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60202, #820000 20%, #820000 80%, #660202); color:#ffd4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820000> 단군조선 | |||
초대 군주 | 계보 미상 | 제?대 조선후 | ||
조선후 ?세 | ||||
<rowcolor=#ffd400> 계보 미상 | 초대 왕 | 제2대 왕 | 제3대 왕 | |
조선왕 1세 | 조선왕 2세 | 조선왕 3세 | ||
<rowcolor=#ffd400> 계보 미상 | 제?대 왕 | 말대 왕 | ||
부왕 | 준왕 | |||
<rowcolor=#820000> 위만조선 | ||||
<rowcolor=#ffd400> 초대 | 제2대 | 제3대 | 멸망 | |
위만왕 | □왕 | 우거왕 | ||
}}}}}}}}}}}} |
위만조선 초대 국왕
위만 | 衛滿 |
|||
|
|||
<colbgcolor=#820000><colcolor=#ffd400> 출생 | 기원전 3세기 추정 | ||
연나라? | |||
사망 | 기원전 2세기 추정 | ||
위만조선 왕검성 | |||
재위기간 | 초대 국왕 | ||
기원전 194년 ~ 연대 미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20000><colcolor=#ffd400> 성 | 위(衛 / 魏)[논란] | |
휘 | 만(滿)[논란] | ||
부친 | 불명 | ||
모후 | 불명 | ||
왕자 | 위만조선왕 2세 | ||
왕손 | 우거왕 | }}}}}}}}} |
[clearfix]
1. 개요
위만조선의 초대 국왕. 기록상으로 전해지는 한국사 최초의 정변인 위만의 정변의 주동자이다.연왕 노관이 한나라를 배신하고 흉노로 망명했을 때 위만(衛滿)은 고조선으로 망명하며 서북 땅을 지키다 위만의 정변을 일으켜 준왕을 몰아내고 위만조선 시대를 개막했다.[3] 위만의 성씨가 기록에 따라 다르게 기록되었는데 <잠부론>(潛夫論)과 < 삼국유사>에서는 성씨가 衛(지킬 위)가 아닌 魏(나라 이름 위)로 기록되어 있다.
2. 생애
기원전 202년경 중국을 통일하고 전한(前漢)을 성립한 한고제는 권력에 위협이 되는 통일 공신들을 토사구팽하기 시작했다. 한고제의 어릴 적 친구이자 공신인 연왕(燕王) 노관(盧綰)은 자신 역시 숙청될까 두려워 먼저 모반했다 흉노로 달아나는데 이렇게 연나라 땅[4]이 혼란스러운 시기에 위만은 1,000여 명의 무리를 이끌고 연나라 땅에서 동쪽에 인접한 고조선으로 망명하였다.[5]참고로 위만이 노관의 수하였다는 설 역시 있으나 사마천의 < 사기>에는 燕王盧綰反, 入匈奴, 滿亡命(연왕 노관이 반역해 흉노로 들어갔고 위만은 망명했다) 라고 나와있다. 이는 연왕 노관이 모반해서 흉노로 갈 때 위만이 망명했다는 내용인데 이 문구를 가지고 위만이 노관의 수하였다고 무작정 단정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건조하게 받아들이자면 노관이 흉노로 들어갈 때 노관의 수하인지 아닌지 알 수 없는 위만 역시 망명했다는 얘기일 뿐이기 때문이다.
