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대한석유공사(유공)에 대한 내용은 SK이노베이션 문서 참고하십시오.
산하 공공기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국전력공사 | 한국수력원자력 |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
한국남동발전 | 한국남부발전 | 한국동서발전 | |
한국서부발전 | 한국중부발전 | 한국전력기술 | |
한전원자력연료 | 한전KDN | 한전KPS | |
한전MCS | 한국전력거래소 | 한국가스공사 | |
한국가스기술공사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대한석탄공사 |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 |
한국세라믹기술원 | 무역안보관리원 | 한국제품안전관리원 | |
한국가스안전공사 | 한국광해광업공단 | 한국디자인진흥원 |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한국무역보험공사 | 한국산업단지공단 | |
한국석유공사 | 한국석유관리원 | 한국에너지공단 |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한국전기안전공사 | |
한국지역난방공사 | 한국에너지재단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 강원랜드 | ||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 |
한국석유공사 韓國石油公社 |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
|
<colbgcolor=#001711><colcolor=#fff>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설립일 | 1979년 3월 3일[1] |
설립 목적 |
석유자원의 개발, 석유의 비축, 석유유통구조의 개선에 관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석유수급의 안정을 도모함과 아울러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 한국석유공사법 |
업종명 | 원유 및 천연가스 채굴업 |
전신 |
한국석유개발공사 ( 1979년 3월 3일~ 1998년 12월 31일) |
대표자 | 김동섭 |
주무 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
주요 주주 | 대한민국 정부: 100% |
기업 분류 | 시장형 공기업[2] |
상장 여부 | 비상장 기업 |
직원 수 | 1,342명(2021년 2분기 기준) |
자본금 | 10조 6,234억 1,978만 75원(2021년 기준) |
매출액 |
연결: 2조 1,543억 3,805만 9,162원(2021년 기준) 별도: 3,921억 8,028만 7,266원(2021년 기준) |
영업 이익 |
연결: 4,474억 3,712만 7,322원(2021년 기준) 별도: -325억 3,099만 1,480원(2021년 기준) |
순이익 |
연결: -459억 7,172만 4,653원(2021년 기준) 별도: -1,256억 4,914만 1,807원(2021년 기준) |
자산 총액 |
연결: 18조 4,107억 4,091만 9,620원(2021년 기준) 별도: 13조 7,647억 844만 3,038원(2021년 기준) |
부채 총액 |
연결: 19조 9,629억 9,275만 1,995원(2021년 기준) 별도: 15조 5,443억 1,719만 5,676원(2021년 기준) |
자회사 | KNOC서비스 |
|
|
비전 | 에너지 그 이상의 가치를 실현하는 기업 (Creating Value Beyond Energy) |
소재지 | 본사 -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305 ( 우정동) |
웹 사이트 | |
한국석유공사 공식 홈페이지 오피넷 공식 홈페이지 패트로넷 공식 홈페이지 |
|
소셜 미디어 | |
한국석유공사 공식 블로그 한국석유공사 공식 유튜브 한국석유공사 공식 페이스북 |
|
전화번호 | |
대표 전화: 052-216-2114 |
[clearfix]
1. 개요
한국석유공사의 경관, 홍보 영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
▲ 한국석유공사 공식 홍보영상 |
|
▲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305 ( 우정동)에 위치한 한국석유공사 본사 사옥 |
에너지 그 이상의
가치를 실현하는 기업
한국석유공사 CEO 인사말 中
가치를 실현하는 기업
한국석유공사 CEO 인사말 中
에너지기업 선두주자 한국석유공사의 꿈은 세계속에서 더욱 빛납니다.
한국석유공사 회사소개말
석유자원의 개발, 석유의 비축, 석유유통구조의 개선에 관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1979년
3월 3일[3]에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 한국석유공사 회사소개말
근거 법률은 「 한국석유공사법」이다. 설립 당시에는 '한국석유개발공사'라는 이름이었으나 1999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1970년대 오일 쇼크를 겪은 당시 박정희 정부는 석유자원의 선제적 확보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유전, 생산광구를 소유하거나 지분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비상 상황에 석유수급에 큰 도움이 된다. 그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 유전개발에 직접 뛰어들 목적으로 이 회사가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 이 회사의 약칭은 유개공이었으며, 이는 (구)대한석유공사의 약칭이자 SK에 인수되어 민영화된 이후의 정식 사명인 유공[5]과 구분하기 위함이었다. 현재는 따로 약칭은 없다. 옛날 유공과 구분하기 위해 '유공' 대신 '석공'으로 줄여서 부른다는 얘기가 있으나 '석공'은 이미 대한석탄공사의 약칭으로 쓰이고 있다.
