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00:58:29

창경궁 시민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모정 미확인 건물지 집춘문
대온실 관덕정
창덕궁 춘당지 관풍각 조주가
국립어린이과학관
병경문 수궁 성종 태실 앙부일구
풍기대
관리사무소 월근문
함양문 건극당 세답방 수궁
영안문 환취정 자경전 장고 요화당 통화전 명광문
건인문 통명전 양화당 정일재 집복헌 영춘헌
여휘문 여휘당 채원합 소주방 연희당 연춘헌 천오문 만입문 보정문 통화문
정양문 연경당
경춘전 환경전 소주방 장방 수문장청
순역헌
풍순헌
함인정 공목합 수랏간
함안각
교태문 영군직소
취명문 빈양문 명정전 명정문 옥천교 홍화문
보화문 협문 숭문당 문정전 문정문 영군직소
주명문 누국 오위도총부 고문관 주자소 영군직소
낙선당 일영대 수문장청
저승전 진수당 군옥재 계방 등룡문 선인문
춘방 사주문 내사복시
시민당 + 종묘 수문 암문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궐
(경복궁)
경복궁 계조당
景福宮 繼照堂
경복궁 자선당
景福宮 資善堂
경복궁 비현각
景福宮 丕顯閣

동궐
(창덕궁 · 창경궁)
창덕궁 중희당
昌德宮 重凞堂
창덕궁 성정각
昌德宮 誠正閣
창덕궁 관물헌
昌德宮 觀物軒
창경궁 저승전
昌慶宮 儲承殿
창경궁 낙선당
昌慶宮 樂善堂
창경궁 시민당
昌慶宮 時敏堂

서궐
(경희궁)
경희궁 승휘전
慶熙宮 承輝殿
경희궁 경현당
慶熙宮 景賢堂
경희궁 양덕당
慶熙宮 養德堂
경희궁 집희당
慶熙宮 緝熙堂
경희궁 경선당
慶熙宮 慶善堂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colbgcolor=#bf1400> 창경궁 시민당
昌慶宮 時敏堂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 와룡동)
건축시기 1487년 (창건)
1611년 이전 (중수)
1780년 (소실)
파일:시민당 터로 추정되는 곳.png
<colbgcolor=#bf1400> 시민당 터 추정지[1]
1. 개요2. 역사3. 구조4. 부속 건물
4.1. 진수당4.2. 장경각

[clearfix]

1. 개요

창경궁 동궁이다. 왕세자 공부방이자 공식 의례를 행하던 곳이었다.

현재는 남아있지 않으며 정확한 위치 역시 알 수 없다. 다만 《 동궐도》에 따르면, 지금의 낙선재 권역에 있는 수강재의 동남쪽, 창덕궁 창경궁이 만나는 영역에 있었다.

이름 시민(時敏)은 ‘때(時)에 민첩(敏)하기를 힘쓴다’는 뜻으로, 《서경(書經)》의 열명(說命)[2] 편에서 유래했다. 즉, 세자가 배울 때를 놓치지 말고, 부지런하고 민첩하게 공부하기 바라는 마음을 담은 것이다. # # 참고로 임진왜란 진주성 전투의 그 김시민 장군의 이름자와 한자까지 같다.

2. 역사

창덕궁을 세운 것은 1405년( 태종 5년)이지만, 처음부터 세자궁을 마련하지는 않았다. 그러다가 성종 시기 원자 이융 세자를 책봉한 후 창덕궁에 세자궁이 필요하자[3], 1485년( 성종 16년) 1월에 창덕궁의 동문인 건양문 밖에 동궁을 지었고 시민당도 이 때 건립했다. 창덕궁의 동궁으로 지었으나, 위치 때문에[4] 창경궁 영역으로 들어갔다.

1592년( 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불탔다. 이후 언제 다시 지었는 지 알 수 없으나 1611년( 광해군 3년)에 왕세자 가례 행사의 일부를 이 곳에서 했다는 기록을 볼 때, 그 이전에 재건한 듯 하다. # 이후 인조반정 이괄의 난 등으로 창경궁이 불탔으나 시민당은 무사했다. 병자호란 직후에는 잃어버린 세조 영정을 잠시 여기에 모셨고, # 인조 임경업을 이 곳에서 직접 친국하기도 했다. #

1647년( 인조 25) 8월에 당시 세자[5]가 머물던 임시 처소에 흉물이 묻혀있다는 소문이 돌아 동궁의 처소인 저승전(...)을 다시 지었는데, 공사 중에 저승전 뿐 아니라 시민당 처마 아래의 섬돌에서도 흉물이 발견되어 안이 발칵 뒤집히는 일이 있었다. # 그리고 이 사건을 강빈 옥사 관련사건으로 조작하기도 했다. #[6]

숙종 때는 복위된 단종 - 정순왕후 민회빈 강씨의 신위를 이 곳에 잠시 모셨다. 숙종 말기에 당시 세자였던 경종 대리청정을 하면서 정사를 돌보고 조회를 여는 정당(正堂)으로 활용했다. # 숙종이 죽은 후에 숙종의 혼전[7] 문정전으로 정하면서 문정전에 있던 인현왕후의 혼전을 여기로 옮겼다. 경종이 된 이후에도 이 곳에서 나랏일을 보았고 # 영조도 마찬가지였다. # 사도세자 역시 대리청정을 할 때, 이 곳에서 정무를 보았다. #[8]

