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9:13:04

제2차 세계 대전/피해와 전쟁 범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536349><colcolor=#FFF> 전개 원인
연표 · 전선 ( 전체 전투 목록분류 ·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투목록 · 유럽·아프리카 지역 전투목록 · 연표)
참전국 연합국 · 추축국 ( 참전국 · 연합국 · 추축국)
피해 피해와 전쟁 범죄 ( 홀로코스트 · 독일의 전쟁범죄 · 일본의 전쟁범죄)
인물 및 어록 관련 인물 · 관련 어록
기타 이야깃거리
미디어 창작물 · 게임 · 전쟁 영화
}}}}}}}}} ||

제2차 세계 대전의 국가별 사망자
나라명 군인 사망자 민간인 사망자 군인 1명 당
민간인 사망자
합계
소련 12,000,000명 17,000,000명 1.42명 29,000,000명
나치 독일 3,250,000명 2,440,000명 0.75명 5,690,000명
폴란드 597,000명 5,860,000명 9.82명 6,270,000명
루마니아 왕국 450,000명 465,000명 1.03명 915,000명
미국 407,000명 6,000명 0.01명 413,000명
영국 403,000명 92,700명 0.23명 495,000명
이탈리아 왕국 380,000명 153,000명 0.40명 533,000명
유고슬라비아 305,000명 1,350,000명 4.43명 1,660,000명
프랑스 245,000명 350,000명 1.43명 595,000명
헝가리 왕국 200,000명 600,000명 3.00명 800,000명
벨기에 76,000명 23,000명 0.30명 99,000명
그리스 19,000명 140,000명 7.37명 159,000명
네덜란드 13,700명 236,000명 17.23명 249,000명
체코슬로바키아 7,000명 315,000명 45.00명 322,000명
18,352,700명 29,030,700명 1.58명 47,200,000명
출처 : http://www.world-war-2.info/statistics/
* 이 자료에서 일본 제국이나 중화민국과 같은 아시아 국가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1. 개요2. 피해
2.1. 물적 손실
2.1.1. 전비2.1.2. 주요 시설물 파괴
2.2. 목록2.3. 추축국의 전쟁범죄 성격 차이

[clearfix]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어난 피해와 전쟁 범죄를 정리한 문서.

2. 피해

제2차 세계 대전 망자들(The Fallen of World War II)
전쟁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 자신을 지키기 위한 전쟁도 예외는 아니다. 왜냐하면, 전쟁이 남기는 것은 오로지 파괴와 슬픔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쟁을 일으키는 자는 그 의도가 무엇이든, 결코 용서받을 수 없다. 따라서 나는 히틀러를 결코 용서할 수 없다. 그의 망상으로 인해 벌어진 전쟁에서 수천만 명의 죄없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기 때문이다.
《전쟁의 역사》(버나드 로 몽고메리 저)의 작가 후기 중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의 사망자 수는 공식 집계가 없으며, 학자들마다 추정치도 다르다. 대부분 직접적 원인과 간접적 원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를 50,000,000 ~ 80,000,000명으로 잡고 있다.[1] 과거에는 50,000,000 ~ 55,000,000명이 가장 보편적이었고 한국 교과서에도 대부분 50,000,000명대로 작성되어 있는데 최근 사료의 추가 발굴 등으로 독소전쟁 중일전쟁의 사망자 수가 이전보다 늘어나고 기근, 전염병 등 간접적인 피해 또한 전쟁 피해자로 규정하게 되면서 기존의 수치보다 소폭 증가하였다. 1990년대만 하더라도 37,000,000명 정도로 많이 추정했다.

당시 기준으로 이보다 인구가 많았던 나라는 중화민국 국민정부, 영국령 인도 제국, 소련, 미국,[2] 일본 제국,[3] 나치 독일 정도였다. 대부분의 추정치로도 그 이전까지 최대 인명 피해였던 제1차 세계 대전 사망자 17,000,000명보다 압도적으로 크며 특히 2차 대전의 일개 전장이었던 독소전쟁은 1차 대전의 2배, 중일전은 1차 대전의 1.5배의 사망자를 낳았다.

