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21:56:38

문경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문경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 영화에 대한 내용은 문경(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70b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
파일:경주시 CI.svg
경주시
파일:구미시 CI.svg
구미시
파일:김천시 CI.svg
김천시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시
파일:상주시 CI.svg
상주시
파일:안동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fe0000 21%, #ed1c24); font-size: 1em"
]] 안동시
파일:영주시 CI.svg
영주시
파일:영천시 CI.svg
영천시
파일:포항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00B1EB 21%, #00a4da); font-size: 1em"
]] 포항시
자치군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 파일:고령군 CI.svg
고령군
||<width=25%> 파일:봉화군 CI.svg
봉화군
||<width=25%> 파일:성주군 CI.svg
성주군
||<width=25%> 파일:영덕군 CI.svg
영덕군
||
파일:영양군 CI.svg
영양군
파일:예천군 CI.svg
예천군
파일:울릉군CI임시.png
울릉군
파일:울진군 CI.svg
울진군
파일:의성군 CI.svg
의성군
파일:청도군 CI.svg
청도군
파일:청송군 CI.svg
청송군
파일:칠곡군 CI.svg
칠곡군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F32836><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32836>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32836> 가은읍 문경읍
농암면 동로면 마성면 산북면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산양면 영순면 호계면 }}}
법정동
점촌1동 모전동 일부 점촌동
점촌2동
윤직동 영신동
점촌3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우지동 창동 흥덕동 }}}
점촌4동 공평동 불정동 신기동 유곡동
점촌5동
시청
모전동 일부
}}}}}}}}} ||
<rowcolor=#000,#fff> 경상북도 자치시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tablebordercolor=#fff,#191919><rowcolor=#000,#fff>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시
聞慶市
Mungyeong City
}}}
<colbgcolor=#F32836><colcolor=#fff> 시청 소재지 당교로 225 (모전동)
광역자치단체 경상북도
하위 행정구역 2 7 5
면적 911.9㎢
인구 67,340명[1]
인구밀도 73.85명/㎢[2]
시장
신현국 (3선)
시의회
10석[3]
도의원
2석[4]
국회의원
임이자
상징 <colbgcolor=#F32836><colcolor=#fff> 시화 철쭉
시목 박달나무
시조
지역전화 054 - 55X ~ 57X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
3.1. 시의 명칭에 관한 문제
4. 인구5. 교통6. 산업
6.1. 금융
7. 관광 및 특산물8. 생활문화
8.1. 교육8.2. 의료기관8.3. 스포츠
9. 정치10. 하위 행정구역11. 여담12. 사건 사고13. 출신 인물
13.1. 실존 인물13.2. 가공 인물

[clearfix]

1. 개요

<colbgcolor=#F32836><colcolor=#fff>
파일:문경시청.png
문경시청
경상북도 문경시 당교로 225

경상북도 서북부에 있는 . 동쪽에 예천군, 남쪽에 상주시[5], 서쪽에 충청북도 괴산군, 북쪽에 충청북도 충주시[6], 제천시, 단양군[7]이 있다.[8] 시조는 , 시목은 박달나무, 시화는 철쭉이다.

문경이라고 하면 자연스럽게 문경새재가 떠오르는데 이 관문은 조선시대에는 서울과 영남을 잇는 영남대로의 주요 관문이었고 그만큼 문경은 교통의 요지였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경부고속도로 경부선 등 각종 도로, 철도망이 생기면서 이러한 교통 기능을 상실했지만 대신 영화와 사극 촬영지, 트레킹 코스 등으로 각광받고 있다.

경제개발 시기에는 석탄개발이 활발한 곳이었으며 이때는 여느 광산도시와 마찬가지로 번성하던 곳이었으나 석탄사업의 몰락과 함께 크게 쇠락한 곳으로 경상북도 유일의 폐광지역진흥지구이다. 석탄이 많이 나던 곳답게 지질이 복잡하다.

