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1:09:27

모리타니

모리타니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영국 큐나드 라인에서 운영했던 여객선에 대한 내용은 RMS 모리타니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01C1F 10%,#00A95C 10%,#00A95C 90%,#D01C1F 9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c400><colbgcolor=#00A95C>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모리타니/국장
역사 역사 전반( 가나 제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경제 경제 전반 · 모리타니 우기야
국방 모리타니군
교통 모리타니 항공
문화 문화 전반 · 언어 · 요리 · 모리타니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하사니야어) · 프랑스어
지리 누악쇼트 · 누아디부 · 사하라의 눈
기타 배의 무덤
민족 무어인 · 마그레브 아랍인 }}}}}}}}}
모리타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아프리카 지도.png 서아프리카의 국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모리타니[1]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세네갈 코트디부아르 베냉 토고
파일:기니 국기.svg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기니 기니비사우 카보베르데 라이베리아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가나 감비아 시에라리온 나이지리아 }}}
[1] 간혹 북아프리카로 분류되기도 한다.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프랑스어권 국제기관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2em"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가나 가봉 그리스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기니비사우 니제르* 도미니카 연방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레바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나코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모리셔스 모리타니 몰도바 바누아투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
베냉 베트남 벨기에 왈롱-브뤼셀 연방 파일:벨기에 원형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르비아 세이셸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스위스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파일:아이티 국기.svg 파일:안도라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아이티 안도라 알바니아 이집트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카메룬 카보베르데 카타르 캄보디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퀘벡 주기.svg 파일:뉴브런즈윅 주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캐나다 퀘벡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뉴브런즈윅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코모로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코소보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키프로스 토고 튀니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참관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감비아 대한민국 도미니카 공화국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리투아니아 멕시코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루이지애나 주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몰타 루이지애나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르헨티나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파일:온타리오 주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온타리오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조지아 체코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태국 폴란드 헝가리 }}}}}}}}}}}}

셈족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f4f4f4,#5c5c5c> 동셈족† 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 딜문(추정)*†
북서셈족(서북셈족) 히브리인( 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 | 아모리인†( 우가리트†) | 칼데아인† | 힉소스(추정)†
남서셈족
( 아랍인)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 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 몰타인) | 팔레스타인인( 이스라엘 아랍인) | 예멘인( 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이라크인 | 호라산 아랍인 | 중앙아시아 아랍인 | 아랍 흑인( 예멘 흑인( 아크담족) | 이라크 흑인 | 수단 아랍인( 바까라족)) | 무어인( 하라틴인)
남셈족 사바인(추정)**† | 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 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 마간(추정)**†
표시가 된 것은 사라진 민족
* 동셈계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 남셈계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독립국
비아랍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독립국
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다수 거주국가
해당 지리적 인종 서아시아인 | 아프리카인 | 북아프리카인 | 유럽인
언어 및 문화
언어 셈어파
사상 범셈족주의 | 아랍 민족주의 | 시오니즘
신화 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 (아람 신화 | 페니키아 신화 (카르타고 신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민족
베르베르인 · 투아레그족 · 하라틴인 · 사흐라위인 · 관체족
언어
베르베르어 · 투아레그어
국가 / 지역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미승인국)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 파일:카나리아 제도 기.svg 카나리아 제도 (속령) ·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신화
베르베르 신화 · 베르베르주의
}}}}}}}}} ||

