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ㅏ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ㅣ |
|
|
집춘문 | ||||||||||
← | 대온실 | 관덕정 | ㅣ | ||||||||||
창덕궁 | 춘당지 |
|
국립어린이과학관 |
ㅣ | |||||||||
|
|
성종 태실 |
앙부일구 풍기대 |
관리사무소 | 월근문 | ||||||||
함양문 |
|
|
|
ㅣ | |||||||||
|
|
|
|
|
|
|
ㅣ | ||||||
|
통명전 | 양화당 |
|
집복헌 | 영춘헌 | ㅣ | |||||||
|
|
|
|
|
|
|
|
|
|
||||
ㄴ | ㄱ |
|
|
ㅣ | |||||||||
ㅣ | 경춘전 | 환경전 |
|
|
|
ㅣ | |||||||
ㅣ |
|
함인정 |
|
|
|
|
ㅣ | ||||||
|
빈양문 | 명정전 | 명정문 | 옥천교 | 홍화문 | ||||||||
ㄴ | ㅡ | ㅡ |
|
|
숭문당 | 문정전 | 문정문 |
|
ㅣ | ||||
|
|
|
|
|
|
ㅣ | |||||||
|
|
|
ㅣ | ||||||||||
|
|
|
|
|
선인문 | ||||||||
|
|
|
ㅣ | ||||||||||
|
+ | ↓ | 종묘 | ㅡ |
|
|
┛ | ||||||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 ||
<colbgcolor=#bf1400> 창경궁 선인문 昌慶宮 宣仁門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 와룡동) | |
건축시기 |
1483년 (창건) 1616년 (중건) 1877년 (중건) |
|
<colbgcolor=#bf1400> 선인문[1] |
|
창경궁 안쪽에서 바라본 선인문[2] |
[clearfix]
1. 개요
창경궁의 출입문이다. 정문 홍화문의 남쪽에 있다.2. 역사
|
<colbgcolor=#bf1400> 〈동궐도〉 선인문 |
임진왜란 때 불탔다가 광해군 때 재건했다. 1857년( 철종 8년)에 화재를 입었고 1877년( 고종 14년)에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른다.
3. 용도
왕세자와 신하들이 주로 사용했다. 위치 상으로 궐내각사 및 동궁 권역과 가깝기 때문이다. 또한 남아있는 기록에도 그렇게 적혀있다. 《한경지략》에서는 ‘신하들이 드나든다’고 소개했다. 《동국여지비고》 - 〈경도〉 편에는 ‘ 동궁의 정문으로 신하들이 출입한다’고 쓰여있다. 또한 세자가 궁 밖을 드나들 때, 특히 성균관 입학할 때 이용한 내용이 《 승정원일기》 등에 적혀있다. #단, 고종이 재위 기간에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아 예외도 있었던 듯 하다. #
4. 구조
- 《 동궐도》와 현재의 모습이 다르다. 지붕은 현재는 평지붕이지만, 《동궐도》에는 창경궁 동북쪽 출입문인 월근문처럼 왼쪽 칸 지붕이 낮고 오른쪽 칸 지붕이[A] 높은 솟을지붕 형태였다. 그리고 문 북쪽으로 현재는 돌담이 붙어있지만, 《동궐도》에서는 행각이 붙어있는 모습이다. 아마 철종 때 불탄 것을 고종 때 재건하면서 바꾼 듯 하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기와를 얹어 마감했다. 지붕 양 끄트머리에는 용두를 올렸다.
- 문짝과 벽체는 전부 붉은 칠을 한 나무 판이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만들었고, 문틀 위에는 궁판을 놓고 그 위에 홍살을 올렸다. 왼쪽 칸 궁판은 7개로 세로 길이가 길며, 오른쪽 칸 궁판은 8개로 세로 길이가 짧다.[A] 양쪽 문짝의 높이가 다른데, 오른쪽 칸의 높이가 더 높다.[A]
5. 여담
-
유독
왕실에서 일어난 나쁜 사건들과 엮였다.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당할 때와,
민회빈 강씨가
누명을 쓰고 폐출당할 때 이
문으로 쫓겨나갔다. 또한
희빈 장씨가
사약받고 죽은 뒤
시신이 여기로 나갔다. 선인문 안쪽에서는
뒤주에 갇힌
사도세자가 숨을 거두었다. 그리고
철종 때 불탔는데 하필
순원왕후의
국상을 치르던 중이었다.
이 정도면 가히 창경궁의 흉지라 해도 과언이 아닌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