2. 상징

문경시의 CI
파일:문경시 CI.svg
'M'은 유려한 산세와 무구한 역사를 품은 문경 주흘산의 능선을 담아 찬란한 기품과 무한한 가치를 표현했으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역대 CI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fff,#1f2023> 파일:문경시 CI(2002-2023).svg
2002년 ~ 2023년
자연과 인간, 전통이라는 컨셉 하에 문경의 영문 첫글자'M'을 형상화하였음.
녹색은 문경의 산과 자연을, 주홍색은 인간 또는 시민을, 청색은 문경관문으로서 전통을 상징함.
}}}}}}}}}}}}}}}
문경시의 BI
파일:문경시 BI.svg
긍정의 힘! Yes문경은 1%의 가능성만 있어도 할 수 있다는 '긍정의 힘'으로 문경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역대 BI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fff,#1f2023> 파일:일등문경.jpg
2002년 ~ 2023년
문경의 특성과 비젼을 담은 역동적 이미지의 브랜드를 통한 지역의 정체성 확립
- 마케팅 시민화합을 도모하여 경북북부의 중심도시 조성의 한단계 높은 미래 지향적인 도시 이미지 구현
}}}}}}}}}}}}}}}
문경시의 마스코트
파일:문경시 문희 경서.jpg
기쁜 소식을 듣고 경사스러운 일이 있다는 뜻인 “문희경서”의 ‘문희'와 '경서'는 도시의 상징마크와 일체감을 주면서도 다정하고 친근한 이미지로, 좋은 소식을 전해주는 문경시의 메신저를 표현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역대 마스코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fff,#1f2023> 파일:external/www.gbmg.go.kr/symbol_character.png
2002년 ~ 2023년
출사동이는 과거에 급제한 후 임금님이 내려준 어사화를 꽂고 환하게 웃는 선비의 모습을 현대적 감각으로 표현하여 기쁜 소식을 듣는 고장, 희망에 찬 문경의 모습을 상징함. }}}}}}}}}}}}}}}

3. 역사

문경시 행정구역 변천사
문경군
(聞慶郡, 1914)
점촌시
(店村市, 1986)
문경군
(1986)
문경시
(1995)

원삼국시대에는 삼한 진한 사벌국의 영역이었다.

삼국시대에 들어서는 사벌국이 신라에 정복되어 간접지배 기간을 거쳤고, 눌지 마립간 때부터는 신라왕들이 추풍령 일대를 진골들을 억누르기 위해 왕실한테만 충성하는 직할군을 양성하는 왕실 직할지로 특화하여, 신라 왕실과 깊은 인연을 맺게 된다. 이후로 신라 왕실 직할군으로 정예병이나 근위대는 문경을 포함한 충청북도 동부 ~ 경상북도 서부에서만 배타적으로 지원을 받아 편성되는 인원들로만 구성된다. 행정구역상 당시 문경시는 최상위 행정구역인 사벌주(沙伐州)[9] 소속으로 고동람군(古冬攬郡)[10] 소속의 가해현(加害縣, 현 가은읍), 관현(冠縣, 현 문경읍)[11], 호측현(虎側縣, 현 호계면)의 세 현과 수주군(水酒郡)[12] 소속의 근품현(近品縣, 현 산양면), 난산현(蘭山縣, 현 동로면의 남단)의 두 현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남북국시대에 들어서는 경덕왕의 지명 한화정책 때 가해현은 가선현(嘉善縣)으로, 관현은 관산현(冠山縣)으로, 호측현은 호계현(虎溪縣)으로, 근품현은 가유현(嘉猷縣)으로, 난산현은 안인현(安仁縣)으로 각각 개칭된다. 상위 행정구역인 고동람군은 고령군(古寧郡)으로, 수주군은 예천군(醴泉郡)으로, 사벌주는 상주(尙州)로 개칭된다.

후삼국시대에 들어서는 이 일대의 호족(한국사)으로 아자개가 유명했고, 그 아들인 견훤 후백제의 건국왕이 된다. 앞서 설명한대로 당시에는 문경 일대가 상주의 휘하에 있었고 그 직할지와 매우 가까웠기 때문에 지금의 문경 지역 사람이던 견훤이 상주 사람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906년에는 태봉의 영역이 되지만 907년에는 후백제의 영역이 되었다가, 918년 고려에 귀부한 아자개 이후 문경 일대의 패권을 쥐게 된 호족인 흥달이 927년에 고려로 귀부하면서 문경은 상주와 마찬가지로 고려의 영역이 된다. 문경 지역 입장에서는 이것이 왕건의 고려와 첫 인연이 되는데 그러나 이는 흥달의 큰 판단 착오였다. 서라벌 기습 공산 전투가 그 직후에 벌어졌고 고려의 영향력이 경북에서 거의 사라진 시기에 후백제군이 상주에 들이닥쳐 문경 일대는 상주와 함께 후백제의 영역이 된다. 그전까진 고려든 후백제든 그 일대를 장악한 호족의 귀부 여부로 귀속이 결정되었으나, 다름아닌 자기 고향이자 가족들의 세력권인 문경 일대와 상주가 이런 식으로 고려와 후백제를 왔다갔다하는 것을 견훤이 더는 참을 수가 없었던 걸로 보인다. 그 이후로는 후백제가 아예 군사력을 상주시켜 후백제로의 귀속을 확고히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929년 현 가은읍 일대의 호족 선필이 후백제의 맹공에도 불구하고 성을 지켜낸 기록이 나오는데, 이를 보면 927년 견훤의 문경 일대 장악 후 929년 사이 어느 시점에서 가은읍 호족 선필이 고려에게 귀부하면서 적어도 오늘날 문경 일대 중 가은읍은 고려의 판도에 들어갔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후백제는 고려가 경북 일대에서 고창 전투로 반격에 성공한 이후에도 936년도에 멸망하기 직전까지 가은읍을 제외한 문경과 상주는 판도로 유지하지만, 견훤과 아자개의 출생지인 가은읍만은 또 다시 후백제에게서 벗어났기에 견훤 입장에서는 대단히 뼈아픈 일이었다.[13]

이후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 문경현이었다가 1895년 23부제가 실시되어 안동부 문경군이 되었다. 1896년 23부 체제가 다시 13도로 개편되어 경상북도 문경군이 되었다.

