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05:55

창경궁 양화당

양화당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모정 미확인 건물지 집춘문
대온실 관덕정
창덕궁 춘당지 관풍각 국립어린이과학관
병경문 성종 태실 앙부일구
풍기대
관리사무소 월근문
함양문 건극당 세답방 수궁
영안문 환취정 자경전 장고 요화당 통화전 명광문
건인문 통명전 양화당 정일재 집복헌 영춘헌
여휘문 여휘당 채원합 소주방 연희당 연춘헌 천오문 만입문 보정문 통화문
정양문 연경당
경춘전 환경전 소주방 장방 수문장청
순역헌
풍순헌
함인정 공목합 수랏간
함안각
교태문 영군직소
취명문 빈양문 명정전 명정문 옥천교 홍화문
보화문 협문 숭문당 문정전 문정문 영군직소
주명문 누국 오위도총부 고문관 주자소 영군직소
낙선당 일영대 수문장청
저승전 진수당 군옥재 계방 등룡문 선인문
춘방 사주문 내사복시
시민당 + 종묘 수문 암문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colbgcolor=#bf1400> 창경궁 양화당
昌慶宮 養和堂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 와룡동)
건축시기 1484년 (창건)
1730년 (중수)
1833년 (중건)
파일:pal_ckk_pct12_ori.jpg
<colbgcolor=#bf1400> 양화당[1]

1. 개요2. 이름3. 역사4. 구조
4.1. 《 동궐도》의 모습(1730년 ~ 1830년)4.2. 1833년 ~ 현재
5. 여담6. 대중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창경궁의 침소이다. 통명전의 동쪽에 있다.

창경궁 대비들과 왕실 가족들의 거주 공간 확보를 목적으로 지은 이다. 그래서 왕실 구성원들은 다른 궁궐에 있을 때와는 다르게 비교적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건물을 사용했다. 때문에 창경궁 내전 건물의 경우, 어느 전각을 어느 지위 사람이 썼는지를 뚜렷하게 구분하기 모호하며 양화당 역시 마찬가지이다. 전반적으로는 왕실 내 최고위급 인물들이 많이 머문 곳인 듯 하다.

2. 이름

이름은 창건 당시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이던 서거정(徐居正)이 지었다. # '양화(養和)' 뜻은 '조화로움(和)을 기른다(養)'이다.

현판의 글씨는 순조가 직접 썼다.

3. 역사

1484년( 성종 15년) 창경궁 창건 때 처음 지었다. 1565년( 명종 20년) 때는 명종이 양화당 뒷뜰로 유생들을 불러 을 짓는 일종의 논술 시험인 제술(製述)을 보게 하고, 현장에 있던 신하들에게 을 내렸다.-- #

1592년( 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의 다른 건물들이 전부 불탔으나 양화당만은 무사했다. # #

1609년( 광해군 1년)에는 소성대비(인목왕후)가 세자궁 저승전에 머무는 것이 죄스러워 양화당의 사정합(思政閤)[2] 으로 대비를 옮겨 모시려다가 무산되었다. #

병자호란 이후 남한산성에서 돌아온 인조는 주로 이 곳에서 머물렀고 #, 신하들과 사신들을 접견했다. # #

1672년( 현종 13년)에는 건물이 기울어지고 무너진 곳이 있어 보수했다. # 1730년( 영조 6년)에는 창경궁의 경극당과 집복헌 온돌 밑에서 뼛가루와 해골 등 흉물이 나오자 창경궁 내전 일곽을 전부 수리했는데 # 이 때 양화당도 철거하고 고쳐 지었다. # #

1790년( 정조 14년) 통명전 화재 때 정조와 신하들이 양화당이 타지 않은 것을 신기하게 여겼다. #

1830년( 순조 30년) 3월 창경궁 내전 주요부에 발생한 화재로 불탔다. 그동안 창경궁의 여러 화재를 전부 비껴갔으나 이번엔 안타깝게도 그러지 못한 것. 3년 뒤인 1833년(순조 33년)에 복구했다. 1878년( 고종 15년)에는 철종 왕비 명순대비(철인왕후)가 여기서 승하했다. #
파일:조선고적도보 양화당.png }}} ||
<colbgcolor=#bf1400> 《조선고적도보》 양화당

