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 |||
2012 스프링 | 서머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 ||||
2013 윈터 | 스프링 | 서머 |
2014 윈터 | 스프링 | 서머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 ||||
2015 스프링 | 서머 |
2016 스프링 | 서머 |
2017 스프링 | 서머 |
2018 스프링 | 서머 |
|
2019 스프링 | 서머 |
2020 스프링 | 서머 |
2021 스프링 | 서머 |
2022 스프링 | 서머 |
|
2023 스프링 | 서머 |
2024 스프링 | 서머 |
2025 | 2026 | |
← LCK Cup 역대 대회 |
역대 LoL Champions Korea 일람 | ||||
Gen.G | → | Gen.G | → | Hanwha Life Esports |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 |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 |
|
|
<colbgcolor=#1c192b><colcolor=#fff> 2024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Spring | |||||
대회 기간 | 2024년 1월 17일 ~ 2024년 4월 14일 | ||||
주최 | LCK 유한회사 | ||||
주관 | |||||
경기장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LCK Arena |
||||
스폰서 | 우리은행 | ||||
CASS | LG 울트라기어 | ||||
OP.GG | JW중외제약 | ||||
GOLDEN DEW | 로지텍 G | ||||
시크릿랩 | 한화생명 | ||||
CGV | 레드불 | ||||
풀무원 | |||||
중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c192b><colcolor=#fff> 중계 플랫폼 | 온라인 | |||
<colbgcolor=#f5f5f5>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미국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
[[베트남| ]][[틀:국기| ]][[틀:국기| ]] |
|||||
중계진 | 캐스터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전용준, 성승헌 | ||||
[[미국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맥스 앤더슨, 브랜든 발데스 | ||||
해설자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고수진[분석], 이현우, 임주완[분석], 정노철 | ||||
[[미국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울프 슈뢰더, 마우리츠 얀 뫼우센, 댄 해리슨, 허승훈 | ||||
분석데스크 해설 | |||||
강형우, 신동진 | |||||
분석데스크 진행 / 인터뷰어 | |||||
배혜지, 윤수빈, 이은빈[3] | |||||
해외중계 통역 | |||||
박지선 |
일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c192b><colcolor=white> 정규시즌 | 1라운드 | |||
1월 17일 ~ 2월 23일 | |||||
2라운드 | |||||
2월 23일 ~ 3월 24일 | |||||
플레이오프 | 1라운드 | ||||
3월 30일 ~ 3월 31일 | |||||
2라운드 | |||||
4월 3일 ~ 4월 4일 | |||||
3라운드 | |||||
4월 6일 ~ 4월 7일 | |||||
결승 진출전 | |||||
4월 13일 | |||||
결승전 | |||||
4월 14일 | |||||
결승전 | 대진 | ||||
GEN vs T1 | |||||
경기장 | |||||
KSPO DOME |
결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c192b><colcolor=white> 우승 | Gen.G | |||
준우승 | T1 | ||||
Player of the Split | 정지훈 (GEN Chovy) | ||||
MVP | 정규시즌 | ||||
정지훈 (GEN Chovy) | |||||
파이널 | |||||
김기인 (GEN Kiin) | |||||
All-LCK 1st Team |
TOP | ||||
김기인 (GEN Kiin) | |||||
JGL | |||||
김건부 (GEN Canyon) | |||||
MID | |||||
정지훈 (GEN Chovy) | |||||
BOT | |||||
김수환 (GEN Peyz) | |||||
SPT | |||||
류민석 (T1 Keria) |
1. 개요2. 참가팀3. 대회 진행4. 여담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팬미팅 중단 논란5.2. 선창 응원 구호 도입 논란5.3. LCK 일부 팀들과 리그 간 수익 구조 갈등5.4. LCK 단합대회 : 원딜 편
드릉드릉 사용 논란5.5. 사이버테러로 인한 반복적 퍼즈 및 경기 순연
6.
영상 및 삽입곡7. 주요 기록7.1. LCK Awards
8. 관련 문서9. 둘러보기7.1.1.
Player of the Split7.1.2. 우리은행 Gold King7.1.3. OP.GG Player of the Week7.1.4. CGV Best Ceremony7.1.5.
정규시즌 MVP7.1.6.