가장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나라는 소련으로 공식적으로는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약 18,000,000명이 사망했지만 공식 집계되지 않은 사망자를 포함하면 최대 26,000,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전전 소련 인구의 약 13 ~ 14%에 해당한다.[4] 참고로 소련 정부는 붕괴 순간까지도 군 인명 피해에 대한 자료를 공개하지 않았고 1993년 보리스 옐친(Boris Yeltsin) 집권 당시 그리고리 크리보세예프(Grigoriy Krivosheev) 장군이 연구해 발표한 내용이 전부이기에 딱히 대체자료가 없다. 다만 전쟁 초기의 피해 기록이 이루어지지 않아 누락된 것이 많다.[5]

또한 소련 다음으로 많은 사상자를 배출한 중화민국 역시 공식 사망자는 약 1,310,000명으로 집계되었지만 실제로는 군민 포함해 최대 22,000,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전전 중국 인구의 약 4 ~ 5%에 해당한다.

2차 대전 최초의 피해국인 폴란드의 경우 전체 인구의 1/6에 달하는 약 6,000,000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이 중 절반에 해당하는 3,000,000명은 유대인들이었다. 또한 동남아 일대에서도 일제의 가혹한 수탈로 인해 수백만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게다가 추축국에 의한 민간인 대량 살육이 곳곳에서 자행되었기에 민간인 사망자의 비중이 이전의 전쟁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고 추축국에 잡힌 포로에 대한 열악한 처우로 포로 생존율 또한 낮았다.

추축국의 경우에도 인명피해가 극심했다. 독일에서는 최대 7,400,000명, 일본에서는 최대 3,100,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렇게 동유럽과 중국, 동남아 및 주요 추축국에서 극심한 인명피해가 나온 것과 달리 서부전선에서는 인명피해가 비교적 제한적이었다. 구체적으로 미국 400,000명, 영국 450,000명, 프랑스 600,000명, 이탈리아 500,000명 등 절대적인 수치는 여전히 적지 않지만 동유럽과 극동에 비해 경미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6] 하지만 이 수치 역시 절대적으로는 상당한 규모임은 부정할 수 없으며 특히 인명피해의 절대다수가 향후 국가의 미래를 짊어질 20대 남성들이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서방 연합국들의 피해를 과소평가할 수도 없다.

사상자를 제외해도 피해는 심각했다. 유럽에서만 총 21,000,000명의 난민이 발생했고 중국도 수백만의 난민이 발생했으며 일본에서는 전체 도시 인구의 30%가 자신의 집을 잃었다. #

2.1. 물적 손실

2.1.1. 전비

(개전으로부터) 불과 3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세계를 갈라 먹었던 열강국들이 전후에 승전국, 패전국 할 것 없이 미국을 제외하고는 죄다 국고가 거덜날 정도로 전비 지출이 막대했다. 더욱이 해가 지지 않을 정도의 위세를 떨쳤던 대영 제국조차 그 거대한 식민지들을 경영하는 건 고사하고 본국조차 건사하기 힘들어질 만큼 피폐해져 결국 초강대국에서 지역 강국으로 내려앉아야 했고, 한때 대영 제국의 라이벌이던 프랑스도 영국과 마찬가지의 운명을 맞았다.

대략 전쟁에 동원된 모든 국가의 전비는 1조 달러[7]로 추정되며 프랑스는 국민총소득의 3배에 해당하는 전쟁 비용이 발생했으며 벨기에와 네덜란드도 이와 비슷한 피해를 입었다. 독일에 의해 점령된 유럽 국가들은 농업 시설 및 농작물 파괴와 기계와 비료의 부족 그리고 인력 유출로 막대한 농업적 피해를 입었으며 전쟁으로 인해 주요 철도 체계를 포함한 내부 운송 체계가 완전히 마비되었다. 그래서 1945년까지 서유럽의 경제는 완전히 마비 상태에 놓였다. #

2.1.2. 주요 시설물 파괴

2차 대전으로 인한 유럽 내 시설물의 피해는 막대했다. 영국은 영국 본토 항공전과 V 시리즈 로켓의 공격으로 인해 전체 주거지의 30%가 파괴되고 손상되었으며, 벨기에와 네덜란드 그리고 프랑스는 전투의 한복판에 있었기에 전체 주거지의 20%가 파괴되고 손상되었다. 독일은 미영 연합군의 전략폭격으로 인해 49개 대도시에서 주거지의 39%가 파괴되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또한 동유럽은 그 피해가 훨씬 심각했다. 폴란드는 학교, 과학기관, 공공행정시설의 60%, 농업 시설의 30 ~ 35%, 광산 및 전력산업의 32%가 파괴되었다. 또한 유고슬라비아에서는 주거지의 20%가 파괴되었다. 그리고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소련은 독일에 점령당한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서부 러시아가 초토화되었고 모스크바, 레닌그라드 등 주요 도시들 역시 파괴를 면치 못했다. 자세한 내용은 독소전쟁 참고.

