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1:27:48

ATR 72

ATR72에서 넘어옴
파일:에어버스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에어버스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에어버스 민항기
협동체 광동체
쌍발기 A220B · A320 패밀리 ( A318, A319, A320, A321) · A320neo 패밀리 ( A319neo, A320neo, A321neo) A300 · A310 · A330 ( neo) · A350 XWB ( neo)
4발기 - A340 · A380 ( plus)
특수 화물기 A300-600ST Beluga · Beluga XL
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 군용기
전투기 유로파이터 타이푼 · FCAS
수송기 CN-235 · C-295 · A400M
공중급유기 A310 MRTT · A330 MRTT · KC-45
무인기 유로드론 · 제피르 UAV · VSR700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헬리콥터
민간용 H125 · H130 · H135 · H145 · AS365 · H155 · H160 · H175 · H215 · H225
군용 H125M · H145M · UH-72 · AS565 · H160M · H215M · H225M · EC-665 · NH90
ATR 민항기
ATR 42 · ATR 42-600S · ATR 72
아에로스파시알 및 그 이전 민항기
Sud Aviation Caravelle · Concorde
B: 봄바디어에서 개발 및 제작한 항공기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72proto.webp
ATR, ATR 72-600, F-WWEY
ATR 72의 프로토타입
[1]
파일:ATR 72 조종석.jpg
ATR 72-600의 조종석

1. 개요2. 개발 과정3. 특징4. 제원5. 세부 모델
5.1. ATR 72-2005.2. ATR 72-2105.3. ATR 72-5005.4. ATR 72-6005.5. RAS 72 시 이글5.6. ATR 72 MP5.7. ATR 72 MPA
6. 사건 및 사고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ATR 72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합작회사인 ATR[2]에서 개발한 항공기 기종으로, ATR 42를 기반으로 확장한 소형 터보프롭 협동체 여객기이다. 그래서 여러 기술적 특징이나 장단점 등은 ATR-42 와 거의 공유하고 있으니 항목을 참조. 경쟁 기종으로는 드 해빌랜드 캐나다의 Dash 8-400이 있다[3][4]. 2018년 7월까지 1,000대가 생산되었으며 대 당 판매 가격은 2017년 기준으로 2,600만 달러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소형항공사인 한성항공에서 4대를 운용했으며, 현재는 소형항공사인 하이에어가 3대를 보유하고 있다.[5]

2. 개발 과정

ATR 72는 수송력 확대를 위해 좌석이 48석인 ATR 42의 동체 길이와 날개의 길이를 늘려 좌석 수를 68석으로 높였다. 또한 연비가 더 좋은 PW124B 엔진을 장착함으로써 연비도 10%가량 높혔다.

1988년에 초도 비행을 하였으며 1989년 런치 커스터머인 핀에어에서 상업 비행을 시작하였다.

3. 특징

ATR 42/72의 큰 특징은 APU가 기본으로 달려있지 않다는 점이다.[6] 물론 옵션으로는 선택 가능하다. APU 대신 엔진을 프로펠러는 구동하지 않고[7] 엔진 터빈부만 구동 시키며 전원 및 공조 장치를 작동 시킬 수 있도록 설계했다. ATR은 이를 호텔 모드(Hotel Mode)라 부른다.

설계 개념이 가장 저렴하게 운항을 하도록 만든 비행기라서 호텔 모드로 지상에서 냉난방 및 전력 공급을 하다가 승객이 탑승 하고 나면 프롭 브레이크를 풀어 엔진을 돌리고 그 상태에서 리버서를 작동해 자체 후진을 하여 나간 뒤 한 개의 엔진만을 사용해 활주로로 택싱하다가 이륙 허가가 떨어지면 그사이에 나머지 하나 엔진을 시동 걸어 이륙 하는게 표준 절차이다.[8] 이렇게 해서 연료 절감 및 지상 장비 비용을 줄이려는 컨셉이다.

-500 전까지의 형식들을 보면 세부 형식으로 1 또는 2를 붙였는데[예시] 이는 출입구의 설계를 구별하기 위해서다. 세부 형식이 2이면 앞쪽에 승객용 출입구 대신 화물칸과 화물 도어가 설치된다. -500부터는 모두 2로 통일되었다.

