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9 18:29:26

부산광역시 시내버스/개편/2019년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개편의 현황 항목을 최초 개편 이후 6개월 경과시점부터 객관적인 데이터로 평가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개편의 현황 항목을 최초 개편 이후 6개월 경과시점부터 객관적인 데이터로 평가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부산광역시 준공영제 실시 이후 시내버스 노선개편
2007년도 2008년도 2009년도 2010년도 2011년도
2012년도♨ 2013년도 2014년도 2015년도♨ 2016년도
2017년도 2018년도 2019년도 2020년도 2021년도
2022년도 2023년도♨ 2024년도
표시가 있는 연도는 상당히 논란이 된 노선 개편이 일어난 해이다.


1. 개요2. 개편내역
2.1. 2019년 1월 26일2.2. 2019년 2월 2일2.3. 2019년 5월 31일2.4. 2019년 7월 13일2.5. 2019년 7월 20일2.6. 2019년 12월 30일
3. 노선개편 이후의 현황
3.1. 성공사례3.2. 실패사례3.3. 애매한 사례3.4. 실패복구(극복) 사례

1. 개요

2019년에 시행될 부산 시내버스 노선 개편을 열거하는 문서이다.

삼성여객과 국제여객의 임대차고지 계약이 종료되어 새로운 차고지 및 기존 차고지를 활용해야 하는 문제로 노선 연장과 노선 분리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 외에는 일부 교통불편 지역에 버스노선을 추가하는 수준의 약소한 노선조정이 대부분이었다.

2. 개편내역

2.1. 2019년 1월 26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10 연제공용차고지~ 사직~ 교대역~하마정~ 부전~ 서면~문현안동네~ 경성대 부경대~동명오거리 연제공용차고지~ 사직~교대역~하마정~ 부전~ 서면~문현안동네~ 경성대 부경대~동명오거리 차고지 출발 개선(월드컵대로 불법주정차로 인한 부산시립시민도서관앞 U턴(방향전환) 구간 운행 애로 해소)
38 청강리공영차고지~해운대문화회관~ 해운대역~요트경기장~ 광안역~남부경찰서~수정산복도로~민주공원 청강리공영차고지~ 동해선 신해운대역~해운대문화회관~(기존노선) 동해선 신해운대역 이용객 편의증진, 해수욕장(해운대, 송정, 광안리) 접근성 강화, 해운대구청 요청
70 고신대학교~ 부산남고~흰여울문화마을~영선윗로터리~ 부산대교~서구청~ 구덕운동장~헤광고교~민주공원입구 고신대학교~ 부산남고~흰여울문화마을~영선윗로터리~ 부산대교~서구청~ 구덕운동장~혜광고교~민주공원 민주공원 대중교통 이용편의 도모 및 민주공원입구 삼거리 버스 회차지점 안전문제 해결
88-1A 동삼그린힐~영도구청~한진중공업~교통순찰대~ 부산대교~ 부산역 (폐선) 88-1A(교통순찰대), 88-1B(홈플러스)의 윤번 운행으로 인한 이용객 혼란에 따른 지속적 민원 제기로 88-1B로 흡수 통합
88-1B 동삼그린힐~영도구청~한진중공업~홈플러스~ 부산대교~ 부산역 (현행유지)
111-1 (노선분리) 연제공용차고지~ 종합운동장역~미남교차로~내성교차로~온천장~ 부산대학교~ 산성터널~화명동~금곡동 산성터널 경유 300번 이용객 상습 만차 불편 해소, 북구권~금정권~동래권 대중교통 이동편의 증진과 생활권 확대 도모, 북구청 요청, 국제여객 금곡영업소 임차계약 종료(2018.12.31.)에 따라 연제공용차고지로 이전
210 연제공용차고지~ 사직~미남교차로~ 롯데백화점 동래점~안락교차로~부산소방본부~수영교차로~수변공원 연제공용차고지~ 사직~미남교차로~ 롯데백화점 동래점~안락교차로~부산소방본부~수영교차로~수변공원 차고지 출발 개선(월드컵대로 불법주정차로 인한 부산시립시민도서관앞 U턴(방향전환) 구간 운행 애로 해소)
1009 금곡동~ 덕천~ 강서구청~ 김해국제공항~서부산유통단지~ 명지국제신도시~ 명지오션시티~ 부산신항~가덕도선창 (기존노선)~ 명지오션시티~신호주거단지~(기존노선) 신호주거단지 입주민 증가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편의 증진, 강서구청 요청