노동조합은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공공산업노련 소속이다.
2. 역대 임원
2.1. 역대 이사장
1984년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에 따라 이사장제가 신설되었으나, 1997년에 폐지됨.- 이종호 (1984~1987)
- 윤성민 (1987~1988)
- 이상익 (1988~1990)
- 류각종 (1990~1991)
- 최문규 (1991~1993)
- 유양수 (1993~1996)
- 이재옥 (1996~1997)
2.2. 역대 사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50><tablebordercolor=#fff> |
한국석유공사 역대 사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초대 김동조 |
2대 이원조 |
3대 최성택 |
4대 유각종 |
5대 장석정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6대 나병선 |
7대 이수용 |
8대 이억수 |
9대 황두열 |
10대 강영원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11대 서문규 |
12대 김정래 |
13대 양수영 |
14대 김동섭 |
}}}}}}}}} |
- 김동조 (1979~1980)
- 이원조 (1980~1986)
- 최성택 (1986~1990)
- 유각종 (1990~1993)
- 장석정 (1993~1998)
- 나병선 (1998~2001)
- 이수용 (2001~2002)
- 이억수 (2002~2005)
- 황두열 (2005~2008)
- 강영원 (2008~2012)
- 서문규 (2012~2016)
- 김정래 (2016~2017)
- 이재웅 사장대행 (2017~2018)
- 양수영 (2018~2021)
- 김동섭 (2021~ )
3. 주요 사업
주요 설립 목적은 아래와 같다.현재는 점차 그 사업영역이 더 넓어졌다.
- 석유유통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한 알뜰 주유소의 운영과 그 유통업무.
- 국내에 석유정보 제공: 자동차를 몰고 있다면 한번쯤 들어가 봤을 오피넷 운영도 이곳에서 한다. 또한 더욱 전문적인 업계 자료는 패트로넷에서 접할 수 있다.
- 에특회계(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에너지 및 자원관련 기금 운용
국내에서 본격적인 유전탐사, 개발을 주요 업무로 하는 회사는 사실상 이 회사뿐이다.[7][8] 국내에서는 한국석유공사가 유전개발과 관련된 기술과 노하우를 많이 축척하고 있다. 물론 세븐 시스터즈 같은 석유 메이저와 비교하면 초라하다. 해외에서는 석유개발을 하는 업체들이 굉장히 크고 인기 직장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정유사의 발달에 비해 석유탐사와 유전개발 분야는 모자란 것이 사실이다.
한 때 반잠수식 석유 시추선 ' 두성호'를 운영하며 수익을 올렸지만 2018년 폐선으로 매각했다.
특히 우리나라가 산유국이 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회사가 바로 이곳이다. 울산 앞바다의 동해 가스전에서는 바로 최근인 2021년 12월까지 천연가스와 석유[9]를 생산하였다.
이 때문에 언론에서 아직도 "우리나라는 석유 한 방울 안 나는 나라입니다." 라는 이야기를 하면 한국석유공사 임직원들은 속이 답답해졌다는 후문이 있다.[10] 다만 동해-1 및 동해-2 가스전이 2021년 12월 생산을 종료하면서 새로운 국내 유전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다시 기름 한 방울 안 나는 나라가 되었다(...) 상업성있는 유전과 가스전의 탐색을 계속 하고는 있으나 성과가 좋지 않다. 동해 가스전 시추로 인한 빈 공간에는 이산화 탄소를 대신 채워넣게 된다.
4. 위기
이명박 정부가 자원외교를 추진할 당시, 큰 역할을 맡았다. 이 과정에서 캐나다의 하베스트社를 비롯한 해외 석유회사들을 매입하였다.특히 2010년 9월에는, 영국의 석유회사인 다나 페트롤리엄의 주식을 대규모 공개매수하여 적대적 M&A에 성공하였다. 기사 영국 공정거래청에서는 이 적대적 M&A를 승인하여 정식으로 자회사에 편입하는데 성공. 이 당시에 대한민국 기업( 사기업이든 공기업이든)이 적대적 인수합병에 성공한 최대의 기업이라서 화제가 되었다. 이렇게 회사의 규모와 역할이 점점 커질 것이라 기대되었으나 이후에는 안타깝게도 하베스트와 그 자회사인 NARL의 인수과정에 대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 특히 2014년 하반기부터 지속된 저유가로 인해, 수익에 큰 피해를 입었다. 그리고 하베스트 자체가 수명이 끝난 유전이었기 때문에 채산성이 없었다.
공공기관 중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연속으로 적자가 난 곳이 13군데인데, 해당 기관들 손실액의 무려 90% 이상이 한국석유공사의 것이다. #
2016년에 한국가스공사와 통합이 거론되었으나, 통합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그러나 석유공사의 핵심이었던 E&P 사업[11]의 축소는 이뤄지게 되었다.
