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1 15:34:31

반팔레스타인주의

차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형태 구조적 차별 · 선호 기반 차별 · 제도적 차별 · 통계적 차별
민족/국민 정체성 대만인 · 러시아인 · 미국인 · 아랍인 · 영국인 · 우크라이나인 · 유대인 · 이스라엘인 · 일본인 · 중국인( 반화) · 코리아인*( 한국인(남한인) · 북한인(조선인)) · 팔레스타인인
사회문화 계급( 가난 · 카스트) · 무신론 · 언어 · 외국인 · 지역 · 채식주의자
성소수자 동성애( 게이 · 레즈비언) · 양성애 · 트랜스젠더( 미소지니)
종교 기독교( 가톨릭) · 불교 · 이슬람( 공포증( 히잡))
특성 성(性)( 남성 · 여성 · 헤테로섹시즘) · 연령( 노인 · 아동 · 청소년) · 외모( 모발 · 얼굴 · 체형) · 왼손잡이 · 인종( 체제화) · 자폐 · 장애( 혐오 · 청각)
차별 관련 사상 대한족주의 · 동화주의**( 마스킹 · 일코 · 커버링) · 반지성주의 · 비장애인 중심주의 · 엘리트주의 · 우월주의( 남성 · 백인 · 여성 · 흑인) · 인종 분리주의( 아파르트헤이트 · 짐 크로우) · 족벌주의 · 혈통주의( 한 방울 원칙)
대책 다문화주의 · 다양성( 신경다양성) · 매스큘리즘 · 몸 긍정( 비만 수용 운동) · 민권 운동( 미국 흑인) · 어퍼머티브 액션 · 인권( 성소수자 단체 · 장애인) · 정치적 올바름 · 페미니즘 · 할당제
관련 주제 내셔널리즘( 국수주의 · 민족주의) · 사회 정의 · 상호교차성 · 억압 · 임금격차 · 정체성 정치 · 젠더블라인드 · 존경성 정치 · 증오 발언( 성소수자) · 증오 범죄 · 차별금지법 · 특권( 기독교 · 남성 · 백인 · 신체( 마름))
* Korea[n] 전반, 즉 한민족이나 대한민국/북한 국적자 등에 대한 차별은 anti-Korean sentiment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혐한'이라고 하면 대한민국[인]에 대한 혐오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북한[인]에 대한 혐오는 anti-Korean sentiment에 속하지만 보통 '혐한'과는 별개로 본다. }}}}}}}}}

1. 개요2. 표기법3. 특징
3.1. 오용
4. 관련 문서

1. 개요

Anti-Palestinianism

반팔레스타인주의는 팔레스타인이나 팔레스타인 민족에 대한 반감, 차별, 혐오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2. 표기법

반팔레스타인 정서(Anti-Palestinian sentiment), 반팔레스타인 인종주의(anti-Palestinian racism) 등 다양한 표기법이 있다.

3. 특징

반이스라엘주의가 주로 팔레스타인에서 자주 나타나듯 반팔레스타인 정서는 이스라엘에서 흔히 나타난다. 미국과 일부 친미 국가에서도 종종 드러나며 한국에도 친미 친서방의 영향으로 드물게 반팔레스타인 감정이 있는 편이다.[1]

3.1. 오용

일부 팔레스타인 민족주의자들은 이-팔 전쟁에서 극우 무장조직인 하마스 전쟁범죄를 비판하거나 팔레스타인 민족주의자들의 이스라엘 부정 행위와 선을 그으면 반팔레스타인주의라고 주장하며[2] 심지어 이스라엘의 행태부터 비판하라고 반박하기도 한다.

4. 관련 문서



[1] 북한과 팔레스타인끼리 협력하는 것도 한국에 반팔레스타인주의가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2] 가령 팔레스타인 중심 일국 방안을 주장하는 BDS 운동 등을 반유대주의가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이에 반대하는 이들을 반팔레스타인 인종주의라고 매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