LCK All-Pro Team
7.2. 펜타킬[clearfix]
1. 개요
HOUSE OF LEGENDS
2024년 1월 17일 개막한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스프링 시즌에 대한 문서.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C192B> |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참가팀 |
Gen.G GEN
|
T1 T1
|
kt Rolster KT
|
Hanwha Life Esports HLE
|
Dplus KIA DK
|
|
DRX DRX
|
FearX FOX
|
OKSavingsBank BRION BRO
|
Nongshim RedForce NS
|
KWANGDONG FREECS KDF
|
|
2024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참가팀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3. 대회 진행
3.1. 정규시즌
순위 |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득실차 | 연속 | 비고 | |
1 | GEN | 17 | 1 | 34-5 | +29 | 11승 |
우승 R2 전승 |
|
2 | T1 | 15 | 3 | 32-8 | +24 | 2승 | 준우승 | |
3 | HLE | 15 | 3 | 30-11 | +19 | 5승 | ||
4 | KT | 11 | 7 | 26-18 | +8 | 1승 | ||
5 | DK | 9 | 9 | 21-21 | 0 | 4패 | ||
6 | KDF | 7 | 11 | 18-25 | -7 | 1패 | ||
7 | FOX | 6 | 12 | 16-27 | -11 | 1승 | ||
8 | NS | 4 | 14 | 14-30 | -16 | 1승 | ||
9 | DRX | 3 | 15 | 11-32 | -21 | 4패 | ||
10 | BRO | 3 | 15 | 8-33 | -25 | 5패 | ||
파란색: PO R2 진출 | 초록색: PO R1 진출 | 노란색: PO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
R1
|
1주
(1/17~21) |
2주
(1/24~28) |
3주
(1/31~2/4) |
4주
(2/14~18) |
5주
(2/21~23) |
|
R2 |
5주
(2/23~26) |
6주
(2/28~3/3) |
7주
(3/6~3/10) |
8주
(3/13~17) |
9주
(3/20~24) |
|
플레이오프 경기 일람 |
3.2. 플레이오프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 bordercolor=#1c192b> |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플레이오프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1 Match 1 (3/30)
|
|||||||
<colbgcolor=#f5f5f5,#282828> | 3 | |||||||
0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2 Match 1 (4/3)
|
|||||
<colbgcolor=#f5f5f5,#282828> | 3 | |||||||
→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승자조 경기 (4/6)
|
||||
<colbgcolor=#f5f5f5,#282828> ↘ | 3 | |||||||
↗ | 1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GRAND FINALS (4/14)
|
|||
<colbgcolor=#f5f5f5,#282828> ↘ | 3 | |||||||
↗ | 2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1 Match 2 (3/31)
|
|||||||
<colbgcolor=#f5f5f5,#282828> | 2 | |||||||
3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2 Match 2 (4/4)
|
|||||
<colbgcolor=#f5f5f5,#282828> | 0 | |||||||
→ | 3 | }}} | ||||||
1라운드: 3위 팀이 5, 6위 팀 중 상대팀 선택, 4위 팀은 미선택 팀 상대 2라운드: 1위 팀이 R1 승리팀 중 상대팀 선택, 2위 팀은 미선택 팀 상대 최종 순위 결정: R1 패배팀 중 정규시즌 순위가 높은 팀이 최종 5위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패자조 경기 (4/7)
|
||||||
<colbgcolor=#f5f5f5,#282828> R2
[ruby(↘,ruby=패자, color=red)] |
3 | |||||||
R2
[ruby(↘,ruby=패자, color=red)] |
0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결승 진출전 (4/13)
|
||||
<colbgcolor=#f5f5f5,#282828> UB
[ruby(↘,ruby=패자, color=red)] |
1 | |||||||
→ | 3 | }}} | ||||||
{{{-2 3위팀 ({{{#ff6b01 HLE}}}) 1라운드 대진표 선택: {{{#ff6b01 HLE}}} vs {{{#E73312 KDF}}} - {{{#ff0a07 KT}}} vs {{{#black,#white DK}}}
1위팀 (GEN) 2라운드 대진표 선택: GEN vs {{{#black,#white DK}}} - T1 vs {{{#ff6b01 HLE}}} }}} |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우승
|
플레이오프 | 결승전 |
플레이오프 결산 | |
정규시즌 경기 일람 |
3.3. 결승전
자세한 내용은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 문서 참고하십시오.4. 여담
- 작년에 합류했던 함예진 아나운서가 하차했으며 새 아나운서가 모집되기 전까지는 일단은 윤수빈, 배혜지 아나운서 2인 체제로 진행한다. #
- BBQ치킨, HP OMEN, 몬스터 에너지, 티파니앤코와의 스폰서 계약이 종료됐고, 시디즈의 LCK 후원도 전면 철수됐다. 직전 시즌 플레이오프부터 합류한 CASS 맥주와 주얼리 브랜드 GOLDEN DEW, 생명보험사 한화생명, 에너지 드링크 브랜드 레드불, 식품기업 풀무원이 새 스폰서로 합류했다. 카스는 퍼스트 블러드, 레드불은 바론 버프 획득 시 네이밍 스폰서로 등장한다.
- 1월 10일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본인이 소속된 팀을 제외하고 이번 스프링 스플릿 시즌을 우승 할 것 같은 팀은?"이라는 질문에서 질문상 본인 팀을 지목할 수 없어서 젠지를 지목한 T1 감독 및 선수를 제외한 전원이 T1을 지목했다. #
- 티켓 가격이 주중 20,000원, 주말 25,000원으로 인상됐다. 또, 플레이오프 1R~3R 티켓이 새로 생겨났으며 가격은 30,000원으로 책정되었다. # 각 팀별로 기존 홈 구역(A구역), 어웨이 구역(G구역)의 일부 좌석을 직접 판매할 수 있는 정책도 도입된다. #
- 결승 티켓 역시 R석 80,000원, S석 60,000원에서 100,000원, 80,000원으로 각각 2만원씩 인상됐다. 또한 40,000원의 가격을 자랑하던 A석은 아예 없어졌다.
- 시즌 중에 만우절이 끼어 있었는데 이를 놓치지 않고 배경, 아이콘, 섬네일을 전부 그림판 버전으로 바꿔 버렸고 채널 정보란에 '우리 LCK 정상 영업 합니다'라는 문구도 추가되었다.[4] 만우절 기준 일주일 전 영상 섬네일까지 지극정성으로(?) 바꾼 것이 백미. 그와중에 스폰서만 원래대로 유지했고 하트까지 추가했다. # 글로벌 채널도 바꿨다.
- 2024년 4월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LCK 아나운서 모집 결과 이은빈 아나운서[5]가 최종 통과하였으며, 4월 14일에 진행되는 스프링 결승전 현장 인터뷰로 LCK에 데뷔한다. #
- 2025년부터 LCK 시즌 포맷이 개편됨에 따라 스프링 및 서머 시즌이 정규시즌 하나로 통합되었고, 이에 따라 젠지가 최후의 LCK 스프링 우승팀으로 남게 되었다.