아시아 내 시설물의 피해 또한 만만치 않았다. 중국의 열악한 운송 시스템이 완전히 붕괴했고 몇 안되는 병원과 보건 기관은 대부분이 파괴되어서 의료 문제도 야기했다. 필리핀도 미국과 일본이라는 두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 신세가 되어서 마닐라의 항구 시설과 시가지 대부분이 초토화되었다. 일본은 미국의 전략폭격으로 인해 66개 도시권의 40%가 완전히 파괴되었다. #

2.2. 목록



간접 원인을 제외한 2차 대전의 전체 사상자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민간인들은 고의적인 인종 청소를 비롯해 기아, 오폭 등으로 사망했으며, 대부분의 전쟁범죄는 추축국에 의해 자행되었다.

특히 나치 독일 폴란드에서 약 3,000,000여 명의 비유대계 폴란드인들을, 홀로코스트로 6,000,000여 명의 유대인들을, 그리고 소련과 동유럽, 남유럽 등지에서 15,000,000여 명의 슬라브계 민간인들을 조직적으로 학살하였으며, 이는 사회기간망의 파괴나 기아 등으로 죽어간 동수 혹은 그 이상의 희생자들을 제외한 수치라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단연 돋보인다.

일본 제국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추산하였을 때 중화민국에서 약 8,000,000여 명에 달하는 민간인을 학살하였고, 동남아 전역에서도 4,000,000여 명의 피해자를 낳았다. 이 수치는 물론 기근과 전염병 등 부차적인 이유로 사망한 피해자를 제외한 조직적인 학살 기준이며 간접 희생자까지 포함할 경우 일제의 피해자 수는 나치의 피해자 수의 약 70~80% 가량까지 증가한다.[8]

특히 전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소련 중화민국의 전시 민간인 사망자 수는 정확한 통계조차 불가능한 실정이나 각각 약 24,000,000 ~ 27,000,000명의 소련인과 약 11,000,000 ~ 22,000,000명의 중국인들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전과 전후 양국의 인구 통계를 통해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9][10] 이외에도 최대 추정치 기준 폴란드(6,000,000명), 인도네시아(4,000,000명), 인도(3,000,000명), 베트남(2,000,000명), 유고슬라비아(2,000,000명), 필리핀(1,000,000명) 등에서도 가공할만한 인명피해가 발생했으며,[11] 미국,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은 위에 열거된 나라들에 비하면 비교적 가볍지만 여전히 수십만 단위의 결코 적지않은 인명피해를 감수해야 했다.

독일과 일본은 각종 반인륜적인 생체실험 및 성착취를 자행했고,[12] 추축국 점령지 치하 주민들에 대한 강압적인 생활 통제와 강제 노역은 일상다반사로 발생하였다.

또한 파시스트 이탈리아, 헝가리 왕국, 루마니아 왕국, 크로아티아 독립국 등 기타 추축국들 역시 적지 않은 전쟁범죄를 일삼았는데[13] 이탈리아는 독일처럼 곳곳에 강제수용소를 설치하였고 헝가리는 나치의 학살에 적극 가담 및 대헝가리주의 명분을 위해 소수민족을 학살했으며 크로아티아는 우스타샤로 대표되는 세르비아계에 대한 조직적이고 가학적인 학살로 악명을 떨쳤다.[14]

연합국의 전쟁범죄 역시 추축국에 비할 바는 아니었지만 그 자체로 심각했다. 특히 소련은 서방 연합국보다 추축국에 가까운 폭력적이고 비인간적인 행보로 악명이 높았는데 대표적으로 폴란드 침공 직후 카틴 학살을 자행했으며 핀란드와 발트 3국을 침략했으며 점령지 주민들을 시베리아로 강제이주시켜 많은 아사자와 동사자들이 발생했다. 또한 전쟁 말기 소련군은 독일, 헝가리 등 추축국의 본토로 진입하면서 집단 강간 및 학살극을 벌였는데 약 200만여 명의 독일 민간인들과 수십만의 기타 추축국 민간인들이 소련군의 보복에 의해 사망하였고, 그에 준하는 수의 대민 피해(강간, 약탈 등)가 발생하였다. 게다가 소련은 동유럽 점령지에서 친나치 인사들은 물론, 반나치 반공주의자들도 대량 학살하여 동유럽에 꼭두각시 정권들을 수립해 주민들을 탄압했다. 소련군은 극동에서도 일본인은 물론 조선인과 중국인을 대상으로도 폭압적인 행보를 일삼았는데 일례로 소련군은 북한에 진입한 이후 조선인들을 상대로 대량강간을 저질렀고 반공주의자들을 무자비하게 짓밟았으며 수풍댐 등 각종 사회자본과 인프라를 약탈했다. 게다가 소련은 종전 10년이 지난 1950년대 중반까지 독일, 일본, 이탈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등 추축군 포로들을 굴라크 등에 억류 수용하여 자국 재건에 이용했고 한때 동맹이었던 서방국들조차 이와 같은 소련의 행태를 비난했다.

