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된 바둑 기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국제 |
종합 기전
토요타덴소배 ·
후지쯔배·
동양증권배 ·
BC카드배 ·
신아오배 ·
중환배 ·
천부배 ·
바이링배 제한 기전 NEC배 · 이민배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CCTV 하세배 · 월드바둑챔피언십 · 한중일 용성전 · TWT배 · 봉황고성배 · 오카게배 · 글로비스배 국가별 단체전 진로배 · 롯데배 한중 대항전 · 중일 슈퍼 대항전 · 정관장배 여자 기전 보해배 · 흥창배 · 원양부동산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호반배 · 궁륭산병성배 |
|
한국 |
종합 기전
국수전 ·
왕위전 ·
기성전 ·
패왕전 ·
십단전 ·
최고위전 ·
국기전 ·
KT배 마스터스 ·
배달왕전 ·
olleh배 ·
렛츠런파크배 ·
YK건기배 ·
용성전 속기전 KBS 바둑왕전 · MBC 제왕전 · SBS 속기챔프 여자 기전 EBS배 · 여류명인전 · 여류십단전 · 뉴스핌 GAM배 페어 기전 SG배 단체전 퓨처스리그 |
||
일본 |
종합 기전
NEC배 제한 기전 마스터스컵 |
||
중국 | 종합 기전 리코배 · 루리배 | ||
대만 | 종합 기전 왕좌전 | ||
아시안 게임 |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
기타 | Milly 몽백합 이세돌-구리 10번기 ·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 바둑의 미래 서밋 | ||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한국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KBS 바둑왕전 KBS 바둑王戰 / KBS杯 |
|
주관 | 한국기원 |
주최, 후원 | KBS |
중계 | KBS 1TV ( 일요일 새벽 0시 35분[1]) |
진행: 김여원 / 해설: 박정상 九단 (41기 ~) | |
상금 | 총 상금 1억 1,600만 원(우승 2,000만원, 준우승 600만원) |
대회방식 |
본선 8강
토너먼트 단판 승부[2] (전기 시드 2명, 주최사 시드 1명, 랭킹 상위 5명 초청) |
대국규정 | 제한시간 각자 5분, 30초 초읽기 5회 |
계가 | 한국룰 덤 6.5집 |
최근 우승자 | 신진서 九단 ( 제41기 KBS 바둑왕전) |
최다 우승자 | 조훈현 九단, 이창호 九단 (11회)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한국기원 주관 바둑 기전. 한국방송공사 주최로 열리며,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를 위한 차원에 가깝다. 전신은 1979년 10월에 시작된 <KBS 초대바둑>이었다. 1980년부터 현 명칭으로 변경. 원래는 KBS1- KBS3(현 EBS1)에서 했다가 1990년에 KBS2로, 1996년 15기 11국부터 KBS위성1-KBS KOREA를 거쳐 2005년부터 KBS1로 다시 옮겼다. 2010년 29기부터 타이틀 로고 및 OP영상, 테마곡을 변경했으며, 35기부터 다시 변경하였다.[3]2. 소개
속기바둑 중에서도 굉장히 제한시간이 짧은 편에 속한다. 그리고 본방송이 자정 조금 넘은 시간에 있다. 물론 실제 대국과 녹화는 며칠 전에 하며 대국시간은 15:00. 직전 대회인 38기 대회의 본방송 시간과 달리 주간시간대에 방송된 적도 많다. 해당 내역은 아래와 같다(방송사별 짧은 공백기간은 제외).- KBS1: 1980년 1월 6일~1980년 12월 28일, 1998년 5월 20일~21일[4]
- KBS2: 1987년 3월 8일~1987년 5월 10일
- 이제는 남남이 바둑강의용 <KBS 바둑강좌> 된 지 오래인 구 KBS 3TV: 1982년 9월 26일~1990년 12월 23일[5]
- KBS 코리아: 2002년 3월 3일~2005년 6월 12일(2002년 8월 10일, 8월 17일, 9월 2일, 10월 13일만 제외[6])
- KBS 위성 1: 1997년 3월 9일~1998년 1월 4일, 1998년 5월 20일~21일(KBS1과 재송신 및 동시방송)
- KBS 위성 2: 1999년 6월 20일~2001년 7월 29일
한국기원에 기보가 올라오지 않고, KBS 본방송에서만 보이며 방영 후 사이버오로 및 한국기원 국내뉴스에 소식이 전해진다. 일본기원( NHK배)과 중국기원(CCTV배)은 기보가 올라와서 http://www.go4go.net/go/ 같은 사이트에 업로드되는데 한국 KBS 바둑왕전만 이렇다. 한국기원에야 찾으라면 찾을 수 있다. 하지만, 36기의 경우 4월 이후로 업데이트가 없다.(1회전 일부 올라옴)
한때는 노영하 9단의 말솜씨로 사랑받았던 바둑 기전이었으나, 2017년 바둑왕전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 여파로 1회전 이후 진행이 중단되었다.(방송은 10월 22일 16강전 김기용 - 한승주가 최신) 이후 12월 13일에 한국기원에서 재개되었다. 방송 녹화를 하지 않고 그냥 대회만 속행한 상태였다. 다행히 2018년 3월 11일 준결승전부터 방송을 재개했다.