4.1. 스토브리그
자세한 내용은 LCK 스토브리그/2023 문서 참고하십시오.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팬미팅 중단 논란
LCK 측이 이번 시즌부터 롤 파크에서 팬미팅을 할 수 없다고 발표하였다. # 일단 라이엇 코리아 측에서 댄 이유는 공간 부족이지만, 아무도 공감하지 못해 티켓 값은 올리면서 혜택은 없애냐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선수들도 별로 좋은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선수들 반응 결국 이와 같은 반응을 이기지 못한 LCK 측은 팬미팅을 재개한다는 공지를 올렸다. #5.2. 선창 응원 구호 도입 논란
이번 시즌에는 지난 서머 플레이오프부터 시범 도입된 선창 응원 구호를 확대해 각 팀별로 사전에 녹음해 둔 상황별 응원 구호가 추가되었는데, 일관적으로 매우 오글거리고 구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덕분에 팬미팅은 없애면서 이딴 근본 없는 응원 구호는 추가할 생각이 있냐고 맹비난을 받고 있다.[6] 그 와중에 젠지의 퍼스트 블러드 응원 구호는 아예 상대 팀명을 부르면서 비하하는 식의 응원법 @으로 더 논란이 되어서 결국 젠지 팀 차원에서 SNS로 사과 트윗을 올렸다.[7]게다가 막상 도입한 응원 구호는 팬들이 숙지가 잘 되지 않아[8] 개막전 구호 선창 및 후창 호응이 전혀 맞지 않았고, 경기 중간에 나오는 구호는 몰입을 다 박살내버리는 요소[9][10]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방송 중에는 중계 멘트에 묻혀서 잘 들리지도 않았다. 이로 인해 구호 폐지 의견을 내는 원성 섞인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LCK는 롤파크 팬미팅 폐지를 번복한 이후에도 공식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각 팀별 응원구호 소개 영상을 업로드하며 응원 구호만큼은 계속 밀고 나가려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악평을 의식한 것인지 2주차부터 경기 시작 전 선창구호와 경기 종료 후 팀 네임콜만 유지하고 경기 중 구호들은 사라졌다.
플레이오프부터는 경기 전 선창구호도 사전 녹음본을 트는 것이 아닌 라이엇 직원이 선창하는 것으로 다시 바뀌었다.
5.3. LCK 일부 팀들과 리그 간 수익 구조 갈등
LCK 스프링 개막일인 1월 17일, LCK 리그 참가 팀들은 10개 팀 전체 명의로 수익 구조와 리그 운영의 개선을 요구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 LCK 리그 참가팀 입장문 전문 펼치기 · 접기 ]
- >LCK 프랜차이즈 리그(이하 LCK 리그)를 구성하는 10개 팀들은 공감대를 형성하여 지난 3년 간 리그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LCK 리그법인에 변화를 요청해 왔으나, 최종적으로 원만히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이에 LCK 팀들은 이러한 구조적 문제와 어려움을 공개적으로 알리는 사안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대부분 팀의 찬성으로 아래와 같이 입장을 밝히고자 합니다. 나머지 팀들도 변화의 방향성에는 큰 이견이 없었으나 절차나 방식의 차이로 인해 본 공동 입장문에는 참여하지 못하였음을 알려 드립니다.
2020년 LCK 리그 출범 당시 팀들은 라이엇 게임즈(이하 라이엇)가 제시한 “세계 최고의 글로벌 이스포츠 리그”의 비전을 믿고 참여했습니다. 팀들은 LCK 리그에 참여하는 선수들에게 세계 최고 수준의 투자를 통해 팀들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과 의무를 성실하게 수행해 왔습니다. 이를 통해 LCK 리그는 출범 이후 명실상부 위대한 성과를 거두었고, 리그의 뷰어십과 성적, 그리고 리그의 팬덤은 지속적으로 성장해왔습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지속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LCK 리그법인은 지난 3년간 리그의 사업적 가치를 성장시키지 못했습니다. 분명히 LCK 리그의 뷰어십 성장은 라이엇의 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LOL)의 유저 확보와 유지, 매출 및 사업성 성장에 큰 기여를 해왔지만, LCK 리그법인에서 제시했던 리그 프랜차이즈 사업을 통한 팀의 수익 배분금은 매년 역성장 하며 줄어들고 있습니다.
LCK 리그법인은 출범 이후 단 한번도 제시했던 매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지난 3년간 팀에게 지급된 배분금은 타 메이저 지역 리그에 비해 현저히 적은 수준입니다. 반면에 LCK 리그법인은 현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 비전과 계획을 리그 파트너인 팀들에게 충분히 공유하거나 설득하지 않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팀들은 라이엇의 LOL 이스포츠 및 LCK 리그에 대한 투자 축소에 큰 우려를 갖고 있습니다. 연습 경기를 위한 대회 서버 제공 지연,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하는 빈번한 오류 등 선수들이 정상적으로 훈련할 수 없는 상황이 연속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더하여 LCK 리그법인의 리그 전담 인력은 지속적으로 타 부서 및 종목 담당 등으로 이탈하고 있으며, 리그의 성장을 위한 실질적이고 중요한 업무들이 지연되거나 중단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모든 팀들은 더이상 LCK 리그에 투자하고 선수들을 지원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모델이 아님을 진심으로 걱정하고 있습니다. 팀들은 LCK 리그법인이 사업적 구조를 포함한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 없이 선수와 팀들에게 성장과 생존의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개 팀들 모두 여전히 LCK 리그가 위대한 비전을 함께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팀들은 오랫동안 팬과 선수들과 함께하기 위해 지속적 투자를 집행할 의사를 갖고 있습니다. 이에, LCK 커미셔너를 포함한 라이엇 이하 모든 유관 인원들에게 요청드립니다. LCK 리그의 지속 가능한 미래와 더 나은 생태계를 위해 팀들과의 적극적인 대화에 나서주십시오. 가장 먼저, 아래와 같은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요구합니다.1. LCK 전담 인력에 대한 투자 확대와 커미셔너의 신임권 공유