1906년 예천군의 동로면과 화장면이 문경군에 편입되었고, 상주군의 산서·산남·산동·산북·영순면이 편입되었다. 1914년 용궁군의 서면, 함창군의 동면 일부를 편입하였고, 1933년 신북면이 문경면에 통합되었다. 1956년 7월 8일 호서남면이 읍으로 승격하면서 호서남면의 중심 마을인 점촌리의 이름을 따라 점촌읍으로 개칭되었고, 1963년 1월 농암면 삼송리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으로 편입되었다. 1973년 7월에는 문경면이 읍으로 승격하고, 가은면과 상주군 이안면 저음리를 합쳐 가은읍이 되었다. 1986년 1월 점촌읍과 문경군 호계면 별암리 일부가 합쳐져 점촌시로 승격, 분리되었고, 1989년에는 상주군 함창읍 윤직리 일부를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자로 점촌시와 문경군이 합쳐져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1996년 산북면 거산출장소, 동로면 수평출장소를 폐지하였다.

2004년 1월 1일 행정동들의 이름이 변경됐다.

3.1. 시의 명칭에 관한 문제

1986년 문경군의 일부였던 점촌읍이 시로 승격되어 점촌시로 설치된 것이 문제의 발단이다. 과거 문경군청은 문경읍 상리에 있었으나 1949년 점촌읍으로 이전하면서 문경군의 중심지가 점촌으로 바뀌었다.

1995년 도농복합시 도입으로 인한 행정구역 대개편 당시 본래 하나의 행정구역이었던 점촌시와 문경군도 통합하게 되면서 통합시의 명칭을 문경시로 하느냐 점촌시로 하느냐를 놓고 논란이 일었으며, 이 문제가 지역 주민들 사이의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상당한 진통 끝에 원래 이름인 '문경시'가 되었지만 문경시 안에 시청이 있는 구 점촌 지역과 문경읍이 공존하는 상황이 혼란을 가져왔다. 현재 점촌은 문경시 점촌동이다. 문경읍에 문경시청이 없고 옛 점촌시 지역인 시내에 문경시청이 위치하게 된 것이다.[14] 현재 문경시 인근의 대부분의 교통 표지판에는 시내를 가리키는 표시로서 반드시 '점촌(문경시청)'과 '문경읍'을 명확히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표지판 사진 보통 나오는 지도에서는 점촌 지역은 문경시청 소재지라서 문경으로 나오고[15] 역시 문경읍도 문경이라고 나온다.

비슷한 사정을 가진 곳들로는 광양시[16] 사천시[17] 그리고 도농통합으로 나온 시는 아니지만 파주시[18]와 시 승격은 안 되었지만 함안군도 비슷하다.[19]

4. 인구

문경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문경군 농암면 삼송리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편입
1966년 158,783명
1970년 155,380명
1973년 7월 1일
문경군 가은면 + 상주군 이안면 저음리 → 가은읍 승격
1975년 161,095명
1980년 147,242명
1985년 139,731명
1986년 1월 1일 문경군 점촌읍 + 호계면 별암리 일부 → 경상북도 점촌시 승격 분리
1989년 1월 1일 상주군 함창읍 윤직2리 → 점촌시 편입
1990년 119,416명[1990문경시]
1995년 1월 1일 점촌시 + 문경군 → 문경시로 통합
1995년 92,239명
2000년 90,846명
2005년 77,476명
2010년 77,391명
2015년 75,784명
2020년 71,406명
2024년 11월 67,34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읍면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점촌5동 15,863명
점촌3동 8,585명
문경읍 6,776명[갈평출장소]
점촌2동 6,623명
점촌1동 5,403명
가은읍 3,895명[북부출장소]
마성면 3,315명
산양면 2,989명
점촌4동 2,969명
산북면 2,630명
농암면 2,539명
호계면 2,340명
영순면 2,321명
동로면 1,957명
2024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

석탄개발이 활발하던 1960~80년대까지는 젊은층 인구도 많고 지역 전체 인구도 10만이 넘을 정도로 번성했으며 약 30여개의 탄광이 있던 1974년에 인구는 16만 1천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이후로 탄광이 하나둘씩 문을 닫고, 1985년에 본격적으로 산업합리화 정책이 실시되면서 인구가 가파르게 줄기 시작했다. 1974년 16만 1천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11년간 2만 1천명이 줄어 1985년 인구는 14만명 정도였는데, 1985년부터 10년간은 과거 감소폭의 두 배를 넘는 4만 4천명이나 인구가 감소했다.