사도세자 사후 세손이던 정조 경희궁으로 거처를 옮겼다. 즉위 후 창덕궁, 창경궁으로 돌아왔지만 아직 세자가 없어 시민당은 비어있었다. 그러다 1780년(정조 4년)에 불탔다. # 바로 다시 지으려 했으나, 막 흉년을 벗어난 어려운 시기였기에 공사를 취소했고 # 끝내 조선왕조 멸망할 때까지 재건하지 못했다. 시민당 이후 창덕궁, 창경궁 동궁 정당 역할은 정조 문효세자를 위해 새로 지은 중희당이 대신했다.

순종 때 제작한 《동궐도형》을 보면 시민당 터에 창고가 있었다. 이마저도 일제가 철거했고, 지금은 나무가 빽빽이 들어선 이 들어섰다.

3. 구조

파일:동궐도 시민당 일대.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 시민당 일대
순조 때 제작한 《 동궐도》에서 터만 남아있는 시민당 유구를 확인할 수 있다. 계단의 위치로 보아 동향을 하고 있고, 동쪽에서 바라볼 때 기준으로 ‘ 」 ’ 자 형태를 하고 있다. 계단은 3개로 나누어져 있으며 건물 앞과 남쪽엔 넓은 월대가 있었고 남쪽 월대엔 덩쿨 담장이 있었다. 그리고 서남쪽에(그러니까 건물 좌향을 기준으로 뒷 편에) 사각형 모양의 연못이 있었다.
파일:시민당야대지도.jpg
파일:시민당도.jpg
<colbgcolor=#bf1400> 《시민당야대지도》 <colbgcolor=#bf1400> 《시민당도》
1658년( 효종 9년) 당시 세자시강원 찬선[9] 송시열 등이 야대[10]한 것을 기념하여 1663년에 그린 《시민당야대지도》와, 1670년( 현종 11년) 왕세자였던 숙종 관례를 거행할 때의 모습을 담은 《시민당도》를 보면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정면은 3칸이었다. 그러나 이 것만 가지고 건물 전체의 모습이 어땠는 지 가늠할 수 없다.

4. 부속 건물

4.1. 진수당

파일:동궐도 진수당.png
파일:동궐도형 진수당.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 진수당 <colbgcolor=#bf1400> 《동궐도형》 진수당. '房'은 온돌방, '廳'은 마루방, '退'는 툇마루이다.[11]
昌慶宮 進修堂

시민당 영역에 있는 건물로 남향이었다. 시민당, 저승전과 같이 성종 연간에 지었다. 임진왜란 때 불탔으나 광해군 때 재건했고, 이후 임금 세자 신하들을 불러서 만나 정사와 관련한 이야기를 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했다.

1728년(영조 4년) 11월에는 영조 큰아들 효장세자가 이 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

동궐도》와 《동궐도형》을 보면 정면 7칸, 측면 3칸의 총 21칸으로, 지붕은 팔작 지붕이다. 남쪽 전면에 퇴간이 7칸 있고 가운데 3칸은 대청이다. 그 뒤로 동, 서 양 쪽에 온돌방이 각각 있으며 온돌방은 대청 쪽으로 큰 하나와 쪽방 2개이다. 시민당과 달리 20세기 초반까지 남아있었으나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4.2. 장경각

昌慶宮 藏經閣

서책을 보관하던 곳이다. 진수당 동쪽에 위치해있으며 서향이었다. 《 동궐도》와 《동궐도형》을 보면 정면 3칸, 측면 1칸의 총 3칸으로, 지붕은 맞배 지붕이었다. 시민당과 달리, 진수당과 마찬가지로 20세기 초반까지 남아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1] 사진 출처 - 카카오맵. [2] 원래 발음은 ‘설’이나 이 때는 ‘열’로 읽는 것이 맞다. [3] 당시 성종 창덕궁에 거주했다. [4] 위에 언급했듯, 창덕궁 건양문 밖에 지었는데, 창경궁이 생기면서 건양문 밖은 창경궁 영역이 된다. [5] 여기서 말하는 세자 소현세자가 아니라 봉림대군이었던 훗날의 효종이다. 소현세자는 1년 전에 사망. [6] 당시 강빈은 멸칭 ‘역강(逆姜, 역적 강씨)’으로 불렸다. [7] 왕비의 신위를 임시로 모시던 전각. [8] 하지만 질병을 핑계로 일을 안할 때가 훨씬 많았던데다, 그나마도 영조 사도세자를 세워놓기만 하고 자기 맘대로 다 했기 때문에 실제로 정무를 본 적은 별로 없다. [9] 세자시강원은 왕세자 교육을 맡아보던 관청이며 찬선은 그에 속한 정3품 벼슬이다. [10] 이 밤 중에 신하를 불러 공부하는 비정규 경연이다. [11] 사진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 장서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