2. 매출 배분을 포함한 리그 사업 구조의 합리적 개선
3. 타 프로 스포츠 대비 현저히 적은 LCK 연간 경기수 문제 해결
4. 훈련 환경 개선을 위한 게임 내 기능상 문제점 해결
5. LOL IP와 연계된 확장성 있는 사업 모델 기획 및 실행마지막으로 팀들이 공개적으로 입장문을 발표하기로 한 이유를 밝힙니다. 지난 3년간 팀들은 수차례 ‘지속 가능한 리그와 팀의 구조’를 위한 의견을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했습니다. 하지만 LCK 리그법인은 라이엇의 방침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일관했습니다. 최종적인 협상에서도 원만한 합의에 이르기보다는 더이상 공동의 목소리를 낼 경우 징계가 따를 수 있다는 경고를 함께 받았습니다.즉, 팀들은 LCK 리그의 구성원으로서 책임만 강요 받을 뿐, 그 어떠한 권리와 성장의 열매를 함께 받지 못했습니다.LCK 리그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이스포츠 리그”로 불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서 10개 팀의 존재 이유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LCK 리그의 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LCK 리그법인과 라이엇이 리그의 구성원이자 파트너인 팀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팀들과 함께 진정성 있는 논의를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제공 : LCK 리그 참가팀
이 입장문은 언론 등을 통해 LCK 10개 팀의 공동 입장문으로 알려졌으나, 전문 서두에 일부 팀이 절차와 방식의 차이로 인해 공동 입장문에 참여하지 못하였다고 언급되었다. 입장문 발표 이후 조 마쉬 T1 대표이사가 자신들은 공개 입장문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본인의 X에 밝힌 것으로 보아 참여하지 않은 팀은 T1으로 보인다.[11]
1월 19일, LCK 측의 대응 입장문이 발표되었다.
- [ LCK 입장문 전문 펼치기 · 접기 ]
- >안녕하세요, LCK입니다.
최근 LCK 일부팀에서 리그에 대한 요구사항을 공개적으로 배포하였습니다. 리그 파트너십 모델을 비롯한 중요사항을 서로 상시적으로 논의하고 협의하고 있었음에도 이런 방식을 선택한 것에 대해 깊은 우려와 유감을 표합니다.
LCK를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리그로 만드는 것은 언제나 저희들의 우선순위이자 비전입니다. 장기 파트너십 모델 출범 이후, 리그의 사업을 확장하고 팬분들께 즐거움을 선사하며 리그와 팀과 선수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그동안 LCK는 여러가지 노력을 해 왔습니다. 지금까지 리그는 재정적인 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 방안을 시행해 왔습니다.
- 리그의 순수익이 아닌 매출 자체를 균등 분배
- 예상치 못한 경기침체 속에서 팀들에게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최소분배액(MG) 지급 (도입 예정)
- 잔여 가입비 납부 연기 및 각 팀의 상황에 맞게 납부 시기를 유동적으로 조정, 이에 따라 현재 예정된 가입비의 약 50%만 납부된 상태
- 공인 에이전트 제도, 육성권, 균형지출제도(SFR, Sporting Financial Regulations) 도입
아울러 공동 의사 표현을 할 경우 징계할 수 있다고 한 주장은 사실과 다릅니다. 제재는 일부 팀이 10개 팀 전체를 대표한다고 주장했으나 실제로는 다른 일부 팀들이 그들의 대표권을 거절한 상황일 때 주어질 수 있습니다. 일부가 허위로 대표성을 지닌다고 주장할 경우에는 사칭으로 간주해 징계할 수 있다고 안내한 바 있습니다.
저희는 공개적인 방식으로 파트너들과 비즈니스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 없으며,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10개팀 모두와 비공개로 대화를 이어가겠습니다.
언제나처럼 저희 역시 파트너들과 LCK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를 희망합니다.
감사합니다.
LCK 측의 입장문 발표와 함께 LCK가 프랜차이즈 가입비 납부 비율 및 기한 연장, 분배금 인상 계획을 제안했으며 이미 매출의 50%를 10개 팀에 균등 분배하고 있다는 기사가 나왔다. # 다만 위 기사에는 어폐가 있는 게, 10개 팀은 여태까지 목표 매출을 단 한 번도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하여 대책을 마련하라고 성토하는 것이다. 물론 분배금의 규모가 매출의 절반이라면 결코 작은 비율은 아니긴 하지만, 문제는 절대적인 매출액의 부족으로 이와 같은 상황이 벌어짐을 LCK 측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디스이즈게임, 국민일보, OSEN 등의 다수 언론에서도 '일부 팀'이 입장문을 발표했다는 기사가 연이어 나오면서 LCK 팀들의 입장문은 10개 전체 팀이 아닌 일부 팀이 발표한 것으로 굳어졌다. # # # 특히 LCK는 공개적으로 반대의 뜻을 표한 T1을 포함해 최소 3개팀이 '공동입장문'에 '동참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OSEN에 확인했다.
1월 24일, 국민일보 윤민섭 기사가 이번 공방에 대한 업계의 분위기를 전하는 기사를 올렸다. # 한 관계자는 “돈을 많이 쓴 팀보다 적게 쓴 팀의 목소리가 크다”면서 "입장문에 참여한 팀 중 3년간 100억원 적자를 본 팀은 얼마 안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반면 LCK 팀의 한 관계자는 “프랜차이즈 제도 도입 이전에도, 이후에도 사무국과 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는다고 느낀다”면서 “수익적인 측면에서도 사무국이 팀들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했다. 입장문의 내용에는 동의하진 않지만 발표한 경위는 이해가 간다”고 첨언했다.