2023년 2월 인구가 7만 선이 붕괴되고 말았다. 동 지역 인구도 시 승격 기준인 5만 명에 미치지 못한다.

문경시는 경상도의 시 중에서 가장 인구가 적으며 전국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에서 시 중에서는 4번째로 인구가 적다. 계룡대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특례로 승격된 계룡시를 제외하면 뒤에서 1, 2, 3위인 태백시, 삼척시, 문경시 모두 폐광으로 인해 인구가 급감한 지역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나마 KTX 문경역의 개통과 더불어 문경 역세권 도시개발에 기대를 걸고 있으나 얼마나 크게 효과를 볼지가 미지수이다.

===# 읍면동별 인구 #===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8,606명
1970년 21,725명
1973년 7월 1일 문경군 문경면 → 문경읍 승격
1975년 22,969명
1980년 17,462명
1985년 16,810명
1990년 16,294명
1995년 9,646명
2000년 9,647명
2005년 8,636명
2010년 7,664명
2015년 7,316명
2020년 6,968명
2024년 4월 6,77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문경시 CI.svg 가은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3,811명
1970년 20,735명
1973년 7월 1일 문경군 가은면 + 상주군 이안면 저음리 → 가은읍 승격
1975년 20,310명
1980년 15,653명
1985년 12,934명
1990년 11,199명
1995년 6,189명
2000년 5,529명
2005년 5,067명
2010년 4,434명
2015년 4,240명
2020년 4,104명
2024년 4월 3,89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문경시 CI.svg 영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935명
1970년 8,638명
1975년 8,142명
1980년 6,591명
1985년 5,510명
1990년 5,301명
1995년 3,971명
2000년 3,591명
2005년 2,975명
2010년 2,951명
2015년 2,790명
2020년 2,451명
2024년 4월 2,32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문경시 CI.svg 산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369명
1970년 11,550명
1973년 7월 1일 호계면 봉정리 → 산양면 편입
1975년 11,769명
1980년 9,506명
1985년 7,910명
1990년 6,663명
1995년 5,179명
2000년 4,532명
2005년 4,136명
2010년 3,688명
2015년 3,380명
2020년 3,044명
2024년 4월 2,98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문경시 CI.svg 호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829명
1970년 11,460명
1973년 7월 1일 호계면 봉정리 → 산양면 편입
1975년 11,187명
1980년 10,186명
1985년 8,885명
1986년 1월 1일
문경군 점촌읍 → 점촌시 승격 분리
호계면 별암리 일부 → 점촌시 편입
1990년 5,833명
1995년 3,639명
2000년 3,452명
2005년 3,021명
2010년 2,865명
2015년 2,651명
2020년 2,399명
2024년 4월 2,34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문경시 CI.svg 산북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090명
1970년 12,462명
1975년 11,942명
1980년 9,659명
1985년 7,931명
1990년 6,451명
1995년 4,442명
2000년 3,940명
2005년 3,228명
2010년 3,197명
2015년 3,000명
2020년 2,777명
2024년 4월 2,63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문경시 CI.svg 동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577명
1970년 8,444명
1975년 8,427명
1980년 6,234명
1985년 4,903명
1990년 3,418명
1995년 2,388명
2000년 2,128명
2005년 1,739명
2010년 1,823명
2015년 1,966명
2020년 1,951명
2024년 4월 1,95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문경시 CI.svg 마성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678명
1970년 13,829명
1975년 15,124명
1980년 13,282명
1985년 11,988명
1990년 11,140명
1995년 5,897명
2000년 5,307명
2005년 4,507명
2010년 4,053명
2015년 3,819명
2020년 3,565명
2024년 4월 3,31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문경시 CI.svg 농암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문경군 농암면 삼송리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편입