[[아랍 연맹|
파일:아랍 연맹 휘장.svg
아랍 연맹
جامعة الدول العربية | League of Arab State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6233><colcolor=#fff>회원국
참관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E3D90, #42A0D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color: #fff; 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1em"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5px; word-break: keep-all;"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몬테네그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북마케도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wiki style="color: #fff; 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파트너 국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평화를 위한 동반자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몰도바|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우즈베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조지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카자흐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지중해 대화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알제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요르단|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튀니지|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이스탄불 협력 이니셔티브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글로벌 파트너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이라크|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이슬람 협력기구|
파일:이슬람 협력기구 기.svg
이슬람 협력기구
منظمة التعاون الاسلامي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정회원국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알제리 차드 이집트 기니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인도네시아 이란 요르단 쿠웨이트 레바논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리비아 말레이시아 말리 모리타니 모로코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니제르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사우디아라비아 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소말리아 수단 튀니지 튀르키예 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바레인 오만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시에라리온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방글라데시 가봉 감비아 기니비사우 우간다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코모로 이라크 몰디브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지부티 베냉 브루나이 나이지리아 아제르바이잔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알바니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모잠비크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수리남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수리남 토고 가이아나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회원자격 정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참관국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북키프로스 태국 러시아
탈퇴국
파일:잔지바르 기.svg
잔지바르
회원 가입 시도 국가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벨라루스 브라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중국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인도 케냐 라이베리아 모리셔스 네팔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필리핀 세르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리랑카 }}}}}}}}}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여행자제 지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다음 지역들은 여행자제로 지정된 국가 및 지역입니다.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신변 안전에 특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지역을 여행할 예정인 분들은 불필요한 여행을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준일: 2024.08.02)
자세한 정보는 외교부 해외안전포털을 참고
동북아시아
※해당없음
북미
※해당없음
중남미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colbgcolor=#656565,#2b2b2b>
전 지역
2024.08.01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전 지역
2022.04.14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전 지역
2022.04.14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전 지역
2022.04.14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멕시코 여행경보_2024.08.01.jpg
치아파스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4.08.01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전 지역
2022.04.14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볼리비아 여행경보_2022.04.14.jpg
태양의 섬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4.14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전 지역
2022.04.14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전 지역
2024.08.0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전 지역
2022.04.14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전 지역
2022.08.22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전 지역
2022.04.14일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자메이카 여행경보_2022.08.22.jpg
킹스턴, 세인트앤드류, 세인트캐서린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8.22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전 지역
2022.04.14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전 지역
2022.04.1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여행경보_2024.07.01.png
베네수엘라 국경지역 20km, 나리뇨 주(뚜마코), 바예델카우카 주(깔리 시 제외), 아라우카 주, 카우카 주, 안티오키아 주 일부, 초코 주 일부, 카케타 주 일부, 노르떼 데 산딴데르(Norte de Santander)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4,07,01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전 지역
2022.04.14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파나마 여행경보_2024.02.23.jpg
콜롬비아 국경지역 40Km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4.02.23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전 지역
2022.04.14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페루 여행경보_2024.02.23.jpg
아야쿠초 주 라 마르, 우안타 지역, 우앙카벨리카 주 츄르캄파, 타야카하 지역, 쿠스코 주 라 콘벤시온 지역, 후닌 주 사티포, 우안카요, 콘셉시온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4.02.23 }}}}}}}}}
서남아시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파키스탄 여행경보_2022.08.22.jpg
이슬라마바드, 페이살라바드, 라왈핀디, 라호르, 훈자, 길깃, 스카루드 지역
2022.08.22 }}}}}}}}}
동남아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인도네시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서파루아, 파푸아, 말루쿠, 아체
2022.08.22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필리핀 여행경보_2024.02.23.jpg
수빅시, 보라카이섬, 보홀섬, 세부 막탄섬(라푸라푸시), 팔라완섬 아볼란, 나라, 케손 이남, 민다나오섬 (다바오, 카가얀데오로, 시아르가오, 잠보앙가 제외) , 술루, 바실란, 타위타위 군도를 제외한 전 지역
2024.02.23 }}}}}}}}}
중동·북아프리카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모로코 여행경보_2024.07.01.png
서사하라 내 모래방어벽 서쪽
2024.07.01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아 여행경보_2024.07.01.png
누악쇼트, 누아디브, 인시리, 트라르자 및 아다르(우아단까지 일부지역)
2024.07.0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사우디-예멘 국경 인근 180km 지역 (슈케이크(Shuqaiq), 아브하(Abha), 카미스 무샤이트(Khamis Mushait)시 포함) 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4.14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알제리 여행경보_2024.07.01.png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리비아(일리지 동부), 니제르ㆍ말리ㆍ모리타니(타만라셋 남부, 아드라르 남서부, 틴두프 남서부))를 제외한 전 지역
2024.07.01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요르단 여행경보_2022.11.29.jpg
시리아 및 이라크 접경 10km 지역
2023.03.07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이집트 여행경보_2023.08.04.jpg
서부사막, 시나이반도 남부 일부지역 (성캐더린•타바)
2023.08.04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여행경보_2022.11.29.jpg
이라크 접경지역, Mutla'a, Jeleeb Al-Shuyoukh, Khaitan지역
2022.08.22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튀니지 여행경보_2023.03.07.jpg
튀니스와 수도권 지역, 비제르트 주, 나불 주, 수스 주, 모나스티르 주, 마흐디아 주, 스팍스 주, 제르바 주, 알제리 접경지역 (까세린주 샴비산 일대 포함) , 리비아 접경지역 및 크사르 길랜 이남 사막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3.03.07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colbgcolor=#656565,#2b2b2b>
전 지역
2022.04.14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전 지역
2023.11.24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전 지역
2022.04.14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전 지역
2022.04.14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나이지리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니제르델타 부근 8개 주 (에도, 아남브라, 델타, 이모, 아비아, 바이엘사, 리버스, 아콰이봄), 아다마와, 보르노, 요베, 바우치, 카노, 잠파라, 플래토, 나사라와, 아부자, 타라바, 소코토, 카치나, 지가와, 곰베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4.14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전 지역
2022.04.14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전 지역
2024.02.23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전 지역
2022.04.14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전 지역
2022.04.14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모잠비크 여행경보_2022.04.14.jpg
카보델가도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4.02.23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베냉 여행경보_2022.04.14.jpg
북부 부르키나파소 접경지역 (Pendjari 국립공원 및 W 국립공원) 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4.14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전 지역
2024.02.23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룬디 여행경보_2020.01.25.jpg
부줌부라 시
2022.04.14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부르키나파소 여행경보_2022.04.13.jpg
와가두구, 보보디울라소 지역
2022.04.14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전 지역
2022.04.14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전 지역
2022.04.14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에리트레아 여행경보_2023.03.07.jpg
에티오피아·수단·지부티 국경 25Km 이내를 제외한 전 지역
2023.03.07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에티오피아 여행경보_2023.08.04.jpg
아디스아바바 시, 디레다와 시, 하라르 주, SNNPR 주, SWEPR 주, 시다마 주, 오로미아 주 일부, 암하라 주 일부, 아파르 주 일부
2023.08.04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전 지역
2022.04.14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전 지역
2022.04.14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지부티 여행경보_2022.08.22.jpg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국경 10km 이내 접경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8.22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메룬 여행경보_2022.11.29.jpg
노르드 주, 아다모와 주, 북서부 주, 남서부 주, 최북부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2.11.29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케냐 여행경보_2022.jpg
소말리아 국경 100km 이내, 나이로비 북부 이스트레이, 가리사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4.14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전 지역
2022.04.14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코트디부아르 여행경보_2022.04.13.jpg
라이베리아, 기니와 국경을 접한 서부 지역 (Denguélé주, Montagnes주, Bafing주), 초로고, 붕카니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4.14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전 지역
2022.04.14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탄자니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음트와라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8.22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전 지역