5.4. LCK 단합대회 : 원딜 편 드릉드릉 사용 논란
2024년 2월 25일 낮 12시에 업로드된 ' LCK 단합대회 : 원딜 편 ' 영상 내 드릉드릉이라는 자막을 사용해 논란이 되었다. # # # #논란이 가속되자 이후 영상 삭제 후 수정본을 2월 26일 낮 12시에 다시 업로드하였다. "오해의 소지가 있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하다" 같은 똑같은 래퍼토리에 같은 날 진행된 49경기 퍼즈 논란까지 더해져 팬들은 도대체 라이엇 코리아는 제대로 하는 일이 뭐냐며 울분을 토해내고 있다. 특히 롤판은 분명한 남초이기 때문에 더욱 반발이 심하며, 의도적으로 사용했으면 해고급의 징계로 가도 문제가 없고 의도하지 않았다 해도 무능 그 자체임의 가불기가 걸려버렸다.[12]
5.5. 사이버테러로 인한 반복적 퍼즈 및 경기 순연
자세한 내용은 2024 LCK 스프링 사이버테러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6. 영상 및 삽입곡
|
2024 LCK Spring Opening Title BGM: Vance Westlake - Fighter # |
전반적으로 오프닝은 상당히 잘 뽑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캐니언의 반대편으로 가는 쇼메이커를 연출함으로써 같은 팀이었던 둘이 이젠 적으로 만나게 된다는 연출이나, 혼자 거울을 바라보는 비디디[13]에게 합류하는 2022 DRX 3 인 조, 젠지를 떠나 한화생명으로 간 2023 젠지 3 인 조, 그에 맞춰 팀 컬러를 따라[14] 조명이 바뀌는 연출 등 각 팀들의 스토브리그 스토리가 이어지는 것도 굉장히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2023년에도 여전했던 LCK의 라이벌 젠지와 T1이 대립을 이루는 구도도 인상적이다. 2022년 서머부터 LCK 쓰리핏을 달성하며 리그를 제패했지만 월즈에서 고배를 마시고 새로운 슈퍼팀을 구성한 젠지를 시작으로, 그런 젠지에게 LCK 우승을 번번히 저지당했으나 끝내 월즈 2023 챔피언이 되었으며 선수단 전원 재계약에도 성공한 T1이 영상의 끝을 맺는다. 영상 중간에 팀의 막내이자 성골로 뛰어난 활약을 보이며 LCK와 월즈에서 각각 파엠을 받은 페이즈와 제우스의 대치도 이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15]
화룡점정은 오브제인 '빛'의 활용이다. 첫 시작을 '빛', 즉 프로게이머로서의 길을 이제 막 밟기 시작한 현 LCK의 유망주 페이즈로 시작하여 각 팀의 모든 빛이 모여 LCK의 올타임 레전드 페이커를 비추는 것으로 마치 페이커가 LCK 전체를 포괄하는 살아있는 역사이자 레전드, 모든 프로게이머의 우상임을 표현함과 동시에 '모든 길은 나를 통한다'라는 멘트를 활용한 빛의 연출을 하여 LCK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전부 녹여낸 연출을 보여준다.
맨 마지막에 영상 썸네일에 나온 10팀의 깃발이 나오면서 마무리 된다.
기타 삽입곡은 작년부터 사용된 곡을 계속 사용한다. 2024 LoL Champions Korea/영상 및 삽입곡 참조.
7. 주요 기록
7.1. LCK Awards
7.1.1. Player of the Split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Player of the Split |
||||
|
||||
2023 Summer [[김건부| Canyon ]] [[김건우(프로게이머)| Zeka ]]
|
→ |
2024 Spring [[정지훈(2001)| Chovy ]]
|
→ |
2024 Summer [[김수환(프로게이머)| Peyz ]]
|
||<-7><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1c192b><table bordercolor=#1c192b><tablebgcolor=#fff,#1c1d1f>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Player of the Game 포인트 ||
}}}}}}}}} ||
Player of the Game 포인트 ||
순위 | 선수 | ID | 소속 팀 | 포지션 | 누적 점수 | 챔피언 | |||||||
정지훈 | Chovy | 1,300pts | [16][D] | ||||||||||
2 | 이상혁 | Faker | 1,100pts | [18][A] | |||||||||
3 | 김건부 | Canyon | 1,000pts | [20][A] | |||||||||
3 | 김건우 | Zeka | 1,000pts | [22][D] | |||||||||
5 | 홍창현 | Pyosik | 900pts | [24]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5위권 미만 선수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순위 | 선수 | ID | 소속 팀 | 포지션 | 누적 점수 | 챔피언 | ||||||
6 | 한왕호 | Peanut | 800pts | [25][B] | |||||||||
6 | 허수 | ShowMaker | 800pts | [27][A] | |||||||||
8 | 문우찬 | Cuzz | 600pts | [29][A] | |||||||||
8 | 류민석 | Keria | 600pts | [31][C] | |||||||||
8 | 문현준 | Oner | 600pts | [33] | |||||||||
8 | 박도현 | Viper | 600pts | [34] | |||||||||
8 | 최우제 | Zeus | 600pts | [35] | |||||||||
13 | 이주현 | Clozer | 500pts | [36] | |||||||||
13 | 정지우 | Jiwoo | 500pts | [37][A] | |||||||||
13 | 손시우 | Lehends | 500pts | [39] | |||||||||
13 | 최용혁 | Lucid | 500pts | [40] | |||||||||
13 | 박루한 | Morgan | 500pts | [41][A] | |||||||||
13 | 이승민 | PerfecT | 500pts | [43][B] | |||||||||
13 | 김광희 | Rascal | 500pts | [45] | |||||||||