위만은 고조선의 준왕에게 서쪽의 번병(藩屛)이 되기를 청하였고 준왕은 이에 위만을 박사(博士)로 삼아 100리의 땅을 주고 서쪽 변방(상하장)을 지키게 하였다. 이후 위만은 서쪽 변방을 지키면서 연의 망명한 무리들을 규합하여 계속 세력을 키우다가 기어코 기원전 194년 무렵 반란을 일으켜 왕검성을 함락해 자신을 받아준 준왕을 남쪽으로 축출시키고[6] 스스로 고조선의 군주가 되어 위만조선을 열었다. 위만은 진번(眞番)과 임둔(臨屯) 등 주변의 작은 집단들을 침략하여 복속시키고 위만조선의 영토를 크게 넓혀 현재의 북한에 해당하는 수준의 영역을 조선의 이름 아래 두는 전성기를 열게 된다. 이후 위만조선은 전한과 남쪽의 진국(辰) 사이에서 교통을 막고 직접적인 교역 내지 조공을 방해하였다. 이로 인해 한나라는 기원전 128년 위만조선 근방에 창해군을 설치한 후 얼마 안 가 폐지하기도 했다. 이후 고조선은 결국 손자 우거왕 대에 멸망에 이르게 된다. 하지만 위만과 위만조선의 등장은 고대 한국에서 한반도 북부를 아우르는 정치 집단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3. 위만의 정체성
위만의 출신은 지금도 불분명한 측면이 있다. 때문에 여러 설들이 제기되고 있다.우선 조선 사람이었다는 주장이 있는데, 근거는 사기에 상투를 틀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정확히는 중국 기록에서 그가 상투를 틀고, 오랑캐의 옷을 입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중국 사서에서 쓴 기록이므로 여기서 말하는 오랑캐는 중국 바깥, 즉 고조선 현지인들의 옷을 입었다는 뜻이다.
다만 이런 식으로 외지인이 현지식 복색을 하는 것은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남월의 조타처럼 아주 보기 드문 사례는 아니다. 여담으로 남월도 결국엔 위만조선처럼 한나라의 침략으로 멸망하는데, 패하는 과정도 베트남에서는 위만조선처럼 내분 때문이었다고 주장한다.
연의 침공으로 벌어진 고조선-연 전쟁에서 연이 고조선의 서쪽 2000여리를 차지하면서 이곳에 거주하던 고조선 사람들이 연에 복속되었는데, 위만은 이들의 후손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래서 한국의 초중고 국사 교과서에서는 위만을 조선인으로 보고 있다. 학계에서도 위만을 조선인이라고 보는 시선이 상당히 강한 편인데, 다만 중국 유이민 세력 출신이나 이전부터 고조선의 문화에 영향을 받은 형태가 아닌가 하고 추정하는 의견도 존재한다. 어쨌든 결론적으로는 위만조선도 고조선의 국가 정체성을 계승한, 고조선 토착 지배층 세력과의 연합 정권 성격이 강한 집단이었다고 본다.
사마천의 사기에 의하면 朝鮮王満者故燕人也[7] 라고 나와있다. 엄밀히 말하면 위만의 성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으며[8], 중국 후대의 사서에서 성과 이름을 쓰는 중국인들의 습관 때문에 당시 그 지역에서 많이 쓰이던 위(衛)씨성을 가진 사람일 것이라고 추정해서 위만(衛滿)이라고 표기했을 가능성이 크다. 전한의 연왕 노관 휘하의 장수였다는 설이 있고, 오랫동안 이렇게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사기의 용례를 보면, 국가 앞에 고(故) 를 붙인 것은 전국시대에 있던 나라들과 한나라에 의해 책봉을 받은 나라들을 구분하기 위해 쓰였다. 국가명 앞에 고(故)를 붙이는 것은 전국시대의 국가들을 표기하기 위해서 쓰였고, 그냥 나라 이름을 쓰는 경우는 한나라의 통일 후 책봉을 받은 나라를 표기하기 위해 쓰였다. 그를 '故燕人' 이라고 표현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그가 노관이 책봉된 연(燕) 국적으로 살았던 것은 아닐 가능성이 크고, 이는 그가 전국시대의 연나라 영역에 살던 사람이라는 것을 한나라의 관점에서 완곡히 표현한 것이다. 만약에 위만이 노관이 책봉된 燕 의 관료나 장군으로 생활을 했다면, 위만의 국적은 연인(燕人)이 되기 때문에 굳이 사기에는 '故燕人'이라고 할 필요가 없이 '燕人' 이라고 기록되었을 것이다.