2022.04.14 }}}}}}}}}
러시아·중앙아시아
※해당없음
유럽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루마니아 여행경보_2022.11.29.jpg
우크라이나 접경 20km 지역
2022.11.29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여행경보_2022.11.29.jpg
파마구스타 내 바로샤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11.29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여행경보_2024.08.02.jpg
아라라트주, 게가쿠니크주, 바요츠조르주, 슈니크주, 타부시주 (4단계 지정 지역 제외) 및 아제르바이잔 접경 10km 구간을 제외한 전 지역
2024.08.02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남 오세티아, 압하지아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4.14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코소보 여행경보_2020.01.25.jpg
미트로비차 북부 (Zubin Potok, Zveçan, Leposaviq) 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4.14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폴란드 여행경보_2022.11.29.jpg
우크라이나 접경 30km 지역
2022.11.29 }}}}}}}}}
오세아니아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전 지역
2022.08.22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전 지역
2022.08.22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파푸아뉴기니 여행경보_2020.01.25.jpg
서던 하일랜즈 주, 헬라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3.03.07 }}}}}}}}}
여행금지국가 · 출국권고국가 · 여행자제국가 · 여행유의국가 }}}}}}}}}}}}}}}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출국권고 지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다음 지역들은 출국 권고가 내려진 지역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외교부 해외안전포털을 참고
동북아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일본240619발.png
후쿠시마 원전 후쿠시마 원전 반경 30km 이내 및 일본 정부 지정 피난지시구역
2011.03.13
}}}}}}}}} ||
북미
해당 없음
중남미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멕시코 여행경보_2024.08.01.jpg
치아파스주
2024.08.0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전 지역
2019.12.03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볼리비아 여행경보_2022.04.14.jpg
태양의 섬
2019.05.08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자메이카 여행경보_2022.08.22.jpg
킹스턴, 세인트앤드류, 세인트캐서린
2022.08.2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여행경보_2024.07.01.png
베네수엘라 국경지역 20km, 뚜마코 시, 바예델카우카주(칼리 시 제외), 아라우카주, 카우카주, 노르테 데 산탄데르 주, 안티오키아주 일부, 초코주 일부, 카케타주 일부
2024.07.01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파나마 여행경보_2024.02.23.jpg
콜롬비아 국경지역 40Km 지역
2024.02.23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페루 여행경보_2024.02.23.jpg
아푸리막 주 : 안다우아이라스, 친체로스 지역
아야쿠초 주 : 라 마르, 우안타 지역
우앙카벨리카 주 : 츄르캄파, 타야카하 지역
쿠스코 주 : 라 콘벤시온 지역
후닌 주 : 사티포, 우안카요, 콘셉시온 지역
2017.2.22 }}}}}}}}}
서남아시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방글라데시240722발령.jpg
동남부 치타공 힐 트랙스 지역- 카그라차리, 랑가 마티, 반다르반
2024.07.22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 여행경보_2022.08.22.jpg
카슈미르, 카르길 시
2017.11.15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여행경보_2022.08.22.jpg
여행자제 지역(이슬라마바드, 페이살라바드, 라왈핀디, 라호르, 훈자, 길깃, 스카루드)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
동남아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말레이시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사바 주 동부 도서, 동부 해안 지역
도서 지역 : 2013.11.25
해안 지역 : 2015.11.23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미얀마 여행경보_2024.05.01.jpg
샨州 북부, 샨州 동부, 까야州, 라카인州를 제외한 전 지역
2024.05.01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태국 여행경보_2024.02.29.jpg
나라티왓 주, 파타니 주, 얄라 주, 송클라 주 남부 말레이시아 국경지역
2010.05.26.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필리핀 여행경보_2024.02.23.jpg
팔라완섬 아볼란, 나라, 케손 이남 , 민다나오섬(제외: 다바오/카가얀데오로/시아르가오, 잠보앙가)
2024.02.23 }}}}}}}}}
중동·북아프리카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레바논_여행경보_20240807.jpg
레바논 남부 접경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레바논 전 지역 발령일 : 2023.10.19
레바논 남부 접경지역(4km) 제외일 : 2024.08.07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로코 여행경보_2024.07.01.png
서사하라 모래방어벽 동쪽
2024.07.01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아 여행경보_2024.07.01.png
누악쇼트, 누아디브, 인시리, 트라르자 및 아다르(우아단까지 일부지역)를 제외한 전 지역
2024년 7월 1일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사우디-예멘 국경 인근 180km 지역 (슈케이크(Shuqaiq), 아브하(Abha), 카미스 무샤이트(Khamis Mushait)市 포함)
국경 인근 80km 지정일 : 2017.04.21
국경 인근 180km으로 확대 지정일 : 2019.07.03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알제리 여행경보_2024.07.01.png
국경지역 (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리비아(일리지 동부), 니제르ㆍ말리ㆍ모리타니(타만라셋 남부, 아드라르 남서부, 틴두프 남서부))
기존 출국권고 발령일: 2016.07.29
6개주 산악지역(부메르데스, 티지 우주, 베자이아, 지젤, 부아라, 보르즈부아레리즈)에 대한 부분적 해제일: 2024.07.01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란240807발령.jpg
시스탄발루체스탄 주, 튀르키예ㆍ이라크 국경지역, 페르시아만 연안 3개 주(후제스탄, 부셰르, 호르모즈건(Hormozgan))
2019.12.0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스라엘 여행경보_2023.10.19.jpg
가자지구를 제외한 전 지역
2023.10.19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이집트 여행경보_2023.08.04.jpg
중•북부 시나이 반도(1단계(다합•샴엘셰이크 지역, 카이로 등 나일강 유역 도시 지역, 마르트루~지중해 유역),2단계(서부 사막, 시나이 반도 남부 일부지역(성캐더린•타바)) 지역 제외), 리비아 국경으로부터 30km까지(국경도시 Salloum을 포함)
2023.08.04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튀니지 여행경보_2023.03.07.jpg
알제리 접경지역(까세린주 샴비산 일대 포함), 리비아 접경지역 및 크사르 길랜 이남 사막지역 전역
2023.03.07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나이지리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니제르델타 부근 8개 주 (에도/ 아남브라/ 델타/이모/ 아비아/ 바이엘사/ 리버스/ 아콰이봄) 및 아다마와/ 보르노/ 요베/ 바우치/ 카노/ 잠파라/ 플래토/ 나사라와/ 아부자/ 타라바/ 소코토/ 카치나/ 지가와/ 곰베 주
2019.06.13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전 지역
2019.12.03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전 지역
2023.08.02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전 지역
2015.11.24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모잠비크 여행경보_2022.04.14.jpg
카보 델가도 주
2019.01.02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베냉 여행경보_2022.04.14.jpg
북부 부르키나파소 접경지역 (Pendjari 국립공원 및 W 국립공원)
2019.05.13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룬디 여행경보_2020.01.25.jpg
부줌부라市 제외 전 지역
2019.12.03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부르키나파소 여행경보_2022.04.13.jpg
와가두구, 보보디울라소 제외 전역
2020.09.15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에리트레아 여행경보_2023.03.07.jpg
에티오피아·수단·지부티 국경 25km 이내
2023.03.07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에티오피아 여행경보_2023.08.04.jpg
티그라이 주, 소말리 주, 베니샹굴-구무즈 주, 감벨라 주, 오로미아 주 일부 (East Welega, West Welega, Kelam Welega, Guji, Borena 지역), 암하라 주에서 티그라이주 30km 접경지역, 수단&에리트리아, 케냐&남수단 국경 10km 접경지역, 아파르주에서 티그라이주 10km 접경지역
2023.08.04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전 지역
2019.02.27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지부티 여행경보_2022.08.22.jpg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소말리아 국경 10km 이내 접경지역
2022.08.22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전 지역
2013.02.20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메룬 여행경보_2022.11.29.jpg
노르드 주, 아다모와 주, 북서부 주, 남서부 주, 최북부 주
2022.11.29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케냐 여행경보_2022.jpg
케냐‧소말리아 국경 100km 이내 모든 지역, 나이로비 북부 이스트레이, 가리사
2016.06.29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코트디부아르 여행경보_2022.04.13.jpg
라이베리아ㆍ기니와 국경을 접한 서부 지역 (Denguele주, Montagnes주, Bafing주), 초로고(Tchologo) 및 붕카니(Bounkani) 주(州)
2021.04.23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220701발령.jpg
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의 국경 50km 이내 지역/ 바우엘레주, 오트우엘레주, 이투리주, 북키부주, 남키부주, 마니에마주, 카사이주, 카사이상트랄주, 카사이오리앙탈주/ 舊 탕가니카주 북부 지역 (일부: 루알라바주, 오트로마미주, 오트카탕가주)
기존 출국권고 발령일: 2018.08.27
특별여행주의보 발령일: 2024.02.23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탄자니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음트와라(Mtwara) 주(州)
2020.11.09
}}}}}}}}} ||
러시아·중앙아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러시아 여행경보_2023.02.16.jpg
북캅카스 지역 : 체첸, 다게스탄, 세베로오세티야(북오세티아), 카바르디노발카르(카바르티노-발카리야 공화국), 잉귀쉬(잉구세티아),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까라차이-체르케스), 아디게이(아디게야), 로스토프, 벨고로드, 보로네시, 쿠르스크, 브랸스크 주, 오룔 주 일부(샤블르키노, 드미트롭스크, 사스코보, 크로믜, 트로스나 5개 지역)
2023.02.15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221101발령.jpg
아프가니스탄 국경 지역
2011.08.04
}}}}}}}}} ||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여행경보_2022.08.22.jpg
브레스트·고멜 지역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3.01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여행경보_2023.04.15.jpg
나고르노-카라바흐 및 인근 7개 지역(아그담(Aghdam), 피줄리(Fizuli), 자브라일(Jabrayil), 장길란(Zanglian), 구바들리(Guabadly), 라친(Lachin), 켈바자르(Kelbajar)), 나흐치반 아르메니아 접경지역
2023.04.15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조지아 여행 경보.jpg
남오세티아, 압하지아
2019.02.27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코소보 여행경보_2020.01.25.jpg
미트로비차 북부
2011.08.04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여행경보_2022.11.29.jpg
파마구스타 내 바로샤 지역
2022.11.29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여행경보_2024.08.02.jpg
아라라트주, 게가쿠니크주, 바요츠조르주, 슈니크주, 타부시주 (아제르바이잔 접경 10km 구간 제외)
2024.08.0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여행경보_2024.02.23.jpg
킬리스, 가지안텝, 샨르우르파, 마르딘, 시르낙, 하카리, 반, 비트리스, 시르트, 바트만, 디야르바크르, 빙골, 툰셀리, 엘라지, 시리아의 국경 10km 이내 지역 (하타이)
2016.8.31 }}}}}}}}}
오세아니아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colbgcolor=#656565,#2b2b2b>
파일:파푸아뉴기니 여행경보_2020.01.25.jpg
서던 하일랜즈 주, 헬라 주
2018.08.27 }}}}}}}}}
여행금지국가 · 출국권고국가 · 여행자제국가 · 여행유의국가 }}}}}}}}}}}}}}}
모리타니아 이슬람 공화국
الجمهورية الإسلامية الموريتانية[1]
République islamique de Mauritanie
Islamic Republic of Mauritania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모리타니 국장.svg
국기 국장
شرف إخاء عدل
명예, 형제애, 정의
상징
국가 아버지의 나라는 영예로운 선물
(نشيد وطني موريتاني)
지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도 누악쇼트
면적 1,030,700km2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구 4,929,539명(2024년) | 세계 126위
민족 구성 하라탄인 40%
베르베르인 30%
할풀라인, 풀라니인, 만데인, 월로프족 30%
교민 수 61명[2021]
공용어 아랍어
종교 이슬람교( 수니파)
군대 모리타니군 }}}}}}}}}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치체제 이원집정부제, 이슬람 국가, 공화국, 단원제, 다당제, 대륙법계, 샤리아
민주주의 지수 4.14점, 혼합된 체제(2023년)
(167개국 중 108위)
대통령 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총리 모하메드 울드 빌랄
여당
공정당
}}}}}}}}}
경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제 체제 자본주의 시장경제
명목 GDP <colbgcolor=#D01C1F><colcolor=#fff> 전체 $100억 9,100만(2022년) | 세계 151위
1인당 $2,328(2022년) | 세계 144위
GDP
(PPP)
전체 $300억 1,300만(2022년) | 세계 146위
1인당 $6,925(2022년) | 세계 132위
HDI[3] 0.556 / 158위(2021년)
통화 우기야 }}}}}}}}}
외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UN 가입 1961년 10월 27일
남북수교현황 대한민국
1963년 7월 30일 수교
1964년 12월 10일 단교[4]
1978년 12월 18일 재수교