2021년 초 한국석유관리원과의 통합이 거론되었으나 한국석유공사의 부채가 너무나 막대하여 한국석유관리원 측에서 단칼에 거절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석유공사는 자본잠식 상태이며, 향후 투자하는 사업의 재원은 산업자원부의 예산을 전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5. 기타
설립 당시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했었고, 이후 1994년에 위 사진의 평촌신도시 옛 본사 건물에 입주하였다. 2014년 11월에 매각이 확정되었는데 금액이 무려 702억 원. 주소는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평로212번길 57, 지번 주소로 관양동 1588-16이었다. 건물 내에 외환은행 지점이 있었는데, 청산 이후 이 곳에 있던 은행도 이사할 듯. 현재 이 자리에는 '힐스테이트 에코 평촌'이라는 주상복합이 들어왔다. 현재 본사는 울산의 우정혁신도시로 이전하였다.
개그콘서트 코너였던 억수르의 이름을 바꾸게 만든 장본인이기도 한데, 그 전의 코너 이름을 생각해 보면 오일머니와 직접 연관이 있는 회사이니만큼 당연한 압박이었다.
코스피에 상장되어 있는 한국석유와는 전혀 상관 없는 회사이다. 한국석유(또는 한국석유공업)는 사기업이다! 이름이 비슷해서 그런지 한국석유 주식에 투자한 사람들이 석유공사에 전화하여 요새 주가가 왜 이러냐고 석유공사 직원에게 따지는 상황도 드물게 발생하곤 한다. 또한 어르신들은 (구)유공과 헛갈려 하기도 한다. SK이노베이션이 유공이던 시절에 설치한 시설에 대한 민원이 난데없이 여기로 날라오기도 한다.
6. 노동조합 현황
참고- 한국석유공사 노동조합: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공공산업노동조합연맹 소속.
-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울산지역본부 KNOC지회: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소속.
7.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 ||
{{{#!wiki style="margin:-0px -12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공기업 ] |
<colbgcolor=#003764> 시장형 공기업 (14개) | |
산업통상 자원부 |
강원랜드, 한국가스공사,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석유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중부발전, 한국지역난방공사 | |
국토교통부 |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도로공사 | |
준시장형 공기업 (18개) | ||
기획재정부 | 한국조폐공사 | |
문화체육 관광부 |
그랜드코리아레저 | |
농림축산 식품부 |
한국마사회 | |
산업통상 자원부 |
대한석탄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전력기술, 한전KDN, 한전KPS | |
환경부 | 한국수자원공사 | |
국토교통부 | 에스알,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부동산원,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 |
해양수산부 | 해양환경공단 | |
방송통신 위원회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
- [ 준정부기관 ]
-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colbgcolor=#003764>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12개) ||
- [ 기타공공기관 ]
-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colbgcolor=#003764> 기타공공기관 (240개) ||
[1]
‘한국석유공사’로의 사명 변경일은
1999년
1월 1일이다.
[2]
공기업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서 일괄 제외되었고 따라서 공기업은 금융 회사나 중소기업은 당연히 아니므로 단순히 법적으로 해석하면 중견 기업에 속한다고 해석할 여지가 없지는 않지만, 기본적으로 규모랑 관계가 없이 '공기업'들에 대한 예외로 인한 것이라 일반 기업 집단의 기준으로 규모를 중견 기업이라 보기는 어렵다. 아예 금융업처럼 분류에서 제외된 것이기 때문에 대-중견-중소 분류와 별개로 봐야할 것이다. 대기업 이상의 규모를 갖춘 공기업들이 많은데 이들을 중견 기업으로 분류하는 자료나 기사는 없다.
[3]
당시 사명은 ‘한국석유개발공사’였다. ‘한국석유공사’로의 사명 변경일은
1999년
1월 1일이다.
[4]
후술 참조.
[5]
現
SK이노베이션
[6]
Exploration & Production (탐사 및 생산)
[7]
한국가스공사,
포스코인터내셔널 등도
유전 개발을 하고 있으나, 아예 회사의 존재목적이 유전개발인 이 회사와는 조금 다르다.
[8]
그러나 유전탐사를 했던 것은, 과거의 역사가 될 지도 모르는 기로에 서 있다. 아래의 '위기' 항목 참조.
[9]
'컨덴세이트' 라는 초경질유가 생산된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검은
원유와는 조금 다르다.
[10]
물론, 컨덴세이트가 아니라
원유를 생산해야만
산유국이라는 주장도 있다.
[11]
Exploration & Production (탐사 및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