0.png 마피티프
파일:icon0983_f00_s0.png 대도각참
레어 파일:icon0359_f00_s0.png 앱솔 파일:icon0442_f00_s0.png 화강돌 파일:icon0570_f00_s0.png 조로아 파일:icon0571_f00_s0.png 조로아크 파일:icon0633_f00_s0.png 모노두
파일:icon0634_f00_s0.png 디헤드 파일:icon0635_f00_s0.png 삼삼드래
SR 파일:icon0197_f00_s0.png 블래키
UR 파일:icon0491_f00_s0.png 다크라이 파일:icon0146_f01_s0.png 파이어
보스 출현
보통 파일:icon0229_f00_s0.png 헬가 파일:icon0302_f00_s0.png 깜까미 파일:icon0359_f00_s0.png 앱솔 파일:icon0430_f00_s0.png 돈크로우 파일:icon0442_f00_s0.png 화강돌
파일:icon0510_f00_s0.png 레파르다스 파일:icon0571_f00_s0.png 조로아크 파일:icon0635_f00_s0.png 삼삼드래 파일:icon0828_f00_s0.png 폭슬라이 파일:icon0861_f00_s0.png 오롱털
파일:icon0943_f00_s0.png 마피티프 파일:icon0983_f00_s0.png 대도각참
레어 파일:icon0197_f00_s0.png 블래키 파일:icon0503_f01_s0.png 대검귀
SR 파일:icon0491_f00_s0.png 다크라이
UR 파일:icon0484_f00_s0.png 펄기아 파일:icon0717_f00_s0.png 이벨타르 파일:icon0146_f01_s0.png 파이어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마리
===# 초원(Meadow)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알로에, 아킬
===# 페어리 동굴(Fairy Cave) #===
이동
초원 (50%) 페어리 동굴 얼음 동굴 (66%)
우주 (33%)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마슈, 포플러, 비트
===# 우주(Space)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고지카
===# 고대 유적(Ancient Ruins) #===
필드 BGM

우주에서 나오는 곳. 숲과 연결된다.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풍&란, 초련, 리파
===# 황무지(Wasteland) #===
심연과 산 바이옴에서 나오는 곳.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이향, 사간, 금랑
===# 악지(Badlands) #===
이동
동굴 (50%) 악지 사막 (50%)
황무지 (100%) 산 (50%)
일반 출현
보통 파일:icon0050_f00_s0.png 디그다 파일:icon0051_f00_s0.png 닥트리오 파일:icon0074_f00_s0.png 꼬마돌 파일:icon0075_f00_s0.png 데구리 파일:icon0104_f00_s0.png 탕구리
^(밤)^
파일:icon0105_f00_s0.png 텅구리
^(밤)^
파일:icon0111_f00_s0.png 뿔카노 파일:icon0112_f00_s0.png 코뿌리 파일:icon0231_f00_s0.png 코코리
^(새벽, 낮)^
파일:icon0232_f00_s0.png 코리갑
^(새벽, 낮)^
파일:icon0529_f00_s0.png 두더류 파일:icon0530_f00_s0.png 몰드류 파일:icon0749_f00_s0.png 머드나기 파일:icon0750_f00_s0.png 만마드
드묾 파일:icon0027_f00_s0.png 모래두지 파일:icon0028_f00_s0.png 고지 파일:icon0322_f00_s0.png 둔타 파일:icon0323_f00_s0.png 폭타 파일:icon0524_f00_s0.png 단굴
파일:icon0525_f00_s0.png 암트르 파일:icon0850_f00_s0.png 태우지네
^(새벽, 낮)^
파일:icon0851_f00_s0.png 다태우지네
^(새벽, 낮)^
파일:icon0878_f00_s0.png 끼리동 파일:icon0879_f00_s0.png 대왕끼리동
파일:icon0951_f00_s0.png 캡싸이
^(새벽, 낮)^
파일:icon0952_f00_s0.png 스코빌런
^(새벽, 낮)^
레어 파일:icon0095_f00_s0.png 롱스톤 파일:icon0207_f00_s0.png 글라이거 파일:icon1012_f00_s0.png 차데스 파일:icon1013_f00_s0.png 그우린차
UR 파일:icon0645_f00_s0.png 랜드로스 파일:icon1014_f00_s0.png 조타구
보스 출현
보통 파일:icon0051_f00_s0.png 닥트리오 파일:icon0076_f00_s0.png 딱구리 파일:icon0076_f00_s0.png 텅구리
^(밤)^
파일:icon0232_f00_s0.png 코리갑
^(새벽, 낮)^
파일:icon0464_f00_s0.png 거대코뿌리
파일:icon0472_f00_s0.png 글라이온 파일:icon0530_f00_s0.png 몰드류 파일:icon0750_f00_s0.png 만마드 파일:icon0851_f00_s0.png 다태우지네
^(새벽, 낮)^
파일:icon0879_f00_s0.png 대왕끼리동
파일:icon0952_f00_s0.png 스코빌런
^(새벽, 낮)^
레어 파일:icon0208_f00_s0.png 강철톤 파일:icon1013_f00_s0.png 그우린차
SR 파일:icon0645_f00_s0.png 랜드로스 파일:icon1014_f00_s0.png 조타구
UR 파일:icon0383_f00_s0.png 그란돈

황무지와 동굴에서 나오면 도착하는 바이옴. 여기서 사막으로 가서 숲 루트로 갈 것이냐 산으로 가서 호수 루트로 복귀할 것인지 정할 수 있다.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야콘, 자크로
===# 사막(Desert) #===
이동
악지 (100%) 사막 유적 (100%)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마쿠와
===# 동굴(Cave) #===
이동
우거진 풀밭 (50%) 동굴 호수 (50%)
심연 (33%)
악지 (50%)
해저 (75%)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웅, 원규, 강석
===# 호수(Lake) #===
이동
평원 (33%) 호수 해변 (33%)
눈 덮인 숲 (33%) 늪 (33%)
동굴 (33%) 공사장 (33%)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맥실러
===# 해변(Beach) #===
이동
호수 (33%) 해변 바다 (75%)
동굴 (50%)
섬 (25%)
화산 (75%)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이슬, 곤포
===# 섬(Island) #===

알로라지방 리전폼 포켓몬이 등장하는 바이옴.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야청.
===# 바다(Sea)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시즈
===# 해저(Seabed)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아단
===# 산(Mountain)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비상, 은송, 풍란
===# 화산(Volcano) #===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강연, 민지, 순무
===# 얼음 동굴(Ice Cave)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류옹, 담죽, 우르프, 그루샤
===# 눈덮인 숲(Snowy Forest) #===
필드 BGM

등장하는 체육관 관장은 무청, 멜론

2.3. 엔드(End)

필드 BGM

일반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은 없고, 클래식 모드 웨이브 190 이상이나 엔들리스 모드의 특정 보스 웨이브 등 특정 조건에서만 입장 가능한 바이옴이다. 코라이돈 / 미라이돈을 제외한 모든 패러독스 포켓몬과 최종보스 격인 무한다이노가 여기에서 등장하는데, 알로 부화한 포켓몬이 아니면 몬스터볼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알에서도 부화가 불가능한 무한다이노의 경우 무한다이노를 제외한 모든 스타팅 포켓몬을 해금해야 잡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