ATR 42를 연장한 거라 승객이 한꺼번에 내리면 무게중심으로 인해 앞바퀴가 들리기 때문에 한번에 6명씩 내리게 통제한다. 객실 절차에 착륙 후 문을 열어 지상요원에게 테일스키드 방지를 위한 테일 프롭(Tail prop)이란 안전바를 전달 후 장착한 뒤 하기를 시작한다.

악천후 비행중 구름속의 과냉각된 수증기로 날개면에 얼음이 얼어 양력이 저하하는 결빙(아이싱 icing)에 취약하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10] 이건 같은 설계를 공유하는 ATR-42 도 마찬가지이다. 방빙 성능이 취약하다는 점도 있지만 유압식 아닌 케이블로 조종하기 때문에 오토파일럿이 아닐 때는 조종사가 팔다리의 힘만으로 조종면을 움직여야해 날개의 에어론이 얼음으로 얼어버리면 이를 조종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이 기종의 첫번째 추락사고인 1994년 아메리칸 이글 4184편 추락 사고도 날개의 방빙 설계가 부족해 악천후 속에서 날다 결빙으로 날개의 양력이 떨어져 실속으로 순식간에 추락한 사고. 그후 전면 방빙장치의 설계를 보완했지만, 2002년 발생한 트랜스아시아 791편 추락 사고 역 결빙과 부적절한 대처으로 인한 실속사고 였다. 2010년 에어로 캐리비안 883편 추락사고와 2012년 유테이르 항공 120편 추락 사고도 결빙과 부적절한 대처가 추락의 원인이였다. 가장 최근의 사고인 2024년 보이패스 항공 2283편 추락 사고 도 악천후 속에서 추락했고 역시 결빙으로 안한 실속이라는 예비조사결과가 나왔다.[11] 즉 이 기종의 추락 사고의 절반 가까이가 결빙으로 인한 사고.

여담으로 전반적으로 기상이 좋지않은 울릉공항 개통시 취항이 예상되는 기종이라 상당히 우려되는 부분. 다만 공항이 없는 현재, 울릉도에서 응급환자 수송등에 사용되는 헬리콥터가 더 안전하다고 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 미묘하다.

4. 제원

ATR 72-600
탑승객 승무원 4명 + 승객 72석 (29인치 좌석)
길이 * 날개폭 * 높이 27.17m * 27.05m * 7.65m
객실폭 2.57m
자체중량 13,010 kg
화물 탑재량 7,550 kg
연료탑재량 5,000 kg
최대이륙중량 22,800 kg
엔진 프랫 & 휘트니 PW127M/N/XT *2 기
엔진출력 축마력 각 2,750 HP *2
고속순항속도 510 km/h (275 kn)
최대고도 7,600 m (25,000 ft)
항속거리 1,404 km (758 nmi)
이착륙길이 이륙 1,279 m/ 착륙 915 m

5. 세부 모델

5.1. ATR 72-200

파일:external/d31asmy75eposw.cloudfront.net/50414_1376670223.jpg
한성항공, HL5232

ATR 72-200은 ATR 72 시리즈의 최초 모델로써 PW124B 엔진을 장착했다.

한성항공은 이 기체를 4대 운영했었다. 정확히는 200시리즈 두대(HL5229, 5230)와 202 시리즈 두대(HL5232, 5233)이다. 202시리즈는 핀란드 핀에어에서 도태시키려 한 것을 리스 해 왔다. 위 사진은 핀에어에서 리스 해온 202 시리즈이다. 200모델과 202 모델의 차이점은 200모델은 뒤로 탑승,하기를 하고 비행기의 좌측 동체에 카고 도어가 크게 있다. 조종석으로 들어 가려면 뒤로 타서 객실과 화물칸을 나눈 격벽문을 지나 화물 칸을 통과 하면 조종석이 나온다. 그에 반해 202 모델은 전방 좌측으로 탑승하며 화물칸은 우측 도어로 접근 할 수 있다. 기체 지름의 절반을 화물칸으로 쓰고 그 뒤로는 승객 좌석이 있다.

5.2. ATR 72-210

파일:ATR72-211.jpg
사베나 항공, PH-SCY

ATR 72-210은 ATR 72-200에 PW127 엔진을 장착함으로써 출력을 15% 정도 더 높힌 모델이며 1992년 공개되었다.

5.3. ATR 72-500

파일:하이에어_HL5244.jpg
하이에어, HL5244

ATR 72-500은 1997년 발표되었으며 PW127M 또는 PW127F 엔진을 사용함으로써 최대 중량이 높아지고 성능도 향상된 모델이다. 프로펠러 블레이드도 6엽으로 늘었다.