13 | 김정현 | Willer | 500pts | [46][A] | |||||||||
21 | 김하람 | Aiming | 400pts | [48] | |||||||||
21 | 곽보성 | Bdd | 400pts | [49][A] | |||||||||
21 | 조건희 | BeryL | 400pts | [51] | |||||||||
21 | 김혁규 | Deft | 400pts | [52][A] | |||||||||
21 | 유환중 | Delight | 400pts | [54] | |||||||||
21 | 박근우 | DnDn | 400pts | [55] | |||||||||
21 | 이동주 | DuDu | 400pts | [56] | |||||||||
21 | 김기인 | Kiin | 400pts | [57][A] | |||||||||
29 | 송선규 | Bull | 300pts | [59] | |||||||||
29 | 이태영 | BuLLDoG | 300pts | [60] | |||||||||
29 | 송현민 | Clear | 300pts | [61][A] | |||||||||
29 | 이정훈 | Execute | 300pts | [63] | |||||||||
29 | 이민형 | Gumayusi | 300pts | [64][A] | |||||||||
29 | 황성훈 | Kingen | 300pts | [66] | |||||||||
29 | 배영준 | Sponge | 300pts | [67] | |||||||||
29 | 이승복 | Sylvie | 300pts | [68] | |||||||||
37 | 문관빈 | Andil | 200pts | [69][A] | |||||||||
37 | 오지훈 | Callme | 200pts | [71] | |||||||||
37 | 최현준 | Doran | 200pts | [72] | |||||||||
37 | 이명준 | Envyy | 200pts | [73][A] | |||||||||
37 | 김수환 | Peyz | 200pts | [75] | |||||||||
37 | 송경진 | SeTab | 200pts | [76] | |||||||||
43 | 김형규 | Kellin | 100pts | [77] | |||||||||
43 | 손민우 | Pleata | 100pts | [78] | |||||||||
43 | 오동규 | Pollu | 100pts | [79] |
7.1.2. 우리은행 Gold King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Gold King |
|||||
주차 | 이름 | ID | 소속 팀 | 포지션 | 획득량 |
1 | 김하람 | Aiming | 17,995 | ||
2 | 이태영 | BuLLDoG | 16,876 | ||
3 | 곽보성 | Bdd | 15,065 | ||
4 | 이동주 | DuDu | 16,287 | ||
5 | 김건우 | Zeka | 17,284 | ||
6 | 김하람 | Aiming | 20,908 | ||
7 | 16,734 | ||||
8 | 송현민 | Clear | 17,678 | ||
9 | 정지우 | Jiwoo | - |
해당 주차에 4세트 이상 출전한 선수 중 세트당 평균 골드 획득량이 가장 많은 선수를 주간 골드 킹으로 선정한다.
부상으로 주간 골드 킹 선수에게는 순은 코인을, 연간 골드 킹 선수에게는 순금 코인을 우리은행에서 제작, 수여한다.
7.1.3. OP.GG Player of the Week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Player of the Week |
||||||
주차 | 이름 | ID | 소속 팀 | 포지션 | 득표수 | OP 스코어 |
1 | 홍창현 | Pyosik | 4 / 10[80] | 5.8 | ||
2 | 최우제 | Zeus | 5 / 10[81] | 6.74 | ||
3 | 류민석 | Keria | 2 / 10[82] | 8.2 | ||
4 | 홍창현 | Pyosik | 5 / 10[83] | 9.8 | ||
5 | 박도현 | Viper | 6 / 10[84] | 9.73 | ||
6 | 류민석 | Keria | 5 / 10[85] | 8.28 | ||
7 | 정지훈 | Chovy | 9 / 10[86] | 8.87 | ||
8 | 한왕호 | Peanut | 5 / 10[87] | 6.82 | ||
9 | 박도현 | Viper | - | - |
국내 분석데스크[88], 영어 캐스터[89], 해설 및 분석 데스크[90] 등 10인의 투표로 선정되며, 동수 득표가 나올 경우 OP 스코어[91]가 더 높은 선수가 선정된다.
7.1.4. CGV Best Ceremony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Best Ceremony |
||||
주차 | 이름 | ID | 소속 팀 | 포지션 |
1 | 박근우 | DnDn | ||
정지우 | Jiwoo | |||
2 | 송선규 | Bull | ||
3 | 류민석 | Keria | ||
4 | 이승민 | PerfecT | ||
5 | 이민형 | Gumayusi | ||
6 | 김광희 | Rascal | ||
7 | 박진성 | Teddy | ||
8 | 정지우 | Jiwoo | ||
9 | 손정환 | Quantum |
7.1.5. 정규시즌 MVP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Regular Season MVP |
||||
|
||||
2023 Summer [[손시우| Lehends ]]
|
→ |
2024 Spring [[정지훈(2001)| Chovy ]]
|
→ |
2024 Summer [[정지훈(2001)| Chovy ]]
|
|
GEN Chovy l 2024 LCK 스프링 스플릿 MVP |
||<-6><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1c192b><table bordercolor=#1c192b><tablebgcolor=#fff,#1c1d1f>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Regular Season MVP 투표 결과 ||
}}}}}}}}} ||
Regular Season MVP 투표 결과 ||
순위 | 선수 | ID | 소속 팀 | 포지션 | 투표 결과 | ||||||
정지훈 | Chovy | 196pts | |||||||||
2 | 김건부 | Canyon | 69pts | ||||||||