북한
1964년 11월 2일 수교
1977년 6월 7일 단교[5]
1980년 3월 19일 재수교[6]
무비자 입국 한국 → 모리타니 : 도착비자
모리타니 → 한국 : 비자 필요
주한대사관 일본 도쿄도 시나가와구 키타시나가와 5쵸메 17-5
(東京都品川区北品川5丁目17ー5)
5 Chome-17-5 Kitashinagawa, Shinagawa City, Tokyo 141-0001[7]
}}}}}}}}}
ccTLD
.mr
국가 코드
MR
국제 전화
+222
여행경보
여행자제 누악쇼트, 누아디부, 인시리, 트라르자 및 아다르(우아단까지 일부지역)
출국권고 황색경보를 제외한 모든 지역
위치
파일:모리타니 위치.svg

1. 개요2. 상징
2.1. 국호2.2. 국기2.3. 국장
3. 자연4. 역사5. 군사6. 사회
6.1. 노예제 문제
7. 정치8. 경제9. 언어10. 종교11. 스포츠12. 행정구역13. 국가14. 외교15. 관광16. 교통17. 여담18. 언어별 명칭

[clearfix]

1. 개요

아프리카 서북부에 위치한 국가. 수도 누악쇼트(Nouakchott). 국토면적은 1,030,700km², 인구는 4,825,232명으로 국토에 비해 인구가 적다. 수도인 누악쇼트는 모래밭 위에 지어진 계획도시로 '거센 바람이 부는 곳'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누악쇼트의 인구는 1,310,000명으로 국민의 1/4 가량이 이곳에 살고 있다.

2. 상징

2.1. 국호

모리타니라는 국호는 " 무어인들의 땅"이라는 뜻으로, 베르베르인들의 국가이자 이후 로마 제국 속주 명칭이었던 마우레타니아(Mauretania) 또는 마우리타니아(Mauritania)에서 유래한 것이다. 하지만 로마 속주 마우레타니아의 영역은 마그레브로 지칭되는 현 모로코 북부 및 알제리 북서쪽 해안으로, 현 모리타니의 영역보다 훨씬 북쪽이었다.

한국어권에서 통용되는 국호는 프랑스어식인 모리타니(Mauritanie, /mo.ʁi.ta.ni/)와 영어식인 모리타니아(Mauritania, /ˌmɒɹɪˈteɪni.ə/)이다. 냉전시기 한국에서는 영어식인 모리타니아로 주로 불렸으며, 지금도 외교부에서는 이 나라를 여전히 모리타니아라고 지칭하고 있다. 국제 조약이나 협정에서도 모리타니아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정식국호 표기 시에는 모리타니가 아닌 '모리타니아 이슬람 공화국'으로 쓰인다.[8] 사실 아랍어 원어 발음이 무리타니야(مُورِيتَانِيَا‎ / Mūrītāniyā)에 가까운 것을 생각하면 이쪽이 더 원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2.2. 국기

1959년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에서 독립한 이후에 이슬람교를 상징하는 녹색 바탕에 노란 초승달과 5각별이 새겨진 국기를 사용했으며, 초승달이 눕혀져 있고 별이 위에 떠올려진 모습이 새겨져 있다. 녹색 배경은 이슬람교를 상징함과 동시에 푸른 초원의 꿈을 통해서 사하라 사막을 녹지화하자는 의지를 담고 있다. 초승달과 5각별은 이슬람교의 문장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파일:모리타니 국기(1959–2017).svg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2017년 국민투표를 통해서 국기 디자인을 일부 수정하여 새 국기를 제정했다. 초록 바탕이 연해지고 노랑 무늬가 황금색에서 약간 밝아진 노란색에 초승달 무늬가 약간 납작해졌으며 위와 아래에 빨간색 가로 줄무늬를 추가했는데, 이 빨간색 줄무늬는 프랑스 지배 당시 독립을 열망하며 싸웠던 독립투사들과 그들의 희생을 상징한다.

2.3. 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리타니/국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자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67px-Mauritania_sat.png

모리타니의 위성 사진.

지형은 매우 단조로운 편으로 산이 거의 없는 평탄한 지형이다. 최고봉 케디엣 엘 질 산도 1000m가 채 되지 않는다. 국토의 대부분이 사하라 사막과 엘주프(El Djouf) 사막으로 되어 있어 농경은 거의 불가능하고, 별다른 산업 시설이 없어 빈곤하다. 그나마 남부의 세네갈 강 유역에선 농경이 가능했지만 이마저도 사헬 지대의 심각한 사막화 현상으로 농경지가 갈수록 줄고 있다. 철이 상당히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2001년에 석유가 발견되었다.

모리타니는 넓은 국토 때문에 4가지 기후구를 가지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전통적인 이동식 가옥의 경우에는 땅에 15 ~ 20cm 가량 되는 구멍을 파고 기둥을 몇 개 꽂아 천막 비스무레한 걸 치는데, 이때 구멍에 을 부어 다진다. 그래야 구멍이 바스러져 기둥이 쓰러지는 일이 없다고 한다.

중심부에는 사하라의 눈 또는 리차트 구조라고 불리는 독특한 동심원 지형이 있는데, 우주에서도 볼 수 있을 정도로 거대하지만 비교적 최근에야 기록되었고 접근성이 낮은 지역이라 자세하게 연구되어 있지는 않다.

4.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원시부족 공동체
가나 제국
중세
말리 제국
송가이 제국
근대
~
현대
다호메이 왕국, 바마나 제국, 소코토 칼리프국, 아샨티 제국, 졸로프 왕국, 오요 제국
[[포르투갈 왕국|
포르투갈 왕국
]] [[네덜란드 제국|
네덜란드 제국
]] [[스웨덴 제국|
스웨덴 제국
]] [[쿠를란트-젬갈렌|
쿠를란트-젬갈렌
]] [[덴마크 식민제국|
덴마크 식민제국
]] [[프랑스 식민제국|
프랑스 식민제국
]] [[대영제국|
대영제국
]] [[프로이센 왕국|
프로이센 왕국
]] [[라이베리아#s-2.1|
라이베리아
]] [[독일 제국|
독일 제국
]]
독립 국가들 }}}}}}}}}


파일:가나 모리타니 아랍 알제리.jpg

모리타니 동부의 왈라타(ولاته, Oualata) 유적지

고대 모리타니는 하마, 아프리카코끼리, 코뿔소가 살고 있는 초원이 펼쳐져 있는 곳이었다. 그러나 사하라 사막의 확장으로 모리타니는 불모지가 되었다. 오랜 시간이 지나고 나서 모리타니 북부는 베르베르인들이 낙타를 끌고 들어와 거주하기 시작했다. 한편 이 지역은 말리에도 거주하는 소닝케족의 선조격인 바푸르족도 살고 있었으나 베르베르인의 이주로 인해 그들은 남쪽으로 내려갔다. 1076년 무라비트 왕조가 모리타니 동남부와 말리 일대의 가나 제국을 공격해 정복했으며, 이후 아랍인들에 의한 이슬람화가 진행되었다.