서방 연합군의 경우 국제법을 철저히 준수했기에 추축군이나 소련군에 비해 훨씬 관대하고 인도적이었다고 인식되었으나 라코니아 사건처럼 상호불신과 군사적인 논리로 인해 적잖은 불상사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개인 단위의 일탈과 보복심리로 인한 전쟁범죄 역시 완전히 통제하지는 못하였다.[15] 정작 미군들도 해방지 민간인들을 총살 #하고 여성들을 집단 강간한 사례들이 쉬쉬했으며 전후 미군의 전쟁범죄 폭로에 발작해 피해자들을 비난했음 #이 드러났다.

또한 미국은 백악관 행정명령 9066호로 대표되는 일본계 미국인에 대한 정치적 탄압을 일삼았으며 프랑스에서는 나치로부터 해방된 직후 친나치 부역자들은 물론, 독일군과 성관계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여성들을 향한 집단 린치와 마녀사냥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세계 대전의 참혹함 속에서 군인들 역시 제네바 협약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살해·학대당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특히 나치 독일은 소련이 제네바 협약에 조인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적국 포로에 대한 무차별 살상을 정당화하였으며[16] 동부 전선의 소련 포로들의 생존율은 10%를 넘기지 못했다. 일본 제국의 경우 인명을 도외시하는 군국주의 세뇌로 인해 거짓 항복이나 자살돌격, 카미카제 등 전시 윤리에 비추어보아도 비상식적인 행보를 보였으며, 이는 태평양 전쟁이 인외마경이 되는 데 크게 일조하였다. 전쟁의 결과 연합군에서는 약 10,000,000여 명의 소련군과 3,000,000여 명의 국부군이, 추축국에서는 5,000,000여 명의 독일 국방군과 2,000,000여 명의 일본군이 사망하였으며, 정확한 통계는 내기 어려우나 이들 중 상당수는 군사작전이 아닌 서로에 대한 증오와 보복의 폭력 속에 희생되었다.

한편 군사작전과 전쟁범죄 사이의 어딘가로 취급받는 전략 폭격의 경우 추축국과 연합국을 가리지 않고 빈번했다. 전쟁 초기에는 연합국의 핵심 국가인 대영제국 중화민국이 수도인 런던과 충칭을 공습당하는 등 추축국에 유리한 형세가 이어졌지만, 이후 미국 소련이 참전하여 연합군이 확고한 제공권을 장악한 이후부터는 도쿄 대공습, 드레스덴 폭격 등 추축국 본토에 대한 대규모 공습이 실시되어 상황이 반전되었다. 결국 세계 대전의 대미를 장식한 사건 역시 전략폭격의 하이라이트인 원폭 투하였다.

한편 핵무기와는 달리 독가스와 같은 생화학무기의 경우 공식적으론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이미 1차 세계 대전 당시 독가스의 위력이 얼마나 끔찍한지는 열강들도 모두 잘 알고 있었다. 1차 대전보다 생화학 무기의 위력 및 투발 수단이 더욱 발달한 2차 대전 시기에서 생화학무기를 사용할 경우 자칫하면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을 인식하였고, 결국 생화학무기의 선제 사용을 기피하게 된 것. 단, '공식적'으로 그렇다는 이야기이고 추축국은 생화학무기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대표적으로 독소전쟁 당시 나치 독일군이 반독 빨치산을 토벌하거나 유대인을 학살할 때, 중일전쟁 당시 일본군이 중국군을 상대로 교전할 때,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당시 이탈리아군이 에티오피아군을 공격할 때에 생화학무기를 적극 사용했다.[17]

2.3. 추축국의 전쟁범죄 성격 차이

대표적인 양대 추축국인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의 전쟁범죄 성격의 차이점을 서술한다.
2차 대전은 단순히 영토와 자원을 위한 투쟁이 아니라 어느 집단이 살아남아 전 세계를 지배하고 어느 집단이 승리자에 의해 '열등'으로 낙인찍혀 영원히 소멸당할지를 놓고 싸운 전쟁이었다.