3 | 이상혁 | Faker | 47pts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3위권 미만 선수 보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순위 | 선수 | ID | 소속 팀 | 포지션 | 투표 결과 | |||||
4 | 최우제 | Zeus | 17pts | ||||||||
5 | 박도현 | Viper | 14pts | ||||||||
6 | 류민석 | Keria | 11pts | ||||||||
7 | 김기인 | Kiin | 10pts | ||||||||
8 | 김수환 | Peyz | 4pts | ||||||||
9 | 홍창현 | Pyosik | 3pts | ||||||||
9 | 손시우 | Lehends | 3pts | ||||||||
11 | 문우찬 | Cuzz | 1pts | ||||||||
11 | 한왕호 | Peanut | 1pts | ||||||||
11 | 손민우 | Pleata | 1pts | ||||||||
11 | 김건우 | Zeka | 1pts |
7.1.6. LCK All-Pro Team
2024 SPRING ALL-LCK 1st TEAM | ||||
|
||||
TOP |
JGL |
MID |
BOT |
SPT |
[[김기인| Kiin ]]
|
[[김건부| Canyon ]]
|
[[정지훈(2001)| Chovy ]]
|
[[김수환(프로게이머)| Peyz ]]
|
[[류민석| Keria ]]
|
2024 SPRING ALL-LCK 2nd TEAM | ||||
|
||||
TOP |
JGL |
MID |
BOT |
SPT |
[[최우제| Zeus ]]
|
[[문현준| Oner ]]
|
[[이상혁| Faker ]]
|
[[박도현(2000)| Viper ]]
|
[[손시우| Lehends ]]
|
2024 SPRING ALL-LCK 3rd TEAM | ||||
|
||||
TOP |
JGL |
MID |
BOT |
SPT |
[[최현준(프로게이머)| Doran ]]
|
[[한왕호| Peanut ]]
|
[[김건우(프로게이머)| Zeka ]]
|
[[이민형| Gumayusi ]]
|
[[유환중| Delight ]]
|
7.2. 펜타킬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펜타킬 | |||||||
순서 | 이름(ID) | 소속 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 팀 | 기록일 | 경기 |
1 |
김하람 (Aiming) |
BOT |
2024.01.18 | 3경기 1세트 | |||
2 |
허수 (ShowMaker) |
MID |
2024.01.25 | 13경기 2세트 | |||
3 |
김수환 (Peyz) |
BOT |
2024.02.24 | 48경기 1세트 | |||
4 |
김혁규 (Deft) |
2024.03.10 | 69경기 3세트 | ||||
5 |
허수 (ShowMaker) |
MID |
70경기 2세트 | ||||
6 |
홍창현 (Pyosik) |
JGL |
2024.03.14 | 74경기 1세트 |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LoL e스포츠 2024 시즌 | |||
국제 대회 | |||
2024 MSI | 2024 Worlds | ||
지역 대회 | |||
스프링 서머 선발전 | 스프링 서머 선발전 | 윈터 스프링 서머 지역 결승 | 스프링 서머 챔피언십 |
스프링 서머 | 스프링 서머 | 스플릿 1 스플릿 2 | 오프닝 클로징 |
기타 대회 | 기타 국제 대회 | ||
시즌 오프닝 | 2024 ASCI | 2024 ECEA | EWC 2024 |
기타 지역 대회 | |||
스프링 서머 | 스프링 서머 | 스플릿 1 스플릿 2 | 윈터 서머 |
[분석]
분석 데스크 겸직
[분석]
[3]
결승전에 합류
[4]
채널 안내문을 두 줄 밑으로 내리고 맨 위에 추가해 채널 홈의 정보란에 해당 문구만 보이게 했다.
[5]
現
TBN 전북교통방송 교통캐스터.
# 과거 마케터로 일한 경력도 있다.
#
[6]
정말로 호평 하나 없이 혹평 일색이다. 그나마 호의적인 반응이 'LCK 수명을 늘리려고 노력한다.'인데, 이마저도 티켓 가격을 올리고 팬미팅은 막은 것이 더해져 '이미 지들 손으로 리그 폐지하고 싶어 발악인데 이런 거 하면 리그 수명이 늘어나냐', '작년에 구호 했을 때도 반응이 좋지 않았는데 얘네는 팬들의 의견, 반응을 아예 무시하는 거 아니냐' 등의 비판으로 이어졌다.
[7]
'비하까지는 아니다'라는 의견도 있으나 대체로 인터넷이나 SNS에서 장난식으로 쓰는 드립, 밈(Meme)을 무려 해외도 널리 보는 공식 경기에서까지 드러내는 건 아니라는 부정적인 의견이 주를 이룬다.
[8]
응원 구호를 사용하는 기성 스포츠는 현장에 응원단이 배치되어 응원 구호를 팬들에게 숙지시킨다. 기성 스포츠와의 관람 환경 차이는 고려하지도 않고 일방적으로 응원 구호 도입을 밀어붙인 것이 명백한 실책이라는 것만 드러났다.
[9]
야구나 축구 등의 기성 스포츠는 넓은 경기장을 선수들이 직접 발로 뛰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응원 구호는 지쳐있는 선수들에겐 격려를, 느려지는 경기 흐름엔 분위기 환기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반면 e스포츠는 그 자리에 앉아 짧은 시간 안에 온갖 집중력을 쏟기 때문에 기성 스포츠에 비해 경기 흐름이 상당히 빠르고 변화무쌍하다. 즉, 1초라는 짧은 시간에도 쉴 틈 없이 움직이는 e스포츠 환경에서 응원 구호 문화는 오히려 선수들이나 그걸 보는 시청자들의 몰입에 방해되는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중계방송에서도 중계진의 오디오를 끊어먹는다. 더군다나 e스포츠는
관중의 시청각적 행동이 부정 플레이가 될 수 있어 방음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하는 스포츠이다. 팬들이 응원 구호 폐지를 주장하는 이유 중 하나가 선수들이 들을 수도 없는 응원 구호를 대체 왜 하냐라는 것.
[10]
또한 리그 오브 레전드의 특성상, 유리한 위치더라도 순식간에 불리해 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응원 구호를 안 내고 함성으로만 일관하라는 광동 프릭스가 제일 칭찬 받을 지경
[11]
현재 조 마쉬의 X 계정이 폭파되어 해당 트윗은 볼 수 없는 상태이다.