17세기 모리타니에서는 아랍계 마킬족에 지배에 대한 베르베르인의 저항이 일어났다. 베르베르인을 이끌던 나스룻딘은 아랍인들이 음악가와 주술사와 어울린다는 이유로 올바른 무슬림이 아니라 선언하며, 자신이 심판의 날에 앞서 도래하는 영도자 마흐디라고 주장하였다. 나스룻딘의 무리들은 1673년 모리타니 전역을 석권하는데 성공하였으나 1년 후 나스룻딘은 전사하고 1677년에는 다시 아랍인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후 1814년부터 프랑스가 이곳의 해안선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1901년 그자비에 코폴라니는 자위야족이나 하산의 유목민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트라자, 브라크나, 타간트 등을 1903년부터 1904년까지 식민화했다. 그러나 북부의 아드라르는 조금 더 오래 지속되었고 샤이크 마 알 아이나인 등을 중심으로 저항이 있었다. 이는 1912년에 군사적으로 진압되었고, 1920년까지 이 지역은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에 편입되었다.

프랑스의 지배 이후에도 이 지역 사람들은 유목민으로 남았지만 정주민도 늘어나기 시작했다. 1960년에 독립했을 때 수도인 누악쇼트는 작은 마을에 불과했다. 프랑스는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인 철을 발견하지는 못했다.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70년대에는 스페인 식민지였던 서사하라를 놓고 모로코와 서사하라 영토를 남북으로 분할하는 등 영토를 확장하려고 했었지만 빈약한 경제력과 군사력 때문에 1979년에 지배를 포기하고 나머지 지역까지 모로코가 차지하는 것을 인정했다. 이 문제로 알제리와 대립하기도 했으며 1970년대엔 폴리사리오의 습격으로 큰 피해를 입은 후 군 병력을 1,800명에서 17,000명까지 증강했다. 이후 모리타니는 1984년에 서사하라를 독립국가로 승인했다.

독립 후, 독재자 모크타르 울드다다(Moktar Ould Daddah)는 모리타니가 서양식 다당제 민주주의에 대한 준비가 없다는 핑계로 여당을 야당과 통폐합시켜 모리타니를 일당제로 만들었다. 울드다다는 헌법을 고치고 1966, 1971, 1976년의 선거에서 연이어 당선되어 독재를 이어나갔다. 하지만 결국 서사하라에서의 참패와 이로 인한 경제 실패로 1978년 7월 10일, 무스타파 울드살렉(Mustafa Ould Salek)이 이끄는 국가재건군사위원회[9]의 쿠데타에 의해 실각되었다. 하지만 이 쿠데타는 오래 존속하지 못하고 이듬해인 1979년, 쿠나 울드하이달라(Mohamed Khouna Ould Haidalla)를 주축으로 한 국가구원군사위원회[10]에 의해 전복되었고, 처음에는 마흐무드 울드룰리(Mohamed Mahmoud Ould Louly)를 위원장으로 내세웠지만 1년만인 1980년부터 울드하이달라가 실권을 장악하고 전면에 나서게 된다. 하지만 1984년 다시 무혈쿠데타가 일어나 마오우야 울드타야(Maaouya Ould Sid'Ahmed Taya)가 정권을 장악하고 장장 21년의 독재를 이어가게 된다.

울드타야 집권기인 8,90년대 내내 무어인과 흑인 간의 대립이 계속되었다. 1980년대에는 7만 명의 흑인들이 남쪽으로 추방되었고 1989년엔 모리타니 국경경비대에 의해 세네갈인 2명이 사살되는 사건이 벌어졌으며 이것이 도화선이 되어 세네갈과 국경 분쟁을 치르기도 했다. 이후 세네갈 국경 일대에서 반모리타니 폭동도 발생했고, 모리타니의 무어인들은 세네갈 출신이나 모리타니 출신 흑인들을 공격하는 만행이 일어나는 등 2년에 걸쳐 혼란이 지속되었다. 1992년 폐쇄된 국경과 단교된 외교가 재개되긴 했으나, 모리타니에서 쫓겨난 흑인들로 결성된 모리타니 아프리카 해방군(African Liberation Forces of Mauritania)이 여전히 세네갈 북부 국경일대에 무장한 체로 존재하며 모리타니 치안에 위협이 되고 있다.

1991년 다당제 민주주의 보장하도록 개헌이 이루어져 형식상으로 모리타니는 민주화되었다. 이듬해 1992년 민주적 절차로 이루어진 대통령 선거에서 울드타야가 계속 집권하게 되었고, 그의 독재는 2000년대 중반까지 계속되었다.

그러던 2005년, 울드타야가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왕 파흐드의 장례식 참석을 위해 국내를 비운 사이 쿠데타가 일어났다. 쿠데타에 성공한 울드 모하메드 발(Ely Ould Mohamed Vall) 대령의 임시 군사정권은 2년간의 준비를 통해 완벽히 민주적인 정권이양절차를 진행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대통령의 재임기간을 제한하는 개헌 등을 진행했다.

새 군사정권의 약속대로 2007년 민주적으로 치러진 선거에서 시디 울드 셰이크 압달라히(Sidi Ould Cheikh Abdallahi)가 대통령이 되었다. 이 선거는 모리타니 역사 최초로 다중후보가 민주적으로 참여하여 이뤄진 첫 선거였다. 그러나 그가 국내 이슬람 강경파 반군과 대화를 재개하고 국부를 낭비한다는 이유로 이미 2005년 쿠데타에 참여했던 주요장교 출신이며 당시 대통령경호실장이던 무함마드 울드압델아지즈(Mohamed Ould Abdel Aziz)를 주축으로 2008년에 다시 한번 더 쿠데타가 일어났다.

모리타니의 첫 민주적 선거를 통한 민주주의로 보이는 정권이 1년만에 허망하게 무너지자 많은 국제적인 비난에 직면했다. 이후 압달라히가 대통령에서 본격 사임하고 2009년 다시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경제재건을 공약으로 내세워 압델아지즈가 정권을 잡게 된다. 하지만 그의 공약과는 다르게 별다른 변화가 모리타니에서 이뤄지지 않았고 결국 2011년 아랍의 봄이 유행하며 전국적인 시위가 모리타니에서 일어나게 된다. 특히 2012년에는 암살 시도로 보여주는 총격에 당하기도 했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다. 강력한 탄압으로 유명한 압델아지즈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4년 82%의 지지율로 재선에 성공한다. 이 재선을 통해 아프리카 연합(AU)의 의장을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역임하기도 했다. 2017년 8월 5일, 양원제를 단원제로 바꾸고 국기를 바꾸는[11] 개헌 국민투표가 시행되어 85% 이상의 찬성으로 가결되었다.