(중략)

1939년에 유럽에서 시작된 전쟁과 일본이 중국에서 1931년과 1937년에 벌인 전쟁, 그리고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에서 1935 ~ 36년 사이에 벌인 전쟁과도 다르다. 비록 당사자들에게, 특히 중국인들과 에티오피아인들에게는 매우 잔혹한 전쟁이었지만 이 전쟁들은 예전 전쟁의 틀을 벗어나지 않았다. 일본이 중국을 상대로 두 단계에 걸쳐 벌인 침략은 19세기 끝 무렵부터 벌어진 식민지 확장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일본은 비록 중국을 희생양 삼아 영토와 자원을 늘리려 했으나 중국, 그리고 중국인의 완전한 소멸을 의도하지는 않았다.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략과 정복 역시 스페인과 포르투갈, 영국과 프랑스, 네덜란드와 벨기에, 독일인들이 벌이던 아프리카 식민지 쟁탈전의 막바지에 이탈리아가 끼어든 결과일 뿐이다. 때문에 이 책은 동아시아나 아프리카의 전쟁이 아닌 독일의 침공으로 시작하려 한다. 일련의 다른 전쟁들은 1939년 9월 1일에 시작된 전쟁에 녹아들었지만 그 발단은 전혀 달랐으며 만약 독일이 전쟁을 일으키지 않았다면 계속 독립된 전쟁으로 남았을 것이다.

게르하르트 L. 와인버그, 2차 세계대전사 1, 길찾기, 일러두기 부분,

다만 그럼에도 일본 제국 역시 나치 독일에 조금 못 미치는, 거의 대등한 정도의 인명피해를 야기했다는 사실은 주지할 필요가 있다. 2차 대전기 나치 독일에 의한 피해자 수 총합은 최대 40,000,000명에 달하며,[19] 일본 제국의 피해자 수 총합 역시 최대 30,000,000명에 이른다.[20] 이는 일본 제국이 나치 독일과 같이 조직적인 학살을 자행하지 않았음에도 전쟁범죄의 성격 자체가 유사한 파시스트 이탈리아보다 나치 독일과 더욱 묶이는 이유이다.[21]