위만에 대해 기록한 중국 사서는 중국인 관점에서 쓴 것이기 때문에, 고조선과 교류가 있던 연이라는 국가가 진나라에 의해 멸망당할 때, 연나라에 사는 조선인이 다시 조선으로 망명한 것을 기자조선과 같이 중국인이라고 기록했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9] 실제로 위만조선이 세워지기 100년 전쯤 연나라 장수 진개가 고조선의 영토를 2000리 정도 정복하여 만번한(滿潘汗)까지 영토를 넓힌 바 있었는데, 원래 거기 살았었던 고조선 사람들은 그냥 그대로 연나라에 편입됐다. 그들의 후손이 바로 위만이며, 위만이 자기 무리들을 끌고 고조선으로 찾아와 귀화한 것이라는 식의 주장.
한편, 위만의 국적/민족 문제가 위만조선 정권의 정체성 문제와 직결되지는 않는다고 보는 학자도 있다. 왜냐하면 위만조선도 조선이라는 국호나 그전부터 존재하던 정치 체제, 지배층을 그대로 유지했기 때문. 수도도 왕검성에 그대로 뒀다. 여담으로 이게 위만이 조선인이라는 증거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는데, 만일 위만이 연나라 이민족이었다면 지배층 반발이 있었어야 한다는 주장. 물론 당장 군주가 쫓겨난 마당에 휘하 무리가 전혀 동요하지 않는다는 것도 이상하기 때문에 기록에 전해지지 않는 숙청이 있었을 수도 있고, 아님 반란이 성공한 이후 바로 외부 세력과 전쟁을 시작해 성과를 내면서 내부 불만을 잠재운 것일 수도 있다. 더 나아가면 애초에 이 시기에 '근대 들어서 확립된 민족 정체성' 운운하는 것 자체가 맞냐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어찌됐든 학계에선 위만조선도 고조선의 국가 정체성을 계승한, 고조선 토착 지배층 세력과의 연합 정권 성격이 강한 집단이었다고 본다.
3.1. 중국에서 바라보는 위만
사서에선 그가 연(燕)나라 태생으로 연왕 노관의 수하였다고 전하고 있으며, 중국의 어용 사학계에서는 이를 근거로 삼아 동북공정, 즉 위만이 중국인이었으며 위만조선은 중화권 왕조의 속국이자 지방 정권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古代卫氏朝鲜的建立者.
公元前二世纪初,辽东局势动荡,燕人卫满率千余人叛西汉入箕子朝鲜, 箕子朝鲜准王任命其为博士, 将其国西部封地百余里与卫满. 公元前194年卫满联合箕子朝鲜的部分反对国君的势力进攻国都王俭城,准王自海路亡命于半岛南部的马韩地区,卫满即位后,卫满统一了箕子朝鲜,并将势力扩展到了鸭绿江以南地区.设立了裨王、相、大臣、将军等官职,完善了古朝鲜的政治体制。
고대 위씨 조선의 건국자
기원전 2세기 초 요동에 세를 가지고 활동하였던 연나라인 위만은 약 천여 명을 이끌고 기자조선에 입성한다. 기자조선의 준왕이 그를 박사에 임명, 나라의 서부 백여리를 위만에게 봉한다. 기원전 194년 위만은 기자조선과의 연합을 반대하여 왕도 왕검성으로 진공, 준왕은 바다를 통하여 반도 남부의 마한 지역으로 망명한다.
卫满即位后,积极建立国家,并输入中原文化,使国家愈来愈强盛。汉武帝有感卫满朝鲜对汉朝的威胁愈来愈大,决定在公元前109年起兵远征朝鲜半岛。公元前108年,卫满朝鲜被灭,汉武帝把卫满朝鲜的国土分为四郡,分别为:乐浪郡、玄菟郡、真番郡、临屯郡,合称为“汉四郡”。
위만이 즉위 후, 위만은 기자조선을 통일하고, 그 세력은 압록강 이남 지역에 도달하였다. 비왕, 상, 대신, 장군 등 관직을 설립하고, 고조선의 정치 체제를 완성하였다. 위만 즉위 후 적극적으로 국가를 건립하며 중화 문화를 받아들였으며, 국가는 점차 강력하게 되어갔다. 한 무제는 위만조선이 점차 강해지는 것이 한조에 위협된다고 생각하고는(혹은 유감을 가지고), 기원전 109년 병사를 일으켜 조선 반도에 원정을 결정한다. 108년 위만조선을 파멸했고 한 무제는 위만조선의 국토를 4군으로 분할하였다, 분별은 낙랑군, 현도군, 진번군, 임둔군, 일명 한사군이다.