일제강점기 창경궁 창경원이 되면서 많은 창경궁의 전각들이 사라졌지만 양화당은 살아남았다. 외부는 크게 바뀌지 않았으나 합각[3] 서양식 창문이 생겼고, 측면의 외벽은 중방 위의 빼고는 전부 창문만 있는 모습으로 변했다. 그리고 내부는 이왕직 박물관 전시실로 바뀌면서 온돌을 제거하고 전부 마루를 깔았으며, 내부의 벽을 허물고 모든 칸을 한 공간으로 터버렸다.

1990년대에서 2000년대에 사이에 내부를 복원했고 이후 오늘에 이른다.

4. 구조

양화당의 모습은 크게 1484년에서 1730년, 1730년에서 1830년, 그리고 1833년부터 현재까지, 이렇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일 앞 시기(1484 ~ 1730)의 모습은 남아있는 자료가 별로 없어 자세하게는 확인이 불가능하나, 1730년( 영조 6년) 개수 당시의 《 승정원일기 기사를 보면, 몸체는 3칸이고 4면에 툇마루를 두른 모습이었다 한다. # 두 번째 시기(1730 ~ 1830)의 모습은 《 동궐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1. 동궐도》의 모습(1730년 ~ 1830년)

파일:동궐도 양화당.png }}} ||
<colbgcolor=#bf1400> 《동궐도》 양화당. 1830년(순조 30년) 화재 이전의 모습이다.
동궐도》를 보면, 1층[4]으로 평면은 ‘一’자 형태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 총 15칸 규모이며 제일 동쪽 칸은 마루이다. 지붕은 팔작지붕에 용두와 취두를 올렸고, 남면과 동면의 가장자리엔 쪽마루를 덧대었으며 가장자리엔 난간을 설치했다. 그리고 동면의 가운데 칸엔 나무 사다리를 설치하여 쪽마루로 오르내릴 수 있게 했다. 정면 왼쪽에서 3, 4칸은 대청으로 되어있고, 대청 칸 앞의 툇마루를 바깥으로 통하게 하여 현관 역할을 할 수 있게 했다.

4.2. 1833년 ~ 현재

5. 여담

6. 대중 매체에서

파일:김자점을 때리는 인조.png
파일:꽃전 양화당 세자 얌전.jpg
<colbgcolor=#bf1400> 양화당 뜰의 인조(이덕화 분) <colbgcolor=#bf1400> 양화당 앞에서 포즈를 취한 소용 조씨(김현주 분)와 효종(김주영 분) #
2013년 방영한 JTBC 드라마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에서는 병자호란 이후 인조의 주 처소로 나온다. 실제 양화당에서 찍은 것은 아니고, 경상북도 문경시에 있는 경복궁 세트장의 강녕전 건물에다 양화당 현판을 걸고 촬영했다.[9]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경궁관리소. [2] 조선 초엔 양화당의 서쪽 온돌방을 사정합이라 따로 이름지었다. 그러나 후기로 가면서 유명무실해졌다. # [3] 팔작지붕 측면에 삼각형 꼴로 되어있는 부분. [4] 보통 한옥의 경우 단층(單層)이라 표현한다. [5] 荷葉童子. 연꽃 모양의 짧은 기둥. [6] 거기다 이미 그 전 날 들어와 하룻밤 자기까지 했다고. 간도 크시네 [7] 이처럼 죄인 입대시키는 것을 충군(充軍)이라 하는데 일반 군직보다는 수군이나 국경수비대 등 힘든 곳으로 보냈다. [8] 摹寫圖. 베껴 그린 그림. [9] 사실 저 사진들이 다 멜랑꼴리(...)한데, 왼쪽 사진은 인조 병자호란 당시 자신을 구하러 오지 않고 숨어있었던 김자점이 나중에 변명을 늘어놓자 이에 딥빡분노하여 싸커킥을 날리는 장면이고, 오른쪽 사진 속 효종 소용 조씨의 모습은 화기애애 해보이지만, 실제 역사와 극 중에서는 서로 못 잡아먹어서 안달인 철천지 원수 사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