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23:35:06

수도권 전철 분당선

수도권 분당선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구간을 포함하는 직결 운행에 대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노선의 일부인 왕십리 ~ 수원 구간 간선철도에 대한 내용은 분당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선 인천 ~ 수원
(51.6km, 48.27%)
분당선 수원 ~ 왕십리
(52.9km, 49.49%)
경원선 왕십리 ~ 청량리
(2.4km, 2.25%)
역 목록 | 운행 계통( 수도권 전철 수인선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역사 | 연장( 오산지선) | 문제점 | 사건 사고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px><tablebordercolor=#fff,#111> 수도권 전철 분당선
首都圈 電鐵 盆唐線
Seoul Metropolitan Subway Bundang Line
}}} ||
<nopad> 파일:신_351F45.jpg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 일반철도, 광역철도[1]
기점 청량리역[2], 왕십리역
종점 수원역
역 수 37개
구성 노선 경원선
분당선
개통일 1994년 9월 1일([age(1994-09-01)]주년)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운영사 한국철도공사
사용차량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분당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55.3㎞
궤간 1,435㎜
선로구성 복선
사용전류 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3]
신호방식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왕십리역~수원역)
ATS-S2(청량리역~왕십리역)
최고속도 100㎞/h[4]
표정속도 완행: 37.0㎞/h
급행: 41.3㎞/h
지상구간 청량리 왕십리
죽전
통행방향 좌측통행
개통 연혁 1994. 09. 01. 수서 오리
1996. 11. 23. 복정
2003. 09. 03. 선릉 수서
2004. 01. 16. 이매
2004. 09. 24. 구룡
2004. 11. 26. 오리 보정(임시)
2007. 12. 24. 죽전
2011. 12. 28. 보정 기흥[5]
2012. 10. 06. 왕십리 선릉
2012. 12. 01. 기흥 망포
2013. 11. 30. 망포 수원
2018. 12. 31. 왕십리 청량리[6]
1. 개요2. 역사3. 연장 논의4. 대대적인 리모델링 보수공사( 2020년 ~ 2022년)5. 역 목록6. 역별 승하차 통계7. 문제점8. 기타
8.1. 3호선과의 관계
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역에서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역까지 운행되는 한국철도공사 수도권 전철 노선이었다. 좌측통행 방식으로 운영하며 이 노선에 운용되는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이다. 2020년 9월 12일부터 수원역에서 수도권 전철 수인선과 직결되어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까지 운행된다. 직결 노선명은 수인·분당선이며 그 후로 노선도 등 공식 안내 표시에서 수도권 전철 분당선의 표현은 모두 수인·분당선으로 대체되었다.

노선색은 직결 운행된 수인선과 같은 노란색이다[7]. 다만 분당선 차량 도색은 2000년대의 노선색과 같이 샛노란 색을 유지하고 있다.이는 한국철도공사의 공식 분당선 고유색이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연장 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연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대대적인 리모델링 보수공사( 2020년 ~ 2022년)

국토교통부에서는 2020년부터 수도권 전철 분당선(수서~오리) 구간에 대한 전면적인 리모델링 및 구조 보강공사를 시행한다. 기존의 분당선 열차 배차간격으로는 보강공사를 할만한 시간이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다. 때문에 국토교통부에서는 2020년 6월 1일부터 분당선 첫차 시간을 늦추고 막차 시간을 당기며, 주간 배차 간격도 8분으로 늘리는 등 분당선 열차 운행을 축소하기로 했다.[9] 분당선 리모델링 공사는 2022년 완료를 목표로 한다. 국토교통부 국가철도공단을 통해 분당선 선로, 시설, 터널 누수 방지 등 전면적인 개량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길면 2023년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

모란역은 에스컬레이터 설치 및 승강장 리모델링 공사가 완료되었고, 노후철도역사 개량을 위해 수서역, 복정역, 태평역, 야탑역, 서현역, 수내역, 미금역, 오리역 등 8개 역사의 시설개선 설계공모가 이루어지고 있다.

5. 역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역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역별 승하차 통계