하이에어가 4대를 도입하여 김포-울산, 제주, 무안, 양양, 사천노선과 제주-울산/사천 노선에서 운항하고 있다. 다만 하이에어는 소형항공운송사업자이기 때문에 50석 이하의 항공기만 운행할 수 있어, 좌석을 50석으로 개조한 뒤 좌석 간 간격을 넓혀서 운행한다. 그 덕에 승객 입장에서는 대한민국 항공사 일반석 중 가장 넓은 좌석간격을 누릴 수 있다.
핀에어 소속 ATR 72-500의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 착륙장면

5.4. ATR 72-600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674023.jpg
아에로멕시코 익스프레스, XA-MKH

ATR 72-600은 2007년 발표된 ATR 72 시리즈의 가장 최신 모델로 엔진은 -500에서 사용되었던 PW127M엔진을 그대로 사용하지만, 항공전자 부분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고, 좌석 수도 74~78석으로 증가하였다.

대한민국에선 신생 소형 항공사인 섬에어에서 이 기종을 도입해 운항할 계획이다.

5.5. RAS 72 시 이글

파일:RAS-72-Sea-Eagle-basierend-auf-der-ATR-72-169FullWidth-d48dd1ce-1609913.jpg

파키스탄 해군이 보유한 ATR 72를 독일 RAS[12]사에서 개조한 대잠초계기. 전자광학(EO)·적외선(IR)센서, AESA 레이더, 대잠전을 위한 음탐부표 발진기 등을 장착했다.

5.6. ATR 72 MP

파일:capture1.3.jpg

이탈리아 공군과 재무경찰에서 사용하는 해상초계기. 제식명칭은 P-72A. 각종 전자 광학 센서와 대수상 레이더를 장비하고 있으며 아틀란틱 초계기의 퇴역 이 후 해상초계 및 재난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하지만 소노부이를 장비하고 있지 않아 본격 대잠초계 임무는 차기 초계기 도입 시 까지 대잠 헬기에 의존하고 있다.

5.7. ATR 72 MPA

파일:Turkish-Navy-ATR-72-TMPA-P72-MELTEM-III-Maritime-Patrol-Aircraft.jpg

ATR 72 MP에 소노부이와 같은 대잠 설비를 추가 장착한 대잠초계기. 튀르키예와 말레이시아 해군이 도입했다.