1966년 11,505명
1970년 9,871명
1975년 9,498명
1980년 7,363명
1985년 5,943명
1990년 5,315명
1995년 3,658명
2000년 3,423명
2005년 3,109명
2010년 3,010명
2015년 2,737명
2020년 2,609명
2024년 4월 2,5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문경시 CI.svg 점촌1동 인구 추이[舊]
(1966년~현재)
1966년 32,378명
1970년 36,666명
1975년 41,714명
1980년 51,306명
1985년 56,917명
1986년 1월 1일
문경군 점촌읍 + 호계면 별암리 일부 → 경상북도 점촌시 승격 분리
점촌읍 점촌리 일부 → 점촌동 신설
점촌읍 점촌리 일부·영신리 → 중앙동 신설
점촌읍 흥덕리·우지리·창리 → 신흥동 신설
점촌읍 신기리·호계면 별암리 일부 → 신기동 신설
점촌읍 유곡리·불정리 → 대성동 신설
점촌읍 모전리·공평리 → 모전동 신설
1990년 8,902명
1995년 1월 1일 충현동 → 점촌동 개칭
1995년 7,456명
1999년 1월 1일 점촌동 + 모전동 일부 → 점촌동 합동
2000년 6,719명
2004년 1월 1일 점촌동 → 점촌1동 개칭
2005년 6,589명
2010년 6,430명
2015년 5,873명
2020년 5,813명
2024년 4월 5,40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75만 명
파일:문경시 CI.svg 점촌2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월 1일
문경군 점촌읍 + 호계면 별암리 일부 → 경상북도 점촌시 승격 분리
점촌읍 점촌리 일부 → 점촌동 신설
점촌읍 점촌리 일부·영신리 → 중앙동 신설
점촌읍 흥덕리·우지리·창리 → 신흥동 신설
점촌읍 신기리·호계면 별암리 일부 → 신기동 신설
점촌읍 유곡리·불정리 → 대성동 신설
점촌읍 모전리·공평리 → 모전동 신설
1989년 1월 1일
상주군 함창읍 윤직리 일부 → 중앙동 편입
1990년 9,251명
1995년 7,878명
1999년 1월 1일 중앙동 + 모전동 일부 → 중앙동 합동
2000년 7,158명
2004년 1월 1일 중앙동 → 점촌2동 개칭
2005년 7,779명
2010년 8,465명
2015년 8,065명
2020년 7,122명
2024년 4월 6,62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문경시 CI.svg 점촌3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월 1일
문경군 점촌읍 + 호계면 별암리 일부 → 경상북도 점촌시 승격 분리
점촌읍 점촌리 일부 → 점촌동 신설
점촌읍 점촌리 일부·영신리 → 중앙동 신설
점촌읍 흥덕리·우지리·창리 → 신흥동 신설
점촌읍 신기리·호계면 별암리 일부 → 신기동 신설
점촌읍 유곡리·불정리 → 대성동 신설
점촌읍 모전리·공평리 → 모전동 신설
1990년 10,231명
1995년 12,369명
2000년 12,225명
2004년 1월 1일 신흥동 → 점촌3동 개칭
2005년 9,565명
2010년 10,165명
2015년 10,027명
2020년 9,087명
2024년 4월 8,58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문경시 CI.svg 점촌4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월 1일
문경군 점촌읍 + 호계면 별암리 일부 → 경상북도 점촌시 승격 분리
점촌읍 점촌리 일부 → 점촌동 신설
점촌읍 점촌리 일부·영신리 → 중앙동 신설
점촌읍 흥덕리·우지리·창리 → 신흥동 신설
점촌읍 신기리·호계면 별암리 일부 → 신기동 신설
점촌읍 유곡리·불정리 → 대성동 신설
점촌읍 모전리·공평리 → 모전동 신설
1990년 5,686명[1990]
1995년 4,448명[1995]
1999년 1월 1일 신기동 + 대성동 + 모전동 일부[26] → 신평동 합동
2000년 5,089명
2004년 1월 1일 신평동 → 점촌4동 개칭
2005년 3,750명
2010년 3,780명
2015년 3,470명
2020년 3,162명
2024년 4월 2,96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천 명
파일:문경시 CI.svg 점촌5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월 1일
문경군 점촌읍 + 호계면 별암리 일부 → 경상북도 점촌시 승격 분리
점촌읍 점촌리 일부 → 점촌동 신설
점촌읍 점촌리 일부·영신리 → 중앙동 신설
점촌읍 흥덕리·우지리·창리 → 신흥동 신설
점촌읍 신기리·호계면 별암리 일부 → 신기동 신설
점촌읍 유곡리·불정리 → 대성동 신설
점촌읍 모전리·공평리 → 모전동 신설
1990년 13,732명
1995년 15,079명
1999년 1월 1일
모전동 일부 → 점촌동 편입
모전동 일부 → 중앙동 편입
모전동 일부[27] → 신평동 편입
2000년 18,106명
2004년 1월 1일 모전동 → 점촌5동 개칭
2005년 13,375명
2010년 14,866명
2015년 16,450명
2020년 16,404명
2024년 4월 15,86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경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산업

문경은 일제강점기 1926년부터 석탄을 캐던 곳으로 이때 만들어진 대성탄좌는 남한 최초의 석탄광산이다. 한때 국내 제2의 탄전지대였으며 1960~80년대에는 석탄산업이 활발한 곳이었다. 그러나 석탄이 사양산업이 된 이후 석탄을 캐던 광산들은 줄줄이 폐광되기 시작하고 한때 73개에 달했던 문경의 광산은 1994년 7월 최후의 광산인 은성광업소마저 폐광하면서 석탄산업은 완전히 막을 내렸다.