古朝鲜即箕子朝鲜和卫满朝鲜的合称。箕子朝鲜乃殷商遗裔在朝鲜半岛上所建地方政权,臣于周,后又臣于秦,为周秦海外之属国。箕子朝鲜为卫氏朝鲜所取代,卫氏朝鲜为汉之“外臣”、属国。汉武帝伐朝鲜,裂其地为四郡,为汉的边疆辖区。有了箕子朝鲜,方有卫氏朝鲜,方有汉之四郡,方有高句丽史、渤海史,从而构成了东北古史、东北民族与疆域史的基本系列,而箕子朝鲜是为中国东北史之开端。
고조선, 즉 기자조선과 위만조선을 이르는 이름. 기자조선처럼 은나라의 후예(혹은 후손)로 조선 반도에 세워진 지방 정권이다. 주나라의 신하국 또한 진나라의 신하국, 즉 주 - 진나라의 해외 속국이다. 기자조선처럼 위씨 조선 역시 이어받아(신하국), 위씨 조선은 한나라의 외신, 속국이다. 한 무제가 조선을 벌하고, 그 땅을 4군으로 분열시켰으며, 한나라의 해구 변경이 된다. 기자조선, 위만조선, 한나라의 사군, 고구려 역사, 발해 역사, 모두 동북 고사로부터 구성된다. 동북민족 강역사의 기초 계통이며, 또한 기자조선은 중국 동북사의 시작이다.
출처: 중국 바이두 백과 위만 (2012년 6월 24일자)
公元前二世纪初,辽东局势动荡,燕人卫满率千余人叛西汉入箕子朝鲜, 箕子朝鲜准王任命其为博士, 将其国西部封地百余里与卫满. 公元前194年卫满联合箕子朝鲜的部分反对国君的势力进攻国都王俭城,准王自海路亡命于半岛南部的马韩地区,卫满即位后,卫满统一了箕子朝鲜,并将势力扩展到了鸭绿江以南地区.设立了裨王、相、大臣、将军等官职,完善了古朝鲜的政治体制。
고대 위씨 조선의 건국자
기원전 2세기 초 요동에 세를 가지고 활동하였던 연나라인 위만은 약 천여 명을 이끌고 기자조선에 입성한다. 기자조선의 준왕이 그를 박사에 임명, 나라의 서부 백여리를 위만에게 봉한다. 기원전 194년 위만은 기자조선과의 연합을 반대하여 왕도 왕검성으로 진공, 준왕은 바다를 통하여 반도 남부의 마한 지역으로 망명한다.
卫满即位后,积极建立国家,并输入中原文化,使国家愈来愈强盛。汉武帝有感卫满朝鲜对汉朝的威胁愈来愈大,决定在公元前109年起兵远征朝鲜半岛。公元前108年,卫满朝鲜被灭,汉武帝把卫满朝鲜的国土分为四郡,分别为:乐浪郡、玄菟郡、真番郡、临屯郡,合称为“汉四郡”。
위만이 즉위 후, 위만은 기자조선을 통일하고, 그 세력은 압록강 이남 지역에 도달하였다. 비왕, 상, 대신, 장군 등 관직을 설립하고, 고조선의 정치 체제를 완성하였다. 위만 즉위 후 적극적으로 국가를 건립하며 중화 문화를 받아들였으며, 국가는 점차 강력하게 되어갔다. 한 무제는 위만조선이 점차 강해지는 것이 한조에 위협된다고 생각하고는(혹은 유감을 가지고), 기원전 109년 병사를 일으켜 조선 반도에 원정을 결정한다. 108년 위만조선을 파멸했고 한 무제는 위만조선의 국토를 4군으로 분할하였다, 분별은 낙랑군, 현도군, 진번군, 임둔군, 일명 한사군이다.