6. 사건 및 사고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이탈리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탈리아군|
이탈리아군
Forze Armate Italiane | Italian Armed Forces
]]'''
<colbgcolor=#198019> 회전익기 <colbgcolor=#198019> '''[[무장헬기|
경헬기
]]'''
TH-500B | OH-13H
'''
다목적 헬기
'''
{ AW169} | HH-101A | AW109A/E/Mk.II | HH-139A/B | NH 500E | 벨 205 | 벨 206 | 벨 212 | 벨 412SP/HP | AB.47 G2 | A.105 | H-19A/D | H-34 | S-51
수송헬기 ICH-47F | CH-47C | NH90 TTH | A.101G | VH-3D | S-61R
공격헬기 { AW249} | A129 CBT
대잠헬기 벨 212 ASW | NH90 NFH
'''[[전투기|
전투기
]]'''
'''[[1세대 전투기|
1세대
]]'''
CL13 세이버 Mk.4 | F-84F/G | F-86K | G.91R/PAN/Y |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 FB.5/FB.52/FB.52A/NF.10 | 드 해빌랜드 베놈 FB.50
'''[[2세대 전투기|
2세대
]]'''
F-104G/S/S-ASA/S-ASA/M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F-2000A | A-200A | F-16A/BL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 F-35B
'''[[6세대 전투기|
6세대
]]'''
{ GCAP}
공격기 A-11B | AV-8B+
정찰기 전술 RT-33A | RF-104G | U-166B
'''[[수송기|
수송기
]]'''
C-27J | C-130H/J/J-30 | Do 228 | 피아지오 P.180 | 팰컨 50 | 팰컨 900 | 아에리탈리아 G.222 A/RM/SAA/TCM | 브레다-피토니 BP.471 | 브레다-자파타 BZ.308 | CV-440-75/96 | C-119J/G | DC-6 | G.212 | SM.102 | 포커 F27-600L
수상기 HU-16 알바트로스 | P.136
다목적기 알라파마 발도 | 암브로시니 S.1001 | H-395 | LA-250 | MB.308 | U-166A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550A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72AS | P-1150A | S2F-1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KC-767A | KC-130J | KC-707
전자전기 { EA-37B} | EA-200B | YEC-27J | 아에리탈리아 G.222 VS | PD-808GE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RQ-7 | S-100
클래스 3 - MALE급
P.1HH 해머헤드
'''[[UCAV|
UCAV
]]'''
클래스 3 - MALE급
MQ-9A | MQ-1C
클래스 3 - HALE급
{ 유로드론}
'''[[훈련기|
훈련기
]]'''
프롭 T-260A/B | T-2006A | 암브로시니 S.7 | 카프로니 트렌토 F-5 | G.46 | G.59 | G.80 | G.82 | M.416 | MB.323 | P.148 | P.149 | 템코 T-35
제트 T-346 | T-345 | A-11T | MB-339A/CD/RM/PAN | 피아지오 P.180 | TF-2000A | EA-200A | TF-104G | T-33A
VIP 탑승기 VC-319AJ | CL-215-1A-10 | CV-440-75 | 걸프스트림 III | DC-9-30 | VC-180A | PD-808VIP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카라비니에리),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Roundel_of_the_Pakistani_Air_Force.svg.png 현대 파키스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1411c> 파키스탄군 (1847~현재)
پاکستان مسلح افواج
회전익기 <colbgcolor=#01411c> 다목적 헬기 SA316R, HH-43BR, H-19DR, H-13R, Mi-17, AW139, Z-9
전투기 프롭 FB 60R, 템페스트 IIR, 스핏파이어 Mk.VIIIR
1세대 U-MiG-15R, F-86FR
2세대 F-6R, F-7PR, MiG-19SR, F-104A/BR
3세대 미라주 III, 미라주 V, F-7PG
4세대 / 4.5세대 JF-17, F-16(A/B, C/D), J-10C
5세대 { FC-31}
공격기 A-5III/CR
폭격기 RB-57B/FR, H-5R, 핼리팩스R
수송기 보잉 707, 에어버스 A310, 걸프스트림 IV, C-130B/E/H, 사브 2000, CN-235, Y-12
지원기 조기경보기 사브 2000 에리아이, ZDK-03
대잠초계기 아틀란틱R, P-3C, RAS 72, {시 술탄}
공중급유기 Il-78MP, { A310 MRTT}
전자전기 DA-20
무인기 UAV 샤파르, 팔코, CH-4A
UCAV 바이락타르 TB2, 샤파르 2, CH-4B, CAIG 윙룽 II, { 바이락타르 아큰즈}
훈련기 K-8(P), T-37B/C, MFI-17 무샤크, MFI-395 슈퍼 무샤크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현대 튀르키예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e30a17> 튀르키예군 (1920~현재)
