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9 15:08:18

경희궁 양덕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무덕문
계상당 춘화각 영취정
서암 덕유당 상휘당 광명전 어조당 용비루 장락전 봉상루
영렬천 자정전 집경당 회상전 융복전 융무당 집희당 경선당
위선당 태령전 자정문 영선당 사현합
태령문 향실 숭정전 정시합 흥정당 청한정 지효합 상의원
내삼청 숭양문
숭정문 승휘전 흥원문
직조청 내각( 규장각) 예문관 서방색 궁방 사옹원 사은원 양덕당
일영대 금루 호위청 선부관청 경현당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무겸청 연화문 광달문 화경문 경헌문 승화문
숭의문 서울특별시교육청 금상문 서울역사박물관 건명문 금천교 흥화문
남소 옥당( 홍문관) 약방( 내의원) 약원 도감군사대직청 빈청 전설사
오위도총부 정원( 승정원) 덕응방 내구 마구
개양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궐
(경복궁)
경복궁 계조당
景福宮 繼照堂
경복궁 자선당
景福宮 資善堂
경복궁 비현각
景福宮 丕顯閣

동궐
(창덕궁 · 창경궁)
창덕궁 중희당
昌德宮 重凞堂
창덕궁 성정각
昌德宮 誠正閣
창덕궁 관물헌
昌德宮 觀物軒
창경궁 저승전
昌慶宮 儲承殿
창경궁 낙선당
昌慶宮 樂善堂
창경궁 시민당
昌慶宮 時敏堂

서궐
(경희궁)
경희궁 승휘전
慶熙宮 承輝殿
경희궁 경현당
慶熙宮 景賢堂
경희궁 양덕당
慶熙宮 養德堂
경희궁 집희당
慶熙宮 緝熙堂
경희궁 경선당
慶熙宮 慶善堂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271호 경희궁
<colbgcolor=#bf1400> 경희궁 양덕당
慶熙宮 養德堂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 신문로2가)
건축시기 1620년 추정 (창건) / 1865년 ~ 1868년 (철훼)
파일:3D 양덕당.png
<colbgcolor=#bf1400> 3D로 재현한 양덕당
파일:양덕당 현판.jpg
양덕당 현판[1]

1. 개요2. 역사3. 구조

[clearfix]

1. 개요

경희궁 동궁으로, 왕세자와 그 가족들이 머물던 처소였다.

위치 경희궁 동궁의 정당(正堂)인 경현당의 북쪽이었다. 지금의 서울역사박물관과 박물관 주차장 사이로 추정된다.

'양덕(養德)'은 '덕(德)을 기른다(養)'는 뜻이다.

2. 역사

처음 건립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620년( 광해군 12년)에 경희궁이 창건될 때 같이 지은 것으로 보인다.

동궁의 처소 중 하나였으나 경현당에서 행사가 있을 때 준비 공간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사도세자 어머니 영빈 이씨 세자빈 혜경궁 홍씨가 머물기도 했다. 영빈 이씨는 1764년( 영조 40년) 7월에 이 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
1818년( 순조 18년)에는 왕대비 효의왕후가 거처하면서 덕화전(德和殿)으로 이름을 고쳤다. 1860년대 고종 시기 경복궁을 재건할 때, 경희궁 건물들을 헐어다 자재로 쓰면서 철거되었다.
서궐(경희궁) 내에는 숭정전, 회상전, 정심합(正心閤), 사현합(思賢閤), 흥정당만 남기고 그 나머지는 모두 헐었다. 목재를 가져오니 다수가 썩었다. 이 가운데 좋은 것을 골라서 (경복궁의) 나인간(內人間)과 각사의 건조에 사용했다.
《경복궁 중건일기》

3. 구조

파일:서궐도 경현당.png }}} ||
<colbgcolor=#bf1400> 〈서궐도안〉을 채색한 〈서궐도〉에서 묘사한 양덕당 일대.
가운데 건물이 경현당이고 그 윗 쪽의 건물이 양덕당이다.
정면 4칸, 측면 3칸의 총 12칸 건물로 남향을 하고 있다. 처마는 겹처마에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양성바름을 한 뒤 그 위에 취두와 용두, 그리고 잡상을 얹었으며 기둥은 네모나게 깎아 세웠다. 양쪽 가장자리 칸은 온돌로, 그 사이 가운데 칸은 대청으로 꾸몄다. 대청이 있는 칸엔 툇마루를 밖으로 드러나게 했다.


[1]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이 링크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2] 단, 계명문은 화계 안의 숲으로 들어가는 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