신기동에 쌍용양회 문경공장이 있었고 문경시 경제에 많은 기여를 했으나 2018년 6월에 폐업하였다. 이 부지는 영화 및 드라마 촬영소로 조성될 예정이다.

6.1. 금융

문경시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
국가기관
문경우체국 (13)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시중은행
국민은행 (1) iM뱅크 (2)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점촌농협 (9) 동문경농협 (3) 서문경농협 (3) 문경농협 (2)
대구경북능금농협 (1) 문경축산농협 (2) 영순농협 (1)
새마을금고
신문경새마을금고 (10) 문경제일새마을금고 (3)
산림조합
문경시산림조합 (1)

7. 관광 및 특산물

파일:external/www.chungjutour.co.kr/saejae_firebi.jpg

문경새재 도립공원 및 문경새재 도립공원 내에 있는 문경새재 드라마 세트장, 고모산성, 문경 종합온천, 문경 오미자 테마터널, 가은읍에 위치한 가은 오픈세트장 등의 관광지가 있다. 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문경새재 도립공원에 위치해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문경새재 드라마 세트장이다. 2016년 육룡이 나르샤에서부터 2022년 환혼: 빛과 그림자에 이르기까지 절찬리에 활용되고 있다. 문경 종합온천 역시 칼슘 중탄산 온천수와 알칼리성 온천수를 사용하여 수질이 상당히 좋기로 유명하므로 문경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이라면 한 번씩은 방문하는 것을 권장한다.

문경새재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과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사이에 있는 고개로, 백두대간(중 소백산맥)에 있는 1,017m 높이의 조령산을 넘는 것이 고비다. 새재 조령(鳥嶺)을 우리말로 읽은 것으로, 나는 도 넘기 힘든 고개란 의미이다. 지금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의 도계이기도 하다. 현재 경상북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 험준함은 예로부터 유명해서, 삼국시대 때는 신라 초기에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을 막는 국경선이었다. 문경새재 1관문을 지나 2관문 조금 못되는 곳에는 정조시대에 세워진것으로 추측되는 순한글 비석이 있다. 이름하여 산불됴심표석. 참고로 이 표석은 구개음화를 적용하여 '산불심'이라고 쓰고 '산불심'이라고 읽는 표석이다.

문경읍과 점촌 쪽에는 사격장과 집라인 등 레저시설이 잘 되어 있으니 잘 찾아보고 이용하자.

특산물로는 대한민국 지리적 표시제를 적용받는 오미자가 유명하다. 그래서 오미자 축제를 열지만 2011년의 경우 농민들이 원하는 가격과 농협의 가격이 맞지 않아서 축제기간에 오미자 출하를 꺼려 축제에서 오미자를 싸게 사려고 왔다가 돌아가는 경우도 발생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대구에서 유명했던 사과의 생산지가 문경까지 올라왔다. 매년 가을에 하는 사과 축제도 유명한 편이다.[30] 또한 도예가 유명한데, 특히 문경전통 발물레, 망댕이 가마를 바탕으로 한 문경 전통도자기가 유명하다고 한다. 이를 통한 찻사발 축제도 1999년부터 이어져 왔는데, 2017년에는 대한민국 4대 축제로 선정될 정도로 성대히 열린다.[31] 문경 약돌돼지, 문경 약돌한우 역시 지역 특산품 중 하나이다.[32]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TVN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인 바퀴 달린 집 8회분에서 아이유, 피오가 등장하여 문경 활공랜드, 문경 단산모노레일을 시승하면서 유명세를 타기도 했다. 단산모노레일은 왕복 3.6km로 대한민국 최장거리 산악 왕복 모노레일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2023년 8월 9일부로 장기간 운행 중단 상태이다. 문경관광진흥공단

8. 생활문화

8.1. 교육

파일:문경시 CI_White.svg 경상북도 문경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가은초등학교 가은초등학교희양분교장 농암초등학교 농암초등학교청화분교장 당포초등학교
동로초등학교 동성초등학교 모전초등학교 문경초등학교 산북초등학교
산북초등학교창구분교장 산양초등학교 신기초등학교 영순초등학교 용흥초등학교
점촌북초등학교 점촌중앙초등학교 점촌초등학교 호계초등학교 호서남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문경시 CI_White.svg 경상북도 문경시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가은중학교 동로중학교 마성중학교
문경서중학교 문경여자중학교 문경중학교
산북중학교 산양중학교 점촌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문경시 CI_White.svg 경상북도 문경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가은고등학교 경북조리과학고등학교 문경공업고등학교
문경여자고등학교 문창고등학교 점촌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대학교로는 전문대학인 문경대학교가 있다.

