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
|
||||||||||||||||
|
|
|
|||||||||||||||
서암 | ┏ | ━ | ━ | ━ | ┓ |
|
|
|
|
|
|
|
|||||
영렬천 | ┃ | 자정전 | ┃ |
|
|
|
|
|
|
||||||||
|
태령전 | ┠ | ━ | 자정문 | ━ | ┨ |
|
|
|||||||||
태령문 |
|
숭정전 | ㅣ |
|
|
|
|
|
|||||||||
|
┃ |
|
|||||||||||||||
┗ | ━ | 숭정문 | ━ | ┛ |
|
|
|||||||||||
|
|
|
|
|
|
|
|
||||||||||
|
|
|
|
|
|||||||||||||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
|
|
|
|
|
|
|||||||||||
|
서울특별시교육청 |
|
서울역사박물관 |
|
금천교 | 흥화문 | |||||||||||
|
|
|
|
|
|
|
|||||||||||
|
|
|
|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북궐 (경복궁) |
||
경복궁 계조당 景福宮 繼照堂 |
경복궁 자선당 景福宮 資善堂 |
경복궁 비현각 景福宮 丕顯閣 |
동궐 (창덕궁 · 창경궁) |
|||||
창덕궁 중희당 昌德宮 重凞堂 |
창덕궁 성정각 昌德宮 誠正閣 |
창덕궁 관물헌 昌德宮 觀物軒 |
창경궁 저승전 昌慶宮 儲承殿 |
창경궁 낙선당 昌慶宮 樂善堂 |
창경궁 시민당 昌慶宮 時敏堂 |
서궐 (경희궁) |
||||||
경희궁 승휘전 慶熙宮 承輝殿 |
경희궁 경현당 慶熙宮 景賢堂 |
경희궁 양덕당 慶熙宮 養德堂 |
경희궁 집희당 慶熙宮 緝熙堂 |
경희궁 경선당 慶熙宮 慶善堂 |
||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 |
대한민국 사적 제271호 경희궁 | ||
<colbgcolor=#bf1400> 경희궁 양덕당 慶熙宮 養德堂 |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 신문로2가) | |
건축시기 | 1620년 추정 (창건) / 1865년 ~ 1868년 (철훼) |
|
<colbgcolor=#bf1400> 3D로 재현한 양덕당 |
|
양덕당 현판[1] |
[clearfix]
1. 개요
경희궁의 동궁으로, 왕세자와 그 가족들이 머물던 처소였다.위치는 경희궁 동궁의 정당(正堂)인 경현당의 북쪽이었다. 지금의 서울역사박물관과 박물관 주차장 사이로 추정된다.
'양덕(養德)'은 '덕(德)을 기른다(養)'는 뜻이다.
2. 역사
처음 건립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620년( 광해군 12년)에 경희궁이 창건될 때 같이 지은 것으로 보인다.동궁의 처소 중 하나였으나 경현당에서 행사가 있을 때 준비 공간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사도세자의 어머니인 영빈 이씨와 세자빈 혜경궁 홍씨가 머물기도 했다. 영빈 이씨는 1764년( 영조 40년) 7월에 이 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
서궐(경희궁) 내에는
숭정전,
회상전, 정심합(正心閤), 사현합(思賢閤),
흥정당만 남기고 그 나머지는 모두 헐었다.
목재를 가져오니 다수가 썩었다. 이 가운데 좋은 것을 골라서 (경복궁의) 나인간(內人間)과 각사의 건조에 사용했다.
《경복궁 중건일기》
《경복궁 중건일기》
3. 구조
<colbgcolor=#bf1400> 〈서궐도안〉을 채색한 〈서궐도〉에서 묘사한 양덕당 일대. 가운데 건물이 경현당이고 그 윗 쪽의 건물이 양덕당이다. |
- 동쪽으로는 앙기모띠가 있었고, 서쪽으로는 안희헌(安喜軒)이 있었으며 양덕당 영역을 구분하는 행각의 역할도 했다. 안희헌의 북쪽에는 삼선문(三善門)이 있고, 남쪽에는 경현당과 연결되는 숭덕문(崇德門), 동북쪽엔 계명문(繼明門)이 있다.[2] 그리고 남쪽과 북쪽은 일반 담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단, 북쪽 담장의 서쪽 끝은 행각과 이어지지 않고 문도 없이 완전히 열려있는 형태라 다른 문을 거치지 않고도 바로 뒤뜰을 통해서 양덕당 영역을 출입할 수 있었다.
[1]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이 링크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2]
단, 계명문은 화계 안의 숲으로 들어가는 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