2021년 기준 분당선의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환승역 승하차량은 다른 노선의 승하차량을 제외한 수치이다.
수도권 전철 분당선
노선 총합
역수 구간 역당 일평균 이용객 일평균 승하차량 2021년 승하차량 최다 이용역 최저 이용역
37개[B] 청량리 ↔ 수원 18,031명 613,039명 223,759,313명 야탑 구룡
일일 이용객 수
역수 구간 5만명 이상 2만명~5만명 1만명~2만명 5천명~1만명 5천명 이하
37개[B] 청량리-수원 없음 15개역[12] 10개역[13] 8개역[14] 3개역[15]
수도권 전철 분당선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1년 승하차량
1위 야탑 42,619명 15,555,825명
2위 서현 40,811명 14,895,902명
3위 선릉 37,668명 13,748,934명
4위 모란 35,063명 12,797,887명
5위 압구정로데오 33,145명 12,097,940명
6위 수원[수] 26,404명 9,637,370명
7위 미금 25,567명 9,331,828명
8위 한티 24,155명 8,816,436명
9위 수서 23,967명 8,748,001명
10위 죽전 23,288명 8,499,967명
11위 태평 22,575명 8,240,037명
12위 망포 22,202명 8,103,657명
13위 수원시청 21,746명 7,937,232명
14위 수내 21,183명 7,731,770명
15위 정자 20,074명 7,327,013명
16위 강남구청 19,237명 7,021,674명
17위 오리 17,670명 6,449,414명
18위 서울숲 17,628명 6,434,074명
19위 기흥 16,000명 5,839,854명
20위 영통 13,822명 5,044,964명
21위 가천대 13,464명 4,914,464명
22위 선정릉 13,311명 4,858,664명
23위 도곡 10,930명 3,989,616명
24위 상갈 8,831명 3,223,227명
25위 구성 8,192명 2,990,053명
26위 매탄권선 7,916명 2,889,504명
27위 이매 7,659명 2,795,455명
28위 신갈 7,248명 2,645,475명
29위 청명 6,702명 2,446,192명
30위 개포동 6,234명 2,275,232명
31위 대모산입구 5,986명 2,184,965명
32위 매교 4,835명 1,764,942명
33위 보정 3,777명 1,378,568명
34위 구룡 3,132명 1,143,128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7. 문제점

7.1. 소음 문제

NATM 방식 터널 + 콘크리트 도상의 설계 결함으로 인해 지하 드리프트 구간 주행시 5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함께 소음이 전국에서 가장 심각하기로 유명하다. 좌측통행 + 교류 25000V 60Hz라는 점, 도시철도가 아닌 코레일 광역철도라는 점을 빼면 저 둘과 매우 흡사한 수준. 자갈 도상을 사용했던 1기 지하철과 달리 2기 지하철과 과천선, 일산선, 수인·분당선은 콘크리트 도상으로 건설되었는데, 콘크리트의 치명적인 단점이 바로 소음 흡수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세 노선 모두 선형으로 인해 곡선이 많다는 점도 한 몫한다. 특히 수인·분당선은 콘크리트 도상 + 급커브 구간이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노선 중에 가장 많은데다 그 중에서도 죽전역 고색역 구간과 서울시 구간 일부( 수서역 복정역 구간 포함)를 놓고봤을 땐 어쩌면 5호선이나 부산 2호선보다 훨씬 시끄럽게 느껴질 수준이다.[17] 실제로 분당선 소음구간 주행시, 코레일 특유의 TTS 안내방송이 잘 안들리며 귀 막고 타는 승객도 종종 볼 수 있다.

7.2. 강남 구간 역 설치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분당선/강남 구간 역 설치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기타

8.1. 3호선과의 관계

분당선이 처음 개통된 때는 많은 사람들이 분당선이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연장선이라고 착각했다. 3호선에는 앞서 개통되어 직통운행하는 일산선이 있는데, 2000년의 노선명 통폐합 전에는 이 일산선은 노선도에서도 3호선과는 별개의 노선으로 간주되었다. 승객들은 직통운전하는 일산선이 3호선의 종점에서 이어지는 것을 보고, "분당선도 (노선도만 보면) 3호선의 종점에서 출발하니 직통운전할 것이다" 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런 착오가 벌어진 것이다. 게다가 그때의 분당선은 현재와는 다르게 노란색이 아닌 주황색의 노선색을 사용했기 때문에 더더욱 착각하기 쉬웠다. 다만 2003년 분당선의 선릉역 연장으로 분당선이 직접 서울 한복판에 오기 전까지는 실질적인 3호선의 동남부 연계를 보조하는 노선으로서 기능했다.

물론 실제로는 직통운전은 없도록 설계되었고, 한 번도 3호선이랑 직통운전을 한 적이 없다. 전력 체계도 다르고, 통행방식도 반대이다. 수서차량사업소 서쪽으로 분당선과의 연결선로가 들어왔지만, 이건 영업 운전용이 아닌 반입용 임시 선로였던 데다 SRT가 생기면서 철거되어 이제는 없다. 지도를 스카이뷰 모드로 자세히 보면 수서차량사업소 서쪽에서 바깥으로 나간 선로가 끊어져 있는데, 2015년까지만 해도 분당선 수서역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제 신분당선이나 분당선에 열차를 반입할때는 왕십리역 연결선로를 이용한다.