8.2. 의료기관

관내 유일한 종합병원으로 문경제일병원(720병상)이 있다. 이 병원은 지역 규모에 비해 상당히 큰 병원이긴 한데, 이 중 정신과 병상이 1/4에 해당하는 180병상일 정도로 정신과의 규모가 크다. 또한 진폐증 환자들을 위한 진폐전문요양병동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이는 상술했듯 문경에서 석탄산업이 활발했던 탓에 진폐증 환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 외에 문경시내 중심부에 병원급 의료기관인 문경중앙병원이 있다.

8.3. 스포츠

과거 성남시에 있던 국군체육부대를 유치하여 2013년 9월 26일에 이전되었다. 상무야구단도 문경으로 연고지를 옮겼다.

상무 축구단은 아랫동네인 상주시에서 홈 경기를 치렀지만 2021년에 김천시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2023년 충북 보은군과의 연고지 협약이 불발된 상무 여자 축구단을 유치했다.

2015년 3월 들어서 배우 안성기 세계군인체육대회 홍보대사로 삼고 홍보에 나서고 있지만, 군인대회라는 한계상 방송 지상파라도 탈 수 있을지 의문이다.[33] 참고로 대회는 10월 2일부터 11일까지 열렸는데 한국이 역대 최고성적 4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언론 보도도 그 어떤 것도 제대로 보도도 되지 않았고 고작 위에 서술한 캐러반 선수촌으로 예산을 아낀게 평창동계올림픽이라든지 차후 국제대회 개최지들이 참고하자는 투로 보도된 수준이었다. 10조 이상 수익이라는 홍보는 그야말로 헛소리가 되었다. 정작 대회 예산 지원도 제대로 되지 않아 시의 부담이 가중되었고, 최근 선수촌을 카라반으로 대체하여 8백억의 세금을 아꼈다. 카라반을 대회기간 동안 임대하는 방식이며 이후 카라반은 일반인에게 판매될 예정이다. 대회 이후 모두 판매할 예정이라고 한다. 대회 최종예산은 1,653억원이었다.

정구(테니스)가 유명한데 전국대회에 나가면 상을 거저 탄다고 한다. 학교별로 정구부가 있다.

스프링캠프(전지훈련)장으로 자주 쓰이는 것 같다. 이를테면 2023년 5월 8~12일에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이 문경시에서 전지 훈련 및 유소년 배구 교실을 진행했다. 박민범(1994) 코치가 전지 훈련의 총괄을 맡았고, 선수들은 점촌중학교에서 '페퍼저축은행 배구 선수단과 함께하는 배구 교실'을 열었다.

2023년 8월 초에 올라온 기사 ' 문경시, 전국 최고 수준 전문체육시설 자랑…굵직한 대회·전지 훈련지 인기몰이'는 문경시가 다양한 스포츠 및 전지훈련의 메카가 되었음을 알려준다.

2023년 8월 26일에 '2023 문경·BUNPATTYBUN 국제대학배구대회'가 열린다. 이 대회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영국, 호주, 일본 등 8개국 대학배구 선수들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을 가린다. 한국은 A조에서 일본, 중국, 태국을 상대한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경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경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여담

<colbgcolor=#F32836><colcolor=#fff>
파일:mungyeong1.jpg
▲ 바다 인접, 1~3중 내륙 시/군을 빨간색 점으로 표시한 지도
파일:mungyeong2.jpg
▲ 파란색 점이 문경시.
광역시/특별자치시/특별시 포함 3단계 인접 시/군까지 다른 색깔 점으로 표시한 지도

12. 사건 사고

13. 출신 인물

13.1. 실존 인물


그 외의 인물들은 이 기사를 참조.