Türk Silahlı Kuvvetleri
회전익기 <colbgcolor=#e30a17> 경헬기 OH-58C
다목적 헬기 UH-1D/N, UH-60, AS332, AS532 쿠거, T-70, AB206, Mi-8MT, { T-625 괴크비}
수송헬기 CH-47F
공격헬기 AH-1P/S/W, T-129 ATAK, {T-629}, { T-929 ATAK 2}
대잠헬기 AB-212, SH-60B
전투기 1세대 F-84GR
2세대 F-100C/D/FR, F-102AR, F-104GR
3세대 F-4E-2020 터미네이터, F-5A/B/2000R
4세대 / 4.5세대 F-16C/D, F-16C/D 블록 50+, {}
5세대 F-35A, {}
수송기 C-160, C-130H, CN-235 M-100, A400M
지원기 조기경보기 E-7T 피스 이글
대잠초계기 ATR 72 MPA
정찰기 RF-4ER, Ar 95W
공중급유기 KC-135 R-CRAG
전자전기 { 하바 SOJ}
무인기 SUAV 바이락타르 Malazgirt, 바이락타르 미니 UAV, TAI Martı
UAV TAI 바이쿠스, TAI Gözcü, IAI 헤론, TAI IHA-X2, TAI 케클릭, TAI Şimşek, 바이락타르 TB1, TAI Turna, 베스텔 Karayel
UCAV 바이락타르 TB2, 바이락타르 아큰즈, TAI 앙카-S, TAI 악숭구르, { 바이락타르 크즐엘마}, { 앙카-3}
훈련기 프롭 KT-1T, 휴르커스, SF.260D, MFI-395 슈퍼 무샤크, Fw 58R, Go 145R
제트 T-38, NF-5A/B, { 휴르제트}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말레이시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말레이시아군|
말레이시아군 (1945~현재)
Tentara Angkatan Malaysia
]]'''
<colbgcolor=#000066> 회전익기 <colbgcolor=#000066> '''[[무장헬기|
경헬기
]]'''
AW109H LUH | MD 530G 카유스 워리어 | AS555 SN 페넥 | SE.3160 · SA.319 알루에트 III
'''
다목적 헬기
'''
{ UH-60A+ 블랙 호크}/L | S-61A-4 "누리" | AW139 | EC725AP 카라칼
대잠헬기 슈퍼 링스 300 | 와스프 HAS.1
'''[[전투기|
전투기
]]'''
'''[[1세대 전투기|
1세대
]]'''
CA-27 Mk.32 세이버
'''[[3세대 전투기|
3세대
]]'''
F-5(E/F) 타이거 II
4(.5)세대 { FA-50M 블록 70 파이팅 이글} | Su-30MKM | F/A-18D 호넷 | MiG-29(N/NUB)
공격기 호크 208 | A-4(C/PTM) 스카이호크 | CL-41G "테부안"
'''[[정찰기|
정찰기
]]'''
전술 리어젯 35A/Avcon R/X | RF-5E 타이거아이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N-235M-220 | DHC-4A 카리부 | DH.114 헤론 2D | DH.104 도브
전술 A400M 아틀라스 | C-130H(-30) 허큘리스 | HPR.7 다트 헤럴드
수상기 HU-16 알바트로스
다목적기 EA-300T | 세스나 402B · 310F | 트윈 파이오니어 시리즈 3 | 파이오니어
'''
지원기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ATR 72 MP 서베이어} | CN-235 MPA | 비치 B200T 슈퍼 킹에어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KC-130T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극소형
DJI 매빅
클래스 1 - 초소형
스카이레인저 R60 | DJI 매트리스 (210/300RTK) | CW-15 | CW-007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CW-25DE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CTRM 알루드라 Mk.1 | 캠콥터 S-100
클래스 3 - MALE급
CTRM 이글 ARV
'''
UCAV
'''
클래스 3 - MALE급
{ 앙카-S}
'''[[훈련기|
훈련기
]]'''
프롭 PC-7 Mk.II | 비치 B350i 슈퍼 킹에어 | MD3-160 에어로 타이가 | 불도그 모델 102 | 프로보스트 T.51 | 칩멍크 T.20
제트 호크 108 | MB-339(AM/CM) | TA-4PTM
헬기 EC120 콜리브리 | 벨 47G-2
가상적기 ALBA | 스크랩 2 | BTT-3 밴시
VIP 탑승기 ACJ320-214 프레스티지 | ACJ319-115X | B737-7H6 BBJ | 다쏘 팰컨 900B | BD-700-1A10 글로벌 익스프레스 | S-70A-34 | 포커 F28-1000C 펠로우십 | BAe 125 | AS332 L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현대 필리핀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필리핀군|
필리핀군 (1946~현재)
Sandatahang Lakas ng Pilipinas | Armed Forces of the Philippines
]]'''
<colbgcolor=#FFF> 회전익기 <colbgcolor=#FFF> '''[[무장헬기|
경헬기
]]'''
AW109E | MD 520MG | Bo 105M | 벨 47
'''
다목적 헬기
'''
{ 벨 412EPX} | S-70i 블랙 호크 | S-76A | W-3A 소쿠우 | 벨 412EP | UH-1(D/H) 휴이 | 벨 205A | 벨 214 | UH-34D · HH-34J 초크토우 | UH-19 치카소