2.2. 2019년 2월 2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110 학장동~새벽시장~서부시외버스터미널~구포역~신만덕~미남교차로~온천장 학장동~새벽시장~서부시외버스터미널~구포역~신만덕~미남교차로~온천장~부산대학교~장전역 사상구, 북구 일원과 동래구, 금정구 부산대, 장전역 간 생활권역 연계망 확충으로 대중교통 이용편의 증진
110-1 가야벽산아파트~동의대입구~서면~부산시청~연산교차로~안락교차로~동래구청~온천장~금강원입구 가야벽산아파트~동의대입구~서면~부산시청~연산교차로~안락교차~동래구청~온천장~부산대학교 연제구, 동래구 안락동 일원과 동래시장, 금정구 부산대 간 생활권역 연계망 확충으로 대중교통 이용편의 증진
125 김해불암동~주중마을~시례마을~대동초등학교~안막~강서고입구~강서구청역~북구청
(※ 강서구청 상행 편측 운행)
김해불암동~주중마을~시례마을~대동초등학교~안막~강서고입구~강서구청역~북구청
(※ 강서구청 양방향 운행)
김해~부산 간 버스 환승편의 증진, 도시철도역 이용자 및 대저 대동지역 불편민원 제기
161 신평~동원로얄듀크아파트~구평고개~고신대학교병원~충무동교차로~구덕터널~서부시외버스터미널
(※ 동원로얄듀크아파트 상행 편측 운행)
신평~동원로얄듀크아파트~구평고개~고신대학교병원~충무동교차로~구덕터널~서부시외버스터미널
(※ 동원로얄듀크아파트 양방향 운행)
편측 운행에 따른 입주민 이용혼란 방지 및 불편해소를 위해 양방향 운행 조정, 사하구청 요청, 다수인 민원제기

2.3. 2019년 5월 31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5-1 반여1동~원동IC교차로~반여시장~동부지청~벡스코~수영교차로~부산지방병무청~연제구청~송상현광장~서면~부산진시장~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남포동~충무동 회동동~반여농산물도매시장~반여1동~원동IC교차로~반여시장~동부지청~벡스코~수영교차로~부산지방병무청~연제구청~송상현광장~서면~부산진시장~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남포동~충무동 삼성여객 반여영업소 임차계약 종료(2018.12.31.)에 따라 회동영업소로 이전
43 반여1동~반여농산물도매시장~원동IC교차로~동래시장~동래도시철도역~법원.검찰청~하마정~송상현광장~서면~부산진시장~부산역~ 메리놀병원~중앙공원.민주공원 회동동~반여농산물도매시장~반여1동~원동IC교차로~동래시장~동래도시철도역~법원.검찰청~하마정~송상현광장~서면~부산진시장~부산역~ 메리놀병원~중앙공원.민주공원

2.4. 2019년 7월 13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41 민락동~민락수변공원(하행 편측 운행)~대남교차로~대연고개~부산진시장~부산역~충무동교차로 민락동~민락수변공원(양방향 운행)~대남교차로~대연고개~부산진시장~부산역~충무동교차로
139 청강리~교리~대변~용궁사~동해선 송정역~동해선 해운대역~해운대해수욕장~올림픽교차로환승센터 청강리~무곡마을~교리~대변~용궁사~동해선 송정역~동해선 해운대역~해운대해수욕장~올림픽교차로환승센터
187 반송~고촌~기장체육관~동해선 일광역~좌천초등학교~장안산단~명례산단~도야마을 반송~고촌~기장체육관~동해선 일광역~좌천초등학교~장안산단~명례산단~도야마을~대룡마을
520 용원~동선마을~가덕천성동~대항마을~경제자유구역청~삼성자동차~명지신도시~하단교차로~신평시장 용원~동선마을~가덕천성동~대항마을~외양포~경제자유구역청~삼성자동차~명지신도시~하단교차로~신평시장
(※ 외양포 토,일,공휴일 운행)
1006 태종대~영선2동주민센터~한진중공업~부산항대교~부산문화회관~광안대교~올림픽교차로환승센터 태종대~영선2동주민센터~한진중공업~부산항대교~부산문화회관~광안대교~올림픽교차로환승센터~센텀시티역.벡스코(하행 편측 운행)~해운대도시철도역

2.5. 2019년 7월 20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105 사직동~연산교차로~안락교차로~반여농산물시장~곰내터널~정관박물관 사직동~연산교차로~안락교차로~반여농산물시장~곰내터널~달산초등학교~정관두산위브더테라스아파트~서희스타힐스아파트~정관박물관
(※ 정관 동쪽지역 운행)
110-1 가야2동~동의대~부암~서면~연산교차로~안락교차로~동래구청~명륜동~온천장~부산대 가야2동~동의대~부암~서면~연산교차로~동래구청~명륜동~온천장~금강원입구(하행편측운행)~부산대
1008 동남권원자력의학원~좌천삼거리~달산마을~기장소방서~정원초등학교~동원로알듀크2차아파트~철마면사무소~장전역~동래역 동남권원자력의학원~좌천삼거리~달산마을~기장소방서~모전초등학교~정원초등학교~동원로알듀크2차아파트~철마면사무소~장전역~동래역