[12]
다만 드릉드릉이란 단어 자체는 크게 문제가 없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다른 대체 용어가 많음에도 왜 드릉드릉과 같이 논란의 여지가 있는 단어를 굳이 사용해도 되지 않는 부분에서 어거지로 끼워넣었냐이다. 드릉드릉이 페미 용어인가에 대한 내용은
문서 참조.
[13]
직전 연출이 데뷔해서 미친 폼을 보인 슈퍼루키인 제우스와 페이즈를 비춰주었는데, 자신도 데뷔 시절 슈퍼루키였던 것을 부각시키는 연출인 듯 하다.
[14]
2023 젠지 3인조는 노란색(젠지)에서 주황색(한화생명)으로 바뀌고, 2022 DRX 3인조는 파란색(DRX)에서 짙은 빨간색(KT)으로 바뀐다.
[15]
여담으로, 두 특급 유망주가 비추어지는 거울을 쳐다보며 특급 유망주 소리 듣던 과거의 자신을 비추어 보는 비디디 라는 해석도 있다.
[16]
트리스타나 →
탈리야 →
제이스 →
코르키 →
아지르 →
아지르 →
아지르 →
아지르 →
르블랑 →
아리 →
카사딘 →
트리스타나 →
사일러스
[D]
만장일치 POG 4회
[18]
니코 →
오리아나 →
니코 →
탈리야 →
오리아나 →
흐웨이 →
코르키 →
코르키 →
탈리야 →
아리 →
탈리야
[A]
만장일치 POG 1회
[20]
세주아니 →
세주아니 →
렐 →
리 신 →
리 신 →
세주아니 →
렐 →
리 신 →
잭스 →
렐
[A]
[22]
코르키 →
트리스타나 →
아칼리 →
요네 →
트리스타나 →
아칼리 →
아지르 →
트리스타나 →
탈리야 →
요네
[D]
[24]
신 짜오 →
바이 →
리 신 →
리 신 →
리 신 →
렐 →
바이 →
킨드레드 →
람머스
[25]
자크 →
마오카이 →
세주아니 →
바이 →
뽀삐 →
리 신 →
뽀삐 →
신 짜오
[B]
만장일치 POG 2회
[27]
르블랑 →
사일러스 →
아지르 →
아지르 →
아지르 →
아지르 →
아우렐리온 솔 →
카르마
[A]
[29]
녹턴 →
비에고 →
뽀삐 →
리 신 →
세주아니 →
비에고
[A]
[31]
럭스 →
애쉬 →
니코 →
알리스타 →
탐 켄치 →
칼리스타
[C]
만장일치 POG 3회
[33]
렐 →
렐 →
자르반 4세 →
바이 →
리 신 →
렐
[34]
카이사 →
루시안 →
바루스 →
바루스 →
제리 →
제리
[35]
오른 →
요네 →
아트록스 →
아트록스 →
나르 →
트위스티드 페이트
[36]
아칼리 →
야스오 →
아지르 →
아지르 →
아리
[37]
아펠리오스 →
스몰더 →
제리 →
제리 →
루시안
[A]
[39]
라칸 →
노틸러스 →
알리스타 →
레나타 글라스크 →
흐웨이
[40]
렐 →
렐 →
리 신 →
렐 →
리 신
[41]
요네 →
아트록스 →
아트록스 →
레넥톤 →
크산테
[A]
[43]
크산테 →
나르 →
럼블 →
그웬 →
럼블
[B]
[45]
나르 →
잭스 →
말파이트 →
말파이트 →
나르
[46]
브랜드 →
신 짜오 →
잭스 →
신 짜오 →
바이
[A]
[48]
자야 →
자야 →
루시안 →
루시안
[49]
오리아나 →
아지르 →
애니 →
탈리야
[A]
[51]
알리스타 →
노틸러스 →
노틸러스 →
니코
[52]
이즈리얼 →
세나 →
케이틀린 →
세나
[A]
[54]
라칸 →
렐 →
렐 →
쓰레쉬
[55]
우디르 →
나르 →
잭스 →
크산테
[56]
아트록스 →
크산테 →
아트록스 →
레넥톤
[57]
다리우스 →
우디르 →
크산테 →
크산테
[A]
[59]
진 →
칼리스타 →
바루스
[60]
흐웨이 →
카르마 →
신드라
[61]
잭스 →
럼블 →
트위스티드 페이트
[A]
[63]
노틸러스 →
렐 →
렐
[64]
징크스 →
루시안 →
바루스
[A]
[66]
아트록스 →
아트록스 →
레넥톤
[67]
세주아니 →
신 짜오 →
신 짜오
[68]
뽀삐 →
비에고 →
바이
[69]
레나타 글라스크 →
알리스타
[A]
[71]
트리스타나 →
탈리야
[72]
크산테 →
우디르
[73]
스몰더 →
카이사
[A]
[75]
칼리스타 →
바루스
[76]
르블랑 →
아지르
[77]
바드
[78]
탐 켄치
[79]
노틸러스
[80]
퍼펙트 2표 /
피넛,
딜라이트,
베릴,
캐니언 각 1표
[81]
불 2표 /
페이커,
쇼메이커,
바이퍼 각 1표
[82]
쵸비,
기인,
딜라이트,
페이커 각 2표
[83]
케리아 2표 /
비디디,
제우스,
페이커 각 1표
[84]
폴루 2표 /
케리아,
모건 각 1표
[85]
페이커,
쵸비 각 2표 /
에이밍 1표
[86]
캐니언 1표
[87]
쵸비 2표,
클리어 2표,
헤나 1표
[88]
강형우,
고수진,
신동진,
임주완
[89]
맥스 앤더슨,
브랜든 발데스
[90]
울프 슈뢰더,
마우리츠 얀 뫼우센, 댄 해리슨,
허승훈
[91]
KDA, CS, 골드 획득량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산출한다. 솔랭 전적 페이지의 그 OP 스코어를 대회 경기에 적용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