2019년 6월 22일에 친서방 성향의 무함마드 울드 가즈와니(Mohamed Ahmed Ould Ghazouani)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 그 역시 군부출신으로 2005년과 2008년 쿠데타에 모두 참여했었고, 대통령 후보로 나서기 직전까지 국방부 장관을 지내고 있었다. 말이 친서방 성향이지 사실 전임 대통령인 압델아지즈와 크게 성향이 다르지 않다. 그저 직전 대통령은 자신의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서방진영과 아랍진영 간의 외줄타기를 진행하며 특정한 성향이 나타나지 않은 것이고, 본격적으로 경제개발을 위해 서방에 접근하는 스탠스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집권은 모리타니 역사 최초로 이루어진 평화적 정권이양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2020년 8월 6일에 무함마드 울드 가즈와니 대통령은 공공행정 경력이 많은 무함마드 울드 빌랄을 새 총리로 임명했다. #

2021년 3월, 전임 대통령인 압둘아지즈 본인과 그의 사위, 그가 집권하던 당시의 주요 정치인들이 연루된 비리 스캔들이 터졌고, 이로 인해 기소되었다. 혐의는 부패, 자금세탁, 횡령, 공공재 낭비, 부당수익, 사법 방해. 가택연금 상태로 진행되던 재판은 6월을 기점으로 본격 구속되었으나 12월 압둘아지즈의 심장수술로 인해 불구속 전환되었다. 압둘아지즈의 측근들은 이 스캔들은 현 정권이 재선을 앞두고 꼬리자르기를 위한 정치스캔들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5. 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리타니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사회

이슬람 공화국이라는 특성상 종교적인 면에서 굉장히 폐쇄적이라서 이슬람교를 버리고 타 종교로의 개종과 배교를 철저하게 금지하며 기독교 등 타 종교로 개종 시 3일간의 회개 기회를 주고 다시 이슬람교로 개종을 거부하면 사형에 처한다. 마찬가지로 기독교 선교사들도 입국을 금지하며 들어오거나 걸리기만 하면 바로 추방해버린다. 물론 이건 토착 신앙을 믿는 흑인 노예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것으로 보인다. 종교의 자유를 존중해서가 아니라, 흑인 노예들은 아예 사람 취급을 안 하기에 이슬람을 믿을 필요도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며 실제로 이슬람권에서 '불신자'를 의미하는 아랍어 단어에서 유래한 kaffir는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적 멸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치안은 동위도의 국가들[12]과 비교하면 그나마 안전한 편이다. 쿠데타는 완전히 종식되었고, 누악쇼트에서도 서누악쇼트 쪽은 꽤 안전하다. 과거 니제르 치안 수준. 다만 누악쇼트 해변은 자주 흉기 사고가 발생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해변에 갈거면 누아디부에 가자. 다만 누아디부 반도 시작점이 아주 위험한데, 아프리카를 전문으로 여행하던 여행자가 2007년에 쓴 책을 보면 아프리카 많은 나라들이 만든 지 수십 년이 넘은 차들도 끈질기게 재활용해서 쓰기 때문에 모로코와 이 나라의 국경에 폐차들이 가득해서 이상하게 여겼는데 국경선에 무장 도적들이 가득하여 차를 약탈하고 쓸 만한 부품을 다 빼버린 다음 내다 버리기 때문이라는 데에 경악했던 적이 있었다고 한다.

부정부패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뇌물과 비리가 불가피하다 여겨지며 배의 무덤이라는 곳도 돈을 받고 배를 버리는 것을 용납한 공무원의 비리로 탄생된 것이다.

언론 자유도도 매우 낮아 2014년 12월엔 모리타니의 블로거 무함마드 셰이크 울드 음카이티르 기자가 모리타니의 신분 차별 관습을 비판하면서 예언자 무함마드가 이슬람 초기인 7세기 상대 부족과 전쟁했을 당시 신분 차별제도를 용인했다는 글을 핑계로 총살형을 선고했다.[13]

가난한데도 사회복지가 있어서 노년층에게 노령수당을 지급한다고 하고 다산을 권장하여 아이를 낳을 경우 출산보조금을 준다. 하지만 실업이나 질병에 대한 수당은 불충분하거나 없는 형편이다. 식량 부족도 심각하여 모리타니에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가뭄때는 영양실조에 걸리거나 굶어죽는 사람이 많다. 빈곤율이 높다보니 질병 문제도 심각하여 말라리아, 결핵, 홍역, 유행성 감기에 많이 걸리며 사망하는 사람도 많다. 평균수명은 대략 60세 초반으로 상당히 낮은 편이다.

이 나라는 현재도 뚱뚱할수록 미녀로 대접받는 문화가 남아있어서, 처녀들의 결혼하기 전에 일부러 음식을 계속 먹이는 풍습이 남아있다. 14세기 이 지역을 방문했던 이븐 바투타 역시 세계 어느 곳에서도 이곳 여자들처럼 포동포동한 사람들을 본 적이 없다는 기록을 남겼다. 뚱뚱한 여성을 미녀로 간주하는 문화권은 모리타니 말고도 많지만, 일부러 결혼하기 전에 작정하고 살을 찌우는 문화는 나이지리아와 모리타니 정도 밖에는 없다. 언론에서 해당 풍습을 우스꽝스러운 악습으로 비하하는 경우가 많은데, 원래는 산모가 될 젊은 신부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풍습이다. 서아프리카 건조 지대에서는 산모의 영양실조로 출산 중 사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다만 모리타니의 의료 수준과 소득 수준이 어느정도 상승한 후에도 해당 풍습이 계속 이어진다면, 이는 산모의 건강을 해치는 인습으로 봐야 한다.[14]

6.1. 노예제 문제

노예제가 모리타리 사회에서 잔존하고 있다. 노예제 폐지는 이미 1905년에 선포되었고, 모리타니 독립 이후에 제정된 헌법에서도 노예제 폐지가 명시되었으며 이미 1981년에 노예제가 전면 철폐된 상태이다. 그러나 행정력 미약으로 인해서 실제로 시행되지는 않았고, 2018년 기준으로 9만명이 노예 상태에 있다고 추정되며, 비공식적으로는 60만명이 농노에 가까운 형태로 예속된 상태로 추정된다. 노예의 대부분은 주로 무슬림이 아닌 흑인이라고 한다.

결국 2007년에 노예금지법이 제정 및 통과되었으나, 국민들의 인식은 노예제도를 당연하다고 여기고 있으니 문제다. 그것도 노예는 주인의 말에 복종하는 것이 곧 알라에게 복종하는 것이고, 천국에 갈 수 있는 길이라고 종교로 정당화시키는 것이다. 게다가 국토의 대부분이 고립된 사막지대라서 정부의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이 법으로 기소된 사람은 여태까지 1명뿐이라고 한다. 이 나라에서 노예제도는 전 세계에서도 가장 늦은 1981년이 되어서야 폐지되었고, 노예를 부리는 행위가 범죄가 된 것도 2007년에 불과했다. #

결국 2013년 10월 16일에 호주 인권단체가 발표한 세계 노예 지수에서 100점 만점에 97.90점이라는 넘사벽 점수를 받아 세계 1위의 노예제 국가로 등극했다. 2위인 아이티는 52.26점으로 바로 다음 등수와 무려 45.64점이나 차이가 난다. 2013년까지 집계된 국가 총 인구 약 3,800,000명의 4.1%인 150,000명이 노예 상태에 신분까지 세습되는 상태에 있다고 한다. 종교 탓을 했지만 정작 해당 지수 상위 20위 안에 드는 아랍연맹 국가는 모리타니 하나뿐이다. 다른 사이트에서도 위만큼 압도적이지는 않지만 66.41점으로 66.08점의 아이티보다 높은 1위를 차지했다.