古朝鲜即箕子朝鲜和卫满朝鲜的合称。箕子朝鲜乃殷商遗裔在朝鲜半岛上所建地方政权,臣于周,后又臣于秦,为周秦海外之属国。箕子朝鲜为卫氏朝鲜所取代,卫氏朝鲜为汉之“外臣”、属国。汉武帝伐朝鲜,裂其地为四郡,为汉的边疆辖区。有了箕子朝鲜,方有卫氏朝鲜,方有汉之四郡,方有高句丽史、渤海史,从而构成了东北古史、东北民族与疆域史的基本系列,而箕子朝鲜是为中国东北史之开端。
고조선, 즉 기자조선과 위만조선을 이르는 이름. 기자조선처럼 은나라의 후예(혹은 후손)로 조선 반도에 세워진 지방 정권이다. 주나라의 신하국 또한 진나라의 신하국, 즉 주 - 진나라의 해외 속국이다. 기자조선처럼 위씨 조선 역시 이어받아(신하국), 위씨 조선은 한나라의 외신, 속국이다. 한 무제가 조선을 벌하고, 그 땅을 4군으로 분열시켰으며, 한나라의 해구 변경이 된다. 기자조선, 위만조선, 한나라의 사군, 고구려 역사, 발해 역사, 모두 동북 고사로부터 구성된다. 동북민족 강역사의 기초 계통이며, 또한 기자조선은 중국 동북사의 시작이다.
출처: 중국 바이두 백과 위만 (2012년 6월 24일자)
이를 보면 위만과 그의 위만조선을 기자조선과 함께 중국의 속국이자 중국 동북고사의 시작점으로 칭하고 있으며, 중국의 역사임을 명시하고 있지만, 자세히 따져보면 이는 앞뒤가 전혀 맞지 않는 조선 공정이기 때문에 반박되었다.
애초에 중국은 이민족 정복왕조인 청나라의 영토계승+ 소수민족 동화라는 정치적인 현실 때문에 역사를 해석할 때 대부분 속지주의를 기본골자로 삼아왔고 심지어 칭기즈 칸이 중화영웅이라는 무리수까지 둘 정도인데, 또 자기들 필요할 때는 혈통주의를 써먹으니 실로 이중잣대가 아닐 수 없다.
3.2. 근대 이전의 위만 인식
조선시대 때, 조선은 단군과 기자에 대한 제사는 지냈으나 위만에 대한 제사는 지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그가 찬탈자였기 때문이다. 조선왕조의 시작 이성계부터가 찬탈자인데 무슨 내로남불이냐 생각하겠지만, 조선의 경우 일단 형식 자체는 고려의 왕위를 선양받은 이성계가 나라 이름을 바꾼 것이라 찬탈자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물론 형식으로 '선양' 어쩌고 하는 그런 걸로 수식하는 거지, 본질은 역사 속 왕위 찬탈과 별 다를 바 없었지만.[10]실제로 당시 학식있는 사람들은 바보가 아니여서 당연히 안 속았고 당시 명나라의 황제인 주원장도 이걸로 이성계를 은근히 갈궜다.[11] 문제는 이성계도 지지 않고 바락바락 대들어서 전쟁 직전까지 갈 뻔 했지만...[12] 이렇듯 조선이 쿠데타로 세워진 나라인 만큼 쿠데타에 민감했던 점[13]이 한몫 했을 것으로 보인다. 더군다나 창업군주가 쿠데타로 즉위했다는 이유만으로 쿠데타를 정당화하면 제2, 제3의 쿠데타가 계속 일어나 왕실의 정통성 문제가 극도로 심화될 수도 있었을 테니 더더욱 위만을 좋게 평가하기 힘들었을 것이다.[14]
3.3. 삼한정통론
삼한 정통론은 마한정통론이라고도 불린다. 이 이론은 조선후기 국학계열의 실학자들에 의해 발흥한 이론으로 기자조선이 위만조선으로 이어지지 않고 마한으로 이어진다는 이론이다. 이유는 위만은 찬탈자로 유교적 사상에 근거하면 적통으로 볼 수 없고 적통인 준왕이 쫓겨 내려가 마한의 군주가 되었기 때문에 기자조선의 적통은 마한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부터 족보들의 내용으로는 준왕의 씨족은 기씨(箕氏)에서 한씨(韓氏)로 바뀌었다는 내용들이 있다. 중국 기록에서는 그전부터 바뀐다고 나온다. 그래서 기자의 혈통과 유지는 마한, 더 넓게는 삼한으로 계승되었고 삼한은 한국사로 이어진다고 보았다.이러한 사상은 현대적인 실증 사관은 아니고 조선시대의 관념론적 사관이라 할 수 있다.