2018년에는 원래 전년도 12월에 하는 바둑왕전 예선이 취소되어 KBS 바둑왕전이 완전히 취소된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방송공사의 파업이 끝나면서 2018년 3월에 KBS 바둑왕전 예선이 다시 잡혔다. 하지만 이미 4개월이나 일정이 늦어진 상태라, 2018년 대회는 그야말로 급조대회의 끝판왕이 되었다.
31기 대회까진 스튜디오 변화 없이 달랑 바둑판 보드 하나만 놓고 기보를 설명했으나, 32기 대회부터 스튜디오를 현대식으로 개편했다. 그러나 기수를 거쳐가면서 오프닝이나 자막 등등의 변화가 있었다곤 하지만 저작권의 문제 때문인지 변천사를 알 수 있는 영상이 보이지 않는다.
3.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출전권
KBS 바둑왕전, NHK배, CCTV 상위 입상자들이 모여서 하는 세계대회인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의 예선에 가깝다. KBS 바둑왕전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자동으로 진출한다. 그리고 3위는 우승자와 준우승자 중에서 이미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우승자(차년도 시드)에 겹칠 경우에 공석이 되는 관계로 선발전을 치러서 이길 경우 출전할 수 있다. 2019년 31회 대회 끝으로 폐지되었다.4. 대회 중지
2019년 11월, 한국방송공사는 시청률 부진으로 인해 제38기 KBS 바둑왕전을 끝으로 KBS 바둑왕전을 완전히 중지하기로 했다. 2020년 TV아시아에 한국 바둑기사들이 출전하는 것을 마지막으로 TV아시아 한국 기사 출전 또는 한국 개최 역시 포기하기로 했다. 그러다가 2020년 대회 개최불발 및 대회가 폐지되고, 본선을 8강으로 단축하는 것으로 변경하여 재개되었고 2023년 1월, 한국기원 홈페이지에 제41기 대진표가 공지되면서 아직 폐지가 되지 않았음을 알렸다. 하지만 2024년 폐지하기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5. 역대 기록자
- 김원 6단
- 홍맑은샘 아마 7단 (재일교포)
- 채영석 아마 5단
- 온승훈 아마 6단
- 국상현
- 박강덕
6. 역대 계시자
- 승순선 아마 5단
- 강효숙 아마 4단
- 김미동 아마 4단
- 강나연 아마 5단
- 이지영 아마 4단
- 김선희 아마 5단
- 민윤경 아마 5단
- 박지혜 아마 5단
- 김민이 아마 5단
7. 대회 규모 축소
한국기원 홈페이지 內 '8월 일정' 페이지에는 어째서인지 제39기 KBS바둑왕전 예선이 기록되어 있다. 본선 8강 체제로 변형해 치르는 것으로 보인다. #2020년에 한해 KBS에서 한 해 더 기회를 줬다고 한다. 이번에는 시청률을 올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지난 대회처럼 녹화 방송을 하게 된 거 같으니[7] 별 수 없지만, 그것보다도 편성시간대를 (변한 거 1도 없이)자정으로 잡으면 답이 없다...[8]
2021년 9월 29일 한국기원을 통해 제40기 KBS 바둑왕전 대진표가 올라왔다. 40기 대회도 8강 토너먼트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대회부터 예선전을 없애고 전기 시드 2명, 주최사 KBS측의 시드 1명, 랭킹 상위자 5명[9] 총 8명을 초청해서 대결하는 초청전으로 바뀌어 제한기전으로 분류되었고 41기 부터 결승전은 단판승부로 변경되었다.