이후 세계적인 관심과 모리타니 정부의 공식적인 노예폐지에 대한 영향으로 위의 globalslaveryindex 사이트 2018년 리포트 기준으로 노예는 9만여명, 노예지수 62점으로 세계 6위로 내려왔다. 참고로 1위는 2,640,000명 추정, 노예지수 73.3점으로 북한이 차지했다. 다만 여전히 1,000명당 노예 수는 2021년 기준 32명으로 많은 편으로 북한 에리트레아[15]에 이은 3위를 기록하고 있다. #

무엇보다 정부가 큰 문제인데 입으로만 노예를 금지하지 단속에 나설 생각은 전혀 하지 않고 있다. 특히 자국의 노예제 폐지에 앞장서는 활동가들을 도리어 지독하게 탄압한다. 2015년에는 노예제 폐지 활동가 3명이 모리타니 법원으로부터 각각 징역 2년형을 선고받자 분노한 지지자 수십명이 법원 청사를 습격하여 경찰 수송 차량의 유리창을 부수는 폭동까지 벌어졌다.

7. 정치

서아프리카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치
파일:가나 국기.svg
정치
파일:감비아 국기.svg
정치
파일:기니 국기.svg
정치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가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정치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정치
파일:니제르 국기.svg
정치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정치
파일:말리 국기.svg
나이지리아 니제르 라이베리아 말리
정치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정치
파일:베냉 국기.svg
정치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정치
파일:세네갈 국기.svg
모리타니 베냉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정치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정치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정치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정치
파일:토고 국기.svg
시에라리온 카보베르데 코트디부아르 토고
}}}}}}}}}

모리타니의 정치 정보
부패인식지수 30점 2023년, 세계 130위
언론자유지수 74.20점 2024년, 세계 33위
민주주의지수 4.14점 2023년, 세계 108위

권위주의와 민주주의 사이에 걸쳐 있지만,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권위주의로 분류한다. 민주주의 지수도 혼합 체제로 분류된 국가들 중 가장 낮으며, 권위주의와 혼합 체제를 거의 매년 오간다.

특이하게 언론자유지수가 매우 높다. 다만 수치 자체가 정확성에 논란이 많고, 최근 산정 기준도 바뀌었으므로 실제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는지는 애매하다. 일단 노예제가 존재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체적인 시민의 자유는 낮다.

8. 경제

서아프리카 경제
[[카보베르데#경제|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모리타니#경제|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세네갈/경제|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감비아#경제|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기니비사우#경제|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기니#경제|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시에라리온#경제|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경제|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말리#경제|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부르키나파소#경제|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경제|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가나#경제|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토고#경제|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베냉#경제|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나이지리아/경제|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니제르#경제|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모리타니의 경제 정보[16]
인구 4,271,197 명[17] 2022년, 세계 127위
경제 규모(명목 GDP) 92억 8,000만 달러 2022년, 세계 152위
경제 규모( PPP) 299억 9,300만 달러 2022년, 세계 146위
1인당 명목 GDP 2,141 달러 2022년, 세계 170위
1인당 PPP 6,920 달러 2022년, 세계 134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59.2% [18] 2020년

1인당 GDP는 2,000달러대로 아프리카에서 중위권에 속하는 수준이지만, 대통령 연봉은 330,000달러로 무려 아프리카 1위이자 세계 8위의 국가 수반 연봉을 기록했다. GDP 대비 대통령 연봉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그만큼 정치권의 부패가 심각한 수준이다.

지역격차가 엄청난 수준이라고 한다. 2021년 기준으로 모리타니 북부의 티리스 제모어 지역의 인간개발지수는 0.713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자메이카와 비슷한 수준이나, 동부의 호드 에흐 차르구이 지역은 0.416으로 부룬디, 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 비슷하며, 그 차이가 0.297이라고 한다.

지역격차만큼 인종별로 빈부격차도 심하다. 아랍계 혈통인 베르베르인이나 백인계 무어인들은 그럭저럭 잘 사는 사람도 적지 않으나 흑인들은 빈곤층들이 많다.[19]

국토 대부분이 사막이라 농업이 어려우며 대서양을 끼고 있어서 어업이 조금 발달해 있는데 대부분 목선으로 어업을 하고 있다.

수산물 중에서 특히 문어가 많이 잡혀서 국내에도 많이 수입되며 모리타니산 문어를 마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모리타니는 문어를 식용으로 먹지 않는 국가이기에 문어의 수요가 많은 한국이나 일본으로 수출을 보내고 있다.

9. 언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리타니/언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공용어는 아랍어이지만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프랑스어도 아랍어와 함께 사실상의 공용어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외에도 월로프어, 풀라어, 밤바라어, 투아레그어, 소닝케어 등도 사용되고 있고, 아랍어 방언의 일종인 하사니야어 화자도 존재한다.

10. 종교

모리타니는 이슬람교가 국교로 지정되어 있고 국민 대부분이 무슬림이다.[20] 이슬람 공화국과 같이 기독교, 원시 신앙을 믿는 소수의 국민들도 있다. 교회는 있지만 일반인에게 개방되어있지 않으며 신자들은 대부분 외국인 감독이 있는 페럴림픽 선수나 사업가며 원시 신앙은 주로 흑인들이 신봉한다.

11. 스포츠

아프리카 국가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축구에 열광한다.

피파랭킹은 하위권이지만 2014년 프랑스 국가대표팀 출신인 코렁탱 마르탱스 감독이 부임하면서 축구협회와 함께 철저한 개혁정책을 펼치고 있다. 국가의 지원을 빵빵하게 받아 수도인 누악쇼트에 축구 전용구장까지 개장하며 성적도 수직상승했다.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에도 역사상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고, 비록 승리 없이 2무 1패로 탈락했지만 본선 역사상 첫 골도 챙겼고, 앙골라, 튀니지와의 경기에서는 0-0 무승부로 총 승점 2점을 챙기며 의미있게 마무리했다. 이후에는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 예선을 진행 중인데, 압도적으로 강한 상대인 모로코를 상대로 원정에서 무승부, 한 수 아래로 평가받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을 상대로 승리를 챙기는 등 순항 중이다.

또한 굉장히 폐쇄적인 이슬람 국가임에도 2019년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창설되어 운영 중이기도 하다. 여자 대표팀 역시 축구협회에서 상당한 지원을 해주고 있다는 후문이 있다.

12. 행정구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ania_regions_numbered.png
1 아드라르 주 2 아사바 주 3 브라크나 주 4 다클레트누아디부 주 5 고르골 주
6 기디마카 주 7 호드에슈샤르기 주 8 호드엘가르비 주 9 인시리 주 10 북누악쇼트 주
10 서누악쇼트 주 10 남누악쇼트 주 11 타간트 주 12 티리스젬무르 주 13 트라르자 주

주로 해안가와 남부에 도시가 있다. 수도 누악쇼트는 북, 서, 남누악쇼트로 나누어졌으며 제 2도시 누아디부는 북쪽에 있는 유일한 대도시다.

13. 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리타니 국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리타니/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관광

모리타니 주재 한국공관은 현재 없다.

대한민국 국민은 누악쇼트 국제공항에서 도착비자를 발급받아 입국할 수 있다. 서사하라와의 육로 국경이나 누아디부 공항에서도 비자를 받을 수 있다. 55유로라고 하지만 이곳에서 도착비자를 받은 한국인 여행자 말로는 바가지를 씌운다고 한다.

관광지로 옛 모습을 잘 간직한 사막의 마을이나 중세 가나 제국의 고도 쿰비살레가 있으며 모래로 덮인 마을을 통과하면서 그곳의 유목민과 차를 마시거나, 혹은 달처럼 생긴 분지를 횡단하는 등의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또 사하라의 눈이라는 특이한 지형도 가볼 수 있다.