4. 기타
만일 위만이 정말로 중국인이라면 그가 한 나라의 군주인데도 시호가 없다는 것이 의문이다. 위만이 중국인이었다면 위만은 중국식 시법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을 것이고 군주가 된 후에 중국식 시법을 도입하였을 것이고 위만은 사후에 시호를 받았을 것이다. 그러나 위만은 시호가 없고 그냥 이름 그대로 '위만왕'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보아 위만이 조선에 중국식 시법을 도입하지 않은 것은 확실하다. 위만이 중국인이었다면 중국식 시법을 도입하지 않을리 없는데 위만조선은 그러지 않고 멸망할 때까지 중국식 시법을 도입하지 않아서 위만조선의 군주들은 제대로 된 시호가 없이 그냥 이름으로 불리거나 굉장히 성의없는 왕호를 가졌다. 그리고 저런 왕호는 중국이 아닌 한국사 초기 국가에 흔하다. 물론 위만 우거왕 사이의 군주가 누구인지도 모를 만큼 고조선에 대한 사료가 열악하고 고고학에 의지하는 판국이다.연나라 상국[燕相國] 위만공(衛滿公)으로부터 나왔다. 붓을 잘 만들어 관인의 신분에 올랐다. 이로 인해 필(筆: 후데)라는 성을 받았다.
燕相國衛滿公之後也善作筆. 預於士流. 因賜筆姓.
신찬성씨록 미정잡성 후데시(筆氏)
燕相國衛滿公之後也善作筆. 預於士流. 因賜筆姓.
신찬성씨록 미정잡성 후데시(筆氏)
9세기 초 일본에서 편찬된 신찬성씨록에 후데시(필씨: 筆氏) 씨족의 조상으로 소개되어 있다. 이들을 붓 제작을 담당한 씨족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 그러나 미정잡성으로 분류된 점으로 볼 때 신찬성씨록에 등재되었을 당시 가계를 증명할 수 있는 기록이 없었을 가능성이 높아 후데시 씨족이 위만의 후손이었을 가능성은 낮다.
5. 대중매체
- 네이버 웹툰에서 연재되었던 이현세의 천국의 신화 6부 주인공이다. 조선의 부족에서 태어나 한나라로 넘어가 연왕 노관 휘하의 무사가 되었다. 각성하면 목 뒤에 별모양 반점이 생긴다. 결국 여후를 죽이려다 실패하고 치우 창법 13초식 '동귀어진'을 펼치지만 동료들이 여후에게 잡히자 인질 교환 조건으로 자신의 눈 한쪽을 스스로 떼어내고 풀려나 조선으로 향하는 시점에서 이야기가 끝난다.
6. 둘러보기
사기(史記)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D0D2D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
<rowcolor=#ffffff> 1권 「오제본기(五帝本紀)」 | 2권 「하본기(夏本紀)」 | 3권 「은본기(殷本紀)」 | |||
공손헌원 · 전욱 · 제곡 · 방훈 · 중화 | ||||||
<rowcolor=#ffffff> 4권 「주본기(周本紀)」 | 5권 「진본기(秦本紀)」 | 6권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
|
시황제 · 이세황제 · 진왕 자영 | |||||
<rowcolor=#ffffff> 7권 「항우본기(項羽本紀)」 | 8권 「고조본기(高祖本紀)」 | 9권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 | ||||
항우 | 유방 | 여치 | ||||
<rowcolor=#ffffff> 10권 -2「효문본기(孝文本紀)」
|
11권 「효경본기(孝景本紀)」 | 12권 「효무본기(孝武本紀)」 | ||||
유항 | 유계 | 유철 | ||||
보사기(補史記) 「삼황본기(三皇本紀)」 | ||||||
복희 · 여와 · 신농 |
※ 13권 ~ 22권은 표에 해당, 23권 ~ 30권은 서에 해당.