공격헬기 T129B ATAK | AH-1S 코브라
대잠헬기 AW159 와일드캣
'''[[전투기|
전투기
]]'''
프롭 P-51D 머스탱
'''[[1세대 전투기|
1세대
]]'''
F-86F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2세대 전투기|
2세대
]]'''
F-8H 크루세이더 | F-5(A/B) 프리덤 파이터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FA-50PH 파이팅 이글 | {호라이즌 P3 MRF}
공격기 AS-211 | A-29B 슈퍼 투카노 | OV-10(A/C) 브롱코 | SF.260TP 워리어
건쉽 AC-47 스푸키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T-33A
ISR 세스나 208B EX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95(M/W) | NC-212i | 노매드 N.22B | C-123K 프로바이더 | DHC-2 비버 | C-47D 스카이트레인
전술 {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B/T/H) 허큘리스
수상기 HU-16 알바트로스
'''
지원기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ATR 72MP LRPA} | TC-12B 휴론 | TC-90M | BN-2A-21 아일랜더 | 포커 F27-100MAR
'''
연락기
'''
O-1A 버드 도그
다목적기 쇼트 330 | 세스나 210 ·  172 · 421B ·  206 ·  150 ·  185 · 310 | 에어로 커맨더 690A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극소형
타롯 X4 | DJI 스파크 ·  팬텀 ·  매빅
클래스 1 - 초소형
RQ-20A 푸마 AE | RQ-11B 레이븐 | 스카이라크 I-LEX | MAG 슈퍼 스와이퍼 II
클래스 1 - 소형
스카이라크 3 | 엘빗 THOR | RQ-27 스캔이글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헤르메스 450
클래스 3 - MALE급
헤르메스 900
'''[[훈련기|
훈련기
]]'''
프롭 T-41(B/D) 메스칼레로 | SF.260(FH/MP/MZ) | T-34(A/B) 멘토 | T-28(A/D) 트로젼 | T-6G 텍산
제트 T-33A 슈팅스타
헬기 R44 | R22 | TH-55 오세이지 | FH-1100
VIP 탑승기 포커 F28-3000 | 포커 F27 | 걸프스트림 G280 | 호커 800XP | S-70A-28 | 벨 412HP | YS-11A | 벨 212 | S-62 | SA.330L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해병대/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본래 -200으로 생산되었으나 테스트베드로 쓰이면서 -600으로 개조되었다. [2] 프랑스의 아에로스파시알과 이탈리아의 알레니아(현재 레오나르도)의 50:50 합작 회사. 과거에 ATR 42를 생산한 프랑스의 ATR은 EADS 소속이고, 현재 EADS는 에어버스 그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3] 한 때 도르니에 D328 사브 2000도 동급 시장에서 경쟁했었으나, 현재는 두 기종이 모두 단종되면서 사실상 터보프롭 여객기 시장을 ATR 42/72와 Dash-8-400이 양분하고 있다. [4] 다만 최근 D328이 전기 터보프롭기로 재기에 도전하고 있어 앞으로 두고봐야 할 듯 하다. [5] 다만 최근 경영악화로 인해 모든 노선이 중단되었고 항공기 한 대가 반납되었다. [6] 그렇기에 꼬리 끝 부분인 테일콘을 유심히 보면, 여타 항공기들처럼 APU 구멍이 뚫려 있지 않고 막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7] 프롭 브레이크(Prop Brake)라는 기능을 사용한다. 말 그대로 프로펠러에 제동을 걸어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기능이다. [8] 다만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ATR 72를 운용 중인 하이에어는 자체 후진 및 이륙 전 1개 엔진 택싱은 항공당국의 안전 권고로 인해 이용하지 않고, 착륙 후 활주로를 빠져나와 주기장으로 택싱할 때만 1개 엔진만으로 택싱한다. [예시] ATR 72-211, 2 [10] 터보팬 항공기는 통상 엔진 블리더에서 공급되는 뜨거운 공기나 전기로 날개 앞면을 가열해 결빙을 방지하지만 터보프롭인 이 기종은 날개 앞면에 검은 띠같은 긴 고무튜브를 달아 공기로 팽창시켜 얼음을 부셔서 떼어낸다. [11] 추락 직전 동체결빙이 심하다는 부조종사의 음성이 보고되었다. [12] 라인란트 에어 서비스. Rheinland Air Service [13] 패밀리 기종인 ATR 42와 동일한 조종실 계기 부속 접속규격을 가졌지만 실제로는 호환되지 않는 계기판 부품으로 인한 연료탑재량 표기 오류가 원인이 되었다. [14] 한국인 3명 포함 [15] 2000년에 생산된 ATR-72-212A [16] 승객 59명, 승무원 6명 [17] 승객 68명, 승무원 4명 [18] 이 사고로 인해 ATR 72의 최대 인명피해 기록도 갱신되었다. 다만 지상 피해를 포함하지 않고 ATR 72가 일으킬 수 있는 최악의 사고를 낸 건 아니다. ATR 72의 정원은 승객 72명+승무원 4명이라 76명이므로 사고기가 ATR 72의 정원을 꽉 채운 상태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19] 승객 58명, 승무원 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