8. 역대 대회
- 1988년: 제8기 KBS 바둑왕전
- 2017년: 제36기 KBS 바둑왕전
- 2018년: 제37기 KBS 바둑왕전
- 2019년: 제38기 KBS 바둑왕전
- 2020년: 제39기 KBS 바둑왕전
- 2021년: 제40기 KBS 바둑왕전
- 2023년: 제41기 KBS 바둑왕전
9. 역대 진행자
- 정수현 九단
- 최유진 캐스터
- 노영하 九단 (1983년 ~ 2013년)
- 박정상 九단 (2013년 ~ 2019년, 2023년 ~)
- 송태곤 九단 (2020년 ~ 2021년)
- 이소용 캐스터 (2017년 ~ 2021년)
- 김여원 캐스터 (2023년)
10. 역대 우승자
회차 | 연도 | 우승자 | 전적 | 준우승자 | 비고 |
1 | 1980년 | 조훈현 八단 | 2:0 | 노영하 七단 | |
2 | 1982년 | 조훈현 九단 | 2:0 | 김희중 七단 | |
3 | 1983년 | 서봉수 七단 | 2:0 | 김좌기 四단 | |
4 | 1984년 | 조훈현 九단 | 2:1 | 서봉수 八단 | |
5 | 1985년 | 하찬석 七단 | 2:1 | 김희중 七단 | 생전 5기 우승 |
6 | 1986년 | 조훈현 九단 | 2:1 | 김희중 七단 | |
7 | 1987년 | 조훈현 九단 | 2:0 | 서능욱 八단 | |
8 | 1988년 | 이창호 三단 | 2:0 | 김수장 七단 | 이창호, 한국 바둑 기전 최연소 우승(만 13세 6개월) |
9 | 1989년 | 조훈현 九단 | 2:1 | 서능욱 八단 | |
10 | 1990년 | 조훈현 九단 | 2:0 | 서능욱 八단 | |
11 | 1991년 | 이창호 六단 | 2:1 | 조훈현 九단 | |
12 | 1992년 | 조훈현 九단 | 2:0 | 유창혁 六단 | |
13 | 1994년 | 이창호 七단 | 2:0 | 조훈현 九단 | |
14 | 1995년 | 유창혁 七단 | 2:0 | 이창호 七단 | |
15 | 1996년 | 조훈현 九단 | 2:1 | 이창호 九단 | |
16 | 1997년 | 조훈현 九단 | 2:0 | 이창호 九단 | |
17 | 1998년 | 이창호 九단 | 2:0 | 정수현 九단 | |
18 | 1999년 | 조훈현 九단 | 2:0 | 이창호 九단 | |
19 | 2000년 | 목진석 五단 | 2:1 | 이창호 九단 | 본격 포스트 이창호 시대를 알림 |
20 | 2001년 | 이창호 九단 | 2:0 | 이세돌 三단 | |
21 | 2002년 | 이창호 九단 | 2:1 | 이상훈(大) 七단 | |
22 | 2003년 | 송태곤 五단 | 2:0 | 박병규 四단 | |
23 | 2004년 | 이창호 九단 | 2:0 | 조한승 七단 | |
24 | 2005년 | 이창호 九단 | 2:0 | 유창혁 九단 | |
25 | 2006년 | 이세돌 九단 | 2:0 | 최철한 九단 | |
26 | 2007년 | 이창호 九단 | 2:1 | 조한승 七단 | |
27 | 2008년 | 이창호 九단 | 2:1 | 이세돌 九단 | |
28 | 2009년 | 이창호 九단 | 2:0 | 강동윤 九단 | 이창호 통산 11회 우승 및 대회 최초 3연패 |
29 | 2010년 | 박정환 八단 | 2:0 | 백홍석 七단 | |
30 | 2011년 | 박정환 九단 | 2:0 | 백홍석 九단 | |
31 | 2012년 | 박정환 九단 | 2:1 | 이창호 九단 | |
32 | 2013년 | 이세돌 九단 | 2:1 | 박정환 九단 | |
33 | 2014년 | 이동훈 四단 | 2:0 | 박정환 九단 | 이동훈, 국내대회 첫 우승 |
34 | 2015년 | 박정환 九단 | 2:1 | 이세돌 九단 | |
35 | 2016년 | 이세돌 九단 | 2:0 | 나 현 七단 | |
36 | 2017년 | 박정환 九단 | 2:0 | 김지석 九단 | |
37 | 2018년 | 신민준 九단 | 2:0 | 박정환 九단 | 신민준, 종합바둑기전 첫 우승 |
38 | 2019년 | 신진서 九단 | 2:1 | 신민준 九단 | |
39 | 2020년 | 신진서 九단 | 2:0 | 안성준 八단 | 안성준 선수, 특별승단[10] 규정 적용으로 九단으로 승단함 |
40 | 2021년 | 신진서 九단 | 2:0 | 박정환 九단 | |
41[11] | 2023년 | 신진서 九단 | 1:0 | 박정환 九단 | 신진서, 바둑왕전 사상 첫 4연패 |
조훈현 九단과 이창호 九단이 각각 11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세돌 九단은 의외로 3회 우승에 그쳤다. 박정환 九단이 5회(3연패 포함), 신진서 九단은 4회(최근 4연패 중이다.) 우승.
11. 경쟁 프로그램
- MBC 바둑제왕전 (1982~1995) - 해당 프로는 윤기현 九단이 해설을 맡았다.
- SBS 세계 바둑 최강전 (1992~1997)
[1]
1시에서 다소 당겨졌다.
[2]
40기까지는 결승 3번기 승부였으나 41기부터 결승도 단판으로 진행한다.
[3]
3D CG 오프닝은 14기에서 처음 도입.
[4]
당시 특별생방송으로 진행되었던 16기 결승으로, 이 기간 오프닝 타이틀에 당시 KBS의 바둑 국제대회 중계 시그널을 사용했었다.
[5]
이후 1991년부터 2014년까지 <EBS 바둑교실>로 계승된다.
[6]
그나마도 이 땐 자정 전(밤 11시)에 본방송을 시작했었다. 차주 편성 제외.
[7]
변화가 있다면
4K UHD 영상으로 녹화 방송을 한다는 점이다.
[8]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사람들이 잘 안보는 시간대다. 특히나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저녁에 일찍 잠드는 생활패턴을 지닌 중장년, 노년층 시청자가 많은 바둑의 경우 더더욱.
[9]
불참자는 차순위자로 대체.
[10]
국내대회 준우승 시 1단 승단
[11]
이 대회 결승은 단판승부로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