한때 3호선 행선지에 오리 방면이라고 쓰는 경우가 간혹 있었다. 2003년 분당선이 선릉역까지 연장되고 3호선도 오금역까지 연장되면서 이러한 혼란이 많이 해소되었으나, 3호선에서의 '오리' 표기는 오금연장 전인 비교적 최근까지도 계속되었다가, 오금 연장에 맞춰 수정했다.

잘 알려지지는 않은 사실이지만 3호선과 분당선간의 상호 직결운행이 검토된 적은 있었다. 첫 구성 당시에는 수서역까지만 운행하던 3호선을 지금의 오리역까지 연장하려고 했지만, 3호선이 과포화 상태로 진입할거 같아 무산되었다. 그 후 분당선 왕십리역 연장 공사 계획 중에 강남구청역~3호선 압구정역간 직결선로를 설치하여 오리역에서 종로3가, 대화 방면으로 직결시키려는 계획도 있었다. 실제로 예비타당성조사까지 실행되었고, B/C도 1.0 이상으로 분석되었지만[24] 사업 실행으로 인한 여러 부작용(3호선 압구정~수서 구간의 운행간격 증가 및 직결선 공사로 인한 지상 건물들의 철거 등)이 예상되어 잠정 보류되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이 사업이 실제로 추진되었다면 또 하나의 꽈배기굴 절연구간이 등장하는 것이었는데, 일산선의 꽈배기굴 건설을 막았던 감사원이 이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는 것이다.

파일:attachment/bundang_ori.jpg
3호선 오리역의 유적이다. 사진 속의 역은 고속터미널역이다.

허나 그 후 고속터미널역에서 다시 찍힌 사진을 보면 오리역 표기는 의도적인 것으로 보인다.[25] 수서 위에 오금을 덧붙였다. 그 후 이 표지판은 철거되었다.

9. 관련 문서



[1] 오리역~수원역 구간, 왕십리역~선릉역 구간 [2] 2018년 12월 31일자로 기점으로 지정되었으나 왕십리-청량리 구간의 선로용량 부족으로 평일 9회, 주말은 5회만 운행되고 있기에 여전히 실질적 기점은 왕십리역이 담당하고 있다. 다만,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의해 왕십리역~청량리역 간 선로 연장이 포함되면서 증편될 것으로 보인다. [3] 지상: 카테너리 가선, 지하: R-bar식 가공강체가선 [4] ATC 속도코드 100㎞/h 적용 구간: 압구정로데오역~ 서울숲역( 한강 도강), 상갈역~ 청명역(최장 역간거리), 망포역~ 매탄권선역(증속) [5] 보정임시역 폐지 및 지하 이설 [6] 기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선로 이용 [7] 자세히는 진노랑 개나리색 [8] 왕십리 ~ 청량리 구간은 분당선이 아닌, 경원선으로 취급한다. [9] 「분당선, 6월부터 운행시간 조정…"낡고 위험한 철도 집중개량 할 것"」, 뉴스1, 2020-03-31 [B] 모든 이용객이 경의·중앙선으로 집계되는 청량리, 왕십리역 및 모든 이용객이 8호선으로 집계되는 복정역은 수치에서 제외되었다. [B] [12] 압구정로데오, 선릉, 한티, 수서, 태평, 모란, 야탑, 서현, 수내, 미금, 죽전, 망포, 수원, 수원시청, 정자 [13] 서울숲, 강남구청, 선정릉, 도곡, 가천대, 오리, 기흥, 영통 [14] 개포동, 대모산입구, 이매, 구성, 신갈, 상갈, 청명, 매탄권선 [15] 구룡, 보정, 매교 [수] 수인선 출입구 게이트를 분당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수인선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17] 5호선이나 부산2호선은 그래도 방음 기술이 부족한 유럽제 구형 GTO 인버터 차량이라 어느 정도 용서가 될만한 여지가 있지만 수인분당선은 대다수의 차량이 2010년대 이후 도입된 비교적 최신형 도시바 IGBT, 미쓰비시 기반 현대로템 IPM 인버터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위의 두 노선과 맞먹는 어마어마한 소음이 나기에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8] 「[그래픽텔링] 오늘부터 '지옥철' 구간 쌩~출근길 혼잡역 총정리」, 중앙일보, 2020-05-13 [19] 관련 영상, 출처: 유튜브 [20] 대모산입구역 개정 역명판,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21] 「“GTX 수원 연장” 30분내 서울 출퇴근…순환철도망 추진」, KBS, 2017-03-07 [22] 레츠코레일 > 종합이용안내 > 승차권 이용안내 > 열차운임 및 시간표 [23] 관련 영상, 출처: 유튜브 [24]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페이지 삭제됨) [25]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