같은 서아프리카인 말리, 니제르, 나이지리아에 비하자면 낫지만 세 나라가 워낙 치안이 좋지 않아서 그렇지 이곳도 그리 썩 안전하진 않다. 이웃국 말리 내전의 영향으로 인해 알 카에다와 교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며, 모로코의 실질 지배중인 모래방어벽 근처에는 경찰 및 군대가 널려있어 총알이 날아올지도 모른다. 이 외에 사막지역은 말리 내전중에 있는 투아레그 반군이나 알 카에다 등의 문제도 적지 않다. 그나마 대도시인 누악쇼트 누아디부는 나은 편이었는데, 이마저도 2009년부터 수도 누악쇼트에서 최초의 자살테러 사건이 일어난것부터 계속 날이 갈수록 범죄가 늘어나며, 누악쇼트 해변도 더 이상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니 모리타니 여행시 정말 신중히 생각하고 여행 계획을 세우고 가는것이 좋다.

농업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서 물가가 매우 비싸다. 그래도 시장에서는 수박이나 망고, 애호박 등은 싼 편이며 고기 등을 살 것이 아니면 가격도 비싸고 질도 나쁜 대형 마트보다 시장을 가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다. 주모로코 한국대사관의 설명에 따르면 칫솔, 샴푸 등 기본적 위생용품 등을 제외하면 어지간하면 한국에서 구비해서 입국하는 것이 좋다고 소개하고 있다.

16. 교통

육로 입국 시 세네갈이나 서사하라에서 입국할 경우와 달리 말리에서 입국하는 것은 위험하다. 서사하라와의 국경은 넘는 여행자들이 있으나 국경 인근 무인지대는 지뢰가 많이 매설되어 있고 테러 단체의 활동으로 납치 가능성이 있어 여러 나라들에서 국경 인근 지역을 여행금지 지역으로 지정해 놓았다. 이동은 도보를 추천한다. 렌터카는 정말 오래된 소련제 중고차밖에 없고 2000년대식 자동차는 보기도 어렵다. 버스는 소매치기가 증가하는 추세라 현지인들도 어디 놀러갈 때나 돈 숨기고 타지 웬만한 곳은 걸어 다닌다.

파일:1631694638354.jpg

택시는 구형 벤츠 세단을 주로 택시로 사용하는데 멀쩡한 차가 거의 없을 정도로 폐차 직전의 차량을 사용한다.

근거리 요금은 기본 10우기야로, 도착했을 때 30 ~ 50우기야를 주면 된다. 너무 적게 주거나 온 지 얼마 안 된 외국인한테는 75 ~ 100우기야를 내놓으라고 하는데, 너무 적게 줬으면 10우기야 정도를 더 주고 내리고 처음 온 외국인일 경우 100% 바가지니 60우기야 정도 주자.

16.1. 철도


파일:Map_Mauritania_Railway.png
노선도.
사하라사막을 건너는 화물 철도가 유명하다. 항구도시인 누아디부에서 내륙에 있는 철광석 생산지인 주에라트를 잇는 704km의 철도로, 1963년에 건설되어 반세기 넘게 운영되고 있는 역사가 있는 철도다. 프랑스가 철광석 수송용으로 건설하였으며 엄청나게 긴 마일 트레인으로도 유명하다. 기차 길이만 무려 3km가 넘는다. 상당수 운행구간이 사막인데, 정말 아무 것도 없는 사막 한 가운데 철도만 신기루처럼 달랑 놓여있다. 누아디부에서 종점인 주에라트까지 18시간 소요되며, 객차가 매우 적어서 대부분의 승객들이 뚜껑 없는 화차에 철광석과 함께 탑승한다.[21] 참고로 객차는 유료다.

국내에선 유튜버 빠니보틀이 타는 영상을 올린 바 있다.

17. 여담

카리브 아이티와 여러모로 비슷한 나라다. 어업이 최대 산업이며 최빈국에 분류되어 있고, 이웃 국가들이 비교적으로 정세가 안정적이고 잘 사는 편에( 알제리, 도미니카 공화국 등) 속한다. 또 양국 모두 노예제가 악습으로 남아있으며, 프랑스로 부터 독립하였고 이에 따라 프랑스어가 공용어이며 치안도 불안하다.

유목민들이 도시(특히 누악쇼트)에 정착해서 천막집을 짓는 장면이 NHK의 다큐멘터리 지구대기행에 나온 적이 있는데, 기둥을 세울 때 땅을 파서 기둥뿌리를 묻을 구멍을 만든 후 사막에서 목숨만큼 귀중한 물을 구멍에 부어서 흙을 다진다. 안 그러면 구멍이 건조한 기후에 무너져내려서 기둥이 쓰러져 버린다고 한다. #영상

18. 언어별 명칭

언어별 명칭
한국어 모리타니[22]
모리타니 이슬람 공화국
모리따니, 모리따니이슬람공화국 문화어
영어 Mauritania
Islamic Republic of Mauritania
아랍어 موريتانيا
الجمهورية الإسلامية الموريتانية
프랑스어 Mauritanie
République islamique de Mauritanie
스페인어 Mauritania
República Islámica de Mauritania
힌디어 मॉरीतानिया
इस्लामी गणराज्य मॉरीतानिया
중국어 毛里塔尼亚
毛里塔尼亚伊斯兰共和国
일본어 モーリタニア
モーリタニア・イスラム共和国
러시아어 Мавритания
Ислам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Мавритания

[1] al-Jumhūriyya al-ʾIslāmiyya al-Mūrītāniyya [2021] [3] 인간개발지수 [4] 북한과의 수교를 이유로 단교했다. 당시에는 할슈타인 원칙을 철저히 지키던 시절이었다. [5] 폴리사리오 전선을 후원하고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을 승인했다는 이유로 모리타니가 단교를 선언했다. [6] 1979년 모리타니가 폴리사리오 전선과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서사하라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면서 북한과의 관계도 재개했다. [7] 주일본 대사관 겸임. [8] 외교부에서 다른 이슬람 공화국들( 이란, 파키스탄)은 '회교 공화국'으로 표기하는데, 모리타니의 경우는 '이슬람 공화국'으로 표기한다. 국가/지역 검색 국가정보(모리타니아 이슬람 공화국) [9] CMRN, 프랑스어 : Comité Militaire de Redressement National, 영어 : Military Committee for National Recovery [10] CMSN, 프랑스어 : Comité Militaire de Salut National, 영어 : Military Committee for National Salvation [11] 이 전의 국기는 현재 국기에서 위아래 빨간색 띠를 제거한 형태이다. [12]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차드, 수단 [13] 음카이티르는 앰네스티의 구명운동으로 현재는 프랑스에 망명했다. [14] 물론 모리타니의 사정이 나아지더라도 당장에 이런 풍습이 없어질 가능성은 낮다. 문화 지체라고 물질 문화에 비해 비물질 문화의 발전 속도가 늦어서 벌어지는 지체 현상은 많이 있기 때문이다. [15] 어느 면에서는 북한도 능가하는 악질 독재국가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16] https://en.wikipedia.org/wiki/Economy_of_Mauritania [17]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and_dependencies_by_population [18]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ublic_debt [19] 높으신 정치인들만 봐도 아랍인들과 비슷한 외모의 비흑인이 많다. [20] 공식자료로는 99.9%가 무슬림이다. 하지만 이건 이슬람을 국교로 삼은 나라들의 공통점으로 타종교 외국인을 제외하면 전부 이슬람 무슬림으로 측정한다. 특히 모리타니는 이 자료를 믿을 필요가 없는게, 흑인노예는 사람으로 취급안하기에 무슬림으로 될수도 없다고 믿는데 그 숫자만 전체인구의 최소 2%, 최대 10%로 파악되고 있다. [21] 그렇다고 열차서핑같은 것은 아니고, 관계자들이 화차에 타게 해준다. [22] 외교부 등에선 영어 표기대로 모리타니아 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분류