13.2. 가공 인물


[1]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2] 2024년 11월 기준. [3] 문경시 가선거구 (문경읍, 가은읍, 마성면, 농암면): 김경환, 황재용
문경시 나선거구 (점촌2동, 점촌4동, 점촌5동): 서정식, 신성호, 진후진
문경시 다선거구 (영순면, 산양면, 산북면, 동로면): 고상범, 남기호
문경시 라선거구 (호계면, 점촌1동, 점촌3동): 박춘남, 이정걸
문경시 비례대표: 김영숙
[4] 문경시 제1선거구 (문경읍, 가은읍, 마성면, 농암면, 점촌2동, 점촌4동, 점촌5동): 박영서 (3선)
문경시 제2선거구 (영순면, 산양면, 호계면, 산북면, 동로면, 점촌1동, 점촌3동): 김창기 (초선)
[5] 모전 터미널 근처가 함창읍이며, 문경시 점촌과 상주시 함창읍은 아예 붙어 있다. [6] 차로는 괴산군 연풍면을 경유해야 하며 도보로는 미륵세계사 옆 산길로 올 수 있다. [7] 충주, 제천에서는 바로 갈 수 없다. [8] 이웃한 상주시와 더불어 충북의 4개 지차체와 맞닿아 있는데, 문경시와 접한 상주시의 화북면 일대가 툭 튀어 나온 형태이기 때문에 보은군과도 매우 가까우며, 이 일대를 문경시 혹은 보은군이 가져갔다면 문경시는 무려 충북의 5개 지차체를 맞대고 있는 셈이다. [9] 현 경상북도 상주시. [10] 현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11] 고대 신라어로 '고시갈이(곳갈이)'라 불렸는데, 오늘날 말로 고깔을 뜻한다. 한자 '관'은 고깔을 훈차한 것. [12] 현 경상북도 예천군. [13] 그렇게 따지면 내내 고려를 지지했던 옛 마한 침미다례의 영역 중에서 신라 지방군 중 현웅정(=미다부리정)의 소재지였던 현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일대만은 기이하게도 견훤을 내내 지지했기에 유독 그 지역만은 일관되게 후백제 판도였지만. 견훤의 출생지는 이렇게 견훤에게 부정적이었으나, 견훤이 신라군 군관으로서 젊은 시절 커리어를 이어갔던 지역들은 견훤에 대한 지지도가 기이할 정도로 높았음을 알 수 있다. [14] 문경 시민 대부분과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현지 주민들은(특히 농촌 지역 주민들) 아직도 시내를 '점촌'이라 부르고, '문경'이라고만 하면 문경읍 일대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고속버스도 "서울 - 점촌"으로 표기하지 "서울 - 문경"으로 표기하지 않는다. [15] 종종 괄호를 쳐 '(점촌)'을 병기하는 지도도 있다. [16] 서부의 광양읍과 동부의 동광양시가 분리됨 [17] 사천시는 도농통합 전후로 사천읍(옛 사천군의 중심지)과 삼천포시가 하도 싸우다 보니 아예 사천읍과 삼천포의 중간 지점인 사천시 용현면에 사천시청을 세워 버렸다. [18] 파주읍(당시 주내면)이 구한말까지 파주의 중심지였으나, 문산읍(당시 임진면)을 거쳐 금촌읍(당시 아동면)으로 중심지를 이전한 이후 시로 승격이 되었는데 시청이 있는 금촌동과 파주읍이 같이 존재하여 혼란을 주고 있다(당장 파주역은 파주읍에 있으며, 파주시청이 있는 금촌동에는 금촌역이 있다). [19] 함안군청 소재지가 함안면에서 가야면으로 옮겨갔고 1970년대 가야읍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함안면이 쩌리가 되었다가 함안역이 다시 함안면으로 이설되었다. [1990문경시] 점촌시 47,802명 + 문경군 71,614명 [갈평출장소] 1,075명 [북부출장소] 844명 [舊] 舊 점촌읍사무소 소재지가 점촌동이었음 [1990] 신기동 3,297명 + 대성동 2,389명 [1995] 신기동 2,597명 + 대성동 1,851명 [26] 법정동 공평동이 이때 점촌4동(舊신평동) 관할이 됨. [27] 이때 모전동 관할이던 법정동 공평동이 점촌4동(舊신평동) 관할이 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30] 문경새재 1관문 주차장 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사과 노점들이 많이 보이는데 사과뿐만 아니라 사과로 만든 증류주를 같이 팔기도 한다. 덧붙여 '애플버드' 라는 업체에서 만드는 사과파이, 문경새재 옛날찹쌀떡도 꽤 괜찮으니 기회가 되면 사서 맛보는 것도 좋다. [31] 문경새재 오픈 세트장을 통째로 써서 9일~10일 가까이 열린다. [32] 다만 한우, 돼지고기 등은 이미 경북 다른 지역에서도 특산물인 경우가 많으므로 사과, 오미자와 달리 크게 부각되지 않는 편이다. [33] KBS에서 중계하긴 했으나 지상파에서는 중계가 없었다. [34] 오류가 있는데, 여주시 부분은 주황색, 광주시( 경기도) 부분은 초록색이 되어야 맞는데, 반대로 되었다는 거다. 어차피 4군데 이상을 거쳐야 하는 것은 사실이다. [35] 본래 출생지는 전라북도 전주시이고 문경은 아버지 이상수의 고향이지만 과거에는 부계의 근거지를 고향으로 보기도 했으므로 문경이 고향이라는 기사가 나기도 했다. # [36] 지역구는 문경시·예천군이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