2.6. 2019년 12월 30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24 백운포~용호동~경성대~남구청~대연고개~문현교차로~서면 백운포~용호동~경성대~남구청~대연고개~문현교차로~서면
(※ 부전역 회차)[1]
버스중앙차로내 회차지 확보
506 반여4동(대우아파트)~안락2동~안락교차로~낙민역~동래교차로~내성교차로~부산교대 반여4동(대우아파트)~안락2동~안락교차로~낙민역~동래교차로~내성교차로~부산교대
(※ 동해선 교대역 회차)

3. 노선개편 이후의 현황

이 항목은 특정년도에 시행된 노선조정에 대해서 서술한 내용이므로 2020년의 상황과는 완전히 다를 수 있으므로 오해가 없기를 바란다.

3.1. 성공사례

파란색 으로 표시된 노선들은 누가봐도 큰 성공을 거둔 사례다.

3.2. 실패사례

누가봐도 실패한 사례들을 다룬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노선들은 해당개편으로 인해 수요가 급감했거나 크게 논란이 일고 있는 경우다.

3.3. 애매한 사례

성공/실패를 판가름하려면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한 노선변경사례를 다룬다. 의도는 좋았으나 수요가 저조하다거나 수요는 많지만 노선형태에 문제가 있어보이는 사례도 여기에서 다룬다. 보라색 글씨의 노선은 일각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다른 이유로 인해서 안타까운 노선들을 다룬다.

3.4. 실패복구(극복) 사례

녹색으로 표시된 노선들은 노선 복구/수습으로 큰 성공을 거둔 사례다.