[1] 몇몇 과격한 학자들은 100,000,000명 이상을 주장하기도 하나 이는 주류 담론과 거리가 먼 의견이며 크게 과장되었고 신뢰성도 떨어진다. [2] 미국은 사망자 절대다수가 유럽, 태평양 전선 대외원정 과정에서 전사한 군인들이라, 진주만 공습이나 풍선폭탄과 같은 본토 공격, 웨이크섬 전투처럼 속령에서 일어난 전쟁범죄들을 제외한 자국 민간인 피해는 적다. [3] 식민지였던 조선, 만주, 대만, 남사할린을 제외해도 순위에 변함이 없다. [4] 한국 인구의 절반 이상이며 북한 인구보다 많다. [5] 장 로페츠 et al.제 2차 세계대전 인포그래픽.레드리버.2021.pp.150 [6] 심지어 미국을 제외하면 제1차 세계 대전보다도 더욱 인명 손실이 적었다. [7] 한화 약 1,356조 원 [8] 유럽전선에 비해 아시아전선의 경우 일본을 제외하면 인구를 체계적으로 집계할 역량이 있는 중앙집권적 국가가 없었고 전후 사회 혼란이 극심했기에 전쟁 피해자 수를 상정하고 이들의 사망 원인을 구분하는데 여러 제약이 따른다. 이것이 독소전이나 서부전선, 태평양전선에 비해 중일전쟁과 동남아전역의 사상자 규모가 자료마다 널뛰기하는 이유이다. [9] 물론 소련의 경우 스탈린의 학살 영향이, 중국의 경우 국공내전의 영향이 누락되었고 그외 자연재해, 전염병, 기근, 자연사, 징집으로 인한 출산율 저하, 전후 혼란으로 인한 통계 누락 등 여타 요인이 간과되었기 때문에 이 수치는 어디까지나 최대 추정치일 뿐 100% 독소전과 중일전의 여파라고 단정짓긴 어렵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특히 스탈린의 경우 서구권에서 히틀러, 마오쩌둥과 동일선상에서 보는 세기의 학살자이며 또한 중일전쟁 전후로 펼쳐진 국공내전의 존재는 서구 학계에서 중국 측이 제시하는 중일전쟁 사상자 규모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주요 요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추축국의 침략 전쟁이 가장 주효한 원인임은 분명하다. 한편 위에 나열한 간접적인 원인들을 제외하고 전쟁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인명피해의 경우 소련은 20,000,000 ~ 27,000,000명, 중국은 15,000,000 ~ 20,000,000명이며 이는 서구학계에서 주로 인용되는 수치이다. [10] 한편 나치의 학살을 일제의 배 이상으로 보는 학술 자료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일례로 루돌프 럼멜 교수의 통계에 따르면 독일은 20,946,000명, 일본은 5,964,000명을 학살하여 독일의 학살 규모가 4배 정도 더 크다. # 다만 이런 수치들은 통계마다 차이가 있으며, 일제가 야기한 피해가 다소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어 중국, 동남아에서 발생한 천만 단위의 사망자 수와 괴리가 존재한다. [11] 단 폴란드는 나치/소련의 학살 및 독소 간의 교전, 인도네시아/베트남은 일제의 학살 및 곡물 수탈로 인한 아사자 속출, 인도는 본국 영국의 정책상 실책 및 일제와의 교전, 유고슬라비아는 내전 및 나치/크로아티아의 학살, 필리핀은 일제의 학살 및 미일 간의 교전 등 서로 원인이 다르다. [12] 일본 제국의 경우 일본군 위안부로 대표되는 국가 주도의 전시 성착취가 대표적이며 나치 독일 역시 점령지에서 자행한 대규모 강간으로 악명이 높았다. [13] 불가리아 왕국은 저 나라들에 비해 전쟁범죄를 많이 저지르지 않았다. [14] 특히 우스타샤의 학살은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에 주둔하던 나치 독일군조차도 경악했을 정도였다. [15] 일례로 미군은 일본군의 유해를 훼손하여 기념품으로 가져가는 등 비행을 종종 행했다. 자세한 내용은 미군의 일본군 전사자 사체 훼손 문서 참고. [16] 이는 제네바 협정에 대한 독일군 측의 자의적 해석으로, 명백한 제네바 협정 위반이었다. 제네바 협약에 직접적으로 가입하지 않았더라도, 상대가 인도적 조항들을 명시적으로 위반하지 않을 경우 협약 조인국은 협약을 지킬 의무가 있다. 게다가 포로를 동원한 강제노역까지는 그렇다 쳐도 무차별 학살만큼은 적어도 프랑스 혁명 이후부터 이미 전쟁범죄라는 인식이 공공연하게 박혀 있었다. [17] 일례로 일본의 경우 중국 상대로 주요 전선에서 독가스를 적극적으로 사용해 포위망을 돌파하거나 저항을 분쇄했다. [18] 이는 뒷날, 되니츠가 전범재판을 받는 원인 중 하나다. [19] 소련 : 26,000,000명, 폴란드 : 6,000,000명, 남유럽 : 3,000,000명, 서유럽/북유럽 : 2,000,000명, 기타 동유럽 : 2,000,000명, 유대인/장애인/동성애자 등 독일계 홀로코스트 피해자 : 1,000,000명. [20] 중화민국 : 22,000,000명, 네덜란드령 동인도 : 4,000,000명,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2,200,000명, 미국령 필리핀 : 1,000,000명, 기타 동남아 : 1,000,000명, 일본령 조선 : 500,000명. [21] 독일과 일본이 각각 40,000,000명과 30,000,000명의 인명피해를 야기할 때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 침공, 북아프리카 전선, 발칸 침공을 포함해 최대 1,000,000명 이하의 사망자만을 야기했고 오히려 소련 등 연합국에 의한 인명피해가 더욱 컸다. 물론 연합국 중 가장 큰 피해를 야기한 소련의 경우는 나치 독일 쪽에서 먼저 잔학무도한 악행을 쉴새 없이 저지른 탓에 복수심에 눈이 돌아가버렸기 때문에 그런 것이라고 참작이 가능하고(이조차도 처음에만 그랬지 차후 독일 지역 통치를 위해서 정부 차원에서는 자제를 촉구했다.), 그외의 연합국들이 야기한 피해는 이보다도 더 미미했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05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0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