사기 문서 참고
}}}}}}}}}}}} - ⠀[ 세가(世家) ]⠀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31권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2><width=33%> 32권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 ||<-2><width=33%> 33권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 ||
- ⠀[ 열전(列傳) ]⠀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61권 「백이열전(伯夷列傳)」 ||<-2><width=33%> 62권 「관안열전(管晏列傳)」 ||<-2><width=33%> 63권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 ||
[논란]
위만의 '위'가 정말로 성씨인지 위만 자체가 하나의 이름인지 의견이 분분하다.
[논란]
[3]
원래 고조선이라는 단어는
일연이 <
삼국유사>에서 위만조선과 구별하기 위해서 고조선이란 말을 쓴 거지만 일연이 생존했던
고려 시대 이전과는 다르게
조선 시대 이후에는
이성계가 세운 근세
조선과 구분하기 위해 고조선의 의미가 위만조선까지 포함하도록 변화하였다.
[4]
지금의 중국
허베이성,
랴오닝성에 해당한다.
[5]
위만 이전에도 이렇게 연나라 땅에서 고조선으로 유입되는 유민들은 적지 않았는데,
시황제의 폭정과 진나라의 패망,
초한전쟁으로 중국 전역이 매우 혼란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6]
마한으로 망명해
건마국을 세우게 된다.
[7]
조선의 왕 위만은 옛 연나라 사람이다
[8]
위(衛)는 성씨가 아니라 관직일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남해군위(南海郡尉)였다가
남월을 개국한
조타가 위타(尉陀)로도 불린 것에서 추측한 것이다.
[9]
중국인이 쓴 사서에는
야마토 왕권의
진나라 동래설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인(왜인)도 선조가 중국인으로 기록되어있기도 하다. 그리고 당연하다면 당연하게도 현 일본 사학계에선 야마토 진나라 동래설에 대한 비판이 거센 편이다.
[10]
송나라처럼 선양받고 이후 전대 왕조 후손들을 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우대한 케이스도 있긴 했다.
[11]
물론 그러거나 말거나 고려 말의 주요 가문 사람들은 대부분 조선 정계에 그대로 출사했다. 홍무제도 그저 핑계였을 뿐, 고려 말부터 이어온 갈등 상황의 연장선이었다.
[12]
실제로 홍무제는 주변인들을 무자비하게 갈궈서 자신에게 머리를 조아리도록 강요하는 수법을 즐겨썼다. 일례로 고려 말기에 철령위 땅을 내놓으라고 고려를 갈군 것이 대표적이다. 그나마 고려/조선 군주는 함부로 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갈구는 선에서만 끝났지만, 자기 신하는 단어 하나만 잘못 써도 그걸 구실로 가차없이 목을 쳤다. 조선왕을 대놓고 갈구지 않은 건 조선의 국력에 대한 과대평가 때문이었는데, 당대의 네임드 몽골군과 나하추를 물리친 이성계가 북원과 합심해서 중원을 치는 것을 염려했다.
[13]
실제로
무오사화가 일어난 배경도
성종실록 사초에
조의제문, 즉
항우에게 시해당한
초의제에게 조의를 바치는 문구가 들어간 게 발각당해서 발생한 건데, 이는
세조에게
왕위를 찬탈당한
단종을 의제에게, 단종에게서 왕위를 찬탈한 세조를 항우에게 빗대어서 세조를 비난하고자 쓴 것이었기 때문이다. 즉 조선 왕조에게 있어서 찬탈이란 단어는 가장 심각한 역린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조선의 개창으로 무너진
고려 또한 쿠데타로 세워진 나라였음을 감안하면, 위만을 좋게 대접하지 않은 것은 고려시대부터 이어져왔을 수도 있다.
왕건이 쿠데타로
태봉을 무너뜨리고 고려를 세울 당시에도 이에 반발하는 세력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다만 기록이 전해지지 않은 건지 혹은 그냥 관심이 없었는지 고려시대의 위만에 대한 평가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14]
정반대의 케이스는
대한민국의
군사정권인데, 이들은 오히려 자신들이 쿠데타로 집권했다는 이유로 쿠데타 정당화를 위해
고려의
무신정권 지도자들이나 조선의
세조 같은 역사 속의 찬탈자들을 마구잡이로
미화하는 경향이 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