[1] 전포초등학교 편도 경유 [2] 도로 폭만 놓고 보면 대형버스도 충분히 좌회전하여 공원으로 올라갈 수 있다. 그럼에도 굳이 입구에서 유턴하여 되돌아가는 방식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우려되었다. 이는 과거 22번의 수정삼거리 유턴방식도 마찬가지였다. 이 노선 외에 2007년 5월 15일 이전의 부산 버스 86, 현재는 폐선되고 없는 부산 버스 135가 있었다. 이 노선들도 마찬가지 모두 공원입구에서 위험하게 회차했었다. [3] 입구에서 회차하던 시절에는 유턴하여 돌아가서 맞은편 정류장에 정차하였다. 따라서 유턴하는 과정에서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다. 190번의 경우 38번과 43번, 508번이 정차하는 공원입구 정류장에 정차하여 다시 걸어내려와야 한다. [4] 대형버스가 왕복 2차선인 도로에서 한 쪽 차선을 막아놓고 정차해놓았다고 생각해보면 반대편 차선을 통해 추월해서 갈 수밖에 없었다. 비슷한 문제로 인하여 40번의 회차 지점도 대신중학교와 구덕운동장을 한 바퀴 빙 돌아 순환하는 회차방식으로 변경되었다. [5] 이들의 배차간격은 모두 20분을 넘어간다 [6] 배차간격 약 10~12분 [7] 이 노선은 덕천교차로에서 바로 금곡동/화명동 방면으로 들어가기때문에 구포시장, 구포역을 가지 못한다. [8] 온천장(06-007) 정류장은 정류장 이름만 온천장이지, 사실상 금강원입구 정류장과 불과 몇 거리 안 떨어진 지점에 위치해있고 접근성도 떨어지는지라 제 구실을 못하고 있다. [9] 148-1번의 온천장(06-010) 정류장도 금정구청 회차 시절과 온천장 단축 시절에는 학장동 방면 경유였으나, 2016년 4월에 조정된 부산대 재연장 이후에는 마찬가지로 부산대 방면으로 바뀌었다. [10] 장전역 방면은 온천프라자(전자공고)→구.온천시장→온천장(온천예식장, 06-024)→CGV동래→식물원입구→금정초등학교 순으로, 학장동 방면은 금정초등학교→식물원입구→SK허브스카이(CGV동래)→온천장(06-010)→금강원입구→온천프라자→원예고교 순으로 운행하는 방법이다. [11] 참고로 온천장에서 타고 돌아와도 기사님들이 아무 말씀 안하시고, 2023년 현재는 연장된지 4년이나 지났기 때문에 헷갈릴 가능성도 없다. [12] 차라리 노선이 단축되어 배차간격이 짧아진 63번을 넣었으면 넣었지 굳이 이 노선을 투입시킬 이유가 없었다. [13] 서면교차로에서 바로 NC백화점으로 진입했을 시절에는 우회전 위주였기때문에 소요시간이 덜했는데, 전포초등학교까지 돌아가게 되면서 신호대기가 추가되어 소요시간이 늘었다. [14] 애초에 83-1번은 배차간격도 20분으로 긴데다, 인가대수도 매우 적기 때문에 감차가 불가능하다. [15] 출퇴근전용 노선인 555번을 제외하고 이 지역을 지나는 다른 노선들은 죄다 하단을 경유한다. [16] 자가용으로 이동할 경우 강변대로 ~ 제2만덕터널 / 산성터널을 이용하여 동래, 부산대로 가는 게 빠른데, 1009번을 이용해서 녹산, 명지에서 동래로 갈 경우 자가용으로 이동하는 선형과 비슷해서 그렇다. [17] 이미 김해국제공항 서부산유통지구역을 거쳐가는 특성상 555번처럼 바로 이어주지 못하고 굴곡 구간으로 인하여 10분 정도 시간이 소요된다. [18] 화명, 금곡의 경우 기종점이라 아무리 늦어도 버스가 22:30 이전으로는 끊겨버리며 그마저도 심야 노선이 있는 15번은 동래나 금정구 방면으로 가지 않는다. [19] 현.111번과 같이 금곡동~진시장 간을 운행했던 노선으로 금곡동 공창마을을 경유했던 약간의 차이점만 있었다. 때문에 금곡동/화명동 지역에서 오랫동안 거주한 주민들로서는 혼선을 빚을 여지가 충분했다. [20] 2014년에 301번에서 분리하여 신설된 웅상 서창~정관 간 노선 번호를 302번으로 부여한 사례가 있다. [21] 여고로를 운행 중인 노선은 10번, 189번 부산진17번 정도가 있다. 10번과 189번은 교대역으로 빠지며 부산진17번은 동래로 연결은 되나 법원북로 연선지역으로 돌아가는데다 배차간격도 애매하다. [22] 결국 300번은 2021년 개편 문서에서 실패사례에 등재되고 말았다. [23] 111-1번의 운행대수는 15대라서 운행거리 대비, 절대 부족한 수준이 아니다. 그럼에도 증차 요구가 꾸준히 나오는 수준이면 성공적으로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24] 반쪽짜리이긴 하지만 1002번을 통해 동래와 남구 지역을 빠르게 잇게 된 건 덤이다. 영도 지역은 한진중공업이 아니면 남포동으로 가서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게 나으며, 동래에서 한진중공업 방향으로 갈 때만 1002번 - 1006번 조합을 통해 다소 이점이 있다. [25] 우선적으로 정류장 선정이 매우 잘못되었다. 그나마 환승에 용이하다고 볼 수 있는 용당동 한신문화타운아파트 정류장이나 유엔공원.문화회관 정류장, 도로교통공단 정류장에 정차를 했더라면 그나마 해당 구간에서 환승수요를 얻을 수 있지만, 죄다 미정차하고 138번과 138-1번 밖에 정차하지 않는 시립박물관.문화회관 정류장을 정차하고 있어 수요가 크게 반감되고 있으며, 유엔조각공원 정류장의 경우에는 워낙에 수요가 없는 곳이다. [26] 다만 이 부분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절영로 태종로 연선 사이의 주민 갈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태종로 연선 주민들은 청학동 일대를 통과한 후 부산항대교로 바로 진입하는 노선을 원하고 있고 절영로 연선은 1011번 환승연계로 대체하는 반면, 절영로 연선 주민들은 1006번 외에는 절영로 일대에 장거리 노선이 없어 현행 유지를 원하기 때문이다. 이는 남부여객이 영도 ~ 송도 노선 위주로 운행하고 장거리 노선과 좌석버스 운행은 거부하는 태도를 보였기에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실제로 절영로 연선에서의 1006번 수요가 꽤 늘었다. [27] 2019년 전체로 보면 평균 900명대 초반으로 나왔다. 개편 이후 1,000명을 돌파해야 그렇게 나올 수 있다는 이야기. 환승 수요가 많은 1011번과는 달리 초승 수요가 많은 노선이라 운송수입금이 꽤 올랐을 것은 분명하다. [28] 무엇보다 시외버스가 장산역에 정차하기 때문에 장산역까지 연장운행을 한다면 여러가지 이점이 생긴다. 게다가 1003번이 운행하고 있으며 과거 139번, 140번이 있어서 남포동으로 가는 버스가 있는 남좌동과는 달리 원래부터 빈약했던 북좌동에서 남포동으로 가는 교통망을 1006번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 1006번을 타고 남포동으로 한 번에 갈 수는 없지만 한진중공업에서 8번, 30번, 113번 등 널려있는 남포동행 버스로 환승하면 충분히 갈 수 있다. (이 요구는 북좌동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